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179B1 - 압력용기용 개구부 - Google Patents

압력용기용 개구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179B1
KR100204179B1 KR1019920021263A KR920021263A KR100204179B1 KR 100204179 B1 KR100204179 B1 KR 100204179B1 KR 1019920021263 A KR1019920021263 A KR 1019920021263A KR 920021263 A KR920021263 A KR 920021263A KR 100204179 B1 KR100204179 B1 KR 10020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essure vessel
liner
flan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709A (ko
Inventor
엘. 뉴하우스 노먼
비. 베이스 로날드
비. 틸러 데일
Original Assignee
마이클디,슈미츠
브런즈윅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디,슈미츠, 브런즈윅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클디,슈미츠
Publication of KR930016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Abstract

본 발명의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의하면, 필라멘트권취 외부각(外部殼)과 비금속 내부라이너를 갖는 압력용기의 폴라개구에 개구부가 배설되고, 이 개구부는 용기내부로부터 외축으로 돌출되는 관형 네크와, 네크의 내단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라개구의 주변을 지지하는 환형 지지플랜지를 갖는다. 편의된 고정 플랜지는 지지플랜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 로킹홈이 형성된 2개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을 갖는다. 각 로킹홈은 라이너의 각 탭과의 정확한 결합 및 유지를 위해 저면과 그 양측의 길이가 다른 2개의 측면을 갖는다. 라이너가 블로성형물인 적용예에 있어서, 지지플랜지에 사출성형된 계면부재가 고착되어 라이너가 접합될 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용기용 개구부
제1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적용한 개구부를 갖는 축대칭 압력용기의 원형단부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개구부가 압력용기의 한쪽만에 따라 이에 결합되고, 내부라이너가 직경방향플랜지의 하나의 로킹홈에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의 개구부 구조를 갖는 축대칭 압력용기의 원형단부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8 : 압력용기 12, 60 : 외부각
14, 62 : 라이너 16, 56 : 개구부
24, 64 : 네크 28, 70 : 지지플랜지
32 : 고정플랜지 40, 42 : 로킹홈
44, 46, 88 : 탭
본 발명은 원형 고압용기의 필라멘트권취 외부각(外部殼)과 비금속 내부라이너간의 구조적 계면(界面)을 보강하기 위한 개선된 개구부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압력용기에 대해서는, 경량구조와 파열 및 부식 손상에 대한 높은 내성(耐性) 등의 특성이 상당히 요구되고, 이러한 설계상의 기준은 여러해 동안 열경화성 에폭시수지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권취된 유리섬유필라멘트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합성필라멘트의 적층구조의 고압복합용기의 개발에 따라 직면하게 되었다. 엘라스토머 또는 다른 비금속 탄성라이너가 필라멘트권취 외부각내에 배설되어 고압용기를 밀봉하는 동시에 내부유체가 합성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라멘트권취용기는 종종 고압적용제품에의 사용을 위해 구형상(球刑狀) 또는 대략 구형 단부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외부각의 가압포트에서 내부라이너와 합성외부각을 견실하게 결합하기 위해 개구부를 사용하여 유체가 라이너와 외부각의 사이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부분의 적용예에 있어서, 항공우주산업에서와 같이 합성압력용기는 초고압이 요구되어 25,000 p.s.i로 동작시키고, 설계파열치는 50,000 p.s.i 의 범위로 된다. 따라서, 내부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개구부와 라이너 및 외부각의 계면이 극히 큰 구조적 부하를 받게 된다.
즉, 용기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개구부와 합성외부각사이에서 접합응력이 발생되므로, 외부각을 통해 경사면에 변형이 발생되어 외면보다 내부변형이 크게 된다. 또, 내부가압중에 불균일한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상대변위불연속성에 의해 개구부와 내부라이너사이에서 전단응력이 나타나게 된다. 또, 개구부에서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에는 개구부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는 과도한 벤딩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 용기의 가압중에 라이너와 외부각은 이에 가해지는 역부하에도 불구하고 개구부와 과도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성의 필라멘트권취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독특힌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부하 및 밀봉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용기의 원형부에서의 필라멘트권취 보강외부각과 비금속 내부라이너의 사이의 구조적 계면을 보강하기 위한 신규의 개선된 개구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필라멘트권취 외부각과 비금속 내부라이너를 갖는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외부각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형 네크와, 상기 네크의 단부로부터 용기내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각의 개구주변을 보강하기 위한 외면을 갖는 환형(環形)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라이너의 탭과 결합되는 로킹홈을 갖는 외면을 가진 고정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홈은 고정플랜지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편의면의 각각에 배설되고, 고정플랜지의 외면의 로킹홈은 외측으로 열리고, 고정플랜지의 내면의 로킹홈은 내측으로 열리며, 각 로킹홈은 라이너와의 견실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저면과 그 양측의 2개의 길이가 다른 측면을 갖는다. 고정플랜지의 편의특성에 의해 라이너가 개구부와의 결합에서 이탈하여 외부각과 라이너 사이의 누출을 유발할 위험이 감소된다.
용기의 내부가압중에 개구부와 라이너의 사이에서의 전단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형플랜지의 외면과 외부각의 내면의 사이에 비금속 전단응력 완화층이 개재된다. 이 개재된 층은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다른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지고, 성형 또는 시트로부터 절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의 독특한 구조에 의해 가압손상이 저감된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지지플랜지는 용기가 가압될 경우 외부각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갖는 동시에, 지지플랜지와 고정플랜지에서 과도한 벤딩응력을 피하기 위한 충분한 두께도 갖는다.
개구부는 알루미늄, 철, 니켈, 티타늄의 합금 또는 기타의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라이너는 블로(blow)성형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제조된다. 축대칭 계면부재가 가압포트에 인접한 개구부에 고착되어 라이너를 부착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계면부재는 고형화되는 경우 개구부에 따라 수축하여 그 개구부에 견고하게 성형되는 사출성형된 HDPE로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라이너는 플라스틱성형에 의해 계면부재에 직접 접합된다. 나사홈형성 리테이너 너트가 개구부의 네크를 통해 진입하여 계면부재를 적절하게 로크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의 특징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되어 있고, 본 발명 및 그 목적,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도는 참조부호(10)로 표시된 축대칭 압력용기의 원형 단부, 바람직하게는 대략 구형(球刑)의 단부를 나타낸 부분단면이다. 압력용기(10)는 섬유보강된 외부각(外部殼)(12)과 비금속 내부라이너(1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16)는 외부각(12)에 형성된 폴라(polar)개구(18)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고압의 유체가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는 가압포트(20)를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완전히 구형 용기의 개구부와 같은 용기의 비폴라개구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외부각(12), 개구부(16) 및 라이너(14)의 사이에 전단응력완화박층(22)이 개재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의 가압중에 외부각 또는 라이너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외부각(12)은 수지매트릭스의 섬유보강재료로 이루어진 주지의 합성보강재로 구성된다. 섬유는 유리섬유, 아라미드(ARAMID), 카본, 흑연 또는 기타 주지의 섬유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사용되는 수지매트릭스는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용기가 사용되는 특정 제품에서 요구되는 내파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수지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내부라이너(14)는 플라스틱이나 기타의 엘라스토머로 만들 수 있고, 압축성형, 블로성형, 사출성형 또는 다른 주지의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개구부(16)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철, 니켈 또는 티타늄의 합금으로 구성되지만, 다른 금속과 합성재료 등의 비금속 재료도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층(22)은 플라스틱 또는 다른 비금속재료로 만들 수 있고, 성형처리 또는 시트를 절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6)는 외부각(12)의 폴라개구(18)를 통해 연장되는 테이퍼처리된 스로트(26)가 있는 외측으로 돌출한 네크(24)를 갖는다. 스로트(26)는 테이퍼되게 형성되어 외부각을 형성하는 섬유 및 수지매트릭스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주변홈이 형성되고, 외부각이 개구부(16)를 파지하여 용기의 내외부로 개구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환형(環形)지지플랜지(28)는 네크(24)로부터 압력용기(10)의 내부로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플랜지(28)에 형성된 외면(30)에 의해 가압부하가 합성외부각의 폴라개구(18)의 주변에 분산된다. 지지플랜지(28)는 폭(W1)을 가짐으로써, 그 지지플랜지(28)의 전체직경에 의해 압력용기(10)가 가압될 경우에 외부각(12)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또, 박층(22)의 부분은 지지플랜지(28), 라이너(14) 및 외부각(12)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가 가압됨에 따른 손상을 더욱 최소화한다. 특히, 용기내부의 가압은 원형용기단부의 팽창변형을 가져오므로, 외부각(12)의 내면과 라이너와 지지플랜지(28)의 계면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립을 발생시킨다. 그러한 상대적인 슬립을 완화하고, 그 계면에서 발생되는 전단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재된 박층(22)이 원형 용기단부를 지나서 압력용기(10)의 원형부 직경(D1)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다.
환형 고정플랜지(32)는 지지플랜지(28)로부터 거리(W2)만큼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플랜지(28)의 외면(30)으로부터 거리(T1)만큼 내측으로 편의되는 외면(34)과, 지지플랜지(28)의 내면(38)으로부터 거리(T2)만큼 외측으로 편의되는 내면(36)을 갖고 있다. 그리고, 지지플랜지(28)는 용기가 가압될 경우 개구부에서의 벤딩응력을 허용가능한 정도로 제한하는데 충분한 두께(T3)를 갖는다.
고정플랜지(32)의 외면(34)과 지지플랜지(28)의 내면(38)에는 환형 로킹홈(40,42)이 각각 배설된다. 각 홈에는 내부라이너(14)의 탭(44,46)이 각각 끼워진다.
로킹홈(40)은 장부홈으로서, 저면과 그 양측의 2개의 길이가 다른 측면(50)을 갖는 외측으로 열린 홈이고,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에 라이너를 기계적으로 로크하기 위한 다른 특징도 고려될 수 있다.
로킹홈(42)은 고정플랜지(32)의 내면(36)에 형성되어 저면(52)과 그 양측의 2개의 길이가 다른 측면(54)을 갖고, 또한 장부홈을 형성한다. 2개의 길이가 다른 측면(50,54)과 각 라이너의 탭(44,46)의 상보적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개구부(16)에서의 내부라이너(14)의 정확한 결합 및 유지가 견실하게 되므로, 라이너와 외부각(12)의 사이에서 고압유체의 누출이 방지된다.
외면(34)의 내측편의(T1)와 내면(36)의 외측편의(T2)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플랜지(32)의 편의특성에 의해서, 압력하에서 고정플랜지의 밀봉 및 누출방지를 위해 라이너에 대해 충분한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라이너(14)와 개구부(16)의 결합이 해제될 위험이 감소된다.
제2도는 라이너(14)가 고정플랜지(32)의 외면(34)만에 형성된 환형 로킹홈(40)에 결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부라이너(14)가 개구부(16)와 결합된 하나의 환형 탭(44)만을 갖고 있다.
제3도는 참조부호(58)로 표시된 필라멘트권취 압력용기에 사용된 개구부(5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압력용기(58)는 섬유보강 외부각(60)과 비금속 내부라이너(62)를 갖는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부라이너는 블로성형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형성된다. 또, 개구부(56)는 외부각(60)에 형성된 폴라개구(66)를 통해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압의 유체가 압력용기(58)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는 단차가압포트(68)를 형성하는 관형 네크(64)를 갖는다.
환형 지지플랜지(70)는 네크(64)로부터 압력용기의 내부로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경사진 외면(72)과 반대로 경사진 내면(74)을 갖고 있다. 즉, 플랜지(70)의 주변에서 상기 내·외면(74,72)이 만난다. 외면(72)은 합성외부각(60)의 폴라개구(66)의 주변에 압력부하를 분산시켜 압력용기(58)의 가압중에 외부각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또, 내면(7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포트(68)에 인접한 요부(75)와 내측으로 열린 홈(77)을 갖는다.
전단응력완화박층(76)이 외부각(60), 개구부(56) 및 내부라이너(62)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외부각 또는 라이너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특히, 전단응력완화층(76)은 2개의 분기편(78,80)을 갖는다. 하나의 분기편(78)은 지지플랜지(70)의 외면(72)과 외부각(60)의 내면의 사이에 개재되고, 다른 하나의 분기편(80)은 지지플랜지(70)의 내면(74)과 내부라이너(62)의 외면의 사이에 개재된다.
전단응력완화층(76)은 바람직하게는 용기(58)가 가압될 경우에 지지플랜지(70), 내부라이너(62) 및 외부각(60)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슬립완충 전단응력을 감소시키는데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다. 열가소성 고무와 같은 사출성형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전단응력완화층에서 적합한 동작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부라이너(62)는 축대칭 계면부재(82)에 의해 개구부(56)에 부착된다. 계면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냉각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56)에 따라서 수축되는 사출성형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형성된다. 특히, HDPE는 고형화되어 가압포트(68)에 배설된 길다란 허브(84)와, 지지플랜지(70)의 내면(74)의 요부(75)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콜러(collar)(86)를 형성한다. 그 HDPE는 홈(77)내로 유입하여 계면부재와 폴라개구부(56)를 상호 로킹하기 위한 탭(88)을 형성한다. 폴라개구부에 대한 계면부재(82)의 보다 견실한 결합이 필요한 적용예에 있어서, HDPE의 주입이전에 접착도포재를 개구부에 도포한다. 계면부재(82)가 개구부(56)에 견고하게 고착되면, 라이너(62)는 밀봉부(90)에 따라 계면부재에 접합된다. HDPE라이너(62)와 계면부재(82)을 견실하게 접합시키기 위해 열판용접과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용접기술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계면부재(82)의 고착은 개구부의 가압포트를 통해 진행하여 네크(64)의 단차내측벽(93)에 대해 길다란 허브(84)의 타단부를 로크하는 나사리테이너 너트(92)에 의해 향상된다. 리테이너 너트(92)와 계면부재(82)사이에는 0링 시일재(94)가 배설된다.
제3도에 도시된 개구부이 구성에 의하면, 계면부재(82)의 허브(84)의 타단부가 개구부(56)와 만나는 접합부를 압력용기의 네크 및 리테이너 너트(92)의 상류로 이동시킴으로써, 라이너(62)로부터의 누출의 위험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접합부는 용기내부의 압력을 받지 않고, 그에 따라 누출의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기(58)내의 유체로부터 개구부(56)를 격리시킴에 따라서, 1)압력용기의 유체내용물의 오염 및, 2)개구부의 부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특성을 일탈하지 않고, 다른 특정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예 및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상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7)

  1. 필라멘트권취 외부각(外部殼)과 비금속 내부라이너를 갖는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외부각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형 네크와, 상기 네크의 단부로부터 용기내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각의 개구주변을 보강하기 위한 외면을 갖는 환형 플랜지와, 상기 라이너의 탭과 결합되는 환형 플랜지의 로킹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홈은 저면과 그 양측의 길이가 다른 2개의 측면을 갖는 외측으로 열린 환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플랜지는 그 외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내면을 갖고, 상기 내면은 라이너의 탭과 결합되는 제2로킹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킹홈은 저면과 그 양측의 길이가 다른 2개의 측면을 갖는 내측으로 열린 환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응력완화층은 환형 플랜지의 외면과 외부각의 내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알루미늄, 철, 니켈 및 티타늄의 합금중에서 선택된 재료 또는 합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7. 필라멘트권취 외부각과 비금속 내부라이너를 갖는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외부각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형 네크와, 상기 네크의 단부로부터 용기내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각의 개구주변을 보강하기 위한 외면을 갖는 환형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라이너의 탭과 결합되는 로킹홈을 갖는 외면을 가진 고정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의 외면은 지지플랜지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편의되어 텝이 로킹홈과의 결합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거리로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랜지는 그 외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내면을 갖고, 상기 고정플랜지는 그 외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내면을 갖고, 상기 고정플랜지의 내면은 라이너의 탭과 결합되는 제2로킹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의 내면은 지지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랜지는 용기가 가압될 경우에 외부각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랜지는 용기가 가압될 경우에 개구부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축방향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3. 원형 단면을 갖고, 원형 용기단부를 형성하는 필라멘트권취 외부각과 비금속 내부라이너를 갖는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원형 용기단부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형 네크와, 상기 네크의 단부로부터 용기내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형 용기단부의 개구 주변을 보강하기 위한 외면을 갖는 환형 플랜지와, 상기 외부각의 내면과 내부라이너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흡수하는 원형 단부의 전단응력완화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응력완화층은 원형 용기단부를 지나 외부각 원형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응력완화층은 비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응력완화층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탭과 결합되는 환형 플랜지의 로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응력완화층은 상기 외면과 접하여 상기 내면 및 외면의 사이에 부가적으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19. 필라멘트권취 외부각과 비금속 내부라이너를 갖는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외부각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네크와, 상기 네크의 단부로부터 용기내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각의 개구주변을 보강하기 위한 외면을 갖는 환형 플랜지와, 상기 환형 플랜지와 라이너의 사이의 보조 상보결합로킹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결합로킹수단은 라이너의 탭과 결합되는 환형 플랜지의 로킹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외면과 외부각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흡수하는 전단응력완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플랜지는 내면을 갖고, 개구부는 플랜지의 내면과 라이너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흡수하는 전단응력완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와 환형 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된 계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결합로킹수단은 계면부재의 텝과 결합되는 환형 플랜지의 로킹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24. 필라멘트권취 외부각과, 상기 외부각내에 배설된 비금속 내부라이너와, 상기 외부각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형네크와, 이 네크의 단부로부터 용기내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각의 개구주변을 보강하기 위한 외면을 갖는 환형 플랜지를 갖는 개구부와, 상기 환형 플랜지와 라이너의 사이의 상보결합로킹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결합로킹수단은 라이너의 텝과 결합되는 환형 플랜지의 로킹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응력완화층은 환형 플랜지의 외면과 외부각의 내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응력완화층은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28. 필라멘트권취 외부각과 비금속 내부라이너를 갖는 압력용기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외부각의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관형 네크와, 상기 네크로부터 용기내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각의 개구 주변을 보강하기 위한 외면과 라이너를 부착하기 위한 내면을 갖는 환형 플랜지와, 상기 라이너와 환형 플랜지의 내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라이너의 부착을 위한 위치를 형성하는 계면부재와, 상기 환형 플랜지와 네크중 최소한 어느 하나에 계면부재를 고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블로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재는 사출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재를 고착하기 위한 수단은 환형 플랜지와 계면부재의 사이의 상보결합로킹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결합로킹수단은 환형 플랜지와 계면부재중 어느 하나의 탭과 결합되는 환형 플랜지와 계면부재중 어느 하나의 로킹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재를 고착하기 위한 수단은 네크와 계면부재의 사이에 상호 접속된 커플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외면과 외부각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흡수하는 전단응력완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면과 라이너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가압중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흡수하는 전단응력완화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용 개구부.
KR1019920021263A 1992-01-10 1992-11-13 압력용기용 개구부 KR100204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861992A 1992-01-10 1992-01-10
US818,619 1992-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709A KR930016709A (ko) 1993-08-26
KR100204179B1 true KR100204179B1 (ko) 1999-06-15

Family

ID=2522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263A KR100204179B1 (ko) 1992-01-10 1992-11-13 압력용기용 개구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159A (ko) * 2021-01-04 2022-07-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압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4408B1 (en) * 2009-01-09 2019-03-13 Hexagon Technology AS Pressure vessel boss and liner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159A (ko) * 2021-01-04 2022-07-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압력 용기
KR102460148B1 (ko) * 2021-01-04 2022-11-0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압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709A (ko) 199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845A (en) Boss for a filament wound pressure vessel
CA2080856C (en) Boss for a filament wound pressure vessel
US5518141A (en) Pressure vessel with system to prevent liner separation
US3907149A (en) Pressure vessel having a sealed port
US9523466B2 (en) Pressure vessel
JP5179458B2 (ja) 圧力容器のシール構造
US7100262B2 (en) Method of forming filament-reinforced composite thermoplastic pressure vessel fitting assembly
US6042152A (en) Interface system between composite tubing and end fittings
US9423076B2 (en) Pressure vessel
US10408383B2 (en) Boss and seal for a high-pressure vessel
CN110345374B (zh) 高压罐
CN108119748B (zh) 一种设置有密封结构的高压复合容器
US3840139A (en) Pressure vessel having a sealed port
KR100204179B1 (ko) 압력용기용 개구부
KR100774612B1 (ko) 복합재 탱크
JP2001050494A (ja) 耐圧容器
US3862771A (en) Electrically insulating tube coupling
CN112393112B (zh) 瓶口密封结构及高压复合容器
JPH08219387A (ja) ガスボンベ
TWM535284U (zh) 複合式閥座及使用其之壓力容器
JP2001173893A (ja) 耐圧容器
US4047741A (en) Composite reinforced pipe union
KR20230040259A (ko) 고압 저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EP4023926A1 (en) Pressure vessel
TW201814192A (zh) 複合式閥座及其製造方法及使用其之壓力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