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417B1 -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417B1
KR100192417B1 KR1019960073516A KR19967003516A KR100192417B1 KR 100192417 B1 KR100192417 B1 KR 100192417B1 KR 1019960073516 A KR1019960073516 A KR 1019960073516A KR 19967003516 A KR19967003516 A KR 19967003516A KR 100192417 B1 KR100192417 B1 KR 10019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tream
data
decoding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417B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MPEG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는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PID스트림들을 트랜스포트 스트림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이 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 출력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역다중화수단; 상기 역다중화수단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2,3,4 디코딩수단; 상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현재 디코딩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스트림 이 외의 스트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코딩하여 전송하는 제1디코딩수단; 상기 일 출력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역다중화부는 하드와이어드 방식으로 구성가능하기 때문에 CPU로 동작되는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에 비해 사이즈도 줄일 수 있으며 디코딩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외부에 구성된 저장부도 버퍼로 이용하므로서 자체구비한 버퍼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본 발명은 MPEG-2 트랜스포트 디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디지탈 처리된 영상과 오디오 등을 매체간에 송수신하는 포맷으로 많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중에서 MPEG2에서 제시된 MPEG2 시스템 파트가 있는데 이는 영상압축과 음성압축된 데이터를 이용하기 편리한 포맷으로 만들어 매체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 한다.
여기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하는데 있어, 상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엔코딩 압축하여 MPEG 트랜스포트 엔코더에서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상기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MPEG 트랜스포트 디코더에서 역 다중화한 후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MPEG비디오/오디오디코더에서 디코딩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상술한 일반적인 MPEG 엔코더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여 MPEG엔코더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엔코더의 구성은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엔코딩하여 각각의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제1, 2 엔코딩부(10, 11); 상기 각 엔코딩부(10, 11)에서 각각 엔코딩되어 출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비트스트림들을 각각 적당한 크기로 패킷화하는 제1, 2 패킷화부(12, 13); 상기 각각 패킷화된 여러 스트림들을 멀티플렉싱하여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만들어 저장 또는 전송하는 다중화부(14)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비디오데이타가 입력되면 제1엔코딩부(10)에서 이 비디오데이타를 압축코딩하여 MPEG 비디오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2엔코딩부(11)에서 이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코딩하여 MPEG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엔코딩부(10)에서 변환된 MPEG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제1패킷화부(12)로 입력되어 이 압축된 비트스트림을 적당한 크기로 패킷화하여 다중화부(1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엔코딩부(11)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오디오 비트스트림은 제2패킷화부(13)로 입력되어 적당한 크기로 패킷화하여 다중화부(14)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렇게 패킷화되어 입력된 비디오및 오디오 스트림들은 다중화부(14)에서 멀티플렉싱되어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변환되어 저장 및 채널을 통해 전송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중화부(14), 즉 트랜스포트 멀티플렉서는 MPEG비디오/오디오 비트스트림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데이터 정보도 멀티플렉싱시킬 수 있다. MPEG이외의 압축코딩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도 멀티플렉싱 하여 하나의 스트림에 저장 및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다. 한 프로그램 즉,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스트림을 선택하여야 한다. 각 스트림에는 이를 위해 특정한 ID가 부여되고 이 ID에 대한 정보가 부가적으로 제공되어야 디코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부가데이타도 상기 다중화부(14)에 의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부가하여 저장 또는 전송되게 되는 것이다.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형적인 MPEG 트랜스포트 디코더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다중화부(14)에서 저장 또는 전송되는 스트림은 특정한 채널 즉, 공중파를 통해 전송되는 스트림 또는 CD-ROM에 저장하였다가 재생하여 제공되는 스트림은 제2도에 도시된 제1디코딩부(20)로 입력된다.
제1디코딩부(20)는 입력되는 채널상의 신호를 튜닝하여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을 하여 트랜스포트 패킷데이타 즉,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변환하여 역다중화부(21)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21) 즉,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Transport Demultiplexer)는 입력되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비디오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제2디코딩부(23) 및 제3디코딩부(24)로 출력한다.
상기 제2디코딩부(23)는 입력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클럭제어부(22)에서 제공되는 출력 타이밍신호에 따라 재생출력한다. 또한, 제3디코딩부(24)는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클럭제어부(22)의 출력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재생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럭제어부(22)는 상기 제2디코딩부(23), 제3디코딩부(24), 역다중화부(21)간의 타이밍을 제어하여 비디오/오디오간의 립 싱크(Lip Sync) 또는 디코딩 속도 등을 조절하여 주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광범위성 및 복잡도로 인해 프로그램 형식의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은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가지로 응용할 수는 있겠으나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로직들 이외에 불필요한 코어(Core)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상기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용 및 저장매체에서의 디코딩에도 적용할 수 있으면서 사이즈도 줄이고 속도도 높일 수 있는 하드 와이어드(Hard-wired) 방식의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를 구성한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MPEG-2의 인코더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코더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역 다중화부에 대한 상세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에러정정부의 입출력포트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싱크 검출부의 내부데이타 포맷을 나타내 도면.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1메모리의 내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3인터페이싱부의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1인터페이싱부의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4인터페이스부의 입출력포트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역 다중화부 200 : 클럭제어부
300 : 제어부 400 : 저장부
500,600,700,800 : 디코딩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의 특징은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PID스트림들을 트랜스포트 스트림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이 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역다중화수단; 상기 역다중화수단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2,3,4디코딩수단; 상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현재 디코딩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스트림 이외의 스트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코딩하여 전송하는 제1디코딩수단; 상기 일 출력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역다중화수단을 하드와이어드 방식으로 구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역다중화수단은 외부 저장부 즉, DRAM도 비퍼로이용하므로서 자체 구비한 버퍼의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수단은 오디오, 부가데이터 디코더 등에 부가되는 메모리를 외부 저장부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비디오/오디오/부가데이타디코더 및 저장부를 구비한 트랜스포트 디코더에 있어서, 에러정정된 트랜스 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스트림을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인터페이싱부; 상기 저장된 스트림에 대한 싱크를 검출하는 싱크검출부; 디코딩할 패킷의 PID 및 디코딩타입을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 상기 검출된 싱크 및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패킷의 PID 및 디코딩타입에 따라 스트림에 대한 헤더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패킷을 검출하는 제1디코더; 상기 제2버퍼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및 부가데이터 PES데이타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러;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3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오디오데이타를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디코더로 인터페이싱하는 제3인터페이싱부; 상기 제2버퍼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선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그대로 출력해 주는 제2인터페이싱부; 상기 각 부의 제어를 위해 외부 콘트롤러와 인터페이싱하는 제4인터페이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역 다중화부에 대한 상세 블록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역 다중화부(100); 상기 역 다중화부(100)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400); 상기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부(300)의 일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2,3,4디코딩부(600,700,800); 상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현재 디코딩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스트림 이외의 스트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전송하는 제1디코딩부(50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역 다중화부(100) 즉,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가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여러 파라메타(Parameter)들을 세팅시켜주고 내부상태 등을 체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역 다중화부(100)는 클럭제어부(200)의 타이밍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여 주고 사용자가 원하는 PID(Packet ID)의 스트림들을 트랜스포트 스트림형태로 출력시켜주기 위해 고속데이타 포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상기 제1디코딩부(500)에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디코딩부(5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제2,3,4디코딩부(600,700,800)에서 전송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즉, 방송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여 시청하고 있는 방송프로그램이 KBS의 일 방송프로그램 이라고 가정하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방송되고 있는 방송 이외의 MBC 또는 SBS 등의 방송신호 즉, 방송프로그램을 VCR에 녹화하고자 할때 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스트림만을 선택 디코딩하여 상기 VCR에 제공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저장부(400)는 DRAM으로 이루어지고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의 일 버퍼로 이용하여 상기 역 다중화부(100)내부에 구성된 메모리의 용량을 줄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역 다중화부(100)는 제4도에 도시되었다.
제4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외부의 에러정정부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는 에러정정 인터페이싱부(101); 상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여 버퍼링하는 제1버퍼(102); 상기 버퍼링된 스트림을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하는 제1인터페이싱부(103);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제어부(300)의 디코딩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통해 저장하는 제2버퍼(105); 상기 제2버퍼(10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에 대한 싱크를 검출하는 싱크검출부(106); 상기 제2버퍼(10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에 대한 헤더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패킷을 검출하는 제1디코더(107); 상기 제2버퍼(10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의 적응필드(Adaption Field)를 검출하여 디코딩하는 제2디코더(109); 비디오와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PES데이타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러(110);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버퍼(113);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의 일부 즉,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는 제1인터페이싱부(103)을 통해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하고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상기 비디오디코더 즉, 제2디코딩부(600)로 인터페이싱하는 제3인터페이싱부(114);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를 읽어와 각각 저장하고 있다가 제3인터페이싱부(114)를 통해 제3도에 도시된 오디오 및 부가디코더 즉, 제3, 4디코딩부(700, 800)로 출력하는 제4, 5버퍼(115, 116); 상기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통해 저장부(400)에 데이터가 쓰여지거나 읽혀질 때 그 데이터 버퍼에 해당하는 스타트, 엔드, 리드, 라이트포인터 등을 저장하는 제3메모리(104); 상기 제1디코더(107)에서 디코딩될 패킷의 PID 및 타입을 저장하는 제1메모리(108);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해 제2인터페이싱부(117); 상기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클럭을 저장하고 있는 제2메모리(111); 상기 제어부(300)에서 제공되는 각 부에 대한 일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제4인터페이싱부(118)로 구성된다.
상기 에러정정 인터페이싱부(101)는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제1버퍼(102)에 저장한다. 이 저장된 스트림들은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통해 저장부(400)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400)는 DRAM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300)의 디코딩신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은 다시 리드(Read)되어 제2버퍼(105)에 저장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 양이 많더라도 상기 저장부(400)에 의해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버퍼(102, 104)를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제2버퍼(105)에 저장된 데이터는 먼저, 싱크검출부(106)에 의해 싱크바이트(sync byte : 0×47)가 검출된다. 여기서, 신뢰할 수 있는 싱크가 검출되면 즉, 188byte 트랜스포트 패킷마다 있는 싱크바이트가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검출되면 제1디코더(107)는 상기 제2버퍼(105)에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헤더를 디코딩하고, 싱크체크가 계속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디코더(107)는 먼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헤더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패킷을 찾아내고 이중 비디오, 오디오, 부가데이타가 아닌경우는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통해 저장부(400)에 저장한다. 이 저장된 데이터들은 제1도에 도시된 제어부(300)의 리드 신호에 따라 리드되어 디코딩될 수 있다.
제2디코더(109)는 ADF(Adaotation Field)를 디코딩하고 필요한 데이터는 역시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통해 저장부(400)에 저장된다. 비디오, 오디오, 부가데이타에 대한 PES데이타는 먼저, 디스크램블러(110)를 통해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된다.
여기서, 채용된 디스크램블링 알고리즘은 DVB(Digital Videl Broadcasting) 디스크램블링이며, KDVB(Korea DVB)에도 채용된 것이다. 이렇게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터는 제3버퍼(112)에 저장되며, 이 저장된 데이터는 제3디코더(113)에 의해 디코딩되어진다. 이 디코딩되어진 PES헤더중 일부는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통해 저장부(400)에 저장된다. 그리고 비디오 비트스트림은 제3인터페이싱부(114)를 통해 제3도에 도시된 비디오디코더 즉, 제2디코딩부(600)로 출력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는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통해 저장부(400)에 저장되었다가 제4, 5버퍼(115, 116)로 읽혀진 후 제3인터페이싱부(114)를 통해 각각 제3도에 도시된 제3, 4 디코딩부(700, 800)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3디코딩부(700)는 오디오 디코더이고, 제4디코딩부(800)는 부가데이타 디코더이다. 이때, 상기 제3, 4 디코딩부(700, 800)에 부가되는 메모리를 없애고 상기 저장부(400) 하나로 통합하여 공용으로 버퍼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3메모리(104)는 제1인터페이싱부(103)을 통해 저장부(400)에 데이터가 리드 및 라이트 될 때 그 데이터 버퍼에 해당하는 시작, 끝, 리드, 라이트포인트 등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메모리(108)는 디코딩할 패킷의 PID 및 타입을 저장하고 있다가 디코딩시 적절하게 상기 제1메모리(108)에 저장된 PID 및 타입에 따라 디코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인터페이싱부(117)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코딩부(500)에 트랜스 포트 스트림을 출력시켜주기 위한 블록으로서, 현재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되고있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타 이외의 다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해주는 것이다.
제3도는 제4도에 도시된 에러정정 인터페이싱부의 입출력포트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싱크 검출부의 내부데이타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1메모리의 내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정정부(101)는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비트 시리얼(Bit Serial) 또는 바이트 페럴렐(byte parallel)로 받아들일 수 있다. 여기서, P/S 모드값이 0 이면 바이트 패럴렐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받아들이고 P/S모드가 1이면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데이타의 LSB로 비트 시리얼 스트림을 받아들이게 된다.
여기서, 제4도에 도시된 싱크검출부(106)에는 싱크 레지스터가 있다. 이때, 트랜스포트 싱크바이트는 0×47이다. 그러나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중에도 0×47이 있기 때문에 싱크로 잘못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잘못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데스트(sync test)를 여러번 수행하여야 한다. 이 싱크 레지스터에는 싱크테스트 횟수와 로스트(lost sync) 횟수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싱크 테스트횟수 만큼 싱크가 맞아야 싱크검출부(106)는 싱크를 검출하고 건트롤을 제1디코더(107)로 넘기는 것이다.
상기 제1디코더(107)는 디코딩을 하면서 매 패킷마다 싱크데이타가 잘 입력되고 있는지 체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싱크가 맞지 않을 경우도 싱크레지스터의 로스트 싱크 횟수만큼 계속 맞지 않는가 조사한 후 계속어긋날 경우 컨트롤을 싱크 검출부(106)에 넘겨 싱크를 다시 정확히 찾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디코딩할 패킷은 제1메모리(108)에 저장된 값 즉, 패킷 PID정보 및 타입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108)에 저장되는 상기 정보들의 일 포맷을 나타낸 레지스터가 도시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N값이 1이면 이 레지스터에 저장된 PID와 같은 패킷은 디코딩된다. 그리고, HI값이 1 이면 이 패킷은 전체가 제2인터페이싱부(117)를 통해 제1디코딩부(500)로 출력된다. 이러한 PID 레지스터는 0 부터 31까지 32가 있다. 따라서 32개의 PID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FORM값은 디코딩 타입을 결정하는데 비디오/오디오/부가데이타인 경우는 PES 패킷전체를 전송할 것인가 PES 페이로드(Payload)만 전송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그 외의 경우는 트랜스포트 페이로드가 PES 포맷인가 PSI포맷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4도의 제2메모리(111)는 8쌍의 컴몬 키(Common Key)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제7도의 CKP는 이 8쌍중 어느키를 디스크램블러(110)에 사용할 것인가를 세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트랜스포트 역 다중화부(100)는 최대 8개의 PID패킷을 디스크램블링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것이다.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3인터페이싱부의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9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1인터페이싱부의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트랜스포트 역 다중화부(100)는 인터페이스를 줄이기 위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c-data(decoder data)의 8비트를 비디오/오디오/부가데이타 디코더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3, 4 디코딩부(600, 700, 800)에 공통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오디오/부가데이타에 대한 스트림은 상기 dec-data에 멀티플렉싱 되어 각각 디코더(600, 700, 800)로 출력된다.
각 데이터의 전송은 vid-strb, aud-strb, aux-strb에 의해 이루어진다.
오디오 디코더 즉, 제3디코딩부(700)의 경우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위해 aud-serial단자를 별도로 갖는다. 이때, 레지스터 세트에 따라 시리얼 모드로 전송을 원할 경우 상기 aud-serial로 aud-strb에 따라 전송된다. 그리고, 트랜스포트 역 다중화부(100)는 제어부(300)가 제2, 3, 4디코딩부(600, 700, 8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역할도 한다. 이때의 데이터 송수신은 제8도에 도시된 dec-data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9도는 제1인터페이싱부(103)를 나타낸 블록으로서 저장부(400)의 확장을 위해 ras를 두 개 두고 있다. 제어부(300)의 리드/라이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부(300)의 메모리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에 별도의 메모리를 두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제10도는 제4인터페이싱부(118)의 입출력포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8 비트 마이콤 및 16비트 마이콤을 모두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16/8 모드로 세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는 하드와이어드 방식으로 구성가능하기 때문에 CPU로 동작되는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에 비해 사이즈도 줄일 수 있으며 디코딩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는 외부에 구성된 저장부도 버퍼로 이용하므로서 자체구비한 버퍼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PID스트림들을 트랜스포트 스트림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이 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역 다중화수단; 상기 역 다중화수단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2, 3, 4 디코딩수단; 상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현재 디코딩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스트림 이 외의 스트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코딩하여 전송하는 제1디코딩수단; 상기 일 출력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DRAM으로 구성되어 비디오/오디오데이타의 버퍼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화수단은 하드와이어드(Hard-Wired) 방식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의해 상기 제2, 3, 4 디코딩수단에 부가되는 메모리를 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5. 비디오/오디오/부가데이타디코더 및 저장부를 구비한 트랜스포트 디코더에 있어서,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스트림을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인터페이싱부; 상기 저장된 스트림에 대한 싱크를 검출하는 싱크검출부; 디코딩할 패킷의 PID 및 디코딩타입을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 상기 검출된 싱크 및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패킷의 PID 및 디코딩타입에 따라 스트림에 대한 헤더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패킷을 검출하는 제1디코더; 상기 제2버퍼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PES데이타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러;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3디코더; 상기 제2버퍼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중 원하는 스트림을 전송해주는 제2인터페이싱부; 상기 제3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비디오/오디오/부가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제3인터페이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싱부는 상기 저장부의 확장을 위해 ras를 두 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싱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트림을 리드 및 라이트가 가능하여 메모리로 이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싱부는 디코딩데이타(dec-data) 8비트를 상기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데이타 디코더에 공통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싱부는 오디오디코더로 시리얼 인터페이싱을 위해 오디오 시리얼단자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정 인터페이싱부는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비트 시리얼 또는 바이트 페럴렐로 입력받을 수 있는 P/S 모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S 모드값이 0 이면 바이트 페럴렐로 1 이면 비트 시리얼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KR1019960073516A 1996-12-27 1996-12-27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KR10019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516A KR100192417B1 (ko) 1996-12-27 1996-12-27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516A KR100192417B1 (ko) 1996-12-27 1996-12-27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2417B1 true KR100192417B1 (ko) 1999-06-15

Family

ID=1949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516A KR100192417B1 (ko) 1996-12-27 1996-12-27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674B1 (ko) * 2001-05-24 2004-06-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피씨엠 데이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674B1 (ko) * 2001-05-24 2004-06-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피씨엠 데이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6432B1 (en) MPEG II system with PES decoder
CN100397884C (zh) 数字信号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US6681362B1 (en)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video signals
EP1111935A1 (en) Multimedia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method
JPH11150564A (ja) 多重符号化画像音声データの受信装置
KR19980054368A (ko)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KR100555658B1 (ko) 스트림 디코드 장치
US6018369A (en) Video decoder with closed caption data on video output
JP3429652B2 (ja) ディジタル符号化多重化装置
JP4190594B2 (ja) 電子機器及び信号処理方法
KR100192417B1 (ko)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JPH11205789A (ja) Mpeg2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伝送レート変換装 置
JP200006945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705043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tream of data
KR20070078621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CN100534160C (zh) 数字信号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JP2001111610A (ja) 情報データ伝送システムの受信装置
JPH11340936A (ja) データ多重化方法及び装置
JPH08275147A (ja) 符号化画像・音声データの受信装置
KR100595155B1 (ko) 디지털 방송신호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JPH11340935A (ja) データ多重化装置及び方法
JP2000049726A (ja) 多重化装置及び方法
GB2336276A (en) Protocol conversion
JPH10243394A (ja) Mpegデータ処理回路
KR100190605B1 (ko) 느린 재생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위성 영상수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