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410B1 - Composite for forming sensing membrane and solid ion sensor made of it - Google Patents

Composite for forming sensing membrane and solid ion sensor made of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410B1
KR100204410B1 KR1019950015308A KR19950015308A KR100204410B1 KR 100204410 B1 KR100204410 B1 KR 100204410B1 KR 1019950015308 A KR1019950015308 A KR 1019950015308A KR 19950015308 A KR19950015308 A KR 19950015308A KR 100204410 B1 KR100204410 B1 KR 10020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sensor
solid
weight
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02307A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동진
주식회사카스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주식회사카스맥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1995001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410B1/en
Publication of KR970002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4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33Ion-selective electrodes or membranes
    • G01N27/3335Ion-selective electrodes or membranes the membrane containing at least one organic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형 이온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재래식 전극형 이온 센서의 이온 감지막과 거의 대등한 이온 감지 특성을 지니면서도 금속 전극 표면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지니는 이온 감지막을 구비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ion sensor, and in particular, a solid ion having an ion sensing membrane having an ion sensing characteristic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electrode type ion sensor and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metal electrode surface. Relates to a sensor.

본 발명의 고체형 이온 센서는 금속 전극과; 이것의 표면에 씌워져 있는 실리콘 고무 68.5~94.5중량%, 가소제 5~30중량% 및 이온 선택성 물질 0.5~1.5중량%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형 이온 센서, 그리고 그 이온 센서와 동일 고체 기판 위에 형성되고 그 이온 센서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트랜지스터 또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는 고체형 집적화 이온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온 센서는 임상검사를 위하여 혈액 또는 혈청중의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염화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의료기기로서 사용될수 있다.The solid 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tal electrode; And an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a composition of 68.5 to 99.5% by weight of silicone rubber, 5 to 30%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0.5 to 1.5% by weight of an ion-selective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olid state ion sensor and a solid state integrated ion sensor composed of a transistor or an electronic circuit formed on the same solid substrate as the ion sensor and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ion sensor. The 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dical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odium, potassium, calcium or chloride ion in blood or serum for clinical examination.

Description

이온 감지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온 감지막을 구비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Solid ion sensor compris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ion sensing membrane and an ion sensing membrane

제1도는 종래의 이온 센서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on sensor.

제1a도는 전극형 이온 센서의 단면도,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type ion sensor,

제1b도는 고체형 이온 센서의 단면도 제2도는 혈액속의 이온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체형 이온 센서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lid ion sensor.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having a solid 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ions in blood.

제3도 내지 제6도는 시간(초)에 대한 출력전압(mV)의 함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선택성 고분자막의 이온 감응특성을 종래의 PVC형 이온선택성 고분자막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3 to 6 show the i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n ion selective polymer membrane formed from a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 of output voltage (mV) over time (second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PVC type ion selective polymer membranes.

제7a도 내지 7d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 혈청중의 나트륨, 칼륨, 칼슘 농도 및 염화이온 농도 측정치를 Ciba-Corning BGA 288을 사용하여 얻은 측정치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로서 나타낸 도면.7A to 7D show correlations of sodium, potassium, calcium and chloride ion concentrations in serum measured using an 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ose obtained using Ciba-Corning BGA 288. .

제8a도 내지 7d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나트륨, 칼륨, 칼슘 및 염화이온 선택성막에서 가소제의 첨가비율의 변화에 대한 감응기울기(mV/decade)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8a to 7d are graphs showing the change in the sensitivity gradient (mV / decade)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the addition ratio of the plasticizer in the sodium, potassium, calcium and chloride ion selective film formed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극 몸체 20 : 이온 감지막 고정체10 electrode body 20 ion sensing membrane fixture

30 : 내부 기준 전극(Ag/AgC1) 30 : 내부 기준 용액30: internal reference electrode (Ag / AgC1) 30: internal reference solution

50 : 이온 감지막 60 : 금속 전극50: ion detection membrane 60: metal electrode

70 : 절연막 80 : 기판70: insulating film 80: substrate

본 발명은 고체형 이온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이온 센서의 이온 감지막(ion-sensing membrance)과 거의 대등한 이온감지 특성을 지니면서도 고체 전극 표면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지니는 이온 감지막을 구비하며 의료용 분석기기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성질을 갖는 고체형 이온 센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ion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n sensing membrane having an ion sensing characteristic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a conventional ion sensor and having an excellent adhesion to a solid electrode surface. A solid ion sensor having propertie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as a medical analyzer.

일반적으로, 이온 감지막이란 특정한 이온과 선택적인 결합을 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온선택성 물질: ionophore)과 고분자막에 대하여 고체형 액상구조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가소제(plasticizer), 고분자막 내부에서 음이온 또는 양이온 자리를 제공하는 유용성 첨가제(lipophilic additive) 그리고 적절한 고분자 지지체(polymer matrix)를 일정한 비율로 유기용매에 녹인 후 건조 성형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온 감지막의 사용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제1a도에서와 같이 전극체에 고정한 것을 재래식 전극형 이온 센서라 하고, b에서와 같이 반도체 또는 금속 표면에 입힌 것을 고체형 이온 센서라 한다. 제1a도에서 이온 감지막은 도면 부호(50)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 부호(10)은 전극 몸체, (20)은 이온 감지막 고정체, (30)은 내부 전극, (40)은 내부 기준전극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고체형 이온 센서를 도시하고 있는 제1b도에서, 이온 감지막이 도면 부호(50)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 부호(60)은 금속 전극, (70)은 절연막, (80)은 반도체 기판을 나타내고 있다.In general, ion sensing membranes are chemicals capable of selectively binding to specific ions (ionophores) and plasticizers to maintain a solid liquid structure for the polymer membranes, anions or cations in the polymer membranes. A lipophilic additive that provides a site and an appropriate polymer matrix ar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in a proportion and then dried. An example of the use of such an ion sensing membrane is shown in FIG. 1, which is fixed to the electrode body as shown in FIG. 1a, and is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electrode type ion sensor. do. In FIG. 1A, the ion sensing membrane is shown by a reference numeral 50, where 10 is an electrode body, 20 is an ion sensing membrane fixture, 30 is an internal electrode, and 40 is an internal reference electrode. Indicates. Further, in FIG. 1B showing a solid ion sensor, an ion sensing film is shown by reference numeral 50, where 60 is a metal electrode, 70 is an insulating film, and 80 is a semiconductor substrate. It is shown.

한편, 최근에 와서는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이온 센서의 소형화, 염가화에 대한 요구에 따라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체형 이온 센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고체형 이온 센서에 적합하게 구비될 수 있는 이온 감지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고체형 이온 센서의 금속 전극상에 형성하기 위한 이온 감지막의 지지체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것은 전기적 감응 성질이 대단히 우수한 PVC 물질이다. 그러나, PVC를 지지체로 하는 이온 감지막을 고체형 센서에 적용할 때에는, 고체 표면에 대한 PVC의 접착력이 지극히 약하기 때문에 접착면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감지 특성과 수명, 생산성에 문제가 많으며 특히 수용액중에서 연속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수시간을 견디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PVC 이온 감지막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리콘 고무와 폴리우레탄등과 같은 접착성이 강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금속 전극상에 이온 감지막을 형성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온 감지 특성이 PVC 이온 감지막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는 전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열등한 것들이었다. 그 중에서, 특히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이하 SR)는 전기저항율이 높기 때문에 감지 특성에 나타나는 노이즈(noise)가 커서 실용성이 의문시 되었다. 그리고, 전기저항율을 낮추기 위하여 10중량% 정도의 CN(Cyanide)유도 SR을 혼합시킨 사례가 있으나, 그 감지 특성 역시 PVC 이온 감지막의 이온 감지 특성에는 훨씬 미치지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low cost of the ion sensor, interest in the solid-state ion sensor as shown in FIG.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ion sensing membrane. Generally widely used as a support for an ion sensing membrane for forming on a metal electrode of a solid ion sensor is a PVC materi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response properties. However, when the ion-sensing membrane with PVC as a support is applied to a solid-state sensor, the adhesion of PVC to the solid surface is extremely weak, which causes problems in sensing characteristics, lifespan, and productivity due to instability of the adhesive surface, especially in aqueous solution. When 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dure several hour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of PVC ion sensing membranes, attempts have been made to form ion sensing membranes on metal electrodes using adhesive polymers such as silicone rubber and polyurethane. It was inferior to the results obtained at all. Among them, in particular, silicone rubber (SR) has a high electrical resistivity, so the noise appeared in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and its practicality was questioned. In addition, although 10% by weight of CN (Cyanide) -induced SR was mixed in order to lower the electrical resistivity, the sensing characteristics thereof were also far less than the ion sensing characteristics of the PVC ion sensing membrane.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행하였으며, 이것을 통하여 실리콘 고무에 일정량의 가소제를 혼합하여 이것을 고체형 이온 감지막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금속 전극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그 감지 특성이 PVC 이온 감지막의 감지 특성과 거의 대등하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수하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ducted a number of studies and experiments, through which a certain amount of plasticizer is mixed with silicone rubber and used as a support for a solid ion sensing membran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discovering that the adhesive property is excellent while the sensing property is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the PVC ion detecting film.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1차적인 목적은, 이온 감지막으로 형성되어 금속 전극 표면상에서 사용되는 때, 종래의 이온 센서의 감지 특성을 최소한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금속 전극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센서의 수명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 및 염가화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체형 이온 센서의 이온 감지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the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when formed on an ion sensing film and used on a metal electrode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sensing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ion sensor at least intact. Provides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ion sensing membrane of a solid-type ion sensor that is excellent in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metal electrode to improve the life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 and also to meet the demand for improved productivity and cost reduction due to miniaturization It's the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조성물로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금속 전극 표면상에서 구비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구현예에서, 탈알콜 및 탈초산형 실리콘 고무 68.5중량%~94.5중량%; 가소제 5~30중량% 및 이온선택성 물질 0.5~1.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의 이온 감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id ion sensor having an ion sensing membrane formed as the composition on a metal electrode surfa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dealcohol and deacetic acid-type silicone rubber 68.5% by weight to 94.5% by weight;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ion sensing film of a solid 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5 to 30%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0.5 to 1.5% by weight of an ion selective material.

다른 한편으로 제2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금속 전극과; 탈알콜 및 탈초산형 실리콘 고무 68.5~94.5중량%, 가소제 5~30중량% 및 이온선택성 물질 0.5~1.5중량%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온 감지막을 상기의 금속 전극상에서 구비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al electrode; Provided is a solid ion sensor comprising an ion sensing membrane made of a composition of dealcohol and deacetic acid type silicone rubber 68.5 to 99.5% by weight, a plasticizer 5 to 30% by weight, and an ion-selective material 0.5 to 1.5% by weight on the metal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은, 제3구현예에서, 금속전극과; 상기 금속 전극의 작동 부위에 접착되도록 배열된, 탈알콜 및 탈초산형 실리콘 고무 68.5~94.5중량%, 가소제 5~30중량% 및 이온선택성 물질 0.5~1.5중량%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온 감지막과; 상기 금속 전극의 작동 부위를 제외한 부분이 피측정용액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배열된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고체형 이온 센서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4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절연성 지지부재(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 member)와; 상기 절연성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전극과; 상기 금속 전극의 일부분을 접착 상태로 둘러싸는 탈알콜 및 탈초산형 실리콘 고무 68.5~94.5중량%; 가소제 5~30중량% 및 이온선택성 물질 0.5~1.5중량%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온 감지막과; 상기 금속 전극의 타부분을 피측정 용액과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금속 전극의 타부분에 피복되어 있는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고체형 이온 센서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metal electrode; An ion sensing membrane composed of a composition of dealcohol and deacetic acid-type silicone rubber 68.5 to 99.5% by weight, plasticizer 5 to 30% by weight, and 0.5 to 1.5% by weight of an ion-selective material, arranged to adhere to the working site of the metal electrode; It provides a solid ion sensor consisting of an insulating film arranged so that portions other than the working portion of the metal electrode can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solution to be measured. And, as a fourth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 member; A metal electrode supported by the insulating support member; Dealcohol and deacetic acid-type silicone rubber 68.5 ~ 99.5% by weight of a portion surrounding the metal electrode in an adhesive state; An ion sensing membrane comprising a composition of 5 to 30%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0.5 to 1.5% by weight of an ion selective material; In order to separate the other part of the metal electrode from the solution to be measured, a solid ion sensor including an insulating film coated on the other part of the metal electrode is provided.

그리고, 제5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이온 감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ISFET)로 이루어진 전극과; 상기 이온 감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 표면에 접착되도록 배열된 것으로서, 탈알콜 및 탈초산형 실리콘 고무 68.5~94.5중량%, 가소제 5~30중량% 및 이온선택성 물질 0.5~1.5중량%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온감지막으로 구성된 이온 센서를 제공한다.In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comprising an ion sensing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It is arranged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gate insulating film of the ion-sensing field effect transistor, the ion consisting of the composition of the de-alcohol and deacetic acid silicone rubber 68.5 ~ 99.5% by weight, the plasticizer 5-30% by weight and the ion-selective material 0.5-1.5% by weight Provided is an ion sensor composed of a sensing membrane.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구현예들에 있어서, 이온 감지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소제의 성분 및 양은 본 발명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소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아디페이트 및 알킬 세바케이트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비스-(1-부틸 펜틸)아디페이트, 비스(2-엑틸헥실)세바케이트, 및 디부틸 세바케이트이다. 또한 가소제는 5 내지 3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는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형성된 이온 감지막의 전기전도도가 충분치 못하고,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온 감지막의 금속 전극 표면에 대한 접착성이 불량해 지기 때문이다.In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and amounts of the plasticizer used to form the ion sensing membrane are very important for the present invention. Plasticize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alkyl adipates and alkyl sebacates and more preferably bis (2-ethylhexyl) adipate, bis- (1-butyl pentyl) adipate, bis (2-ethylhexyl ) Sebacate, and dibutyl sebacate. In addition, the plasticizer should be used in the range of 5 to 30% by weight, which is less than 5% by weight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ormed ion-sensing membrane is not sufficient, when used in excess of 30% by weight of the metal electrode of the ion-sensing membrane This is because the adhesion to the surface becomes poor.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 센서는 특히 임상 검사를 위하여 혈액이나 혈청중의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칼슘이온 또는 염화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의료기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혈액이나 혈청중의 칼슘이온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온감지막 형성용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칼슘이온 선택성물질로는 (-)-(R,R)-N,N'-[비스(11-에톡시카르보닐)운데실]-N/N',-4,5-데트라메틸-3,6-디옥탄디아미트; N,N,N',N'-테트라시클로헥실-3-옥사펜탄디아미드; 및 N,N'-디시클로헥실-N,N'-디옥타데실-3-옥사펜탄디아미드가 있다. 또한, 염화이온 선택성 물질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은 5,10,15,20-테트라펜틸-21H,23H-포르핀 망간(Ⅲ)클로라이드이고, 칼륨이온 선택성 물질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은 발리노마이신(Valinomycin; 분자식: C54H90N6O18)이다. 그리고, 나트륨이온 선택성 물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는 N,N',N-트리헵틸-N,N',N-트리에틸-4,4'4-프로필리딘트리스(3-옥사부틸아미드); N,N'-디벤질-N,N'-디페닐-1,2-페닐렌디옥시디아세트아미드; N,N,N' ,N'-테트라시클로헥실-1,2-페닐렌디옥시디아세트아미드; 4-옥타데카노일옥시메틸-N,N,N'N'-테트라시클로헥실-(1,2-페닐렌디옥시디아세트아미드; 및 비스[(12-크라운-4)메틸]도데실 메틸말론에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제2구현예에서, 금속 전극은 금속 와이어 끝에 이온 감지막이 입혀진 CWE(Coated Wire Electrode)라고 불리우는 구조, 또는 플레이트 타입 전극(plate type electrode)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id 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dical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s, potassium ions, calcium ions or chloride ions in blood or serum, especially for clinical examination. Examples of calcium ion selective materials that may be added to the ion-sensing film-forming composition for measuring calcium ion concentration in blood or serum include (-)-(R, R) -N, N '-[bis (11-e). Oxycarbonyl) undecyl] -N / N ',-4,5-detramethyl-3,6-dioctane diamide; N, N, N ', N'-tetracyclohexyl-3-oxapentanediamide; And N, N'-dicyclohexyl-N, N'-dioctadecyl-3-oxapentanediamide. Further, 5,10,15,20-tetrapentyl-21H, 23H-porphine manganese (III) chloride is preferable for use as a chloride ion selective material, and ballinomycin (PV) is preferred for use as a potassium ion selective material. Valinomycin; Molecular Formula: C 54 H 90 N 6 O 18 ). As the sodium ion selective material, N, N ', N-triheptyl-N, N', N-triethyl-4,4'4-propylidinetris (3-oxabutylamide) may be preferably used. ; N, N'-dibenzyl-N, N'-diphenyl-1,2-phenylenedioxydiacetamide; N, N, N ', N'-tetracyclohexyl-1,2-phenylenedioxydiacetamide; 4-octadecanoyloxymethyl-N, N, N'N'-tetracyclohexyl- (1,2-phenylenedioxydiacetamide; and bis [(12-crown-4) methyl] dodecyl methylmalonat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electrode is preferably a structure called CWE (Coated Wire Electrode), or a plate type electrode, on which an ion sensing film is coated.

발명에 따른 상기의 제3,4 및 5구현예에서의 금속 전극에 대한 절연막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산화막 또는 질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ng film with respect to the metal electrode in the said 3rd, 4th and 5th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n oxide film or a nitride film normally form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semiconductor element.

그리고, 상기의 제2,3,4 및 5구현예에서의 고체형 이온 센서는 실리콘칩과 같은 반도체 기판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id state ion sensor in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provid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such as a silicon chip.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온 감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금속 전극상에 이온 감지막을 형성하는 것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용기내에서 실리콘 고무를 테트라히드로퓨란(THF)용매에 녹이고 또 다른 별개의 용기내에서 각각의 피측정 이온에 대한 이온선택성 물질을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에 녹인다. 그 후, 실리콘 고무 용액과 이온선택성 물질 용액을 혼합하여 약 30분간 교반한 후, 여기에 가소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그 혼합물을 금속 전극상에 캐스팅(casting)하여 성형한 후, 상온에서 약 72시간 동안 건조시켜서 고체상 이온 센서를 제조한다.On the other hand, forming the ion sensing film on the metal electrode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on sens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first dissolve the silicone rubber in a tetrahydrofuran (THF) solvent in a container and dissolve the ion-selective material for each measured ion in a tetrahydrofuran solvent in another separate container. Thereafter, the silicone rubber solution and the ion-selective material solution are mixed and stirred for about 30 minutes, and then a plasticizer or other additive is added thereto, mixed and stirred for about 1 hour. Subsequently, the mixture is cast on a metal electrode and molded, and then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72 hours to prepare a solid-state ion sensor.

본 발명의 고체형 이온 센서는 혈액중의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시스템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olid state 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ystem as shown in FIG. 2 to measure the electrolyte concentration in blood.

제2도는 혈액속의 이온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measuring ion concentration in blood.

제2도에서, 혈액속의 K, Na, Ca 및 C1 이온의 변화량 및 혈액의 온도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부(17)가 정확한 검지를 위해서는 먼저, 2 점의 교정(Calibration : 측정점의 정형화)을 행하는데, 이는 1리터당 상기 K, Na, Ca 및 C1 이온의 몰농도 변화에 비례하는 전압의 변화폭을 정하는 것이다.In FIG. 2, the detection unit 17 for detecting the change amount of K, Na, Ca, and C1 ions in the blood and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blood first performs two-point calibration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 points) for accurate detection. This is to determine the change in voltage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molarity of the K, Na, Ca and C1 ions per liter.

이러한 변화폭의 설정은 센서마다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피측정시료의 측정전에 측정이온의 변화량과 출력전압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정해 주기 위한 것이다. 2 점 교정에 앞서, 배관 및 검지부(17)의 세정을 행하는데, 이는 워시밸브(21d)는 개방하고 버블밸브(21e)는 2초마다 온/오프시키면서 상기 워시밸브의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한다. 이러한 방법은 배관 및 검지부(17)를 세척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세정용액사이에 공기를 불어넣어주므로써 세척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교정 과정에서 전압최소점은 밸브부(21)의 제1버퍼밸브(21b)만을 개방하고 나머지는 잠근 상태에서 교정용액을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검지부(17)로 공급하여 그 때의 전압을 검증한다. 이 검증는 공급용액의 농도를 2.0mmo1/L로 공급할 때, 최저치의 전압이 1.2V가 되도록 PC(12)에서 조절하여 보정해 준다.Since the variation of the variation range is different for each sens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tion of the measured ion and the output voltage is set before the measurement of the sample to be measured. Prior to the two-point calibration, the pipe and the detector 17 are cleaned, which is a motor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of the wash valve while the wash valve 21d is opened and the bubble valve 21e is turned on and off every two seconds. To drive. This method is to improve the cleaning power by blowing air between the cleaning solution supplied to clean the pipe and the detection unit 17. In the calibration process, the voltage minimum is supplied to the detection unit 17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buffer valve 21b of the valve unit 21 is opened and the rest is locked, thereby verifying the voltage at that time. do. This verification adjusts and corrects the PC 12 so that the lowest voltage becomes 1.2V when suppl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eed solution at 2.0mmo1 / L.

이 때, 버블 검지부(18)는 용액의 유무를 판단하여 용액이 있을 때에는 온하여 펌프 구동을 멈춘다. 상기 최소전압의 조정과정 후 제1버퍼밸브(21b)는 잠그고, 워시밸브(21d)를 열어서 배관속에 남아 있는 제1교정용액을 세척하여 배출한다. 이 때의 세척동작은 전단계의 세척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과정으로 세정이 완료되면, 상기 워시밸브(21e)를 잠그고, 제2버퍼밸브(21c)를 열어서, 4.80mmo1/L의 농도를 갖는 제2교준용액을 상기 검지부(17)로 공급하여 검지전압을 상기 PC(12)에서 2V로 조절하여 보정한다. 이 때의 조절과정은 제2버퍼밸브(21C)와 상기 제2버퍼밸브의 구동모터를 온시키고, 버블 증폭부를 3초동안 동작시킨후 멈춘다. 상기 과정 후 전단계에서의 세정과정과 동일한 세정과정을 행한 다음, 제1버퍼밸브(21A)를 열어서 전단계의 제1버퍼밸브 동작을 1회 반복한 후, 앞에서 언급한 동일한 세정과정을 1회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bubble detection unit 18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olution, turns on when there is a solution, and stops driving the pump. After adjusting the minimum voltage, the first buffer valve 21b is locked, and the wash valve 21d is opened to wash and discharge the first calibration solution remaining in the pipe. The washing operation at this time is the same as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previous step. 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in the above process, the wash valve 21e is closed, and the second buffer valve 21c is opened to supply a second calibration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80 mmol / L to the detection unit 17 to detect the voltage. Is corrected by adjusting it to 2V on the PC 12. At this time, the adjustment process is turned on after the second buffer valve 21C and the driving motor of the second buffer valve are turned on, and the bubble amplification unit is operated for 3 seconds. After the above process, the same cleaning process as in the previous step is performed, and then the first buffer valve 21A is opened to repeat the first buffer valve operation once, and then the same clean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once. .

상기까지의 과정으로 센서의 감도를 조정한 후, 혈액의 이온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행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샘플링 밸브(21a)를 열어서, 혈액의 시편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시편 혈액을 검지부(17)로 송출한다. 이 경우 역시 용액내의 버블 성분을 검지하여 그 검지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버블 증폭부를 3초동안 온시킨 후 멈춘다.Afte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to the above process, the operation for detecting the ion change of the blood is performed, this process by opening the sampling valve 21a, by driving a motor for supplying a sample solution of blood Blood is sent to the detection unit 17. In this case, the bubble component in the solution is also detected and the bubble amplification unit for amplifying the detected signal is turned on for 3 seconds and then stopped.

상기 샘플링 과정으로 시편용액의 이온 변화량 및 온도 변화를 검지한 검지부는 그 결과를 아날로그 증폭부(16)로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증폭부는 입력된 검지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하여 멀티플렉서(15)로 출력한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단자를 선택하여 상기 아날로그 증폭부(1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로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PC(12)로 출력하고, 상기 PC(12)에서는 입력된 결과를 영상으로 표시가능한 신호로 표시부(13)에 출력하면 상기 표시부에서는 이 신호에 따라 검지한 결과를 화면상에 수치로서 표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검지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은 전단에서 언급한 2점 교정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그 조절은 입력장치인 키입력부(11)로서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부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해당용액을 그 선택밸브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키입력부(11)에서 조절내용을 PC(12)로 입력시키면 상기 PC(12)에서는 그 조절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나부(14)로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는 입력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멀티플렉서(15)로 출력하여 조절을 원하는 단자를 선택하고, 그 선택 라인을 통하여 조절부(19)에 입력한다. 상기 조절부(19)는 선택된 라인에 해당하는 밸브를 열어주고 모터의 구동시간등을 조절해 줌으로써, 필요한 용액의 검지를 위한 조절을 행하게 된다.Th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ion change amount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pecimen solution by the sampling process outputs the result to the analog amplifier 16. The analog amplifier amplifies the input detection analog signal to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s it to the multiplexer 15. The multiplexer selects a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input from the analog amplifier 16 to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4.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converts the input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PC 12. The PC 12 outputs the input result to the display unit 13 as an image displayable signal. Shows the result of detection according to this signal as a numerical value on the scree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result on the display unit is similarly applied to the two-point calibration process mentioned above, and the adjustment is performed as the key input unit 11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f the valve unit and supplying the corresponding solution through the selection valve, the PC 12 displays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inputs the adjustment contents to the PC 12 from the key input unit 11.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analog / digital conversion screw 14, and the analog / digital conversion section converts the input value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multiplexer 15 to select a terminal to be adjusted, and then selects the selection line. Input to the adjusting unit 19 through. The controller 19 opens the valv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ine and adjusts the driving time of the motor, so as to perform the adjustment for detecting the required solution.

아울러 상기 조절부(19)에서 밸브부(21) 및 연동펌프(22)를 조절하며, 또한 용액내의 버블성분을 검출하는 버블 검지부(23), 버블증폭부(18)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PC(12)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 controls the valve unit 21 and the peristaltic pump 22, and als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ubble detector 23, the bubble amplifier 18 for detecting the bubble component in the solution PC ( 12) acts to deliver.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의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1]Example 1

금속 전극 표면에 대한 이온 감지막의 접착력 테스트Adhesion Test of Ion Sensing Membrane to Metal Electrode Surface

87.0중량%의 탈알콜 및 탈초산형 실리콘 고무, 가소제로서 12.0중량%의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및 이온선택성 물질로서 1중량%의 N,N',N-트리헵틸-N,N',N-트리메틸-4,4',4-프로필리딘트리스(3-옥사부틸아미드)로 이루어진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30개의 Ag/AgC1 금속 전극 표면상에 각각 캐스팅시킨 후 경화시켜서 이온 감지막을 형성했다. 또한, 마찬가지로, 비교를 위하여 PVC를 30개의 Ag/AgC1 금속 전극 표면상에 각각 캐스팅 시킨 후 경화시켜서 이온 감지막을 형성했다.87.0 wt% of dealcohol and deacetic acid type silicone rubber, 12.0 wt% of bis (2-ethylhexyl) adipate as a plasticizer and 1 wt% of N, N ', N-triheptyl-N, N' as an ion-selective material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N-trimethyl-4,4 ', 4-propylidinetris (3-oxabutylamide) was cast on each of 30 Ag / AgC1 metal electrode surfaces and cured to form an ion sensing film. did. Likewise, for comparison, PVC was cast on each of 30 Ag / AgC1 metal electrode surfaces and then cured to form an ion sensing film.

그 후, 스카치 테이프를 경화된 이온 감지막의 표면상에 압착하여 부착시킨 후, 스카치 테이프를 막들로부터 잡아당겼다. 이 테스트에 있어서, 실리콘 고무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은 30개가 전부 금속 전극 표면상에 보존된 반면에, PVC 물질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은 금속 전극 표면으로부터 30개가 전부 제거되었다.Thereafter, the scotch tape was pressed onto the surface of the cured ion sensing membrane, and then the scotch tape was pulled from the membranes. In this test, all 30 ion sensing membranes formed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silicone rubber and plasticizer were all preserved on the metal electrode surface, while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PVC material wa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metal electrode surface. .

다른 한편으로, 수용액중에서 사용하였을 때의 이온 센서의 수명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PVC조성물을 각각 24개씩의 은전극 표면에 코팅하여 경화시킨 후 잉 은 전극들을 물속에 6 시간 동안 담가두었다. 그 후, 은 전극들을 흐르는 물로 세척하였더니 본 발명의 조성물이 코팅된 은 전극은 감지막을 그대로 보존한 반면에, PVC가 코팅된 은 전극은 18개가 PVC감지막이 제거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est the life of the ion sensor when used in an aqueous solution, the composition and the PV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coated on each of 24 silver electrode surfaces and cured, and then the silver electrodes were placed in water for 6 hours. I soaked it. Thereafter, the silver electrodes were washed with running water, and the silver electrode coa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tained the sensing film as it was, whereas the PVC coated silver electrode was removed from 18 PVC sensing films.

이러한 테스트의 결과는 비록 정량적으로 엄밀한 실험결과는 되지 못하지만, 고체형 화학센서의 수명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감지막의 접착특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감지막의 우수성이 단적으로 드러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Although the results of these tests are not quantitatively rigorous test results, it is said that the superiority of the sensing film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vealed in terms of the adhesion property of the sensing film which is known to have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life of the solid-state chemical sensor. Can be.

테스트 결과는 다음의 표1에 요약하였다.The test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실시예 2]Example 2

나트륨이온에 대한 감응 테스트Response test for sodium ions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의 이온 감지 특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지지체로서 87중량%의 실리콘 고무, 가소제로서 12중량%의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및 나트륨 이온선택성 물질로서 1중량%의 N,N,N',N-테트라시클로헥실-1,2-페닐렌디옥시아세트아미드의 조성물(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상의 이온 감지막 형성 방식에 따라 테트라히드로푸란 유기용매에 녹인 후 혼합하고 성형 및 경화시켜서 이온 감지막을 형성한다. 그 후,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첨부 도면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극형 이온 센서에 구비시켰다. 또한, 비교용으로, 종래 사용되는 것으로서 PVC 막을 구비한 전극형 이온 센서를 준비하였다.To test the ion sensing properties of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87% by weight of silicone rubber as support, 12% by weight of bis (2-ethylhexyl) adipate as plasticizer and 1% as sodium ion selective material % Of N, N, N ', N-tetracyclohexyl-1,2-phenylenedioxyacetamid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issolved in tetrahydrofuran organic solv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ion sensing membrane formation method. It is mixed, molded and cured to form an ion sensing membrane. Thereafter, the formed ion sensing membrane was provided in an electrode type ion sensor as shown in FIG. 1A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urther, for comparison, an electrode type ion sensor having a PVC membrane was prepared as conventionally used.

상기의 두 개의 전극형 이온 센서를 사용하여, 동일 혈액 시료중의 Na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을 통상의 방식에 따라 측정했다. 이 때, 시간이 100초 경과할 때 마다 나트륨의 농도를 10 M만큼씩 증가시켜 주었다.Na in the same blood sample using the above two electrode type ion sensors The sensitivity to ions was measu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t this time, for every 100 seconds,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s Increased by M.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전극형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감지 특성은 시간(초)에 따른 전위차(mV)로서 제3a도에 그래프로서 나타내고, PVC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전극형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감지 특성은 b도에 나타내었다. 제3a도 및 b도의 2개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은 감응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종래에 인정되고 있는 PVC 이온 감지막과 감응 특성이 거의 대등하다. 따라서, 이는 상기의 실시예1에서 입증된 바와 같은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실리콘 고무를 기본으로 하는 이온 감지막은 감응 특성이 빈약하기 때문에 이온 센서의 이온 감지막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종래의 견해를 완전히 뒤바꾸는 획기적인 발견이다. 따라서, 실리콘 고무를 기본으로 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은 이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Na 이온 감응 특성이 종래에 이온 감지막으로 주는 사용되는 PVC막과 거의 대등하면서도 접착력은 센서의 wjsrl 화학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을 만큼 월등히 우수하므로 혈액중의 Na 이온 농도의 측정을 위한 고체형 이온 센서의 금속 전극에 구비되는 때 고체형 이온 센서의 실용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암시된다.Sensing characteristics obtained by an electrode type sensor with an ion 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graphically in FIG. 3A as potential difference (mV) over time (seconds) and applied to an electrode type sensor with a PVC ion sensing membrane. The detection characteristic obtained is shown in b. As can be seen from the two graphs of FIGS. 3A and 3B,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most the same sensitivity as the PVC ion sensing membrane conventionally recognized as having excellent sensitivity. Thus, this is a groundbreaking reversal of the conventional view that the ion sensing membrane based on the silicone rubber having excellent adhesion as demonstrated in Example 1 above cannot be used as an ion sensing membrane of the ion sensor because of its poor sensitivity. It is a discovery. Thus,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silicone rubber is Na as demonstrated in this example. Although the ion-sensitization properties are almost equivalent to the PVC membranes used as conventional ion-sensing membranes, the adhesion is so excellent that it does not degrade the wjsrl chemical properties of the sensor. It is implied that the practical use of the solid state ion sensor is possible when it is provided in the metal electrode of the solid state ion sensor for measuring the ion concentration.

[실시예 3]Example 3

칼륨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 테스트Responsiveness test for potassium ion

가소제로서 12.0중량%의 비스(2-에틸헥실)세바케이트가 사용되고, 칼륨 이온선택성 물질로서 1중량%의 발리노마이신(valinomyclin)이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혈액중의 K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을 측정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제4도에 그래프로서 나타내었다. 제4a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전극형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 감응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고, 4b도는 PVC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전극형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 감응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다. 제4a도 및 b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그래프로서 나타낸 시간(초)에 따른 전위차(mV)가 서로 유사하므로 K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과 종래의 PVC 이온 감지막은 서로 대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은 K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 PVC막과 거의 대등하면서도 K 이온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체형 이온 센서의 금속 전극에 형성되는 때 그 접착력이 PVC막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여 이온 센서의 전기 화학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고체형 이온 센서의 실용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2, except that 12.0% by weight of bis (2-ethylhexyl) sebacate is used as the plasticizer and 1% by weight of valinomyclin is used as the potassium ion-selective material. Repeat K in the blood The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sensitivity to ions is shown graphically in FIG. In FIG. 4a, a graph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measured using an electrode sensor having an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the sensitivity characteristic measured using an electrode sensor having a PVC ion sensing membrane. Is the graph for. As can be seen from Figures 4a and b, the potential difference (mV) over time (seconds) shown as two graphs is similar to each other, so It can be seen that the ion-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PVC ion-sensing membrane are comparable in sensitizing properties to ions. Thus, this means that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K Responsiveness to ions K almost equal to PVC membrane When formed on the metal electrode of the solid-state ion sensor for measuring the ion concentration, the adhesion of the solid-state ion sensor with the ion sensing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because the adhesion is superior to that of the PVC membrane and does not degrad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ion sensor. It suggests that practical use is possible.

[실시예4]Example 4

칼슘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 테스트Responsiveness test for calcium ions

칼슘이온 선택성 물질로서 0.87중량%의 N,N,N',N-테트라시클로헥실-3-옥사펜탄디아미드가 사용되고 이것에 대한 첨가제로서 0.43중량%의 테트라키스(4-클로로페닐)보레이트의 혼합물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2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혈액중의 Ca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을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를 제4도에 그래프로서 나타내었다. 제5a도는 본 발명의 종성물로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전극형 이온 센서를 사용하여 얻은 감응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고, b도는 PVC재질의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전극형 이온 센서를 사용하여 얻은 감응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다. 제5a도 및 b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그래프의 시간 및 농도변화에 따른 전위차가 서로 유사하므로 Ca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과 종래의 PVC 재질 이온 감지막은 서로 대등하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은 Ca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이 PVC 재질의 이온 감지막과 거의 대등하면서도 혈액중의 Ca 이온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체형 이온 센서의 금속 전극에 형성되는 때 그 접착력이 PVC막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여 이온 센서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조서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고체형 이온 센서의 실용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0.87% by weight of N, N, N ', N-tetracyclohexyl-3-oxapentanediamide is used as the calcium ion selective material and 0.43% by weight of a mixture of tetrakis (4-chlorophenyl) borate as an additive thereto. Ca in the blood was repeated by repeating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2 except that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sensitivity to ions is shown graphically in FIG. Figure 5a is a graph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btained by using an electrode-type ion sensor with an ion sensing membrane formed as a see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b is a response characteristic obtained by using an electrode-type ion sensor having an ion sensing membrane of PVC material Is the graph for. As can be seen from FIGS. 5a and b, since the potential difference with time and concentration change of the two graphs is similar to each other, Ca It is evident that the ion-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ion-sensing membrane made of PVC material are comparable in ion-sensitive properties. Therefore, this means that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 Ca in the blood while the sensitization characteristics of ions are almost equal to that of PVC When formed on the metal electrode of the solid-type ion sensor for measuring the ion concentration, its adhesion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the PVC membrane and does not degrad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ion sensor. It suggests that the practical use of the solid state ion sensor is possible.

[실시예 5]Example 5

염화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 테스트Sensitivity test for chloride ion

염화이온 선택성 물질로서 1중량%의 5,10,15,20-테트라페닐-21H,23H-포르핀 망간(Ⅲ)클로라이드가 사용되고 가소제로서 12.0중량%의 오르토-니트로페닐옥틸 에테르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2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혈액중의 C1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을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를 제6도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제6a도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구비한 전극형 이온 센서를 사용하여 얻은 감응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고, b도는 PVC 이온 선택성 고분자막을 구비한 전극형 이온 센서를 사용하여 얻은 감응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다.Except that 1% by weight of 5,10,15,20-tetraphenyl-21H, 23H-phosphine manganese (III) chloride was used as the chloride ion selective material and 12.0% by weight of ortho-nitrophenyloctyl ether was used as the plasticizer. Then, repeat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2 to repeat C1 in the blood. The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sensitivity to ions is shown graphically in FIG. Figure 6a is a graph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btained using an electrode type ion sensor with an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b is a response to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using an electrode type ion sensor having a PVC ion selective polymer membrane It is a graph.

제6a도 및 b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그래프에서 시간 및 농도 변화에 따른 전위차가 서로 유사하므로 C1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과 종래의 PVC 재질 이온 감지막은 서로 대등하다는 것이 명백해 진다.As can be seen from FIGS. 6a and b, the potential difference with time and concentration change in the two graphs is similar, so C1 It is evident that the ion-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PVC ion-sensing membrane in terms of sensitization to ions are comparable to each other.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은 C1 이온에 대한 감응 특성이 PVC 막과 거의 대등하면서도 소형화를 위해 C1 이온을 측정하기 위한 고체형 이온 센서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소형화 된 고체형 이온 센서의 실용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Therefore, this means that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1. Ion-responsiveness is nearly equal to that of PVC membranes, while C1 It does not deteriorat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lid-state ion sensor for measuring ions, suggesting that miniaturization of the solid-state ion sensor is practical.

[실시예 6]Example 6

사람의 혈액속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 예를 들어 Na , K , Ca , C1 의 농도를 검출하여 얻어진 자료는 환자를 진단 및 치료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해질 분석에는 매우 고가의 전극형 이온 센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전해질 이온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매우 저렴한 가격의 고체형 이온 센서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 센서의 임상검사 분석능력을 전극형 이온 센서와 비교하여 평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체형 이온 센서의 실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Electrolyte ions present in human blood, eg Na , K , Ca , C1 Data obtained by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is essential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However, although the analysis of the electrolyte using an extremely expensive electrode type ion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very low-cost solid-type 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ions.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practicality of the solid-type 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valuating the clinical test analysis ability of the solid-type 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electrode-type ion sensor.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다.Experimental conditions are as follows.

1. 시료 : 사람의 혈청1. Sample: human serum

2. 비교기기 : Ciba-Corning BGA 2882. Comparator: Ciba-Corning BGA 288

3. 측정항목 : Na , K , C1 , Ca 3. Measurement Item: Na , K , C1 , Ca

4. 실험방법 : NCCLS(National Committe for Clinical Latoratory Standards, USA)의 규정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4. Experimental metho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NCCLS (National Committe for Clinical Latoratory Standards, USA)

5.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센서의 기본 사양5. Basic specification of 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① 전극형태 : 고체형 센서(각각, 실시예2,3,4, 및 5에서 기재된 성분 및 조성의 이온 감지막을 구비함.① Electrode type: Solid state sensor (Equipped with ion sensing membrane of the component and composition described in Example 2, 3, 4, and 5, respectively.

② 캘리브레이트(calibrator) : HEPES 완충액에 기초한 특정 이온 농도 조절 용액② Calibrator: specific ion concentration control solution based on HEPES buffer

③ 기준전극 : 통상의 이중 접합 전극 (Orion 사 A;/AgC1 전극)③ Reference electrode: Ordinary double junction electrode (Orion A; / AgC1 electrode)

④ 센서 카트리지 : 단일 플로우 타입④ Sensor Cartridge: Single Flow Type

⑤ 테이타 획득 : 고체상 이온 센서⇒노이즈 필터⇒고체상 이온 센서검출회로⇒LCD 디스플레이. 연속적 검출, 평균없음, 엔드-포인트(end-point)의 95%이상⑤ Acquisition of data: solid state ion sensor ⇒ noise filter ⇒ solid state ion sensor detection circuit ⇒ LCD display. Continuous detection, no average, more than 95% of end-point

우선, 비교용으로 사용된 종래의 센서로서 Ciba-Corning BGA 288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30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세 가지 농도의 검체를 각각 10회씩 반복 측정하는 정밀도 테스트(within-run precision test)를 실시하였다. 이 테스트에 사용된 시약으로는 Nycomed 사의 Seronorm과 Pathonorm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Ciba-Corning BGA 288의 Na , K , Ca , C1 센서의 정밀도는 CLLA 규정내에서 모두 만족하였으며, 따라서, 다음에 실시된 상관관계 테스트(Correlation test)에서 시료의 기준값으로 Ciba-Corning BGA 288의 측정 결과를 그대로 사용하였다.First of all, the conventional sensor used for comparison is a precision test for repeatedly measuring ten samples of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every 30 minute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suitability of the Ciba-Corning BGA 288. ) Was performed. The reagents used in this test were Seronorm and Pathonorm from Nycomed. As a result. Na of Ciba-Corning BGA 288 , K , Ca , C1 The accuracy of the sensor was satisfactory in the CLLA specification. Therefore, the measurement result of Ciba-Corning BGA 288 was used as the reference value of the sample in the following correlation test.

상관관계 테스트를 위하여, 검체는 서울대학병원 임상병리과 응급검사실에서 검체(실제 환자 검체)를 평균 3일에 1번꼴로 공급받았다.For the correlation test, the specimens were supplied once every three days from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Clinical Pathology Department and Emergency Laboratory.

각 검체는 이미 병원에서 측정을 위해 원심분리한 시험관 전체를 공급받았으며, 이송을 위해 파라필름(parafilm)으로 덮게를 하고 아이스 박스에 보관하여 운반하였다. 도착한 검체의 pH 분포 범위는 pH7.7.~pH8 이상을 보였으며 각 실험에 쓰인 검체의 분포 범위는 다음 표 2와 같다.Each specimen had already been supplied with the entire test tube centrifuged for measurement in the hospital, covered with parafilm for transport and stored in an ice box for transportation. The pH distribution range of the specimens reached was higher than pH7.7. ~ PH8, and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specimens used in each experiment is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의 용액으로 교정하여 측정한 결과는 제6a도 내지 b도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각 그래프들의 하단에는 각 분석치를 표시하였다. 이 분석치를 연산하는데 사용된 통계처리 프로그램은 임상자료통계를 위해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SAS를 사용하였다.The results measured by calibration with the above solution are shown graphically in Figs. 6A to 6B. At the bottom of each graph, each analysis value is shown.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to calculate this analysis used SAS, which is widely used in hospitals, for clinical data statistics.

제6a도 내지 d도로부터, 어느 이온의 경우에도 기존 시스템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측정치의 분산도 양호한 편이다. 따라서,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을 구비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의 임상검사 분석 능력은 CLLA 규정을 만족시키는 Ciba Corning BGA 288의 분석 능력과 대등하므로 본 발명의 고체형 이온 센서의 실용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입증된다. 이 실험은 검체 하나를 측정할 때 마다 센서의 세척과 교정을 되풀이 하면서 연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한 개의 센서로 50~60회의 혈액 측정에로 전혀 센서의 성능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 센서가 장시간의 혈액 측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우수한 센서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이온 선택성 막의 또 하나의 중요한 징표인 이온 간섭성이 임상 영역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작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6a to d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the existing system for any of the ions, and the dispersion of the measured values is also good. Therefore, the clinical test analysis capability of the solid-state ion sensor having an ion 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valent to that of the Ciba Corning BGA 288 satisfying the CLLA regulations, and thus the practicality of the solid-state 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ves to be excellent.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continuously by repeating the cleaning and calibration of the sensor every time a sample was measured, and there was no deterioration of the sensor at 50 to 60 blood measurements with one sensor. Therefore, this result shows that the solid 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cellent sensor that can withstand a long time blood measurement. The results also show that ionic interference, another important sign of ion selective membranes, is small enough not to be a problem in the clinical domain.

[실시예 7]Example 7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리콘 고무를 기본으로 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이온 감지막에서 가소제 첨가 비율의 변화에 따른 전위차 감응 기울기(mV/decade)를 측정함으로써 가소제의 바람직한 첨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다. 실험은 0에서 60중량%의 범위내에서, 가소제, 즉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의 첨가량을 변화시켜서 형성한 이온 감지막들을 구비하는 금속 전극으로 수용액 상에서 7일동안 수행되었다. 전위차 감응에 대한 측정을 첫째날, 2일 후, 4일 후 및 7일 후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그결과를 그래프로서 나타내었다. 첨부한 도면 제7a도 내지 d도가 상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는 나트륨이온 선택성 막에 있어서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가소제의 첨가 비율의 변화에 따른 전위차 감응 기울기을 그래프로서 나타낸 것이다. a도에서, 각각 첫째날(○), 2일 후(▽), 4일 후 (*) 및 7일 후(□)에 0 내지 60중량%의 범위내에서 가소제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형성한 나트륨 이온 선택성막의 전위차 감응을 측정하여 그래프로서 도시하였는데, 첫째날에는 5중량%의 첨가비율로부터 60중량%까지는 거의 변화없이 직선 상태를 유지하였지만, 2일 후부터는 약 5중량%부터 약 30중량% 사이의 가소제 첨가비율 범위를 제외하곤 감응 기울기(mV/decade)가 현격히 감소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수명을 고려할 때 5중량%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가소제를 첨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암시된다. 또한, 칼륨, 칼슘 및 염화이온 선택성막에 있어서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가소제 첨가 비율의 변화에 따른 전위차 감응 기울기(mV/decade)를 각각 a, c 및 d도에 도시하였다. b, c 및 d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첫째날에는 감응 기울기의 감소가 거의 없었지만, 5중량% 내지 30중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현격한 감응 기울기의 감소가 있었다. 따라서, 칼륨, 칼슘 및 염화이온 선택성막에 있어서도 이온 센서의 수명을 고려할 때 5 내지 30중량%의 가소제 첨가비율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된다.This example is presented to determine the preferred addition ratio of the plasticizer by measuring the potential difference sensitive slope (mV / decad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lasticizer addition ratio in the ion sensing membrane formed from the silicone rubber-bas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7 days on an aqueous solution with a metal electrode with ion sensing membranes formed by varying the amount of plasticizer, i.e., bis (2-ethylhexyl) adipate, in the range of 0 to 60% by weight. The measurements of potentiometric response were performed on the first day, two days, four days and seven days,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shown graphically. The attached figures 7a to d show the above measurement results, and (a) is a graph showing the potential difference response slo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ddition ratio of the bis (2-ethylhexyl) adipate plasticizer in the sodium ion selective membrane. will be. In the a diagram, sodium formed by varying the addition ratio of the plasticizer within the range of 0 to 60% by weight on the first day (○), after 2 days (▽), after 4 days (*) and after 7 days (□), respectively. The potential difference response of the ion-selective membrane was measured and shown as a graph. On the first day, the linearity remained almost unchanged from the addition ratio of 5 wt% to 60 wt%, but from about 5 wt% to about 30 wt% after 2 days The slope of the response (mV / decade) is significantly reduced except for the range of plasticizer addition ratio. Therefore, it is implied that it is preferable to add the plasticizer in the range of 5% by weight to 30% by weight in view of the lifetime. In addition, the potentiometric response slopes (mV / decad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is (2-ethylhexyl) adipate plasticizer addition ratio in the potassium, calcium and chloride ion selective films are shown in a, c and d degrees, respectively. Similarly in b, c, and d, there was almost no decrease in the response slope on the first day, but there was a sharp decrease in the response slope when it was outside the range of 5% by weight to 30% by weight. Therefore, it is proved that even in the case of potassium, calcium and chloride ion selective membranes, the plasticizer addition ratio of 5 to 30% by weight is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lifetime of the ion sensor.

이상의 실시예1~7을 통하여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 센서는 종래의 이온 센서의 감지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이온 감지막의 금속 전극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므로, 고체형 이온 센서의 실용화를 저해시켜 온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고체형 이온 센서의 공업적 이용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갖느다. 그리고,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진 재래식 전극형 이온 센서가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 센서로 대치된다면 부피는 반도체 칩 정도가 되며 가격도 반도체 고유의 양산성에 의하여 재래식 센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저렴화된다. 이와 같이 이온 센서의 소형화 및 저렴화는 곧 이온 계측 시스템의 소형과 및 저렴화를 가능케하며 재래식 센서를 가지고서는 생각할 수도 없었던 용도, 예를 들면 1회용 센서에도 경제적 현실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monstrated through Examples 1 to 7 above, the solid 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metal electrode surface of the ion sensing membrane while maintaining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ion sensor, and thus, the solid ion sensor By fundamentally solving the problem that has hampered the practic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industrial use of the solid-state ion sensor. And, if the conventional electrode type ion sensor,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bulky and expensive, is replaced by the solid-state 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is about the size of a semiconductor chip and the price is incomparable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sensor due to the inherent mass productivity of the semiconductor. It is inexpensive enough. The miniaturization and inexpensiveness of the ion sensor thus enables the miniaturization and inexpensiveness of the ion measurement system, and also has the effect of imparting economic realities to applications that were not conceivable with conventional sensors, for example, disposable sensors.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 고무를 기본으로 하는 이온 감지막을 이용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는 특히 혈액 분석을 비롯한 임상병리학적 응용에 우수한 적합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혈액 분석기를 비롯한 의료검사기기를 소형화 및 저렴화시켜서 현장, 현실적 의료진단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state ion sensor using an ion-sensing membrane based on silicone rubber has excellent suitability for clinical and pathological applications, especially blood analysis, thereby miniaturizing and reducing the cost of medical examination devices including blood analyzers.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medical diagnosis.

Claims (7)

탈알콜 및 탈초산형 실리콘 고무 68.5~94.5중량%, 가소제 5~30중량% 및 이온선택성 물질 0.5~1.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이온 센서의 이온 감지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forming an ion-sensing membrane of a solid ion sensor, comprising 68.5 to 99.5% by weight of dealcohol and deacetic acid type silicone rubber, 5 to 30%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0.5 to 1.5% by weight of an ion selectiv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알킬 아디케이트 또는 알킬 세바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plasticizer is an alkyl adduct or alkyl sebacate. 제2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비스-1(1-부틸펜틸)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및 디부틸 세바케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plasticizer of claim 2 wherein the plasticiz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 (2-ethylhexyl) adipate, bis-1 (1-butylpentyl) adipate, bis (2-ethylhexyl) sebacate and dibutyl sebacate A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이온 선택성 물질이 나트륨 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N,N',N-트리헵틸-N,N',N-트리헵틸-4,4'4-프로필리딘티리스(3-옥사부틸아미드); ㅜ,ㅜ'-디벤질-ㅜ,ㅜ'-디페닐-1,2-페닐렌디옥시디아세트아미드; N,N,N'N'-테트라시클로헥실-1,2-페닐렌디옥시아세트아미드; 4-옥타데카노일옥시메틸-N,N,N'N'-테라시클로헥실-1,2-페닐렌디옥시디아세트아미드; 및 비스[(12-크라운-4)메틸]도데실 메틸말론에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ion-selective material of claim 1, wherein the ion-selective material is for selecting sodium ions, wherein N, N ', N-triheptyl-N, N', N-triheptyl-4,4'4-propylidinethiris (3-oxa Butylamide); TT, TT'-dibenzyl- tt, TT'-diphenyl-1,2-phenylenedioxydiacetamide; N, N, N'N'-tetracyclohexyl-1,2-phenylenedioxyacetamide; 4-octadecanoyloxymethyl-N, N, N'N'-terracyclohexyl-1,2-phenylenedioxydiacetamide; And bis [(12-crown-4) methyl] dodecyl methylmalonate. 제1항에 있어서, 이온 선택성 물질이 칼륨 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리노마이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ion selective material is ballinomycin for selecting potassium ions. 제1항에 있어서, 이온 선택성 물질이 칼슘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2-)-(R,R)-N,N'-[비스(11-에톡시카르보닐)운데실그-N,N'-4.5테트라메틸-3,6-디옥탄디아미드; N,N,N',N'-테트라시크로헥실-3-옥사펜탄디아미드; 및 N,N'-디시클로헥실-N,N'-디옥타데실-3-옥사펜탄디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on-selective material is used to select calcium ions and is selected from (2-)-(R, R) -N, N '-[bis (11-ethoxycarbonyl) undecyl-N, N' -4.5 tetramethyl-3,6-dioctanediamide; N, N, N ', N'-tetracyclohexyl-3-oxapentanediamide; And N, N'-dicyclohexyl-N, N'-dioctadecyl-3-oxapentanediamide. 제1항에 있어서, 이온 선택성 물질이 염화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5,10,15,20-테트라펜틸-21H,23H-포르핀망간(Ⅲ)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ion selective material is 5,10,15,20-tetrapentyl-21H, 23H-phosphine manganese (III) chloride for selecting chloride ions.
KR1019950015308A 1995-06-10 1995-06-10 Composite for forming sensing membrane and solid ion sensor made of it KR100204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308A KR100204410B1 (en) 1995-06-10 1995-06-10 Composite for forming sensing membrane and solid ion sensor made of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308A KR100204410B1 (en) 1995-06-10 1995-06-10 Composite for forming sensing membrane and solid ion sensor made of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307A KR970002307A (en) 1997-01-24
KR100204410B1 true KR100204410B1 (en) 1999-06-15

Family

ID=1941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308A KR100204410B1 (en) 1995-06-10 1995-06-10 Composite for forming sensing membrane and solid ion sensor made of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41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307A (en)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6365A (en) Graphite-based solid state polymeric membrane ion-selective electrodes
Poghossian et al. Detecting both physical and (bio‐) chemical parameters by means of ISFET devices
CN1918471A (en) Electrochemical biosensor
US20050263410A1 (en) Ion-selective electrodes and method of fabricating sensing units thereof
EP1164372B1 (en) Microchip-based differential carbon dioxide gas sensor
JPH05506932A (en) Solid ion sensor with silicone membrane
Trebbe et al. A new calcium-sensor based on ion-selective conductometric microsensors–membranes and features
CN113588753A (en) Ion selective electrode current detection method
Cardwell et al. A multi-ion sensor cell and data-acquisition system for flow injection analysis
Teravaninthorn et al. The suitability of Ta2O5 as a solid state ion-sensitive membrane
US20090266712A1 (en) Calcium ion sensor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sensing systems comprising the same
Meyerhoff et al. Polymer-membrane electrode-based potentiometric sensing of ammonia and carbon dioxide in physiological fluids.
US5958201A (en) Sodium ion-selective-electrode membrane having extended uselife
KR100204410B1 (en) Composite for forming sensing membrane and solid ion sensor made of it
WO2006026120A1 (en) Potentiometric measurement of chloride concentration in an acidic solution
Zine et al. All-solid-state hydrogen sensing microelectrodes based on novel PPy [3, 3′-Co (1, 2-C2B9H11) 2] as a solid internal contact
Cheng et al. Study on all-solid-state chloride sensor based on tin oxide/indium tin oxide glass
KR100511052B1 (en) Ion sensor and biochemical automatic analyzer
KR102012544B1 (en) Ion sensors for sensing multiple ions in blood
Lynch et al. Solid‐State Ion‐Selective Electrode Arrays
JPH07113620B2 (en) Lithium / sodium ion concentration ratio measuring method and measuring device
Telting‐Diaz et al. Assessment of sodium‐selective ion‐selective electrodes based on methyl ketone derivative of p‐tert‐butylcalix [4] arene
Trapp et al. Development of a coulometric CO2 gas sensor
Jamil et al. Liquid polymeric membrane composition of ion selective electrode based on thiazole-4-carboxamide as ionophore
Kamel Conventional and planar chip sensors for potentiometric assay of uric acid in biological fluids using flow injection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