KR100205295B1 -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295B1
KR100205295B1 KR1019960076760A KR19960076760A KR100205295B1 KR 100205295 B1 KR100205295 B1 KR 100205295B1 KR 1019960076760 A KR1019960076760 A KR 1019960076760A KR 19960076760 A KR19960076760 A KR 19960076760A KR 100205295 B1 KR100205295 B1 KR 10020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elephone
telephone
dialing
memory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470A (ko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7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295B1/ko
Priority to CN97122521A priority patent/CN1087545C/zh
Priority to GB9722937A priority patent/GB2320847A/en
Publication of KR1998005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phonic apparatus, e.g. telephone answering machine or videotex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58Abbreviated dialing, e.g. one-touch 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08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6Detecting signals other than facsimile protocol signals, e.g. DTM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8Detecting an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2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fax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확장전화기를 가지는 팩시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 팩시밀리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확장전화기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확장전화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팩시밀리장치에 구비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 기능.

Description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본 발명은 확장전화기가 접속된 팩시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팩시밀리장치에 구현된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확장전화기에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메모리 다이얼 기능은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사용자에 의해 특정키가 입력되는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기능을 말하며,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에는 단축다이얼 기능, 원터치 다이얼 기능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팩시밀리장치에는 외부 기기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 잭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확장전화기는 외부 잭을 통해 팩시밀리장치에 접속되며, 팩시밀리장치가 화상 통신시 사용하는 전화라인을 공유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확장전화기는 팩시밀리장치와 전화라인 만을 공유할 뿐 각각의 고유 기능을 공유할 수 없었다. 즉, 확장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팩시밀리장치의 단축 다이얼 기능, 스피드 다이얼 기능 등과 같은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서비스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확장전화기에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를 구입하여 확장전화기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소비자는 이중으로 대가를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팩시밀리장치에서 제공되는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확장전화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팩시밀리장치에서 펄스방식을 사용하는 확장전화기에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팩시밀리장치에서 다중주파수방식을 사용하는 확장전화기에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전화기가 접속된 팩시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16)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스위칭부(12)는 상기 제어부(10)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받아 전화라인을 모뎀(14) 또는 외부잭(18)으로 선택적 연결한다. 모뎀(14)은 상기 스위칭부(12)를 통해 입력되는 변조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스위칭부(12)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할 신호를 변조한다. 또한, 상기 모뎀(14)은 제어부(10)로부터 제공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다이얼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6)는 상기 제어부(10)가 수행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팩시밀리장치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팩시밀리장치의 특정 기능 수행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외부잭(18)은 확장전화기(24)가 접속되는 연결 잭이다. DTMF검출부(20)는 상기 스위칭부(12)를 통해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DTMF를 검출하거나 외부잭(18)에 접속된 확장전화기(24)로부터 출력되는 DTMF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DP검출부(22)는 상기 스위칭부(12)를 통해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이얼 펄스(DP: Dail Pulse)를 검출하거나 외부잭(18)에 접속된 확장전화기(24)로부터 출력되는 DP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전화기에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2의 제어 과정은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전화라인을 재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라인이 재 접속되면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링이 완료되면 확장전화기측으로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을 위해 인덱스에 대응하여 전화번호가 등록된 메모리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술한 팩시밀리장치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2에 나타낸 제어 흐름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0)는 210단계에서 확장전화기(24)의 훅크-오프를 DP검출기(22)를 통해 검출한다. 상기 DP검출기(22)는 확장전화기(24)의 훅크-오프에 의해 통화루프가 형성되면 교환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통화 전압인 42V의 전압을 검출하므로서 훅크-오프를 검출한다. 상기 훅크-오프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신호의 검출은 상기 확장전화기(24)가 DP방식인 경우에는 DP검출부(22)를 통해 검출하며, DTMF방식인 경우에는 DTMF검출기(20)를 통해 검출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메모리 다이얼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위칭부(12)를 그대로 유지하여 220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212단계에서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신호라 판단되면 2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14단계로 진행되면 스위칭부(12)를 제어하여 제어신호(S.C)를 출력하여 전화라인을 재 접속한다. 상기 전화라인 재 접속은 교환기(도시되지 않음)에 재 접속함을 나타낸다. 상기 전화라인의 재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12단계에서 검출된 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16)로부터 독출하여 다이얼링 한다. 상기 독출된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은 모뎀(14)에서 수행된다. 상기 다이얼링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8단계에서 스위칭부(1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S.C)를 출력하여 상기 확장전화기(24)로 통화를 형성한다.
먼저, 상술한 과정을 외부잭(18)에 DTMF방식의 확장전화기(24)가 접속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확장전화기(24)로부터 송출되는 DTMF는 DTMF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0)는 DTMF검출부(20)를 통해 상기 확장전화기(24)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링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술한 동작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의해 상기 확장전화기(24)로부터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키가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키라 설정되어 사용자가 메모리 다이얼을 위해 확장전화기(24)에 구비된 "*"키를 누른 후 "3"을 눌렀다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212단계에서 DTMF검출부(20)를 통해 "*"키와 "3"키 눌린 것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0)는 "*"키에 이어 검출된 "3"에 대응하여 메모리(16)에 도 3의 구조로 저장된 테이블에서 전화번호 "321-9876"을 독출하여 다이얼링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과정을 외부잭(18)에 DP방식의 확장전화기(24)가 접속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확장전화기(24)로부터 송출되는DP는 DP검출부(22)를 통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0)는 DP검출부(22)를 통해 상기 확장전화기(24)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링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술한 동작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의해 상기 확장전화기(24)로부터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두 번 연속하여 입력되는 "0"키가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키라 설정되어 사용자가 메모리 다이얼을 위해 확장전화기(24)에 구비된 "0"키를 연속하여 두 번 누른 후 "3"을 눌렀다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212단계에서 DP검출부(22)를 통해 두 번 연속하여 입력된 "0"키와 "3"키가 눌린 것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두 번 연속된 "0"키에 이어 검출된 "3"에 대응하여 메모리(16)에 도 3의 구조로 저장된 테이블에서 전화번호 "321-9876"을 독출하여 다이얼링한다.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의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확장전화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저렴한 가격으로 복합기 형태의 고급 기능을 서비스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생산자는 간단한 소프트웨어의 구현으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이얼 펄스(DP)검출부를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다이얼 펄스방식을 사용하는 확장전화기에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펄스검출기를 통해 상기 확장전화기의 훅크-오프를 감지하는 훅크-오프 검출과정과,
    상기 확장전화기의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다이얼 펄스검출기를 통해 상기 확장전화기로부터 송출되는 다이얼 펄스를 검색하는 신호 검색과정과,
    상기 신호 검색과정에서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다이얼 펄스가 감지되면 전화라인을 재 접속하는 통화루프 연결과정과,
    상기 감지된 다이얼 펄스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다이얼링 하는 다이얼링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링에 의해 통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확장전화기로 통화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3. 다중주파수(DTMF)검출부와, 다이얼 펄스(DP)검출부를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메모리 다이얼 기능을 다중주파수방식을 사용하는 확장전화기에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펄스검출기를 통해 상기 확장전화기의 훅크-오프를 감지하는 훅크-오프 검출과정과,
    상기 확장전화기의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다중주파수검출기를 통해 상기 확장전화기로부터 송출되는 다중주파수를 검색하는 신호 검색과정과,
    상기 신호 검색과정에서 메모리 다이얼을 요구하는 다중주파수가 감지되면 전화라인을 재 접속하는 통화루프 연결과정과,
    상기 감지된 다중주파수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다이얼링 하는 다이얼링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링에 의해 통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확장전화기로 통화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KR1019960076760A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KR100205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60A KR100205295B1 (ko)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CN97122521A CN1087545C (zh) 1996-12-30 1997-10-30 接传真系统的电话分机的记忆式拨号方法
GB9722937A GB2320847A (en) 1996-12-30 1997-10-31 A facsimile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nected telephone extension with a memory dialling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60A KR100205295B1 (ko)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470A KR19980057470A (ko) 1998-09-25
KR100205295B1 true KR100205295B1 (ko) 1999-07-01

Family

ID=1949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760A KR100205295B1 (ko)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05295B1 (ko)
CN (1) CN1087545C (ko)
GB (1) GB2320847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736B2 (ja) * 1991-06-07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ダイヤリング装置及び通信装置
US5337349A (en) * 1991-11-18 1994-08-09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Imag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20847A (en) 1998-07-01
CN1087545C (zh) 2002-07-10
KR19980057470A (ko) 1998-09-25
GB9722937D0 (en) 1998-01-07
CN1187079A (zh) 199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096A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mproved line control
US5966436A (en) Redialing method
KR100205295B1 (ko) 팩시밀리장치를 통한 확장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KR100469743B1 (ko)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KR100230283B1 (ko) 인터넷 정보 수신 중 걸려온 전화 통화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0162837B1 (ko) 사설교환망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국선을 잡는 방법
KR100397343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발신자 자동 리다이얼링방법
JP3193919B2 (ja) 電話機
JPS61181254A (ja) 通信装置
KR200277275Y1 (ko) 자동접속기능을 갖는 전화기
KR100246765B1 (ko) 통화요청 정보 제공방법
JPH0427247Y2 (ko)
KR100274634B1 (ko) 송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 거부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JP2579122Y2 (ja) 自動ダイヤル装置のポーズ時間設定装置
KR0166917B1 (ko) 팩시밀리 수신 방식
KR19980083761A (ko) 전화 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에 의한 녹음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20000009856A (ko) 공중회선교환망에서 종합정보통신망으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JPH01321755A (ja) 通信端末装置
KR19980040333U (ko) 퍼스널 컴퓨터의 모뎀 제어 장치
KR960030634A (ko) 팩스호 자동절환 방법
KR19990049834A (ko)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JPH05236077A (ja) 通信端末装置
KR19990020637A (ko)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부가 서비스 코드저장 방법
JP2001069539A (ja) ダイレクトインダイヤル制御方法及びダイレクトインダイヤル制御機能付きボタン電話装置
KR19990033867A (ko) 전화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