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801B1 - 배관 이음매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이음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801B1
KR100195801B1 KR1019960011755A KR19960011755A KR100195801B1 KR 100195801 B1 KR100195801 B1 KR 100195801B1 KR 1019960011755 A KR1019960011755 A KR 1019960011755A KR 19960011755 A KR19960011755 A KR 19960011755A KR 100195801 B1 KR100195801 B1 KR 10019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key member
hole
joint body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687A (ko
Inventor
요시츠구 기무라
모토노리 오노시
야스하루 사카구치
게이타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다케나카 도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다케나카 고무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나카 도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다케나카 고무텐 filed Critical 다케나카 도이치
Priority to KR101996001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801B1/ko
Publication of KR97007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키부재를 타격하여 배관표면에 파고들게하는 배관이음매장치에 있어서, 그 배관의 이음매본체에 대한 접속을 가벼운 힘으로 숙련을 요하지 않고, 누구든지 간단하고 신속하게 게다가 좁은 공간이라도 어려움 없이 행할 수 있는 이음매장치를 제공한다.
삽입배관 표면 일부를 접선방향에서 임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이음매본체와, 상기 관통구멍내에 박아넣는 키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키부재에는 박기넣기 초기에 배관표면에 맞닿고 또한 박아넣기에 따라 배관표면에 파고드는 테이퍼부와, 그 파고들기면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배관 이음매 장치
제1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이음매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키부재를 박아넣기전 상태를 우측에 도시하는 배관이음매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이음매장치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키부재의 일부 파단 사시도.
제6도는 키부재를 박아넣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배관이음매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키부재를 박아넣는 상태를 도시하는 배관이음매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키부재를 박아넣는 상태에 있어서의 배관이음매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키부재를 박아넣는 상태에 있어서의 배관이음매장치의 단면도.
제10도는 키부재를 박아넣기 전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 단면도.
제11도는 키부재를 박아넣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 단면도.
제12도는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배관이음매장치의 평면도.
제13도는 배관이음매장치의 종단측면도.
제14도는 삽입단부측의 배관외면을 교축(絞縮) 가공한 배관의 부분 단면도.
제15도는 키부재를 일부 파단한 사시도.
제16도는 다른 시일형태를 도시하는 배관이음매장치의 종단측면도.
제17도는 다른 키부재의 측면도.
제18도는 다른 키부재의 사시도.
제19도는 종래의 배관이음매장치의 설명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강관(鋼管) 및 스테인레스관, 기타 동관 및 합성수지제 등의 각종 배관의 이음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의 설명]
이 종류의 배관이음매장치로는,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삽입배관(21)의 표면에 임하는 2개의 슬릿(22,22)을 관축 중심의 양측면부로 개방시켜서 형성한 이음매본체(23)와, 상기 2개의 슬릿(22,22)에 삽입하여 박아넣는 ㄷ자형의 키부재(24)로 이루어지고, 키부재(24)의 서로 대향하는 걸림부(24a, 24b)의 대향부간의 치수를 배관(21)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설정함과 동시에, 이 걸림부(24a, 24b)의 선단부에 박아넣기 초기에 배관(21)의 표면에 맞닿고 또한 박아넣음에 따라 배관(21)의 표면에 파고드는 테이터부(25)를 형성한 것이 일본국 평성 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제6291호 공보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배관이음매장치에 따르면, 접속대상의 배관(21)을 이음매본체(23)에 삽입함과 동시에 키부재(24)를 이음매본체(23)의 슬릿(22,22)에 삽입하여 이것을 해머에 의해 반복하여 타격하고, 상기 배관(21)의 표면을 키부재(24)의 데이터부(25,25)에 의해 국부적으로 압축변형시켜서, 그 압축변형부에 데이터부(25,25)를 파고들게 하면서, 그 파고들기 후의 면부(面部)에 걸림부(24a, 24b)를 걸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음매본체(23)에 대한 배관(21)의 접속이 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의 배관이음매장치에 있어서는 배관표면을 압축변형시키는 키부재(24)가 ㄷ자형이기 때문에 키박아넣는 힘이 2개의 걸림부(24a, 24b)로 분산되고 그 때문에 키부재(24)를 박아넣을 때는 해머를 크게 휘둘러 키부재(24)를 반복해서 강타하지 않으면 안되어 중노동이 강요되며, 키부재(24)를 박아넣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박아넣는 데에 따라서 걸림부(24a, 24b)가 서로 쉽게 넓어지기 때문에 이 걸림부(24a, 24b)의 기부측 강도 상승을 위하여 키부재(24)를 폭넓은 상태로 할 필요가 있으나, 이래서는 키부재(24)가 배관(21)의 표면에서 크게 돌출하기 때문에 여기에 의복이 걸리거나 신체에 상처를 입는 등의 위험성이 크다. 게다가 키부재(24)를 강타하는 만큼 배관(21)의 지지부재가 그 강타하는 충격을 받으므로 이 지지부재를 강고한 구조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해머를 크게 휘둘러 키부재(24)를 박아넣기 위해서는 관 주위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관스페이스가 좁아지거나 배관이 한군데 모이거나하면 배관의 접속작업이 매우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키부재(24)를 박아넣을 때는 키부재(24)를 직선상으로 쳐넣어 이것을 배관(21)에 끼워붙여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키부재(24)의 타격부위를 잘못해서 예를들면 키부재(24)의 상단 모서리부를 타격하거나 할 경우, 하부측의 걸림부(24b)가 슬릿(22)에서 빗나가게 되어, 상부측 걸림부(24a)만이 배관(21)을 압축변형시키게 된다. 상기의 경우에는 배관(21)의 약간의 진동에 따라 키부재(24)가 탈락해 버려 배관(21)의 치명적인 탈출로 이어지는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키부재(24)의 박아넣기에는 상당한 숙련도가 요구되는 것이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이와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가벼운 힘으로 따라서 해머를 크게 휘두르지 않고 배관을 신속, 정확하게 접속할 수 있는 배관이음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관이음매장치는 삽입배관의 표면 일부를 접선방향에서 임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이음매본체와, 상기 관통구멍에 박아넣는 키부재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키부재에는 박아넣기 초기에 배관표면에 맞닿고 또한 박아넣음에 따라 배관 표면에 파고드는 테이퍼부와 그 파고드는 면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접속대상의 배관을 이음매본체에 삽입하여, 그 표면 일부를 관통구멍에 임하도록하는 한편, 이 관통구멍에 키부재를 삽입하여 이 키부재를 해머에 의해 타격하면, 그 타격에 따라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구속상태에 있는 키부재의 테이퍼부에 의해 배관의 표면부가 국부적으로 압축변형된다.
그리고, 이 키부재의 타격을 반복해 감으로써 테이퍼부가 압축변형부에 순차 파고드는 것과 동시에 그 파고들기 후의 면부에 걸림부가 걸림으로써 이음매본체에 대한 배관의 접속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배관이음매장치(1)를 도시한다. 이 배관이음매장치(1)는 예를 들면 강관 및 스테인레스관 등의 금속제 및 합성수지제 등의 배관(2)을 접속대상으로 한 것으로 배관(2)의 삽입관부(3)를 양측에 구비한 금속제의 이음매본체(4)와 상기 삽입관부(3)에 삽입된 배관(2)의 표면에 파고들어가 이 배관(2)을 탈출 방지 상태로 이음매본체(4)에 연결고정하는 키부재(5)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음매본체(4)의 삽입관부(3,3) 사이의 내부에 상기 배관(2)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본체(6)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위치규제본체(6)의 양측에 삽입배관(2)에 대한 시일용 0링(a)을 끼워 붙여 유지하는 오목홈(b)을 형성하고, 또한 이 오목홈(b)보다 관 단부측 외면부에 관축중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반원형 팽출부(4a)를 연설하여 이 팽출부(4a)에 상기 삽입관부(3)에 삽입된 배관(2)의 표면의 일부를 접선방향에서 임하는 원형의 관통구멍(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키부재(5)는 상기 관통구멍(7) 내에 박아넣는 것으로 상기 관통구멍(7)의 구멍직경보다 큰 직경의 두부(c)를 가지며, 또한 상기 구멍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된 원형핀에 의해 구성된 걸림부(8)의 선단측에 상기 관통구멍(7) 내에 삽입상태로 배관(2)의 표면에 맞닿는 두부를 절단한 원추형 테이퍼부(9)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테이퍼부(9) 선단에 나사부(d)를 연설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8)와 테이퍼부(9)의 합계 길이치수는 상기 팽출부(4a)의 길이치수보다 다소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배관이음매장치(1)에 의한 배관(2)의 이음매본체(4)에 대한 접속은 다음과 같이하여 행해진다.
우선은 배관(2)의 단부가 관통구멍(7)과 0링(a)을 통과하여 이 배관(2)의 단부가 위치규제부재(6)의 근방에 위치되든지, 또는 위치규제본체(6)에 맞닿기까지 이 배관(2)을 이음매본체(4)의 삽입관부(3)에 삽입하여, 이 배관(2)의 표면일부를 이음매본체(4)의 관통구멍(7)에 임하게 된다(제2도 우측 참조). 이 배관(2)의 삽입이 소정대로 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감각적인 것이다. 그리고 관 삽입의 정확성을 기하는데 있어, 바람직하게는 배관(2)의 소정한 삽입치수를 감안하여 배관표면에 예를들면 칼라 도장에 의해 마킹을 실시하여 배관(2)이 소정치수대로 이음매본체(4)에 삽입되었을 때에 이음매본체(4)의 관통구멍(7)을 통하여 마킹을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있게 해 두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관통구멍(7)에 키부재(5)를 삽입하여 그것의 테이퍼부(9)를 배관(2) 표면에 맞닿게한 상태로 키부재(5)를 해머로 타격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 키부재(5)의 박아넣기에 따라 관통구멍(7)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에 있는 키부재(5)의 테이퍼부(9)에 의해 배관(2) 표면이 국부적으로 압축변형되어 그 압축변형부에 테이퍼부(9)가 파고들게 된다. 나사부(d)는 키부재(5)의 테이퍼부(9)에 의해 직경이 감소되므로, 타격시에도 나사부(d)는 관통구멍(7)에 닿지 않으므로 나사산은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키부재(5)의 타격을 반복해 감으로써 상기 테이퍼부(9)가 배관 표면의 압축변형부에 순차 파고들어감과 동시에 그 파고들어간 후의 면부에 걸림부(8)가 걸림으로써 상기 배관(2)이 탈출방지상태로 이음매본체(4)에 연결고정되는 것이며, 다음은 필요에 따라 나사부(d)에 너트(d)를 나사붙임하여 키부재(5)의 탈출방지를 도모함으로써 이음매본체(4)에 대한 배관(2)의 삽입접속을 완료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관 표면을 국부적으로 압축변형시켜서, 그 파고들기 면부에 걸림부를 거는 점에서는 종래의 ㄷ자형 키부재에 의한 배관의 접속형태와 다르지 않으나 타격대상인 키부재(5)가 관통구멍(7)내에 구속되는 1개의 단물체인 사실에서 키부재(5)의 박아넣기에 있어서, 이 1개의 키부재(5)에 타격력을 집중시킬 수 있어, 해머를 크게 휘둘러 키부재(5)를 강타하지 않더라도 배관(2) 표면을 테이퍼부(9)에 의해 국부적으로 압축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구성의 배관이음매장치(1)에 의하면, 숙련을 요하지 않고 누구라도 간단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이음매본체(4)에 대한 배관(2) 접속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머를 크게 휘두를 필요가 없으므로 배관 스페이스가 좁거나 배관이 한군데 모이거나 하더라도 배관(2) 접속을 어려움 없이 행하고 또한 배관(2)의 지지부재는 간단하게 되고, 게다가 키부재(5)는 대부분 관통구멍(7)내에 수용된채이므로 안전면에서 우수하다.
다음에 제4도 내지 제7도에 의거하여 제2실시예에 관한 배관이음매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배관(2)의 표면의 일부를 접선방향에서 면하는 관통구멍(7)을 장방형상으로 구성하는 한편, 키부재(5)를 이음매본체(4)의 삽입관부(3)에 배관(2)을 삽입한 상태로, 배관(2)에 의해 차단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관통구멍(7)의 관통구멍부(배관(2))을 삽입할 때에 관통구멍(7)의 면적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 7a)에 대응하는 형상의 즉, 배관(2)을 삽입할때에 관통구멍(7)의 면적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갖는 편평한 장방형상의 키본체(10)와, 키본체(10)의 편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연설되고, 타격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7)에 임하는 배관표면을 국부적으로 압축변형시켜서 거는 폭좁은 걸림부재(11)와 키본체(10)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설된 곳의 상기 관통구멍(7)보다 형상적으로 큰 탁격면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11)는 그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걸림부(8)를 구성하는 것으로 선단부에는 키본체(10)의 선단부를 관통구멍부(7a)에 삽입한 상태로 배관(12) 표면에 맞닿는 테이퍼부(9)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테이퍼부(9)가 박아넣음에 따라 배관(2)의 표면에 파고들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배관이음매장치(1)에 있어서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여 설명한 배관이음매장치(1)와는 키부재(5)의 구조와 관통구멍(7) 형상이 다르나, 이음매본체(4)에 대한 배관(2)의 접속모양은 같기 때문에 그 접속모양의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다음에, 제8도에 의거하여 제3실시예에 관한 배관이음매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배관이음매장치(1)는 이음매본체(4)에 있어서의 관통구멍(7)보다 안쪽의 삽입관부(3)의 내부에 배관(2)에 대한 시일용 0링(a)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2)의 단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코어(14)를 일체로 연설한 점에 특징이 있다. 코어(14)는 삽입관부(3)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어(14)의 외면은 삽입관부(3)의 내면과 병행의 원통상을 나타내나, 코어(14)의 내면은 유체에 대한 저항을 가급적 작게하기 위하여 테이퍼상으로 하고 있다. 기타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음매본체(4)의 삽입관부(3)에 배관(2)을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배관(2)의 단부가 코어(14)에 의해 내측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키부재(5)를 관통구멍(7)에 박고, 배관(2)을 국부적으로 압축변형시킬 때, 키부재(5)의 양측에 위치하는 관벽부분에 다소의 휨이 생겨도 0링(a) 가까이에 위치하는 관벽의 휨을 코어(14)에 의해 저지할 수 있고, 0링(a)과 배관(2)의 외면과의 접촉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이음매본체(4)의 관통구멍(7)에 키부재(5)를 박아 배관(2)을 국부적으로 압축변형시킬 때 관벽의 키부재(5)와 접하는 부위만 변형하면 아무 문제가 없으나, 실제는 키부재(5)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관벽부분에 휨이 생기는 수가 많다. 따라서, 관통구멍(7)과 0링(a)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키부재(5)의 박아넣음에 따라 발생하는 관벽의 휨이 0링(a) 위치에까지 미치고, 0링(a)과 배관(2) 외면과의 접촉이 헐거워져서 0링(a)에 의한 시일성능을 저하시키고, 누수의 원인으로도 될 수 있다.
이와같은 결함의 회피책은 관통구멍(7)과 0링(a)으 간격을 충분히 넓게 잡아, 0링(a)이 키부재(5)를 박아넣음에 따른 관벽의 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것도 생각되나, 이 경우에는 관통구멍(7)과 0링(a)의 간격을 크게하므로 이음매본체(4)에 있어서의 삽입관부(3)의 길이가 길어져서 그만큼 배관이음매장치(1)의 치수가 길어지게 된다.
이점, 제8도와 같이,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2)의 단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코어(14)를 설치하면 관통구멍(7)과 0링(a)의 간격을 좁게 설정하더라도 0링(a)이 키부재(5)의 박아넣음에 따른 관벽의 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배관이음매장치(1)의 치수를 길게하는 일 없이 높은 시일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8도는 이음매본체(4) 및 키부재(5)로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같은 타입(단면 원형의 키부재(5)를 사용한 배관이음매장치(1))을 도시하였으나, 이음매본체(4) 및 키부재(5)로서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와 같은 타입의 것이라도 좋다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9도 내지 제11도에 의거하여 제4실시예에 관한 배관이음매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배관이음매장치(1)는 이음매본체(4)에 있어서의 관통구멍(7)보다 안쪽의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2)의 단부의 내면에 압접하는 코어형 패킹(15)을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코어형 패킹(15)은 고무 및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이음매본체(4)의 내면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환상홈(16)에 끼워넣는 환상부분(15a)과, 환상부분(15a)이 배관(2)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시일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관(2) 외면에 접하는 0링(a)과 배관(2)의 내면에 접하는 코어형 패킹(15)에 의한 2중의 시일기능이 발휘되므로 높은 밀봉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코어형 패킹(15)과 이음매본체(4)의 삽입관부(3) 사이에 배관(2)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배관(2)의 단부 내면측을 면다듬기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형 패킹(15)의 통상부분(15b)의 외면은 삽입관부(3) 내면과 병행하는 원통상이라도 좋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상부분(15b)이 직경방향 외방의 뒤집힘을 갖게 하여, 통상부분(15b)의 선단측이 배관(2)의 내면에 강하게 또한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제9도 내지 제11도에는 이음매본체(4) 및 키부재(5)로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같은 타입(단면원형의 키부재(5)를 사용한 배관이음매장치(1))을 도시하였으나, 이음매본체(4) 및 키부재(5)로서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와 같은 타입의 것이라도 좋다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12도에 의거하여 제5실시예에 관한 배관이음매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배관이음매장치(1)는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배관이음매장치(1)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제1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삽입단부측 배관외면을 예를들면 샌더로 연마하는 등하여 끝이 가는 테이터면부(2a)로 가공한 배관(2)이나, 또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를들면 스퀴즈머신 등에 의해 끝이 가는 테이퍼면부(2a)로 교축가공한 배관(2)을 접속대상으로 하여도 적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음매본체(4)의 위치규제본체(6)의 근방에 환상오목부(f)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환상오목부(f)에 그 내면을 상기 배관(2)의 끝이 가는 테이터면부(2a)에 대응하는 형상의 테이터면(S)으로 구성한 시일수단(예를들면 경질 및 연질의 합성수지 및 고무제의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패킹을 예시하고 있다; 13)을 설치하여 상기 배관(2)의 삽입방향의 이동에 따라 이 배관(2)과 시일수단(13)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키부재(5)로서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테이퍼부(9)와 걸림부(8)를 구성하는 걸림부재(11)를 관통구멍(7)의 구멍축심에 대하여 배관(2)의 관축심 방향으로 더소 경사지게 하여 설치한 것을 사용하고, 이 키부재(5)의 박아넣음에 따라 배관(2)을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11)(테이퍼부(9)와 걸림부(8))의 경사면에 키부재(5)의 박아넣음에 따라 배관(2)을 관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생기게 하여 상기 배관(2)의 끝이 가는 테이터면부(2a)와 시일수단(13)의 테이터면(S) 사이에 테이퍼터치에 의한 밀봉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키부재(5)의 박아넣는 힘의 일부를 배관(2)의 끝이 가는 테이터면부(2a)를 시일수단(13)의 테이터면(S)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배관(2)과 시일수단(13)의 접합성을 좋게할 수 있어, 높은 밀봉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일수단(13)으로서 예를들면 패킹을 채용하고 있으나, 환상 오목부(f)를 형성하지 않고, 이음매본체(4) 자체에 테이터면(S)을 형성하며, 이것을 시일수단(13)으로 하고, 배관(2)의 삽입방향의 이동에 따라 배관(2)의 끝이 가는 테이터면부(2a)과 테이터면(S) 사이에 테이퍼의 메탈터치에 의한 밀봉이 이루어지게 구성하여도 실시가능하고 이때, 매탈터치의 면부간에는 예를들면 액상의 밀봉재를 도포한다.
상기 제5실시예에 의한 배관이음매장치(1)는 삽입단부측을 끝이 가는 테이터면부(2a)로 가공한 배관(2)을 접속대상으로 하여도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수단(13)으로서, 예를 들면 평판의 패킹등을 환상오목부(f)에 위치규제본체(6)와 맞닿게 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배관(2)의 삽입방향의 이동에 따라 이 배관(2)의 단면을 시일수단(13)에 압접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실시가능하고, 이 경우 배관(2)의 삽입단부를 끝이 가는 테이퍼면부로 가공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어 적합하다.
제17도 및 제18도는 키부재(5) 자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17도에 도시한 키부재(5)는 제2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사용되는 키부재(5)의 일부를 변형한 것으로 상기 제2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6도를 참조하면 분명한 바와같이 테이퍼부(9)에 의해 형성된 배관 표면의 파고들기 면부에 걸리는 걸림부(8)의 능선(稜線; S1)을 키본체(10)의 슬라이드면(저면; S2)에 대하여 평행으로 하고 있으나, 제17도에 도시하는 키부재(5)에 있어서는 이 키부재(5)의 박아넣기에 따라 상기 파고들기 면부의 배관표면에 다시 걸림부(8)가 파고들도록, 걸림부(8)의 능선을 완만한 경사의 테이퍼부(S3)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7도에 도시한 키부재(5)가, 제2실시예에 사용되고 있는 것일 경우, 걸림부재(11)(테이퍼부(9)와 걸림부(8)는 키본체(10)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설치되고 제5실시예에 사용되고 있는 것일 경우, 상기 걸림부재(11)(테이퍼부(9)와 걸림부(8))는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키본체(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게 된다. 도시하지 않으나, 어느 경우에도 걸림부(8) 능선에 형성되는 완만한 경사의 테이퍼부(S3)를 걸림부재(11)의 선단까지 연장하여 상기 테이퍼부(9)와 걸림부(8)의 능선에 형성되는 완만한 경사의 테이터부(S3)가 동일 구배가 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18도에 도시하는 키부재(5)는 제5도 실시예에 관한 배관이음매장치(1)에 사용되는 키부재(5)의 일부를 변형하여 이 걸림부(8)에 상기한 또다른 파고들기 기능을 갖게한 것이다. 즉, 키부재(5)의 박아넣기에 따라 배관(2)의 표면에 파고드는 테이퍼부(9)와, 이 테이퍼부(9)에 의한 배관표면의 파고들기 면부에 걸리는 걸림부(8)를 서로 일련으로 이어지는 반원추면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이 반원추면의 원추중심을 관통구멍(7)의 구멍축심에 대하여 배관(2)의 관축심방향으로 다소 경사시킨 것으로 키부재(5)의 박아넣기에 따라 테이퍼부(9)에 의한 파고들기면부의 배관표면에 다시 걸림부(8)를 파고들게함과 동시에 이 사이에 배관(2)을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키본체(10)의 선단부를 관통구멍(7)에서 돌출하게 하여 이 돌출부분(10a)의 굽힘변형에 의해 키부재(5)의 탈출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구성에 의하면, 키부재(5)의 박아넣기에 따른 배관(2) 관벽의 변형이 서서히 행해지기 때문에 이음매본체(4)에 대한 배관(2)의 접속을 더 한층 경미한 힘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접속대상배관(2)에 대하여 1개의 키부재(5)를 박아넣는 접속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이음매본체(4)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관통구멍(7)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관통구멍(7)의 각각에 키부재(5)를 박아넣어 배관(2)의 표면을 복수개소에서 압축변형시키는 접속형태를 취하여야 된다.
또, 상기 키부재(5)는 관통구멍(7) 내부에 구속된 상태에 있고, 압축변형된 배관(2)의 표면과 관통구멍(7) 사이에서 긴밀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너트(d) 및 돌출부분(10a)의 굽힘에 의한 탈출방지수단을 특별히 실시할 필요는 없다.
청구항 1 내지 6항의 구성에 의하면, 키부재를 타격하여 배관 표면을 국부적으로 압축변형시키고, 이 압축변형부에 키부재의 걸림부를 걸리게 하는 배관접속 형태를 취함에 있어서, 타격대상인 키부재를 관통구멍내에 구속되는 1개의 단체물로 구성하여 여기에 타격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해머를 크게 휘둘러 키부재를 강타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숙련을 요하지 않고 누구든지 간단, 신속하게 이음매본체에 대한 배관의 접속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해머를 크게 휘두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관공간이 좁거나 배관이 한군데 모이거나 하더라도 배관의 접속을 어려움없이 행할 수 있고 배관의 지지부재에 대한 충격도 작아지기 때문에 이 지지부재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2에 의하면, 키부재의 박아넣기에 따른 배관 관벽의 변형이 서서히 행해지므로 이음매본체에 대한 배관 접속을 더 한층 경미한 힘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하면, 관통구멍과 0링의 간격을 좁게 설정하여도 0링이 키부재의 박아넣기에 따른 관벽의 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배관이음매장치의 치수를 길게하지 않고 높은 시일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배관 외면에 접하는 0링과 배관의 내면에 접하는 코어형 패킹에 의한 이중의 시일기능이 발휘되므로 높은 시일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하면, 키부재의 박아넣기 힘의 일부를 배관을 시일수단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배관과 시일수단의 접합성을 좋게할 수 있어 높은 시일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0)

  1. 삽입배관(20의 표면 일부를 접선방향에서 임하는 관통구멍(7)이 형성된 이음매본체(4)와, 상기 관통구멍(7)내에 박아넣어지는 키부재(5)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키부재(5)에는 박아넣기 초기에 배관의 표면에 맞닿고 또한 박아넣기에 따라 배관 표면에 파고드는 테이퍼부(9)와 그 파고들기면부에 걸리는 걸림부(8)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8)에는 키부재(5)의 박아넣기에 따라 상기 파고들기면부의 배관표면에 다시 파고드는 완만한 경사의 테이퍼부(S3)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에 있어서의 상기 관통구멍보다 안쪽의 삽입관부의 내부에 배관에 대한 시일용의 0링(a)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에 있어서의 상기 관통구멍보다 안쪽의 삽입관부의 내부에 배관에 대한 시일용의 0링(a)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의 단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코어(14)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의 단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코어(14)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의 단부의 내면에 압접하는 코어형패킹(15)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의 단부의 내면에 압접하는 코어형패킹(15)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 배관과의 사이의 밀봉이 달성되는 시일수단(13)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걸림부(8)를 상기 관통구멍의 구멍축심에 대하여 배관의 관축심 방향으로 다소 경사지게하여, 키부재의 박아넣기에 따라 배관을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4)의 내부에 배관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 배관과의 사이의 밀봉이 달성되는 시일수단(13)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걸림부(8)를 상기 관통구멍의 구멍축심에 대하여 배관의 관축심 방향으로 다소 경사지게하여, 키부재의 박아넣기에 따라 배관을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매장치.
KR1019960011755A 1996-04-18 1996-04-18 배관 이음매 장치 KR10019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55A KR100195801B1 (ko) 1996-04-18 1996-04-18 배관 이음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55A KR100195801B1 (ko) 1996-04-18 1996-04-18 배관 이음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687A KR970070687A (ko) 1997-11-07
KR100195801B1 true KR100195801B1 (ko) 1999-06-15

Family

ID=1945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755A KR100195801B1 (ko) 1996-04-18 1996-04-18 배관 이음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9824B (en) * 2001-02-06 2003-07-01 Swagelok Co Tube fitting with separable tube grip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687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2366A1 (en) Pipe joint unit
US2179127A (en) Pipe coupling
US5957509A (en) Pipe coupling
KR100422279B1 (ko) 관 이음매
NO163300B (no) Koplingsanordning for tilveiebringelse av en varig roerforbindelse.
EP1818592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resin pipe
JPH02199309A (ja) 打込み式拡張栓
KR100348850B1 (ko) 이탈방지파이프이음매
KR100195801B1 (ko) 배관 이음매 장치
US5558480A (en) Bolt for truss, wherein the bolt has shaft portions separated by a groove and a stopper having protrusions engaged in the groove
AU647823B2 (en) Anchoring device
US5295768A (en) Friction rock stabilizer
JPH08121662A (ja) 配管継手装置
US6629707B1 (en) Pipe jointing unit
US20040163229A1 (en) Installation tool for setting anchors
JP5318404B2 (ja) 管継手
US4402532A (en) Detachable pipe joint
US5326079A (en) Self-sealing valve body and orifice member assembly
CA2005677C (en) Tubular joint
JP2009293343A (ja) 地山補強用パイプの連結構造
KR100708539B1 (ko) 고정용 앵커
JPH0465954B2 (ko)
CA1076979A (en) Plug
KR20040071129A (ko) 블라인드설치용 실링플러그
KR930018189A (ko) 유체 기밀 이음용 파이프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