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050B1 - 비동기 전달 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 채널 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달 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 채널 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050B1
KR100204050B1 KR1019960022445A KR19960022445A KR100204050B1 KR 100204050 B1 KR100204050 B1 KR 100204050B1 KR 1019960022445 A KR1019960022445 A KR 1019960022445A KR 19960022445 A KR19960022445 A KR 19960022445A KR 100204050 B1 KR100204050 B1 KR 10020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riptor
data
host
inform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196A (ko
Inventor
남기동
황영원
채종억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6002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050B1/ko
Publication of KR98000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57Arrangements for supporting packet reassembly or reseque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트의 외부장치 접속용 호스트 버스에 장착되어 비동기 전달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에 연결시키는 고성능 ATM 호스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의 상위 프로토콜에서 ATM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채널 번호를 부여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TM 호스트 접속장치와 상위 프로토콜 사이에서 ATM 정보의 하드웨어 연결 설정 정보와 채널번호를 1;1로 연관시켜 채널정보를 구성하는 제1단계, 고속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고정 분할된 송수신 패킷메모리와 디스크립터를 1:1로 연관시키는 제2단계, 데이터 송신 요구가 발생하면, 디스크립터를 할당하고 CPCS-PDU를 생성하고, 디스크립터 엔트리에 해당정보를 채우고 송신 디스크립터 큐에 디스크립터를 삽입하므로 송신하는 제3단계, 및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에서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정보 및 CPCS-PDU를 추출하고 호스트 송신 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에 삽입하므로 수신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동기전달모드 호스트 접속장치에서 채널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제1도는 ATM을 이용한 호스트 응용 프로토콜 계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번호 부여를 통한 ATM 정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달 처리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처리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과정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과정 흐름도.
본 발명은 호스트의 외부장치 접속용 호스트 버스에 장착되어 비동기 전달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에 연결시키는 고성능ATM 호스트 접속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의 상위 프로토콜에서 ATM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채널 번호를 부여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 표준으로 1.432(사용자 접면 물리계층), 1.361(ATM계층) 및 1. 362(ATM 적응계층)에서의 기본 프로토콜이 정의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개인용컴퓨터(PC)의 PCI 슬롯을 이용한 ATM 호스트 접속카드가 존재하지 않았고, ATM 호스트와 ATM망간의 전달속도를 고속화하기 위한 장치를 ATM 호스트 접속장치에서 구현하는데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ATM 호스트 접속장치의 양단, 즉 호스트와 ATM 망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고속으로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 패킷 메모리를 하드웨어 전송단위인 디스크립터(Descriptor)에 1:1로 지정하여 메모리 할당에 대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고, ATM 상위 프로토콜에서 ATM 에 대한 정보없이 할당된 채널번호를 이용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 호스트 접속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호스트 접속장치와 상위 프로토콜 사이에서 비동기전달모드 연결설정정보와 채널번호를 1:1로 연관시켜 채널정보를 구성하는 제1단계; 고정 분할된 송/수신 패킷메모리를 임의의 크기로 분할하여 디스크립터에 메모리를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가 할당된 디스크립터를 링크시켜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2단계; 호스트로부터 데이터 송신요구가 발생하면, 사용 가능한 디스크립터를 할당하고, 송신프리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를 변경한 다음, 호스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디스크립터에 대응되는 송신 패킷메모리로 사용자 데이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채널정보를 이용해 연결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패킷데이터로 변환 후, 디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 정보영역에 저장하고, 송신 디스크립터 큐에 상기 할당된 디스크립터를 삽입하여, 망으로 데이터 및 연결설정 정보가 송신되도록 하는 제 4단계; 망으로의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를 회수하는 제5단계; 망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에 있는 디스크립터를 할당하여 ATM 셀들을 재결합하고, 재결합이 완료되면 해당 디스크립터를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에 삽입하는 제6단계; 상기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에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VPI/VCI와 연관된 채널번호와 데이터의 주소 및 길이를 추출하여, 수신제어메모리에 저장하는 제7단계; 상기 추출된 디스크립터를 상기 채널정보를 이용해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호스트 송신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에 삽입하여, 상기 채널을 통해 호스트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는 제8단계; 및 호스트로의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를 회수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TM호스트 접속카드인 ATM게이트(gate)에서 구현 하였다.
이하, 점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ATM 프로토콜과 호스트의 상위 프로토콜에 대한 프로토콜 계층도를 보여준다.
호스트에서 가능한 상위 프로토콜 (100)은 응용부 (Application; 104) 및 TCP/IP와 같은 전달 프로토콜 (Transport Internetworking; 105)이 있고, 사용하는 운영체계에 따라 패킷 드라이버 또는 NDID(Network Device Interface Specification) (106)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윈도우즈(Windjows) NT하에 서 수행하였으므로, NDIS 위치하지만, 일반 DOS(Disk Operating System)하에서는 패킷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망접속카드와 접속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 (108)를 위한 입/출력 버스 (1/0 bus)는 PCI버스를 이용하여 고성능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위한 PCI 버스 드라이버(Bus Driver; 101)가 위치한다. 기존 LAN(Local Area Network)사용자를 위해 ATM포럼(Fourm)에서 권고하는 LAN 에뮬레이션(Emulation; 107)을 이용하여 ATM망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ATM적응계층(AAL), ATM계층, 물리계층(PHY)(102)은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 기준모델 중 사용자 평면에 해당하는 ATM 프로토콜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접속카드에 위치하며, 물리계층, ATM 계층, ATM 적응계층(AAL)으로 계층화되어 있다. 물리계층은 두 ATM 개체 사이에서의 전달방식, 즉 연결매체, 연결 신호전송을 위한 라인 드라이버, 클럭 복구, 프레임/바이트 정렬기능 등을 수행한다. ATM 계층은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53 옥텟의 ATM 셀을 사용자에게 투명하게 순서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ATM 적응계층은 지원하는 응용부의 특성에 따라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 (108)는 AAL 서비스 계층이 되며, ATM을 통한 실제 응용 서비스를 지원받는다. ATM계층과 물리계층(PHY)(103)은 ATM망을 이용하는 양단 호스트를 연결하는 ATM 전달 노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프로토콜 계층을 설계하고 구현함에 있어, NDIS 인터페이스 (106), LAN에뮬레이션(107)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에서는 ATM 망에 접속하기 위한 기본 연결 설정으로 채널번호(200)를 부여하여, ATM의 가상경로식별자 (VPI; Virtual Path Identifier) 및 가상채널식별자 (VCI: Virtual Channel Identifier)와 연결한다.
이를 위해 각 사용자 채널에 대한 정보는 제2도와 같이 구성된다.
ATM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신호를 통한 호 연결 결과로 얻어진 VPI/VCI 및 호 정보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무관하게 할당된 채널 번호(200)로 ATM 망에 접근하여, ATM 호스트 접속카드에서는 망으로부터 수신된 CPCS-PDU단위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 채널을 추출하여 상위의 프로토콜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한다.
채널 번호(200)는 ATM 호에 대한 정보가 유지되는 테이블의 인텍스 값으로 할당되며, 테이블 내용은 연결 설정된 VPI/VCI(201), 사용 정보형식인 ATM 적응계층-유형(AAL-TYPE)(202),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최대 크기인 최대크기인 CPCS-PDU의 크기 (203), 송수신 속도인 셀 전송율(Cell Rate)(204)로 구성된다. 신호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은 미리 할당되며, 이를 위해서 채널 번호 0(206)을 부여한다. 채널 번호 0(226)의 정보는 VPI/VCI를 0/5 번으로 고정하며, AAL-5를 이용하고, 나머지 특성은 AAL-TYPE에 맞는 임의의 값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채널 번호 관리는 채널번호 1번부터 부여하여 할당가능한 최대 채널 번호로 상한값을 부여하고, 연결 설정 완료시 순서적으로 채널 번호(200)를 부여한다. 각 채널 번호(200)내에 포함된 플래그 (205)를 통해 현재 채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며, 채널번호(200) 부여시에는 1번부터 순서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채널 번호(200)를 부여한다. 만일 모든 채널 번호(200)가 사용중이라면 연결 설정 요구단계에서 거절된다.
제3도 이하의 도면에서는 송수신 데이터 구성에 관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ATM 프로토콜 (102)에서 AAL계층 기능중 SAR(Segmentation and Reassembly) 부계층 및 ATM 계층은 트랜스위치사의 SARA-S(Segmentation SARA)와 SARA-R(Segmentation Reassembly)을 이용하였으며, 물리계층은 ATM 포럼에서 규정하는 UTOPIA(Universal Test and Operations PHY Interface for ATM)을 지원하는 다양한 물리매체를 이용하였다. SAR 부계층을 제외한 AAL 적응계층은 수렴부계층(CS: Convergence Sublayer)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소프트웨어로 구성하고, AAL서비스계층 중 신호 서비스 계층인 Q.2931도 소프트웨어로 구성하여 실시예로써 ATM호스트 접속카드인 ATM gate 내에서 수행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송신 프리 디스크립터(Free Descriptor; 300)는 호스트에서 ATM게이트 (gate)로 데이터 송신을 요구할 때, 송신 패킷메모리 (301)와 연결된 디스크립터가 이용 가능한지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크립터의 개수는 최대 1024까지 사용 가능하지만, 송신 패킷메모리(301)의 크기 및 분할되는 메모리 유니트의 크기에 따라 제한 된다. 각 디스크립터는 디스크립터 엔트리 테이블의 인덱스 값이며, 송신 패킷메모리(301)의 각 유니트 시작 주소는 디스크립터 엔트리 테이블의 특정 필드에 삽입된다. 송신 프리 디스크립터는 할당된 후, 송신이 완료되면 프리(Free)영역에 다시 삽입된다. 디스크립터가 할당된 송신 요구 명령은 PCI 버스 드라이버 (101)의 호스트 메모리에서 송신 패킷 메모리로 이동되며, 이후 송신 절차에 의해 ATM 망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송신 패킷메모리(301)는 고정 크기로 분할되어 이용되며, 분할 크기는 프로토콜 특성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 분할된 송신 패킷메모리 (301)와 디스크립터를 1:1로 연결하여 미리 정보필드에 삽입시키므로, 메모리 할당/해제 및 부가 정보의 입력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고, 고속 송신이 가능하다.
송신 제어메모리(302)는 송신 하드웨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연결 설정이 완료되었을 때, 채널 번호(303) 및 VPI/VCI정보를 비롯하여 하드웨어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영역(303)은 연결설정된 정보를 유지하고, 연결설정시 할당된 VPI/VCI에 대한 정보는 테이블에 유지되며, 테이블의 인덱스 값은 채널 번호와 동일하다. 디스크립터 정보(Descripter Information) 영역(304)은 디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테이블로, 송신 모드, 데이터의 위치 및 크기와, VPI/VCI의 테이블 인덱스 즉, 채널 번호를 입력하여 송신 가능하도록 한다. 큐 정보(Queue Information)영역(305)은 하드웨어에서 이용하는 큐에 대한 정보로 송신 대기, 송신 완료등의 주소 정보를 유지한다. 송신 요구에 의해 할당된 디스크립터에 사용자 데이터를 변경하고, 해당 정보를 송신 제어메모리(302)에 입력한 후, 해당 디스크립터를 송신 디스크립터 큐(306)에 삽입하여 하드웨어에서 ATM 망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는 송신완료 디스크립터 규에 하드웨어로부터 입력되며, 이때 해당 디스크립터는 송신 프리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Linked-list)에 삽입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에 대한 처리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초기화시 수신 패킷메모리(401)는 임의의 고정 크기로 분할되고, 각분할된 수신 패킷메모리(401)는 디스크립터와 1:1로 연관된다. 이 디스크립터는 수신 대기 디스크립터 큐(406)에 모두 삽입된다. 각 디스크립터는 디스크립터 엔트리 테이블의 인덱스 값이며, 수신 패킷메모리 (401)의 각 유니트 시작 주소는 이 테이블의 특정 필드에 삽입된다. 수신 제어 메모리(402)는 셀들을 수신하여 재결합 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삽입하는 영역이다. 수신제어메모리는 연결 설정이 완료되었을 때, 채널 번호(200) 및 VPI/VCI 정보를 비롯하여 하드웨어 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 정보 영역(403)은 연결설정된 정보를 유지하며, 연결설정시 할당된 VPI/VCI에 대한 정보에 따라 재결합 위치를 지정한다. 디스크립터 정보 영역(404)은 디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테이블로 수신 모드 및 데이터의 위치를 입력하여 수신 가능하도록 한다. 수신 완료시는 수신된 ATM 셀에서 추출된 VPI/VCI만 존재하므로, 채널정보 영역(403)을 통해 해당 VPI/VCI에 대한 채널번호(200)를 추출하게 된다. 큐 정보 영역(405)은 하드웨어에서 이용하는 큐에 대한 정보로, 송신 대기, 송신 완료 등의 주소 정보를 유지한다. 수신대기상태에서 ATM셀들이 수신되면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406)에서 수신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해당 디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CPCS-PDU가 재결합 해당 디스크립터가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407)로 입력된다. 이때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 영역(403)을 추출하고, 사용자 패킷으로 변환한 후,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호스트 송신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에 삽입한다. PCI 버스 드라이버(101)에 의해 호스트로의 송신이 완료되면 해당 디스크립터를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7(406)에 다시 입력하여, 다음 패킷이 수신 가능하도록 한다. 호스트 송신 때는 ATM VPI/VCI에 대한 정보는 채널정보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처리 절차의 흐름도이다.
사건 발생은 초기화(501), 호스트에서의 데이터 송신 요구(505) 및 망 하드웨어에서의 데이터 송신 완료(513)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초기화의 경우는 시스템 초기화시 수행되는 것으로, 송신패킷메모리 (301)를 임의의 고정크기로 분할한다.(502). 이때 크기는 시스템 구현시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LAN 기반의 서비스가 이용될 시에는 2Kbyte로 분할하고, ATM의 AAL-5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64Kbyte로 분할한다. 이와 같이 분할이 완료되면 가용한 디스크립터마다 분할된 송신 패킷 메모리(301)를 할당한다.(503). 할당 방법은 분할된 송신 패킷메모리(301)의 시작 주소를 송신 제어메모리 (302)의 디스크립터 정보 영역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송신패킷메모리 (301)가 할당된 디스크립터는 호스트에서 송신요구시마다 이용하기 위해 송신 프리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300) 형태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다.
송신 대기상태(500)에서 호스트로부터 데이터 송신요구(505)가 발생하면, 먼저 송신 프리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300)에서 사용 가능한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는지 확인(506)하여, 가용한 디스크립터가 없으면 송신을 거절한다.(512). 만일 할당 가능한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면 송신 프리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300)를 변경(507)하고, PCI 버스 드라이버(101)를 통해 호스트 메모리에서 디스크립터에 연관된 송신 패킷메모리 (301)로 데이터를 이용시킨다(508). 이때의 데이터는 순수 사용자 데이터로 이를 AAL유형에 따른 CPCS-PDU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한다(509). 데이터의 변환 후, 데이터의 길이 및 디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를 송신제어메모리(302)의 디스크립터 정보영역(303)에 삽입하고(510), 송신 디스크립터 큐(306)에 디스크립터를 삽입하여, 하드웨어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이 완료(513)되면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는 송신완료 디스크립터 큐(307)에 삽입되며 이를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통해 통보한다. 송신완료된 디스크립터는 다음 송신 요구시 이용하기 위해 송신완료 디스크립터 큐(307)에서 추출하여(514), 이를 송신 프리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에 삽입(105)한다. 이러한 광정을 통해 호스로부터 ATM 망으로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진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처리 절차의 흐름도이다. 사건 발생은 송신과 같이 3개로 구분되는데, 이는 최기화(601),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완료(606) 및 호스트로의 데이터 송신 완료 (611)로 구분된다. 먼저 초기화의 경우는 시스템 초기화시 발생하는 것으로, 수신 패킷메모리 (401)를 임의의 고정크기로 분할한다(602). 이때 크기는 시스템 구현시마다 다르나, 송신의 경우와 일치된다. 이와 같이 분할이 완료되면 가용한 디스크립터마다 분할된 수신 패킷메모리(401)를 할당한다(603). 할당방법은 분할된 수신패킷메모리 (401)의 시작 주소를 수신 제어메모리 (402)의 디스크립터 정보 영역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수신 패킷 메모리(401)가 할당된 디스크립터는 망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완료시마다 이용하기 위해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306)에 모두 입력(604)된다. 그리고, 망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호스트로 송신되기 위한 구조로 호스트 송신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를 생성(605)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다.
수신 대기상태(605)에서 망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606) 하드웨어는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406)에 있는 디스크립터를 할당하여 ATM 셀들을 재결합하고, 재결합이 완료되면 해당 디스크립터를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407)에 삽입한다. 이후 디스크립터는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407)에서 추출되고 (607),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이때 수신된 디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는 수신 제어메모리(402)의 디스크립터 정보영역에 입력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정보를 추출한다.(608). 추출되는 정보는 수신된 VPI/VCI와 연관되는 채널번호(200)와 데이터의 주소 및 길이이다. 수신된 데이터는 CPCS-PDU 형식으로 변환된다(609). 추출된 채널번호(200)와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송신대기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송신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400)에 삽입하고, 호스트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이 완료(611)되면,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는 호스트 송신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에서 제거되고(612), 다음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에 다시 삽입된다. (613).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ATM 상위 프로토콜에서 ATM에 대한 정보없이 할당된 채널 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호스트와 ATM 망간의 데이터 고속 송수신을 위해 송수신 패킷 메모리를 하드웨어 전송 단위인 디스크립터에 1:1로 지정하여 메모리 할당에 대한 오보 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4)

  1. 비동기전달모드 호스트 접속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호스트 접속장치와 상위 프로토콜 사이에서 비동기전달모드 연결설정정보와 채널번호를 1:1로 연관시켜 채널정보를 구성하는 제1단계; 고정 분할된 송/수신 패킷메모리를 임의의 크기로 분할하여 디스크립터에 메모리를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가 할당된 디스크립터를 링크시켜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2단계; 호스트로부터 데이터 송신요구가 발생하면, 사용 가능한 디스크립터를 할당하고, 송신프리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를 변경한 다음, 호스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디스크립터에 대응되는 송신 패킷메모리로 사용자 데이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채널정보를 이용해 연결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패킷데이터로 변환 후, 디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 정보영역에 저장하고, 송신 디스크립터 큐에 상기 할당된 디스크립터를 삽입하여, 망으로 데이터 및 연결선정 정보가 송신되도록 하는 제4단계; 망으로의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를 회수하는 제5단계; 망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에 있는 디스크립터를 할당하여 ATM 셀들을 재결합하고, 재결합이 완료되면 해당 디스크립터를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에 삽입하는 제6단계; 상기 수신완료 디스크립터 큐에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VPI/VCI와 연관된 채널번호와 데이터의 주소 및 길이를 추출하여, 수신제어메모리에 저장하는 제7단계; 상기 추출된 디스크립터를 상기 채널정보를 이용해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호스트 송신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에 삽입하여, 상기 채널을 통해 호스트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는 제8단계; 및 호스트로의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를 회수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호스트와 ATM망간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가상경로식별자, 가상채널식별자, ATM적형계층 유형, 최대 패킷 데이터의 크기. 셀 전송율, 및 채널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ATM망간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망으로의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완료 디스크립터 큐에서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디스크립터를 상기 송신프리 디스크립터 링크드리스트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ATM망간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는, 상기 호스트로의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 완료된 디스크립터를 상기 호스트 송신대기 디스크립터 링크드 리스트에서 제거하고, 다음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상기 수신대기 디스크립터 큐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ATM 망간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19960022445A 1996-06-19 1996-06-19 비동기 전달 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 채널 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20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445A KR100204050B1 (ko) 1996-06-19 1996-06-19 비동기 전달 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 채널 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445A KR100204050B1 (ko) 1996-06-19 1996-06-19 비동기 전달 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 채널 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196A KR980007196A (ko) 1998-03-30
KR100204050B1 true KR100204050B1 (ko) 1999-06-15

Family

ID=1946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445A KR100204050B1 (ko) 1996-06-19 1996-06-19 비동기 전달 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 채널 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0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196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082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routing information in a network node
US5751951A (en) Network interface
CA225876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ssembly of data packets into messages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communications system
US579673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rate control in a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circuit under ATM protocol
WO2000001122A9 (en) Multi-protocol conversion assistance method and system for a network accelerator
US6072798A (en) Network access communication switch
EP0772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virtual commands
JPH10224379A (ja) Atm再構成コントローラおよび再構成方法
GB2285366A (en) Asynchronous data transfer
US6421343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host adapter apparatus with ability of shared media access
US6788700B1 (en) Interfacing between a network interface and a bus
WO1995014269A1 (en) A high-performance host interface for networks carrying connectionless traffic
KR100236035B1 (ko) Atm 망접속기에서 서브 테이블을 이용하여 가상채널의 대역을 할당하는 방법
KR100243415B1 (ko) 프레임 릴레이 망 연동용 에이티엠 스위치 정합장치
KR100204050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 채널 번호 부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6658001B1 (en) Path setting method, communication unit and storage medium
EP0674825B1 (en) Device for the conversion of data blocks, frame structured, into atm cells and vice versa
JPH05268241A (ja) Atm交換におけるヘッダの変換方式
US6603768B1 (en) Multi-protocol conversion assistance method and system for a network accelerator
KR0164117B1 (ko) 비동기 전달모드 호스트 접속 장치에서의 하드웨어 구동 및 데이타 전달 방법
KR100236036B1 (ko) Atm 망접속기에서 수신 셀 폐기방법
JP2827985B2 (ja) Atmスイッチおよび制御方法
KR0153924B1 (ko) 에이티엠 적응 계층 타입 5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타 분리/재결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1377B1 (ko) 수신 셀 헤더 변환 장치를 구비하는 에이티엠 정합 장치
KR100347513B1 (ko) 협대역 망 연동용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