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282B1 -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282B1
KR100200282B1 KR1019960018540A KR19960018540A KR100200282B1 KR 100200282 B1 KR100200282 B1 KR 100200282B1 KR 1019960018540 A KR1019960018540 A KR 1019960018540A KR 19960018540 A KR19960018540 A KR 19960018540A KR 100200282 B1 KR100200282 B1 KR 10020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combustion chamber
exhaust
bur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748A (ko
Inventor
박재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1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282B1/ko
Publication of KR97007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4Arrangements of recup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에 급기연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기연도의 일부분에 차단벽을 설치하여 급기공간을 형성하고, 연소실의 일부분에 급기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연도와 연소실의 급기공간을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버너에 연소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는,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와 상기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와 직수를 승온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배기연도를 가진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도의 일측부를 차단판을 사용하여 급기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의 일측면에 상기 급기공간에 상응하는 위치에 급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실 급기공간의 하단부에 연소실의 급기구와 연통되어 공기를 버너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제1도는 종래 사용되는 가스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가스보일러의 케이스의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가스보일러의 연소실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연도가 설치된 가스보일러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실 후면벽에 형성된 비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보일러 3 : 물탱크
5 : 급기관 7 : 배기연도
7a : 배기공관 7b : 급기공간
9 : 연소실 9a : 열교환기
9b : 버너 11 : 배기관
13 : 케이스 13a : 비드
15,15a : 급기구 17 : 유입챔버
19 : 급기관연결구 21 : 리벳
23 : 연소실벽면 23a : 돌출부
23b : 급기공간 25 : 차단판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기연도의 일부분에 차단벽을 설치하여 급기공간을 형성하고, 연소실의 일부분에 급기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연도와 연소실의 급기공간을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버너에 연소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스보일러는 청정연료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상의 편리함 때문에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스보일러는 주로 가정이나 아파트등의 실내에 설치되므로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1도는 종래 사용되는 대기개방식 가스보일러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면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보일러의 중앙과 우측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연소실(9)이 위치하고 있으며, 좌측에는 대기개방식 물탱크(3)가 위치하고 있다. 연소실(9) 내부에는 연료인 가스를 공급받아서 연소시키는 버너와,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사용하여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차례로 위치되며, 열교환기의 상부에는 배기연도(7)가 위치하고, 배기연도(7)의 일측면에는 배기관(11)이 설치되어서 버너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는 급기관(5)을 통하여 케이스(13)의 후면에 설치된 유입챔버(17)를 통하여 연소실(9)의 하부로 공급된다.
제2도는 제1도의 가스보일러의 케이스(13)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의 후면에는 유입챔버(17)가 다수의 리벳(21)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급기관연결구(10)에 결합된 급기관(5)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유입챔버(17)를 통과하여 케이스(13)의 저면에 형성된 급기구(15)를 통하여 다시 가스보일러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급기구(15)는 연소실(9)의 하부에 형성된 다른 급기구(미도시됨)을 통하여 버너에 공급된다.
제3도는 연소실(9)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로서, 버너(9b)와 열교환기(9a)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3)의 후면에 설치된 유입챔버(17)를 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된 후에 급기구(15)를 통과하여 버너(9b)로 공급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급기구조를 가진 종래의 가스보일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챔버(17)를 별도의 금형으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였다. 또한 연소실(9)의 접촉면에 많은 열이 전달되므로 접촉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기연도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금형이 간단해지는 가스보일러 급기연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실과의 접촉면의 온도가 감소함으로써 보일러의 수명이 연장되며, 또한 연소열을 이용함으로써 열효율이 제고되는 가스일러의 급기연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는,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와 상기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와 직수를 승온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배기연도를 가진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도의 일측부를 차단판을 사용하여 급기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의 일측면에 상기 급기공간에 상응하는 위치에 급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실 급기공간의 하단부가 연소실의 급기구와 연통되어 공기를 버너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보일러의 배기연도(7) 및 연소실(9)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연도(7) 내부는 차단판(25)에 의하여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일측면의 공간은 급기공간(7b)이며, 타측면의 공간은 배기공간(7a)이다. 상기 배기공간(7a)은 종래의 배기연도(7)의 배기공간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상기 배기공간(7a)의 측면에는 배기관(11)을 통하여 배기가스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배기팬모터(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기공간(7b)의 상단부에는 급기관(미도시됨)이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배기연도(7)를 통하여 급기공간(7b) 상부에는 급기관(미도시됨)이 연결되고 배기공간(7a)의 상부에는 배기관(11)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연도(7)의 하부에는 종래와 같이 연소실(9)이 위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9)고 역시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다. 이 때에는 동일한 공간이 아니라 일측면, 특히 배기연도(7)의 배기공간(7a) 하부에는 종래와 같이 버너(9b)와 열교환기(9a)가 위치하게 되며, 타측면에는 연소실벽면(23)에 의하여 급기공간(23b)이 형성된다. 상기 급기공간(23b)은 상기 배기연도(7)의 급기공간(7b)과 서로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이 때 연소실(9)에서는 상기 차단판(25)과 같이 별도의 차단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연소실격벽과 연소실벽면(23)으로 급기공간(23b)을 구성한다.
따라서 급기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는 급기공간(7b)을 통과하여 다시 연소실(9)의 급기공간(23b)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15a)를 경유하여 버너(9b)에 공급된다.
또한 버너(9b)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열교환기(9a)를 통과한 후에 역시 배기연도(7)의 배기공간(7a)을 통과하여 배기관(11)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와 연소된 배기가스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부수적인 효과로서 유입되는 공기가 연소실(9)로부터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되므로 보온효과가 수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연도(7) 및 연소실(9)은 제1도에서의 급기용 유입챔버(17)와 같이 리벳(21)이나, 연소실(9)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각격을 두고 나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13)에 형성된 비드(13a)에 의하여 결합된다.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3)의 표면에 일정한 깊이를 가진 비드(13a)를 형성하며, 또한 배기연도(7)의 일측면과, 연소실벽면(23)의 일측면에 상기 비드(13a)와 형합되는 돌출부(23a)를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드(13a)와 돌출부(23a)를 사용함으로써 유입챔버(17)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금형이 간단해지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소실(9)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열효율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보일러가 동작되면 가스밸브를 통하여 가스가 공급된 후에 버너(9b)에서 연소된다. 연소된 배기가스는 열교환기(9a)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 내부에 있는 난방수를 승온시키면서 열을 잃고 배기연도(7)로 유입된다. 이 때 배기연도(7) 내부는 차단판(25)에 의하여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열교환기(9a)의 상부측은 배기공간(7a)에 의하여 감싸여 있으므로 배기가스는 배기팬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배기공간(7a)을 통과한 후에 배기관(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버너(9b)에서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종래 사용되는 이중급배기연통(공기공급용의 급기구와 배기가스배출용의 배기구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연통; 미도시됨)의 급기관을 통하여 보일러의 배기연도(7)의 상부측에 부착되는 급기관을 통하여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배기연도(7)의 급기공간(7b)을 통과한 후에 연소실(9)의 측면부에 형성된 급기공간(23b)를 통과하여 도시되지 않았지만 급기팬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된 공기는 연소실(9)의 하부에 형성된 급기구(15a)를 통하여 연소실(9)로 유입되어서 버너(9b)에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기연도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금형이 간단해지며, 연소실과의 접촉면의 온도가 감소함으로써 보일러의 수명이 연장되며, 또한 연소열을 이용함으로써 열효율이 제고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가스를 연소시기키 위한 버너(9b)와 상기 버너(9b)에서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와 직수를 승온시키는 열교환기(9a)를 포함하는 연소실(9)과, 상기 연소실(9)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배기연도(7)를 가진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도(7)의 일측부를 차단판(25)를 사용하여 급기공간(7b)과, 배기공간(7a)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9)의 일측면에 상기 급기공간(7b)에 상응하는 위치에 급기공간(23b)을 형성하며, 상기 급기공간(23b)의 하단부가 연소실(9) 내부의 중앙에 형성된 급기구(15a)와 연통되어 공기가 버너(9b)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도(7)의 급기공간(7b) 외측면에 돌출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실외벽(23)면에 돌출부(23a)가 형성되며, 케이스(13)의 내측면에 상기 돌출부(23a)와 형합되는 비드(13a)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KR1019960018540A 1996-05-29 1996-05-29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KR10020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540A KR100200282B1 (ko) 1996-05-29 1996-05-29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540A KR100200282B1 (ko) 1996-05-29 1996-05-29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748A KR970075748A (ko) 1997-12-10
KR100200282B1 true KR100200282B1 (ko) 1999-06-15

Family

ID=1946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540A KR100200282B1 (ko) 1996-05-29 1996-05-29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2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748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0890A (en) Infrared water heater
RU2408821C2 (ru) Газовый камин (варианты)
CA2303654C (en) Water heater
US4444127A (en) Incinerator
US6415744B1 (en) Combustion boiler
US5799621A (en) Boiler assembly
CN211261292U (zh) 一种新型全预混热交换器
KR20120085445A (ko) 하이브리드 보일러
KR100200282B1 (ko) 가스보일러의 급기연도구조
CN2893459Y (zh) 一种家用暖风炉
CN208205406U (zh) 一种燃气节能锅炉
US2622585A (en) Gas-fired hot-air furnace
KR200379084Y1 (ko) 화목 보일러
KR0130654Y1 (ko) 난방기
JPH0612336Y2 (ja) 燃焼装置
CN211625680U (zh) 燃气热水设备
CN211977242U (zh) 燃气热水设备
KR100441129B1 (ko) 흡기겸용 배기팬기구를 갖춘 하향식 보일러의 관연결구조
JPH0413567Y2 (ko)
KR920005335Y1 (ko) 온풍기
GB2243205A (en) Boiler
KR200150944Y1 (ko) 가스보일러 급배기연통
KR200282397Y1 (ko) 온수기를 겸한 온풍 발생기
JP2574831Y2 (ja) 燃焼機
KR100392595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