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012B1 - 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 Google Patents

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012B1
KR100195012B1 KR1019950056565A KR19950056565A KR100195012B1 KR 100195012 B1 KR100195012 B1 KR 100195012B1 KR 1019950056565 A KR1019950056565 A KR 1019950056565A KR 19950056565 A KR19950056565 A KR 19950056565A KR 100195012 B1 KR100195012 B1 KR 10019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key
ring
input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8023A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5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012B1/en
Publication of KR97005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012B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상에 위치된 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톤을 송출하는 다이얼 송출수단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수단을 가지는 전화기의 다이얼 송출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착신에 응답하여 상대방과 통화중인 상태에서 오류로 송출되는 다이얼링톤의 송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어방법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링검출과정과, 상기 링검출과정에서 링신호를 검출시에 응담하고 오프-훅크하고, 상기 오프-훅크 이후에 입력되는 키패드상의 키신호를 차단하는 키신호 입력 차단과정으로 이루어진 제어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dial dispensing control method for a telephone having a keypad, a dial dispensing means for transmitting a dialing tone corresponding to a key located on the keypad, and a r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ing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a dialing tone that is transmitted in error while in a call with a counterpart. The control method includes a ring detection proces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ing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 key on the keypad that is input after the off-hook, responding and detecting the ring signal during the ring detection process. It comprises a control process consisting of a key signal input blocking process for blocking a signal.

Description

전화기의 오류 톤 송출 방지 제어 방법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제1도는 일반적인 전화기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telephone.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다이얼 송출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전자식 전화기에서 다이얼 버튼이 눌러졌을때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dial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a flowchart when a dial button is pressed in an electronic telephone.

제3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다이얼 송출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전자식 전화기에서 통화중의 상태에서 다이얼 버튼이 눌러졌을때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dial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lowchart when a dial button is pressed in a state of a call in an electronic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의 다이얼 송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착신에 응답하여 상대방과 통화중인 상태에서 오류로 송출되는 다이얼링 톤의 송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dial transmission of a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a dialing tone transmitted in error in a state of being in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in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통상적으로 전자식 전화기, 예를들면, 전화 교환기에 전용으로 접속되어 사용되는 범용의 버튼식 전화장치는 이미 주지된 바와 같이 전화기에 설치된 키패드상의 키(버튼키 혹은 다이얼키라고도 불려지며, 이는 통상 같은 내용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총칭하여 키로 칭한다.)이 눌려지면 이에 대응하는 DTMF(Dual Tone Multi-Freqency:이하 DTMF라함)을 다이얼링 톤으로 발생하여 전화라인상의 직류전압(-48볼트)에 중첩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ypically, a universal button telephone device used exclusively for use in connection with an electronic telephone, for example, a telephone exchange, is known as a key on a keypad (also called a button key or dial key) installed in the telephone, as is well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i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key, the corresponding DTMF (Dual Tone Multi-Freq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DTMF)) is generated as a dialing tone and superimposed on a DC voltage (-48 volts) on a telephone line. It has a function to send.

제1도는 일반적인 전화단말기의 블록도로서, 국선라인 T, R에 접속되어 상기 라인 T, R을 통하여 입력되는 국선전압을 극성정렬하여 출력하는 브리지 다이오드(이하 정류기라 칭함) 12와, 상기 정류기 12의 입력단자에 병렬접속되어 상기 국선라인 T, R로 입력되는 링신호(Ring signal)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링검출회로 14와, 송수화기(도시하지 않았음)의 행온(hang-on)/행오프(hang-off)(송수화기를 들고 놓음)에 연동되어 스위칭되는 훅크 스위치 26a, 26b와, 전화기의 다이얼링키, 리다이얼키 및 메모리키 등을 구비하여 상기 키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 16와, 상기 훅크 스위치 26a, 26b의 온-훅크와 오프-훅크의 상태에 대응하여 통화관련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키패드 18로부터 발생된 키신호에 대응된 다이얼링톤, 리다이얼링톤 및 메모리드을 수행하는 제어회로 18와, 상기 송수화기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회로 18의 제어에 응답하여 송수화기로 부터의 음성신호 및 상기 제어회로 18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얼링톤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송수화기로 출력하느 통화회로 20와, 상기 정류기 12의 출력단자와 통화회로 20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회로 18로부터 출력되는 통화로 형성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로 차단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통화로를 차단하는 통화 제어회로 28와, 상기 제어회로 18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회로 22 및 상기 발생된 링신호를 가청음으로 발생하는 스피커 2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어회로 18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화기 전용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화기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DTMF발생기를 내장하고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telephone terminal, comprising: a bridge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ctifier) 12 and a rectifier 12 connected to trunk lines T and R to polarize and output trunk lines voltage input through the lines T and R. A ring detection circuit 14 which detects and outputs a ring signal input to the trunk lines T and R in parallel and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a line, and hang-on / hang-off of a handset (not shown). hook switches 26a and 26b which are interlocked with the hang-off (holding the handset) and dialing keys, redial keys and memory keys of the telephone to generate key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keys. A call-relate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keypad 16 and the on-hook and off-hook states of the hook switches 26a and 26b, and the dialing tone, redial tone and memory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generated from the keypad 18 are generated. A control circuit 18 connected to the handset, and outputs a voice signal from the handset and a dialing tone output from the control circuit 18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8, and amplifies the input voice signal.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circuit 20 for output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12 and the communication circuit 20 to form a voice call path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call path for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circuit 18, and cuts off the call path. A call control circuit 28 which cuts off a communication path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a ring generating circuit 22 which generates a ring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circuit 18, and a speaker 24 which generates the generated ring signal as an audible sound. . Here, the control circuit 18 may be a conventional one-chip microprocessor or the like. Such telephone-only microprocessors incorporate a DTMF generator, as is well known in the art.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의 회로는 본원출원인 삼성전자주식회사에 의해 1993년 10월 23일자로 특허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22102호에 상세히 게재된 회로로서 이는 이 기술분야에서 종사하는 자에게 있어서는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다.The circuit of the telephone constituted as shown in FIG. 1 is a circuit disclosed in detail in patent application No. 22102, filed October 23, 1993, by Samsung Electronics Co., Ltd., which is already available to those who work in this technical field. It is a well known techniqu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흐트리지 않는 범주내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서만 기재될 것이며, 그이에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임에 유의 바란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in the scope of not obscuring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의 회로에서 다이얼키, 리다이얼키, 메모리키 등에 의한 키데이타의 처리과정을 살피면 하기 제2도와 같다.A process of processing key data by a dial key, a redial key, a memory key, and the like in the circuit of the telephone constructed as shown in FIG. 1 is shown in FIG. 2.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다이얼 송출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전자식 전화기에서 다이얼 버튼이 눌러졌을때의 흐름도로서,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2 is a flowchart of a dial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ich is a flowchart when a dial button is pressed in an electronic telephone,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지금, 제1도와 같은 전화기의 회로가 동작되면, 제어회로 18은 제2도와 같이 우선 훅크 스위치 26a의 온/오프의 상태를 검색하여 현재 전화기의 동작상태가 오프-훅크(훅크 스위치 26a, 26b들이 온된 상태)인가를 검색한다. 상기의 검색과정에서 훅크 스위치 26a, 26b의 스위칭 상태가 오프-훅크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회로 18는 통화로제어회로 28로 통화로 형성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국선전압의 질류류프를 형성하고, 키패드 16로부터 키신호가 발생되는가를 검색한다.Now, when the circuit of the telephone like Fig. 1 is operated, the control circuit 18 first searches for the on / off state of the hook switch 26a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telephone is set to off-hook (hook switches 26a, 26b). Turned 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witching state of the hook switches 26a and 26b is off-hook, the control circuit 18 outputs a communication path forming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circuit 28 to form a galvanic flux of the trunk line voltage. Search from 16 for key signal generation.

상기의 상태에서 키패트 16로부터 키신호가 발생되어 입력된다면 상기 제어회로 18는 입력되는 키신호를 분석한다. 즉, 텐키(0∼9의 디지트키 및 #, * 등의 키) 혹은 리다이얼링키 또는 재다이얼링 키인가를 검색한다. 상기의 검색과정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18는 내부에 내장된 DTMF발생기를 구동하여 이에 대응하는 다이얼링톤(DTMF)을 발생하여 통화회로 20으로 공급한다.In the above state, if a key signal is generated and input from the keypad 16, the control circuit 18 analyzes the input key signal. That is, it searches for a ten key (digits 0 to 9 and keys such as # and *) or a redialing key or a redialing key.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searching process, the control circuit 18 drives the DTMF generator built therein to generate a dialing tone DTMF corresponding thereto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call circuit 20.

예를들어, 입력된 키신호가 텐키중의 하나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회로 18는 입력된 키의 디지트에 해당하는 디지트의 데이터를 키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다이얼링톤을 내장된 DTMF를 이용하여 통화회로로 출력한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key signal is one of the ten keys, the control circuit 18 stores the digit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 of the input key in the key buffer and uses the DTMF with the corresponding dialing tone. To the call circuit.

만약, 입력된 키신호가 리다이얼링 키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회로 18는 상기 리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내부의 다이얼버퍼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들에 해당하는 다이얼링톤을 내장된 DTMF를 이용하여 통화회로로 출력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key signal is a redialing key, the control circuit 18 responds to the redialing key by using a DTMF embedded dialing tone corresponding to dial digits stored in an internal dial buffer. Will output

끝으로, 입력된 키신호가 메모리키(원터치 다이얼링키)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회로 18는 입력된 메모리키에 대응하는 로케션에 저장된 디지트를 억세스하여 이에 대응하는 다이얼링톤을 내장된 DTMF를 이용하여 통화회로로 출력한다.Fi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key signal is a memory key (one-touch dialing key), the control circuit 18 accesses a digit stored in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mory key and uses a DTMF incorporating a dialing tone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all circuit.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통화회로 20로 공급된 다이얼링톤은 통화제어회로 28와 정류기 12를 통하여 상대방(여기서 상대방은 전화국 교환기가 될 수도 있으며, 통화중인 경우에는 통화중의 대화자가 된다.)으로 전송된다.The dialing tone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20 by the above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where the other party may be a telephone exchange, or, in the case of a call, the talker during the call) through the call control circuit 28 and the rectifier 12. do.

그러나, 상기 제2도와 같은 시퀀스를 갖는 종래의 전화기 제어방법은 상대방과 통화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키패드6상에 설치된 텐키, 리다이얼키 또는 메모리키가 눌려지는 경우에도 통화중인 상대방으로 톤신호가 송출됨으로써 통화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어왔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lephone control method having the sequence as shown in FIG. 2, even when a ten key, a redial key, or a memory key installed on the keypad 6 is press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during a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the ton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the call. There has been a problem of discomfort to the other party by the cal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중 전화기의 키패드상에 설치된 키버튼이 눌려지더라도 다이얼링톤의 송출이 없도록 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such that no dialing tone is transmitted even when a key button provided on a keypad of a telephone is pressed during a c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링의 수신에 응답하여 통화로를 형성한 후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톤신호의 발생을 소거하여 오류에 의한 다이얼링 송출을 방지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dialing transmission due to an error by canceling generation of a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key signal after forming a call path in response to reception of a r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상에 위치된 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톤을 송출하는 다이얼 송출수단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수단을 가지는 전화기의 다이얼 송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링검출과정과, 상기 링검출과정에서 링신호를 검출시에 응답하여 오프-훅크하고, 상기 오프-훅크이후에 입력되는 키패드상의 키신호를 차단하는 키신호 입력 차단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lephone having a keypad, dial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dialing tone corresponding to a key located on the keypad, and a r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ing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 di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ring detection proces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ing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 keypad input off-hook in response to detecting a ring signal in the ring detection process, and input after the off-hook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signal input blocking process for blocking the key signal on the top.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다이얼 송출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전자식 전화기에서 통화중인 상태에서 다이얼 버튼이 눌러졌을때의 흐름도이다. 이의 제어 흐름도는 착신에 응답하여 오프-훅크하였을 때 키입력을 무시함으로서 다이얼링톤의 송출을 방지토록 동작된다.3 is a flowchart of dial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lowchart when a dial button is pressed in a call state in an electronic telephone. Its control flow is operated to prevent the outgoing of dialing tone by ignoring key input when off-hook in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퀀스를 갖는 전화기의 동작을 제1도 및 제3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having the control sequ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1 and 3 as follows.

지금, 전화기가 동작되면 제어회로 18는 제3도의 30과정에서 링검출회로 14의 출력을 검색하여 전화 착신이 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30과정에서 링신호(벨울림감지)의 검출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회로 18는 32의 분기로 점프하여 전술한 제2도의 루틴을 수행한다.Now, when the telephone is operated, the control circuit 18 searches the output of the ring detection circuit 14 in step 30 of FIG. 3 to search for incoming calls. If there is no ring signal (ringing detection) detection signal in step 30, the control circuit 18 jumps to the branch of 32 to perform the routine of FIG.

즉, 종래와 같은 시퀀스로 동작하여 다이얼링톤을 송출한다. 여기서, 링신호의 검출이 없는 경우, 제2도와 같은 수순으로 동작하는 이유는 자신이 호출측(전화를 먼저걸어 상대방을 호출한 경우)인 경우, DTMF의 신호에 의해 서어비스를 받기 위함이다. 이러한 서어비스의 종류는 현재 전화 단말기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ARS의 이용 및 페이저 호출등이 그 대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신이 전화를 건 호출자인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동일하게 동작된다.That is, the dial tone is transmitted by operating in the same sequence as in the prior art. Here, if there is no detection of the ring signal, the reason for operating in the same procedure as in FIG. 2 is to receive service by the DTMF signal when the caller (the caller first calls the other party). Such service types are typical of the use of ARS and pager calling, which are currently useful as telephone terminal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er is the caller,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as in the prior art.

만약, 상기 30과정에서 링신호검출회로 14로부터 링검출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회로 18는 제34과정에서 훅크 스위치 26a의 스위칭 상태를 검색하여 오프-훅크의 상태 인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상기 훅크 스위치 26a, 26b들이 온되어 로우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면 오프-훅크의 상태로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 that the ring detec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14, the control circuit 18 searches for the switching state of the hook switch 26a in step 34 to search for the state of off-hook. When the hook switches 26a and 26b are turned on by the user's action in the above state and a low signal is input, the hook switches 26a and 26b are determined to be off-hook.

상기 34과정에서 오프-훅크라고 판단한 제어회로 18는 36과정에서 통화로 제어회로 28를 제어하여 통화회로 20와 정류기 12의 출력을 접속하여 통화로를 접속하고 38과정에서 키패드 16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The control circuit 18, which is determined to be off-hook in step 34,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control circuit 28 in step 36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circuit 20 and the output of the rectifier 12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paths, and in step 38 the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16. Search for if possible.

상기와 같은 상태, 즉, 상대방과 통화중인 상태에서 키패드 16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된다고 38과정에서 판단되면 제어회로 18는 40과정에서 이를 소거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통화중인 상태에서 키패드 16상에 설치된 키가 눌려지더라도 상대방으로는 톤신호가 송출되지 않는다. 즉, 키신호의 입력을 무시하고 40과정에서 훅크 스위치 26b의 스위칭 상태를 검색하여 온-훅크 상태인가를 검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38 that the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16 in the above state, that is, in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e control circuit 18 erases it in step 40. By the above operation, even if a key installed on the keypad 16 is pressed in a call state, the ton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hat is, it ignores the input of the key signal and searches for the on-hook state by search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hook switch 26b in step 40.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여 훅크 스위치 26a가 오프의 상태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42과정의 판단결과 온-훅크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회로 18는 통화제어회로 28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차단하여 통화를 종료시키며, 계속하여 오프-훅크 상태인 경우에는 전술한 36과정으로 반복하여 수행한다.In other words, the user ends the call and searches whether the hook switch 26a is in the off stat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42 is determined to be on-hook, the control circuit 18 controls the call control circuit 28 to terminate the call by cutting off the call path. Perfor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통화중의 상태에서 키패드상의 키가 눌려지더라도 통화중인 상대방으로는 통신호가 송출되지 않음으로써 통화의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give a discomfort to the call by not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call to the other party in the call even if a key on the keypad is pressed in the call state.

Claims (3)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상에 위치된 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톤을 송출하는 다이얼 송출수단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수단을 가지는 전화기의 다이얼 송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링검출과정과, 상기 링검출과정에서 링신호를 검출시에 응답하여 오프-훅크하고, 상기 오프-훅크 이후에 입력되는 키패드상의 키신호를 차단하는 키신호 입력 차단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오류 톤 송출 방지 제어 방법.A dial dispensing control method for a telephone having a keypad and a dial dispensing means for transmitting a dialing tone corresponding to a key located on the keypad, and a r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ing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ring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 ring detection proces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and a key signal input blocking process for off-hooking in response to detecting a ring signal in the ring detection process, and blocking a key signal on a keypad input after the off-hook. Error tone transmission prevention control method of the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신호 입력 차단과정은, 오프-훅크시에 응답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과정과, 상기 키패드로부터의 키신호의 입력상태를 검색하는 키신호 입력 검색 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키신호가 입력시에 이를 무시하고, 전화기의 동작이 오프-훅크 상태인가를 검색하는 오프-훅크 검색과정과, 상기 오프-훅크 검색과정에서 오프-훅크 상태라 판단시까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유지하고, 오프-훅크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로를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오류 톤 송출 방지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 signal input blocking step comprises: a call path forming step of forming a call path in response to off-hook, a key signal input searching step of searching for an input state of a key signal from the keypad; In the searching process, the key signal is ignored at the time of input, the off-hook searching process for search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phone is off-hook, and the off-hook searching process until the off-hook status is determined to be determined.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maintaining the communication path and blocking the communication path in response to an off-hoo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의 링검출이 없는 상태에서 오프-훅크시에 응답하여 상기 키패드상의 키신호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링톤을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오류 톤 송출 방지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dialing tone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key signal on the keypad in response to off-hook in the absence of ring detection from the outside. To control the error tone transmission of the telephone.
KR1019950056565A 1995-12-26 1995-12-26 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KR100195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565A KR100195012B1 (en) 1995-12-26 1995-12-26 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565A KR100195012B1 (en) 1995-12-26 1995-12-26 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023A KR970058023A (en) 1997-07-31
KR100195012B1 true KR100195012B1 (en) 1999-06-15

Family

ID=6661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565A KR100195012B1 (en) 1995-12-26 1995-12-26 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01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023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611B1 (en) Telephone caller selecting circuit
KR900007612B1 (en) Telephone caller displaying system
SE9601364L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ring-voice message in automatic answering machine
KR100195012B1 (en) How to control your phone to prevent error tones
JPS61212990A (en) Extension telephone calling system
KR950007979B1 (en) A long distance dialing controlling system
KR100229724B1 (en) Tap preventing method of keyphone
KR100227728B1 (en) Telephone with secret number function
JP2793202B2 (en) Telephone
KR950010480B1 (en) Keypone system and general phone interface device
KR100206744B1 (en) Telephone for single rectifying circuit
JP2743587B2 (en) Digital telephones and digital key telephones
KR100242698B1 (en) Receiving rejection method using information desk
KR100197058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verting communication path in a telephone
KR100273023B1 (en) Method for selective receiving control of wireless telephone
JPH09181812A (en) Telephone set with tone signa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KR200000401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al in exchange system
KR19990008841U (en) Phone with call failure notification
KR20010001429U (en) Line Securable Telephone used in Parallel Bridge Junction System
KR910016179A (en) Security phone
JP2000156723A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dialing function
KR19990053785A (en) How to check if the incoming call rejection function is registered in the private exchange system
KR19990025964A (en) Prank call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KR970004560A (en) How to send dual tone complex frequency signal i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JP2002077361A (en) Telephone provided with function for displaying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