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387B1 -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387B1
KR100196387B1 KR1019960069861A KR19960069861A KR100196387B1 KR 100196387 B1 KR100196387 B1 KR 100196387B1 KR 1019960069861 A KR1019960069861 A KR 1019960069861A KR 19960069861 A KR19960069861 A KR 19960069861A KR 100196387 B1 KR100196387 B1 KR 10019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itch
signal
narrowband
wid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012A (ko
Inventor
김상철
박충희
임준석
배명진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6006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387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G10L13/0335Pitch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09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zero crossing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합성기술에서 음성 피치(pitch)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신호를 광대역 성분과 협대역 성분으로 성분 분리하고, 광대역 성분은 유지하며, 협대역 성분에 대해서만 시간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하여, 이 스케일링된 협대역 성분과 상기 유지된 광대역 성분을 합하여 피치가 변경된 음성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 합성기술에서 피치 변경법은 시간 영역법, 주파수 영역법, 시간 주파수 혼성 영역법이 있으나 피치 변경을 하였을때 나타나는 스펙트럼 왜곡을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합성음의 명료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신호를 가변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해서 광대역성분과 협대역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광대역 성분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협대역 성분에 대해서 시간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된 광대역 성분에 상기 시간 스케일링된 협대역 성분을 가하여 합성음을 구성하는 단계로 피치 변경을 수행하는 음성 합성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본 발명은 음성 합성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 음성의 피치(pitch)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방식의 휴대용 통신기기에서는 전송 채널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또한 고음질을 얻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피치변경 이론들을 이용하여 음성 부호화기를 실현하고 있다.
특히, 최근 다양해진 음성 서비스 분야에서는 고음질의 합성음을 요구하고 있다.
합성음 구성을 위한 대부분의 파형 부호화법이나 혼성 부호화 방법들은 종속되는 단어에 따라서 같은 단어를 서로 다른 데이타로 이용하였으며, 이는 데이타 베이스의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데이타 베이스 설계에 있어서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피치 변경법을 사용함으로써 극복하고 있다.
즉, 파형 부호화법은 잉여성분을 줄여서 파형의 모양을 단순히 유지하는 것인데, 이 경우의 음성합성에 있어서, 분석에 의한 합성이 주로 고음질 합성에 쓰인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의 부호화 파라미터는 여기성분과 여파기 성분이 분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규칙에 의한 합성에 파형 부호화법을 적용하기는 힘들고, 규칙에 의한 합성법을 파형 부호화법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운율 조절법에서의 피치 변경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피치 변경법은 그 처리 영역에 따라서 시간영역법, 주파수 영역법, 시간 주파수 혼성 처리법 등이 있다.
시간 영역법에는 멀티-펄스(Multi-Pulse)법, 피치 반분법 등이 있다.
Caspers와 Atal은 MPLPC에서 펄스에 영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MPLPC상의 펄스열은 피치와 포만트에 대한 상호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펙트럼 왜곡이 심하다.
Varga와 Fallside는 LPC계수를 이용한 피치 연장법을 제안했으나, 이 방법은 피치 주기를 줄이는 경우에 단지 파형의 일부분을 소거하고 평활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펙트럼 왜곡이 많이 나타난다.
한편, 피치 반분법은 임의로 변경하려는 피치 주기의 2배 파형을 만든 후에 그 파형의 주기를 반분하는 피치 변경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간 영역에서만 수행되기 때문에 스펙트럼 왜곡이 발생하여 합성음의 명료도가 저하된다.
McAulay와 Quatieri는 주파수 영역에서 위상을 보존하는 피치 변경법을 제안하였는데, 이 방법은 입력 음성에 대해 진폭 및 위상 스펙트럼을 추출하여 별도로처리하는 방법이다.
즉, 진폭 스펙트럼에 대해서는 두드러진 스펙트럼 봉우리들을 추출한 다음에 이 것을 피치 변경율(ρ)만큼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하여 진폭 스펙트럼의 피치를 변경시킨다.
그리고, 위상 스펙트럼에 대해서는 시간 영역에서 구한 피치 개시 시간(pitch on-set time)에 해당하는 위상을 제거하고나서 피치가 변경되었을 때의 새로운 피치 개시시간의 위상을 더해줌으로써 새로운 위상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파형의 꼴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프레임 단위로 분석 처리하는 통상의 처리법에서 인접 프레임간의 연결이 아주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피치 변경시에 피치 주기와는 별도로 피치의 개시 시간을 공급해 주어야 하고, 또한 진폭 스펙트럼상에서 두드러진 봉우리 위주로 고조파의 인터폴레이션을 수행하기 때문에 스펙트럼의 왜곡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시간 주파수 혼성 처리법으로는 켑스트럼의 특징을 이용하여 켑스트럼값이 거의 영이되는 부분에서 영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함으로써 피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위상의 보존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Takagi와 Miyasaka가 제안한 시간 주파수 혼성법은 시간 영역에서 피치 변경을 하였을때 나타나는 스펙트럼 왜곡을 스펙트럼 영역상에서 LPC포락을 통해 수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LPC스펙트럼 포락이 갖는 극점에 치중된 스펙트럼 전달 특성 때문에 모든 유성음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한계성을 가진다.
지금까지 제안된 피치 변경법으로서 시간 영역법, 주파수 영역법, 시간 주파수 혼성 영역법이 있으나, 시간 영역법을 사용할때 단순한 평균값 인터폴레이션을 통해 유성음의 피치 주기를 r배로 늘리게 되면 피치 주기는 자연스럽게 늘어나지만 성도특성이 변경되어 발성의 명료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한 표준 문장의 발성에 대해 평균값 인터폴레이션법으로 피치 주기를 신장시켰을 때 원래 음성에 대한 스펙트럼 왜곡을 측정하여 100분율로 나타낼 경우 피치 변경율이 증가할수록 스펙트럼의 왜곡은 지수함수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내며, 명확성 또한 상당히 떨어진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 원인은 협대역 뿐만 아니라 광대역 신호도 함께 스케일링(scaling)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먼저 음성신호를 협대역 성분과 광대역 성분으로 가변 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성분분리하고, 광대역 성분은 유지하며 협대역 성분에 대해서만 시간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스케일링된 협대역 성분과 상기 유지된 광대역 성분을 합하여 피치가 변경된 음성신호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합성음의 명료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협대역 신호와 광대역 신호를 분리하여 광대역 신호는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협대역 신호의 주기를 변경시키는 피치변경법을 제안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음성 신호 처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음성피치 변경방법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포만트 검출기의 블럭 구성도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1)와, 상기 마이크(1)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와, 상기 증폭기(2)로 증폭된 음성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3)와, 상기 저역통과필터(3)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4)와,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처리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입력포트(5)와, 상기 입력포트(5)로 입력된 음성데이타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타가 저장되는 메모리(7)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서 출력된 음성데이타를 전송채널로 전송하기 위한 입출력포트(8)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타의 출력포트(9)와, 상기 출력포트(9)로 출력된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10)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11)와, 상기 저역통과필터(11)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2)와,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3)로 구성된다.
마이크(1)로 입력된 음성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기(2)에서 소정의 증폭도로 증폭된다.
증폭기(2)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는 의사 전달 정보 성분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저역통과필터(3)를 통과하여 4kHz 이상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4)에서 8kHz의 클럭으로 샘플링되고 전화(Telephone) 음질을 기준으로 하기 위해서 12비트의 양자화 레벨로 디지탈 변환된다.
디지탈 음성 데이타는 입력포트(5)를 통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 입력되어 부호화 처리되고, 이와같이 처리된 데이타는 메모리(7)에 저장하거나 또는 입출력포트(8)를 통해서 전송채널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7)에서 읽어낸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서 처리된 음성데이타 또는 입출력포트(8)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를 사용해서 복호화 처리가 완료된 합성 음성신호는 잘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출력포트(9)를 통해서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10)에 입력된다.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10)는 8kHz의 클럭신호로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저역통과필터(11)를 통과시켜 고조파성분을 제거한 기본 대역의 신호만 필터링한 다음 증폭기(12)를 통해서 증폭하여 스피커(13)로 출력한다.
도면 도 2도는 상기한 음성 데이타 처리시의 피치 변경법에 대한 블럭도로서, 음성신호S(n)를 입력받아 광대역 성분과 협대역 성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강대역 검출수단(201)과 저역통과필터(202)를 가지며, 상기 저역통과필터(202)에서 필터링된 협대역 음성신호SL(n)를 시간 영역에서 스케일링 처리하는 시간 스케일링수단(203)과, 상기 시간 스케일링수단(203)에서 스케일링된 협대역 음성신호SL(n')와 광대역 성분을 합하는 가산수단(2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역 분리수단(201)(202)에서 협대역 신호는 제 1 포만트와 제 2 포만트로 구성되며, 그 이상의 포만트는 광대역 신호 성분이고 특히, 유성음의 포만트 주파수는 변화하기 때문에 협대역 신호와 광대역 신호를 분리해 내기 위해서 상기 저역통과필터(202)는 차단 주파수(fT) 가변 저역통과필터를 채용하였다.
광대역 검출수단(201)은 음성신호S(n)를 입력받아 피이크밸리율(PVR: Peak Valley Rate)로부터 원래의 음성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영교차율과, 저역통과필터링된 에러신호로부터 에러신호의 영교차율을 가지고 가변 저역통과필터(202)의 차단 주파수fT를 가변 제어하여 광대역 신호성분과 협대역 신호성분을 성분 분리한다.
분리된 협대역 신호성분SL(n)에 대해서만 시간 스케일링수단(203)에서 시간영역의 스케일링을 수행함으로써 피치를 변경하고, 이 스케일링된 협대역 신호 성분SL(n')과 광대역 신호성분을 가산수단(204)에서 가산하여 최종적으로 피치가 변경된 신호를 재구성한다.
즉, 협대역 신호의 피치 주기는 단순한 평균 인터폴레이션 방법에 의해서 r배만큼 확장되거나 데시메이션(Decimation)법에 의해서 r배만큼 압축되는데, 여기서 본 발명은 광대역 신호 성분의 보존에 촛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단순한 시간 스케일링 알고리즘을 피치 변경에 사용해서 협대역 신호 성분을 스케일링하고, 이와같이 피치가 변경된 협대역 성분과 광대역 성분을 가산수단(204)에서 합하여 피치가 변경된 신호를 재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치 변경법에 사용되는 대역 분리수단으로서 상기의 포만트 검출기의 구성을 도면 도 3에 도시하였다.
차단 주파수가 가변 제어되어 입력 음성신호S(n)의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상기의 가변 저역통과필터(301) 출력신호S'(n)와 음성신호S(n)의 에러신호e(n)를 출력하는 감산수단(306)과, 상기 입력 음성신호S(n)의 피이크밸류율(PVR)로부터 원래 음성에 포함된 고주파 영교차율(ZSM)을 추정해내는 제 1 연산수단(302)과, 상기 감산수단(306)에서 출력된 에러신호e(n)로부터 에러신호의 영교차율(ZCR : Zero Crossing Rate)로부터 원래 음성신호의 광대역 포만트 성분의 영교차율Zi를 출력하는 제 2 연산수단(303)과, 상기 제 1 연산수단(302)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영교차율ZSM과 상기 제 2 연산수단(303)에서 출력되는 에러신호의 영교차율Zi로부터 가변 저역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 결정을 위한 포인트를 산출하는 제 3 연산수단(304)과, 상기 제 3 연산수단(304)에서 산출된 포인트값을 대소 비교하여 가변 저역통과필터(301)의 차단주파수fT를 제어하는 비교제어수단(3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포만트 검출기의 동작은 다음과같이 이루어진다.
저역통과 필터(301)에서 출력된 음성신호S'(n)과 입력 음성신호S(n)의 차값을 감산수단(306)에서 연산하여 에러신호e(n)를 구한다.
에러신호e(n)는 높은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잉여신호이므로 이 에러신호e(n)의 영교차율(ZCR)은 원래 음성신호의 광대역 포만트 성분의 영교차율Zi와 같다.
그러므로, 제 2 연산수단(303)에서 영교차율Zi를 출력하여 제 3 연산수단(304)에 입력하는 한편, 원래 음성에 포함된 고주파 영교차율ZSM은 원신호의 피크밸리율(PVR)로부터 제 2 연산수단(302)이 추정하여 제 3 연산수단(304)에 입력한다.
그런데 유성음의 피이크밸리율(PVR)은 고차 포만트의 피이크밸리율의 약 70%로 구성되고 무성음에서의 피이크밸리율(PVR)은 고차 포만트의 피이크밸리율로 구성되므로 가변 저역통과필터(301)의 차단 주파수fT는 Zi=0.7×ZSM이 되는 지점에서 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3 연산수단(304)이 이 포인트(지점)를 연산하여 비교제어수단(305)에 입력하고, 비교 제어수단(305)은 Zi와 0.7ZSM을 비교하여 차단 주파수fT를 제어한다.
즉, 차단 주파수fT는 초기에 미리 정의된 저주파에서 초기화되어 Zi가 0.7×ZSM보다 작으면 차단주파수fT를 증가시키면서 Zi가 0.7×ZSM보다 커질때 까지 반복하여 비교됨으로써 본 발명에서 원하는 협대역 신호 성분에 대한 피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성분 분리를 해내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협대역 신호성분을 구하고 그 것을 스케일링하여 상기 광대역 신호성분과 합하여 최종적으로 피치가 변경된 신호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치 변경방법은 시간 영역에서 음성신호를 광대역 성분과 협대역 성분으로 분리하고, 광대역 성분은 유지한채 협대역 성분에 대해서만 시간 스케일링을 수행한 다음 이 것을 광대역 성분과 합하여 최종적으로 피치 변경된 음성신호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들에 비하여 명료도가 향상된 합성 음성신호를 확보할 수 있다.
또, 결과적으로 피치주기를 200% 까지 신장하였을 때에 스펙트럼 왜곡율은 평균 5.9%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약 3%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래 음성의 고차 포만트 성분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명료성의 열화는 거의 없고, 고음질 합성법에 적용함으로써 음소에 의한 합성법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음성 서비스 분야의 고음질 합성 시스템에 적용하여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음성신호를 광대역 성분과 협대역 성분으로 성분 분리하여 광대역 성분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성분 분리된 협대역 성분에 대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케일링된 협대역 성분과 상기 유지된 광대역 성분을 합하여 최종적으로 피치 변경된 음성신호를 구성하는 단계로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성분 분리단계에서 가변 저역통과필터를 사용해서 협대역 성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원래 음성신호의 광대역 포만트 성분의 영교차율Zi과 원래의 음성에 포함된 고주파 영교차율ZSM로부터 되는 Zi=0.7×ZSM지점에서 상기 가변 저역통과필터의 차단주파수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KR1019960069861A 1996-12-21 1996-12-21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KR10019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861A KR100196387B1 (ko) 1996-12-21 1996-12-21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861A KR100196387B1 (ko) 1996-12-21 1996-12-21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012A KR19980051012A (ko) 1998-09-15
KR100196387B1 true KR100196387B1 (ko) 1999-06-15

Family

ID=1949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861A KR100196387B1 (ko) 1996-12-21 1996-12-21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584B1 (en) * 1998-05-14 2002-03-05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and recor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nd recording method, 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01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3013B1 (en)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system
EP1262956B1 (en)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82659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rtificial extension of the bandwidth of speech signals
KR100427753B1 (ko) 음성신호재생방법및장치,음성복호화방법및장치,음성합성방법및장치와휴대용무선단말장치
JP3653826B2 (ja) 音声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H08123495A (ja) 広帯域音声復元装置
JPS63142399A (ja) 音声分析合成方法及び装置
EP1619666B1 (en) Speech decoder, speech decoding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EP1497631B1 (en) Generating lsf vectors
KR100196387B1 (ko) 성분 분리를 통한 시간 영역상의 음성피치 변경방법
EP1564723B1 (en) Transcoder and coder conversion method
KR100210444B1 (ko) 대역 분할을 통한 음성신호 부호화 방법
JP2011002703A (ja) スペクトル分析装置及びスペクトル演算装置
JP4447546B2 (ja) 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広帯域音声復元装置
JP3770901B2 (ja) 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広帯域音声復元装置
JPH0736484A (ja) 音響信号符号化装置
JP3560964B2 (ja) 広帯域音声復元装置及び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音声伝送システム及び音声伝送方法
Hur et al. Formant weighted cepstral feature for LSP-based speech recognition
JP3773509B2 (ja) 広帯域音声復元装置及び広帯域音声復元方法
JP3770900B2 (ja) 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広帯域音声復元装置
JP3748083B2 (ja) 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広帯域音声復元装置
KR100421816B1 (ko) 음성복호화방법 및 휴대용 단말장치
JP3636327B2 (ja) 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広帯域音声復元装置
JP3748080B2 (ja) 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広帯域音声復元装置
JP3770899B2 (ja) 広帯域音声復元方法及び広帯域音声復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