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362B1 -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362B1
KR100203362B1 KR1019960040406A KR19960040406A KR100203362B1 KR 100203362 B1 KR100203362 B1 KR 100203362B1 KR 1019960040406 A KR1019960040406 A KR 1019960040406A KR 19960040406 A KR19960040406 A KR 19960040406A KR 100203362 B1 KR100203362 B1 KR 100203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hook
hold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535A (ko
Inventor
최도연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4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36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306Number translation services, e.g. premium-rate, freephone or vanity numbe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특수 기능중 능동적인 호 대기 기능을 실현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CWT 서비스는 통화중에 착신되는 호만을 처리하는 수동적인 서비스일 수 밖에 없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CWT 기능에 등록한 가입자가 TWC/CC의 서비스에 등록하지 않고(Call Mixer 자원 없이) 능동적으로 새로운 가입자에게 착호를 시도하여 기존 통화자를 보류시킨 상태에서 제3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Call Wait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특수 기능중 능동적인 호 대기 기능을 실현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TS-1100 개량형 교환기(DTS-1100A 전전자 교환기)는 국제 표준 전전자교환기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계위중 시내(Local), 시내/중계(Local/Tandem), CENTREX 용도로 사용되며, 궁극적으로 종합정보통신망(ISDN), 지능망(IN) 등 다양한 망 형태에서의 융통성있는 교환기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DTS-1100 개량형은 컴퓨터, 반도체, 통신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최신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외형적인 크기나, 성능, 서비스 융통성, 망환경 적응성 등에서 볼 때 모든 응용에 적절하며 뛰어난 시스템이다.
DTS-1100 개량형 시스템은 음성(Local/Tandem), CENTREX, ISDN(2B+D, 30B+D) 및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기능 등 기존에 상용화되어 있는 서비스 및 상용화중인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두 수용이 가능한 종합정보통신망의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졌다.
DTS-1100 개량형의 주된 설계 개념은 시스템의 확장이나 수정이 용이하고, 기술발전에 따라 쉽게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융통성(Flexibility)과 모듈화(Modularity)를 제공하는 개방구조(Open architecture)를 채택하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시스템 구조는 기술발전에 따른 영향이 최소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여기에 보다 더 경제적인 가격으로 가입자에게 첨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DTS-1100 개량형 시스템 설계시 고려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모듈화 극대화를 통한 하드웨어의 단순화
* 하드웨어 사용효율 극대화를 통한 경제성 실현
* 소프트웨어 처리 기능의 극대화를 통한 경제성 실현
* 서브시스템 조합을 통한 시스템 구성의 융통성 제고
* 하드웨어의 단순화를 통한 운용 및 유지보수성 극대화
* 고성능, 고신뢰도 실현
* 소프트웨어 구현과 유지보수기능 강화
* 새로운 기능 추가 용이성
DTS-1100 개량형은 다양한 패키지로 구성가능하다.
DTS-1100 개량형은 최대 8,192 가입자, 중계선 1,080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1,200 Erlang의 트래픽과 150,000 BHCA(Busy Hour Call Attempts)를 처리할 수 있는 분산제어 개념이 적용되었고, 1개의 랙(RACK) 단위로 1500회선씩 용량이 확장된다.
집선비는 4:1 또는 8:1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CWT(Call WaiTing) 기능은 서로 통화중인 두 가입자에 있어서 어느 한 가입자가 상대 가입자를 잠시 홀드(Hold)시키고, 새로운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하는 기능으로, 이 기능은 CWT 기능이 등록된 가입자에게만 적용되고 호출된 착신 가입자는 휴지 회선에 착신되는 것과 같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는 특수 기능이다.
또한, CWT 기능은 운용자에 의해 해당 가입자를 등록할 수 있고 90초간 유효하며, 모든 가입자에게 서비스 가능하고 이와 같은 CWT 기능의 등록 절차를 보면, 전화기를 후크 오프(Hook Off)하여 발신음을 수신한 후, 다음과 같이 SPRE(Special PREfix) 다이얼링하여 등록한다.
다이얼 펄스(Dial Pulse)의 경우 : 151159
DTMFR 및 MIX의 경우 : #50#
만일, 등록이 완료되면 가입자는 확인음(Confirm Tone)을 수신하게 된다.
취소 절차는 가입자가 후크 오프하여 발신음 수신중에 SPRE 코드를 이용하여 등록 정보를 취소할 수 있다.
만일, 취소가 완료되면 가입자는 확인음을 듣게 되고 그렇지 못하면 오류음을 듣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CWT(Call WaiTing) 기능이 있으나, 이 기능은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통화중(발신/착신 통화중)인 상태에서 새로운 호가 착신됨을 알려 상술한 CWT 서비스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CWT 서비스는 통화중에 착신되는 호만을 처리하는 수동적인 서비스일 수 밖에 없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CWT 기능에 등록한 가입자가 TWC/CC의 서비스에 등록하지 않고(Call Mixer 자원 없이) 능동적으로 새로운 가입자에게 착호를 시도하여 기존 통화자를 보류시킨 상태에서 제3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의 SLS(Subscriber Line System)에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을 위한 알고리즘(Algorithm)을 탑재시키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LP20 : SLS
30 : SNS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각 라인의 상태를 감시하여 MP(Main Processor)로 보고하고 MP의 제어 명령을 받아 각 라인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PP(Peripheral Processor)인 LP(Line Processor)(10)와, LP(10)로부터 보고를 받아 해당 번호 번역을 요구하여 이에 따른 타임 스위치(Time Switch) 연결을 요구하는 SLS(Subscriber Line System)(20)와, SLS(20)의 번호 번역 요구에 따라 번호 번역하여 해당 번호에 따른 타임 스위치 연결을 실행시켜 해당 번호에 따른 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NS(Switching Number Translation Sub-system)(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LP(10)는 LC(Trunk and Analog Line Control), ILC(ISDN Line Control) 그리고 POS(Peripheral Operating System)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가입자 라인의 상태를 감시하여 MP로 보고하고 MP의 제어 명령을 받아 각 라인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PP이다.
다음, SLS(20)는 LP(10)로부터 가입자에 따른 후크 온/오프(Hook on/off) 또는 전화 번호 등의 보고를 받아 SNS(30)에게 해당 번호 번역을 요구하여 이에 따른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 SNS(20)는 SLS(20)의 번호 번역 요구에 따라 번호 번역하여 해당 번호에 따른 소정의 기설정된 타임 스위치의 타임 스위칭을 실행시켜 해당 번호에 따른 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로서 SLS(20)에서 이루어지는 알고리즘이다.
먼저, 발신 통화중 또는 착신 통화중인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Hook Flash)를 입력하면 그 가입자가 CWT 등록 가입자인지를 체크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이에 반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가입자에게 스페셜 다이얼 톤(Special Dial Tone)을 연결하여 가입자가 다이얼링함에 따른 착신자인 제2 가입자의 DN(Directory Number)을 받아들여 번호 번역하고 기존에 통화하고있던 제1 가입자에게는 보류음(Hold Tone)을 연결하며, 번호 번역이 끝나면 새로운 제2 가입자에게 착호 요구해서 정상적인 통화로를 열어 제2 가입자와의 통화를 수행한다(50,52,54,56).
다음,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에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하면 제2 가입자에게는 보류음을 연결하고 보류중이던 제1 가입자와 통화로를 열어 제1 가입자와의 통화를 수행하며,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에 보류음을 듣던 제1 가입자가 후크 온하여 릴리스(Release)하면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그대로 유지하며, 가입자가 제1 가입자의 릴리스를 모르는 상태에서 후크 플래쉬하면 이를 무시하고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그대로 유지한다(58,60,62,64,66).
또한, 상술한 단계(58)에서 후크 플래쉬 또는 후크 온이 아닐 경우 해당 착신 번호 번역 및 이에 따른 착호를 요구한 후,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하면 제2 가입자에게 호 릴리스를 보고하고 제1 가입자와 통화로를 연결하며, 제1 가입자를 보류시킨 가입자가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에 후크 온하여 릴리스하면 제2 가입자에게 비지 톤(Busy Tone)을 연결하고 가입자에게는 현재 통화 보류중인 제1 가입자가 있음을 알리는 재링 신호를 연결하여 후크 온한 가입자가 재링 신호를 듣고 후크 오프하도록 해서 제1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열어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68,70,72,74,76,78,80,82).
그리고 상술한 단계(70)에서 후크 플래쉬 또는 후크 온이 아닐 경우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 연결을 유지하여 가입자가 제1 가입자를 보류시켜 놓고 제2 가입자와 통화중일 때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하면 통화중이던 제2 가입자에게 보류음을 연결하고 제1 가입자와 통화로를 연결하며, 가입자가 후크 온하면 통화중이던 제2 가입자에게 호 릴리스를 보고하고 가입자에게 재링을 송신하여 제1 가입자가 보류중임을 알려주며, 상술한 단계(86)에서 후크 플래쉬 또는 후크 온이 아닐 경우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유지시킨다(84,86,88,90,92,94,96,98,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WT 기능에 등록한 가입자가 TWC/CC의 서비스에 등록하지 않고(Call Mixer 자원 없이) 능동적으로 새로운 가입자에게 착호를 시도하여 기존 통화자를 보류시킨 상태에서 제3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통화중인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를 입력하면 그 가입자가 CWT 등록 가입자인지를 체크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등록되어 있으면 가입자에게 스페셜 다이얼 톤을 연결하여 가입자가 다이얼링함에 따른 착신자인 제2 가입자의 DN을 받아들여 번호 번역하고 기존에 통화하고있던 제1 가입자에게는 보류음을 연결하며, 번호 번역이 끝나면 새로운 제2 가입자에게 착호 요구해서 정상적인 통화로를 열어 제2 가입자와의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50,52,54,56);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에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하면 제2 가입자에게는 보류음을 연결하고 보류중이던 제1 가입자와 통화로를 열어 제1 가입자와의 통화를 수행하며,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에 보류음을 듣던 제1 가입자가 후크 온하여 릴리스하면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그대로 유지하며, 가입자가 제1 가입자의 릴리스를 모르는 상태에서 후크 플래쉬하면 이를 무시하고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58,60,62,64,66);
    상기 단계(58)에서 후크 플래쉬 또는 후크 온이 아닐 경우 해당 착신 번호 번역 및 이에 따른 착호를 요구한 후,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하면 제2 가입자에게 호 릴리스를 보고하고 제1 가입자와 통화로를 연결하며, 제1 가입자를 보류시킨 가입자가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에 후크 온하여 릴리스하면 제2 가입자에게 비지 톤을 연결하고 가입자에게는 현재 통화 보류중인 제1 가입자가 있음을 알리는 재링 신호를 연결하여 후크 온한 가입자가 재링 신호를 듣고 후크 오프하도록 해서 제1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열어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68,70,72,74,76,78,80,82);
    상기 단계(70)에서 후크 플래쉬 또는 후크 온이 아닐 경우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 연결을 유지하여 가입자가 제1 가입자를 보류시켜 놓고 제2 가입자와 통화중일 때 가입자가 후크 플래쉬하면 통화중이던 제2 가입자에게 보류음을 연결하고 제1 가입자와 통화로를 연결하며, 가입자가 후크 온하면 통화중이던 제2 가입자에게 호 릴리스를 보고하고 가입자에게 재링을 송신하여 제1 가입자가 보류중임을 알려주며, 상기 단계(86)에서 후크 플래쉬 또는 후크 온이 아닐 경우 제2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유지시키는 단계(84,86,88,90,92,94,96,98,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KR1019960040406A 1996-09-17 1996-09-17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KR10020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406A KR100203362B1 (ko) 1996-09-17 1996-09-17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406A KR100203362B1 (ko) 1996-09-17 1996-09-17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535A KR19980021535A (ko) 1998-06-25
KR100203362B1 true KR100203362B1 (ko) 1999-06-15

Family

ID=1947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406A KR100203362B1 (ko) 1996-09-17 1996-09-17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200A (ko) * 1999-12-24 2001-07-05 송문섭 전화 번호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100473016B1 (ko) * 2002-06-25 2005-03-10 솔루텍 주식회사 소형국선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535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495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ccessing and invoking switch-based services in a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US7555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er control of a distinctive ring
US4975944A (en) Method of making call-wait and call-alternation in electronic private branch exchange (EPBX)
WO1999005874A1 (en)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s to a subscriber of a private wireline network
AU2581695A (en)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a caller configured as a virtual called party
KR100447038B1 (ko)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8254897B2 (en) Off-hook triggered cellular-landline conference call
KR10020336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호 대기 방법
US8005201B2 (en) Call protecting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ring back tone in an intelligent network
KR930007238B1 (ko) 프로세스 번호 승계 방식에 의한 프로세스간 제어 상태 이전방법
KR100229432B1 (ko) 전전자교환기의 자동 구내안내방송방법
KR10021189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통화중 가입자에게 메시지 송출서비스 방법
JPH02260749A (ja) 交換装置
KR19990042279A (ko)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중 대기 방법
KR19990020643A (ko) 전전자 교환기의 내선 가입자 호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20829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오피에스 즉시 요구 호 처리 방법
KR19990012470A (ko) 전전자교환기의 호 중계방법
KR93000723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아날로그 가입자 제어 프로세스 구성방법
KR100233904B1 (ko) 디사 디엔코드를 이용한 원격호 전환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99042B1 (ko) 사설교환기에서 아날로그 트렁크를 이용한 네트워킹 시 호 전환방법
KR19990020641A (ko) 전전자 교환기의 내선 가입자 로컬 콜 백 서비스 방법
KR19990057988A (ko) 발신 가입자의 번호 전송 방법
KR19990012472A (ko) 전전자교환기의 호 보류 및 해제방법
KR20050051943A (ko) 단일 부가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링백톤 대체음서비스와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