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771B1 - Refrigerat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Refrigerat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771B1
KR100191771B1 KR1019960015337A KR19960015337A KR100191771B1 KR 100191771 B1 KR100191771 B1 KR 100191771B1 KR 1019960015337 A KR1019960015337 A KR 1019960015337A KR 19960015337 A KR19960015337 A KR 19960015337A KR 100191771 B1 KR100191771 B1 KR 10019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s
composite material
fibers
rails
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74597A (en
Inventor
김용문
Original Assignee
김용문
현대우주항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문, 현대우주항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용문
Priority to KR101996001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771B1/en
Publication of KR97007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5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77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2Laminat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컨테이너(Reefer Container)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 자체의 중량을 가볍게 하고, 운용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피로도가 축적되지 않으며, 해수 등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냉동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ed container (Reefer Contain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tself, fatigue does not accumulate in the load generated during operation, to provide a refrigerated container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orrode by sea water, etc. There is a purpose.

이같은 본 발명은, 패널류, 레일류, 프레임류 및 도어조립체가 각각 다층구조를 이루는 복합소재 단독형태, 다층구조를 이루는 복합소재와 스틸류의 적층형태, 다층구조를 이루는 복합소재와 포옴의 적층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소재는 직물상 유리섬유, 로빙상 유리섬유, 직물상 카본섬유, 로빙상 카본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이 다층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the rail, the frame and the door assembly, the composite material alone forms a multi-layer structure, the multilayer material composite and steel laminates, the composite material and the foam of a multi-layer laminated structure It is composed of any one structure selected from the form, the composit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woven glass fiber, roving glass fiber, woven carbon fiber, roving carbon fiber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

Description

냉동 컨테이너Refrigerated containers

본 발명은 냉동 컨테이너(Reefer contain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경량화를 추구하면서도 하중에 대한 피로도가 축적되지 않으며 부식이 쉽게 일어나지 아니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냉동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zing container (Reefer container), and in particular to a lightweight container using a 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but to a durable refrigeration container that does not accumulate fatigue fatigue load does not easily occur.

일반적인 냉동 컨테이너 구조는, 기본적으로 전후방에 프레임이 지지되고, 각각의 프레임 모서리 간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연결되며, 양측의 레일 사이에 사이드 패널이 결합되고, 상부에 루프 패널이 결합되며, 바닥에는 베이스조립체 위에 서브 플로어 패널과 냉동기류 유동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T플로어가 층을 이루며 결합되고, 후방에는 2짝으로 이루어진 도어조립체가 여닫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다.In general refrigeration container structure, the frame is basically supported in front and rear, between the frame edge between th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side panel is coupled between the rails on both sides, the roof panel is coupled to the top, At the bottom, a subfloor panel and a T-floor for forming a refrigerator airflow space on the base assembly are coupled in layers, and a rear door assembly composed of two pairs is hinged to the fram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즉, 하나의 냉동 컨테이너를 이루는 부재들은 크게 나누어 볼 때, 패널류, 레일류, 프레임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를 제1도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when the members constituting one refrigerated container are divided into panels, rails, and frames when largely divid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상기 패널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1')과, 루프 패널(2) 및 서브 플로어 패널(3)로 이루어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nel includes a side panel 1 (1 '), a roof panel 2, and a sub floor panel 3.

상기 레일류는, 사이드 패널(1)(1')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루프 패널(2)과 사이드 패널(1)(1') 및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사이드 탑 레일(Side top rail)(4)(4')과; 상기 사이드 패널(1)(1')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베이스조립체(10)와 사이드 패널(1)(1') 및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사이드 버텀레일(Side bottom rail)(5)(5'); 그리고, 바닥의 서브 플로어 패널(3) 하부에서 터널 볼스터(6)와 터널(6a)간에 일체를 이루며 결합되는 터널 볼스터(Tunnel bolster)(6)와; 바닥의 서브 플로어 패널(3) 위에서 냉동기류 유동공간을 형성하면서 화물을 받칠 수 있도록 부착되는 T플로어(T-floor)(7); 바닥의 서브 플로어 패널(3) 하부에서 터널(6a)의 양측에 일체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아웃트리거(Outrigger)(8); 및 바닥의 서브 플로어 패널(3) 하부에서 서브 플로어 패널(3) 및 T플로어(7)를 받치고 있는 베이스조립체(10)의 한 부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크로스 멤버(9)로 이루어진다.Said rails are side top rails which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panels 1 and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joining the roof panel 2 and the side panels 1 and 1' and the frame. (4) (4 '); Side bottom rails (5) for coupling the base assembly 10, the side panel (1) (1 ') and the frame by being f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side panel (1) (1') (5 '); And, Tunnel bolster (6) which is integrally coupled between the tunnel bolster 6 and the tunnel (6a) in the lower sub-floor panel (3); A T-floor 7 attached to support the cargo while forming a refrigerator flow space on the bottom sub-floor panel 3; An outrigger 8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unnel 6a under the subfloor panel 3 at the bottom; And a cross member 9 configured to form a part of the base assembly 10 supporting the subfloor panel 3 and the T floor 7 below the subfloor panel 3 at the bottom.

상기 프레임류는, 리어(후방) 프레임의 후방측 모서리에서 지주를 형성하는 리어 코너 포스트(Rear corner post)(14)(14')와; 리어 프레임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도어 씰(Door sill)(15)과; 리어 프레임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도어 헤더(Door header)(16); 및 프론트(전방) 프레임의 전방측 모서리에서 지주를 형성하는 프론트 코너 포스트(Front corner post)(17)(17')와; 프론트 탑 프레임(Front top frame)(18); 그리고 프론트 버팀 레일(Front bottom rail)(19);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도면번호 11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12는 리어 프레임 조립체, 그리고, 13은 도어 조립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The frame includes: rear corner posts (14, 14 ') forming posts at the rear edges of the rear (rear) frames; A door seal 15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door header 16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ront corner posts 17 and 17 'forming posts at the front edges of the front (front) frame; A front top frame 18; And a front bottom rail 19; Etc. Here,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front frame assembly, 12 a rear frame assembly, and 13 a door assembly.

냉동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상기 레일류, 프레임류, 패널류 등은 그 각 부분이 알루미늄 압출물이나 스틸류 등으로 구성되어 왔다.The rails, frames, panels,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refrigeration container have been composed of aluminum extrudates, steels, and the like.

즉, 레일류중 사이드 탑 레일, 사이드 버텀 레일, T플로어, 그리고 크로스멤버 등은 알루미늄 압출물로 이루어져 있고, 볼스터, 아웃트리거 등은 스틸 압출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류는 모든 주조물을 포함하는 스틸류로 이루어져있는 것이었다.That is, among the rails, the side top rail, the side bottom rail, the T floor, and the cross member are made of aluminum extrudates, and the bolster and the outrigger are made of steel extrudates, and the frames include all castings. It was made of steel.

상기 패널류에서 사이드 패널(1)(1')과 루프 패널(2)은, 여러 장의 알루미늄판(skin)을 적층시켜 외면을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판과 판 사이는 종재(Stringer)에 리벳팅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는 여러장의 스테인리스 스틸판이 용접되어 내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In the above panel, the side panels 1, 1 'and the roof panel 2 form an outer surface by laminating several sheets of aluminum skin, and the rivets are stringers between the plates and the plates. It is connected by the casting, and the inside of the several stainless steel plate is welded to form an inner surface.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외면과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내면 사이에는 단열재인 폴리우레탄 포옴이 후발포 방식으로 채워짐으로써 샌드위치 패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And, between the outer surface made of the aluminum plate and the inner surface made of the stainless steel plate is to form a sandwich panel by filling the polyurethane foam as a post-foaming method.

또한, 상기 서브 플로어 패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으로 외면을 이루고, 그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보장용 목재가 올려지며, 그 상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T플로어가 올려지는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판으로 아루어진 외면과 상기 T플로어 사이에는 폴리우레탄 포옴이 후발포 방식으로 채워지는 구성을 이룬다.In addition, the sub-floor panel,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plate, a plurality of guarantee woo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aluminum T floor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T floor is formed a polyurethane foam is filled in a post-foaming manner.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냉동 컨테이너는, 알루미늄 압출물이나 스틸류를 주된 소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 자체의 중량이 지나치게 많이 나가고,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쉽게 부식되며, 운용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피로도가 축적되어 내구성을 크게 떨어트리는 중대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ion container uses aluminum extrudates or steels as the main materials, the container itself weighs too much, is easily corroded by contact with seawater, and fatigue due to the load generated during operation. Has accumulated and has shown a significant problem of greatly reducing durability.

다시말해, 종래의 냉동 컨테이너에 있어서 패널류들은, 표면판이 스틸로 제작됨으로써 중량이 많이 나가고, 표면판의 여러곳을 리벳팅이나 용접으로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며, 결합부위에서 부식 및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인 표면판과 단열재인 폴리우레탄 포옴과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오랫동안 접착될 수 없는 이질성을 보이게 됨으로 인해서 운용중에 온도차, 외부열, 하중 및 외부 충격 등에 의한 박리현상이 진행되어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단열효과 또한 현저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것이었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ion container, the panels are heavy because the surface plate is made of steel, and many parts of the surface plate must be assembled by riveting or welding. It is a problem that breakage frequently occurs, and surface plates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and polyurethane foams that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can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exhibit heterogeneity that cannot be bonded for a long time. The peeling phenomenon was progressed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external heat, load and external impact, and the strength wa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상기 표면판의 소재가 열전도율이 비교적 높은 스틸류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냉동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폐단과 함께, 해수등에 노출될 경우 쉽게 부식되는 것이어서 외부의 충격 또는 부식에 의한 국부적인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부분적인 보수가 불가능하여 패널 전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surface plate is made of steel or aluminum, which has a relatively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easily corroded when exposed to seawater, with a closed end that greatly reduces refrigeration efficiency, resulting in local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or corrosion. Even if it is, even if the partial repair is not possible, the economical problem that is forced to replace the entire panel is occurring.

이러한 문제점들은 패널류 이외에도 레일류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서브 플로어 패널과 사이드 패널 및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사이드 버텀레일의 경우는, 알루미늄 압출물로서형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 자체중량을 모두 지지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차량의 운용중 발생되는 진동이나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거나 심한 경우 프레임류와의 체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었고, 또한 상기 사이드 버텀레일의 경우 컨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해수에 쉽게 노출되는 까닭에 집중적으로 부식이 발생되어 국부적인 손상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se problems are widespread in rails as well as panel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ide bottom rail which joins a sub floor panel, a side panel, and a frame, as an aluminum extrudate Because of its cross-sectional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support all of the container's own weight, which causes deformation or damage in case of severe damage due to vibration or load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side bottom rail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since it is easily exposed to seawater, corrosion occurs intensively,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acts as a major threat to the stability of the container despite local damage.

또한, 프레임조립체(11)(12)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스틸로 제작되는 상기 프레임류에 있어서는, 프레임조립체의 지주인 프론트 코너포스트나 리어 코너포스트가 컨테이너의 하중을 담당하는 주요부재로서 두께가 두꺼운 스틸류를 용접하여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어서, 컨테이너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중대한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금속소재인 스틸이 극고온, 극저온 해수 등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이들 부재 역시 변형 및 부식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취약점을 보이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 frames made of steel as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frame assemblies 11 and 12, the front corner post and the rear corner post, which are the pillars of the frame assembly, are thick as the main members responsible for the load of the container. Since steel is welded to form a structure, it acts as a significant cause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tself, and these members are also deformed and corroded by being exposed to harsh environment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cryogenic seawater. This intensive vulnerability has been show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테이너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줄여 경량화를 기하고, 운용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피로도의 축적을 억제하며, 또한 해수등에 의한 부식요인을 배제시켜 내구수명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복합소재를 이용한 고강도의 냉동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ignificantly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tself to reduce the weight, to suppress the accumulation of fatigue against the load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also to eliminate the corrosion factors caused by seawater, etc.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high-strength refrigerated container using a composite material with a markedly improved lif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이동중 자체중량으로 인한 진동 및 하중을 받더라도 사이드 버텀 레일의 파열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안정성이 증대된 냉동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ed container having increased stability that does not cause rupture of the side bottom rail even when subjected to vibration and load due to its own weight during container mov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열이나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한 박리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열전도율이 비교적 낮으며,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파손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는 유지 보수가 극히 용이한 냉동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enance, which does not cause delamination due to external heat, load or impact, and has a relatively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selectively repairs and replaces only the broken part when local damage occurs. An extremely easy refrigeration container is provided.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냉동 컨테이너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ed contai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절개한 본 발명의 리어 코너포스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corner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을 절개한 본 발명의 패널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을 절개한 본 발명의 사이드 버팀레일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brace 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제5도는 제1도의 Ⅴ-Ⅴ선을 절개한 본 발명의 프론트 코너 포스트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corner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1; FIG.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널류, 레일류, 프레임류 및 도어조립체가 각각 다층구조를 이루는 복합소재 단독형태, 또는 다층의 복합소재와 스틸류의 적층형태, 다층의 복합소재와 포옴의 적층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류는,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에 각각 한겹의 직물섬유를 포갠 상태에서 섬유실로 꿰매고, 그 외면에 로빙상의 유리섬유와 직물상의 유리섬유가 상호 교차되며 반복하여 층을 이루도록 적층하여 복합소재와 포옴의 적층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레일류는, 보빈에 감겨있는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를 각기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하여 층을 이루도록 적층하되 하중을 받는 심부에는 직물상의 카본섬유와 로빙상의 카본섬유를 여러겹으로 적층하고, 이를 열경화성수지에 함침하여 복합소재 단독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류는, 스틸의 외면에 여러겹의 유리섬유와 심부를 구성하는 카본섬유, 그리고 그 위에 적층되는 여러겹의 유리섬유를 차례로 감싼 상태에서 경화시켜 복합소재와 스틸류의 적층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nel, rails, frames and door assembly, the composite material alone form a multi-layer structure, or the multi-layered composite material and steel, laminated form, multilayer composite The panel is made of any one member selected from a laminated form of a material and a foam, and the panels are sewn in a fiber thread in a state where a single layer of fabric fibers are wrapped on both sides of the slice foam,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lass fiber and fabric of the roving shape The glass fibers cross each other and are repeatedly laminated to form a layer to form a laminated material of a composite material and a foam; The rails are arranged to form a layer by arranging each of the fabric glass fibers and roving glass fibers wound on the bobbin to repeat each other, but a plurality of layers of fabric carbon fibers and roving carbon fibers are laminated on the core part under load.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to form a composite material alone; The frame is composed of a laminated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and steel by curing in a state of wrapping a plurality of glass fibers and a carbon fiber constituting the co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and a plurality of glass fibers stacked on it in turn.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직물상, 유리섬유와 직물상 카본섬유는, 직포, 부직포 및 다발형태로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직포상의 매트로 하는 경우에는 인장력 작용시에 방향성을 갖는 직포상의 매트보다도 교차방향과 대각선방향 등 여러 방향으로 고른 인장력을 갖도록 하는데 보다 유리하다.The woven, glass fibers and woven carbon fibers include those that are positioned in the form of woven fabrics, nonwoven fabrics, and bundles. In the case of a nonwoven mat, it is more advantageous to have an even tensile force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a cross direction and a diagonal direction than a woven mat having directivity when a tension force is applied.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냉동 컨테이너의 각 부분이 다층구조를 이루는 복합소재 단독으로, 또는 스틸류와 포옴 등과 일체로 스티칭공법에 의하여 성형되거나, 오토크레이브공법 혹은 펄트루젼공법에 의하여 성형되므로서, 비중이 낮아져 자체중량이 크게 경량화되고, 부식이 없이 내구성이 현저히 증대되며, 소망의 탄성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므로 피로도의 축적이 없는 우수한 물성을 갖는 냉동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part of the freezing container is formed by the stitching method alone, or integrally with the composite material forming a multi-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steels, foams, or the like, or by the autoclaving method or the pulverization method. Since the specific gravity is lowered, the weight is greatly reduced, the durability i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out corrosion, and the desired elasticity is retained.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eezing container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without accumulation of fatigue.

이러한 본 발명은 또한, 패널이 표면열 흡수를 억제하고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져 냉동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것이며, 외표면이 복합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국부적으로 파손 또는 손상이 일어났을 경우라 할지라도 그 손상부분을 수지코팅 후 열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성형공정 후에 용접공정이 없으므로 조립 및 부분적인 교체가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suppresses the surface heat absorption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very low, so that the refrigerating efficiency is remarkably increased, and even if the external surface is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even if local breakage or damage occurs The parts can be easily repaired by a method such as heat treatment after resin coating, and there is no welding process after the molding process, so that assembly and partial replacement can be made very easily.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에 이용된 섬유의 결합구조는, 직물상의 섬유와 로빙상의 섬유가 이용된다. 상기 직물상 구조는 각 섬유가 규칙적으로 교차되며 결합된 것으로 장력이나 강도 등이 사방으로 균일한 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로빙상 구조는 주 섬유들을 일방향으로 배열한 것으로 주 섬유 방향으로는 강한 장력 및 강도를 갖으나 주 섬유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장력 및 강도가 매우 약한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상기 로빙상의 섬유와 직물상의 섬유가 상호 교차되며 층을 이루도록 적층시킴으로써, 상호 긴밀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전체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fibers used in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bers of a fabric and fibers of a roving are used. The fabric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each fiber is intersected and bonded regularly, and exhibits uniform properties in all directions such as tension and strength. The roving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main fiber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has a strong tension and str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fiber. Howev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fiber, the tensile and strength properties are very weak. Therefore,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that the roving-like fibers and the fabric-like fibers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nd laminated to form a layer, so as to be closely bonded to each other and to improve the overall strength.

그리고, 상기 복합소재를 구성하는 섬유는, 직포, 다발 및 부직포상태로 이용된다. 상기 직포상태란 직선상태인 다수의 섬유실을 하나의 묶음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하고, 상기 다발상태란 다수의 섬유실을 꼬아서 하나의 묶음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하며, 부직포상태는 정리되지 않은 채 무질서하게 엉클어져 있는 섬유를 일정 두께로 압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The fibers constituting the composite material are used in woven, bundled and nonwoven fabrics. The woven state refers to using a plurality of fiber yarns in a straight state in a bundle, the bundle state refers to using a bundle of a plurality of fiber yarns in a bundle, the non-woven state is disorderly entangled without being organized It refers to the use of compressed fibers with a certain thickness.

상기에서 부직포상태의 섬유는 제작이 간단하나 강도 및 외관이 나쁘고, 다발상태의 섬유는 강도는 우수하나 외관이 나쁜 단점을 갖으며, 상기 직포상태의 섬유는 외관이 매끄럽고 미려하나 상기 다발상태의 섬유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The non-woven fiber is simple to manufacture, but the strength and appearance is bad, the fiber in the bundle state has a good strength, but the appearance is bad, the fiber in the woven state is smooth and beautiful appearance but the fiber in the bundle state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ength is inferior.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소재 제작시, 내측면은 상기 다발상태의 섬유를 이용하여 최대한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하고, 최외면은 상기 직포상태의 섬유실을 이용하여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 composit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inner surface to have the highest strength using the fiber in the bundle state, the outermost surface to have a beautiful appearance using the fiber yarn in the woven state. will b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냉동 컨테이너의 전체 구조는 제1도를 참조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refrigeration container is referred to FIG.

본 발명의 냉동 컨테이너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류는 스틸의 외면에 복합소재가 적층되어 오토크레이브 공법으로 성형된다.In the freezing contain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s are molded by an autoclave method by laminating composite materials on the outer surface of steel.

상기 오토크레이브(Autoclave)공법은, 직물로 된 유리섬유 또는 카본섬유를 수지에 함침하여 일정조건에서 만든 매트를 이용하는데, 이 매트는 수지가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경화된 반제품으로 이 반제품을 여러 겹으로 적층하고 전공상태의 가열솥에 넣어 일정시간(예: 150분)동안 약 1.5kg/㎠의 압력과 130℃정도의 온도를 가해 융착시켜 완제품을 얻는 공법이다.The autoclave method, using a mat made from a certain condition by impregnating a glass fiber or carbon fiber made of fabric into a resin, the mat is a semi-finished product hardened so that the resin does not flow down in multiple layers Lay it and put it in a heated cooker in a major state and apply it at a pressure of about 1.5kg / ㎠ and a temperature of about 130 ℃ for a certain time (for example, 150 minutes) to get the finished product.

상기 프레임류인 프론트 프레임조립체와 리어 프레임조립체에서 메인 프레임부분은 공히 4개의 코너 캐스팅과 스틸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용접한 후, 상기 스틸프레임의 외면에 복합소재를 다층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복합소재는, 상기 스틸 프레임의 외면에 여러겹의 유리섬유, 여러겹의 카본섬유 및 여러겹의 유리섬유를 차례로 감싼 상태에서 경화시킴으로써 구조물이 완성된다.The main frame portion in the front frame assembly and the rear frame assembly, which are the frames, forms a structure in which four corner castings and a steel frame are integrally welded, and then a composite material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in a multi-layer. At this time, the composite material, the structure is completed by curing in a state of wrapping a plurality of glass fibers, a plurality of carbon fibers and a plurality of glass fibers in tu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제2도는 복합소재로 구성된 구조물의 적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도의 Ⅱ-Ⅱ선 단면인 리어 코너포스트(14)(14')를 부분 확대한 것이며, 이들에 대한 소재는 하기의 표 1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amination form of a structur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which is a partial enlargement of the rear corner posts 14 and 14 ', which is a cross-section of the II-II line of FIG. It is shown in 1 specifically.

도면에서, P01, P02은 직물상 직포유리섬유(glass cloth)를, P02, P04, P06, P15, P19는 직물상 다발유리섬유(glass roving cloth)를, P03, P05, P16, P18은 로빙상 유리섬유(glass UD-roving)를, P07, P09, P12, P14는 로빙상 카본섬유(carbon UD-roving)를, 그리고, P08, P10, P11, P13은 직물상 카본섬유(carbon cloth)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UD는 일방향(unidirection)을 뜻하며, 도면중 확대부에서는 복합소재의 구성을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스틸(S)의 단면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In the figure, P01 and P02 are woven glass cloth, P02, P04, P06, P15 and P19 are woven glass roving cloth, and P03, P05, P16 and P18 are roving Glass UD-roving, P07, P09, P12 and P14 are roving carbon fiber, and P08, P10, P11 and P13 are woven carbon cloth. It is shown. In the above, UD means unidirection, and the enlarged part of the drawing omits a cross section of the steel S in order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detail.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직물상의 유리섬유는 0.45mm 두께의 것을, 로빙상의 유리섬유는 0.8mm 두께인 것을, 직물상의 카본섬유는 0.14mm 두께의 것을, 그리고 로빙상의 카본섬유는 0.2mm 두께의 것을 이용하였다.An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fiber on the fabric is 0.45mm thick, the roving glass fiber is 0.8mm thick, the carbon fiber on the fabric is 0.14mm thick, and the roving carbon fiber is 0.2 mm thick ones were used.

즉, 상기 리어 코너포스트(14)(14')는, 스틸(S)의 외면에 다층의 복합소재(P20∼P01)가 적층시킨 다음 이를 오토크레이브 공법으로 경화시키게 되는데, 상기 복합소재는, 스틸(S)의 외면에 다층의 유리섬유(P20∼P15)가 차례로 적층되고, 그 위에 다층의 카본섬유(P14∼P07)가 차례로 적층되어 복합소재의 심부를 이루며, 그 위에 다층의 유리섬유(P06∼P01)가 차례로 적층되어 최외면을 이룬다.That is, the rear corner posts 14 and 14 'are laminated with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s P20 to P0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S, and then hardened by the autoclave method. Multi-layered glass fibers (P20 to P15)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S), and multi-layered carbon fibers (P14 to P07) are sequentially stacked thereon to form the core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the multi-layered glass fibers (P06) thereon. P01)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the outermost surface.

상기 확대부중 상측 개방부 측의 유리섬유(P20a∼P15a)와 카본섬유(P14a∼P11a)는 별도의 틀을 이용하여 적층시킨 후 결합된다.Glass fibers (P20a to P15a) and carbon fibers (P14a to P11a) on the upper open side of the enlarged portion are laminated after being laminated using a separate mold.

제5도는 프론트 프레임조립체(11)중 지주를 형성하는 프론트 코너포스트(17)(17')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도의 Ⅴ-Ⅴ선을 취한 단면도로서, 스틸구조물(105)의 외면을 다층의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소재(106)가 감싸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복합소재(106)는 상기 스틸 구조물(105)에 다층의 유리섬유, 다층의 카본섬유 그리고 다층의 유리섬유를 차례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오토크레이브 공법으로 경화시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2도와 같은 층을 이루도록 구성된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1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corner posts 17 and 17 'forming the struts in the front frame assembly 11, and shows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structure 105. FIG.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wrapped around the composite material 106 made of a multi-layer fiber. Even in this case, the composite material 106 is hardened by an autoclave method in a state in which multilayer glass fibers, multilayer carbon fibers, and multilayer glass fiber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teel structure 105 to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second layer. It is configured to form the same layer.

상기에서 복합소재의 심부에 카본섬유를 적층시켜 구성한 것은, 카본섬유가 유리섬유에 비해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하나 가격이 고가이므로 주요 하중을 담당하는 심재부위의 일부분에만 사용한 것이다.The carbon fiber is laminated to the core of the composit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carbon fiber is superior in strength and rigidity to glass fiber, but the price is high, so it is used only in a part of the core material responsible for the main load.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복합소재를 이용한 각각의 구성부재들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n,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member using the composite material as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프레임조립체의 구성;The construction of the frame assembly;

4개의 코너 캐스팅과 6mm 두께의 스틸을 일체로 용접하고, 각 스틸의 외면에 다층의 복합소재로 여러겹 적층시킨 다음, 이를 오토크레이브 공법으로 경화시켜 프레임조립체를 완성하였다.Four corner castings and 6 mm thick steel were welded integrally,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steel in multiple layers of composite material, and then hardened by autoclave to complete the frame assembly.

[실시예 1]Example 1

상기 스틸 표면에 유리섬유들을 20층으로 적층하되,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가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시킴으로써 12.5mm 두께를 갖는 복합소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작된 프레임은 종래의 스틸 프레임과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2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20 layers of glass fibers were laminated on the steel surface, and the composit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12.5 mm was formed by repeatedly arranging the glass fibers on the fabric and the glass fibers on the roving. The frame produced by Example 1 exhibited the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2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eel frame.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스틸 표면에 유리섬유 6층, 카본섬유 8층 그리고, 유리섬유 6층을 차례로 적층하되, 직물상의 섬유와 로빙상의 섬유가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시킴으로써 8.86mm 두께를 갖는 복합소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작된 프레임은 종래의 스틸 프레임과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2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6 layers of glass fibers, 8 layers of carbon fibers, and 6 layers of glass fibers we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and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8.86 mm was formed by repeatedly arranging the fabric fibers and the roving fibers. The frame produced by Example 2 exhibited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2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eel frame.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스틸 표면에 유리섬유 8층, 카본섬유 4층 그리고, 유리섬유 8층을 차례로 적층하되, 직물상의 섬유와 로빙상의 섬유가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시킴으로써 10.68mm 두께를 갖는 복합소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 의하여 제작된 프레임은 종래의 스틸 프레임과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2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On the surface of the steel, 8 layers of glass fibers, 4 layers of carbon fibers, and 8 layers of glass fibers were sequentially stacked, and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10.68 mm was formed by repeatedly arranging the fibers of the fabric and the fibers of the roving. The frame produced by Example 3 exhibited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2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eel frame.

상기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프레임조립체를 구성하는 스틸 단일체보다 향상된 강도를 갖기 위하여는, 20층으로 적층된 복합소재중 적어도 8층이상의 카본섬유가 심부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부피비율로 관찰하는 경우 복합소재 전체에 대하여 15%의 두께층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했다.As can be seen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in order to have improved strength than the steel monolith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frame assembly,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8 or more carbon fibers are laminated at the core of the composite material laminated in 20 layers. When observing this in the volume ratio, it was desirable to maintain 15% of the thickness of the entire composite material.

이러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레임은, 냉동 컨테이너 전체의 중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데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고, 내식성, 진동 감쇄성 및 방음성에 있어서도 월등히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rames made of such composites were playing a dominant role in significantly reducing the weight of the entire refrigerated contain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rames exhibited much improved effects in corrosion resistance, vibration damping and sound insulation.

-냉동 컨테이너용 패널류의 구성;Composition of panels for refrigerated containers;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컨테이너의 패널류는,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 외면에 각각 한층의 직물섬유(유리섬유)를 포갠 상태에서 섬유실로 꿰매고, 그 양측 외면에 각기 여러겹의 유리섬유를 적층한 다음, 이를 오토크레이브공법으로 일체 성형된 한 장의 샌드위치 패널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Panels of the refrige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lice foam is sewn in a fiber yarn in the state of embedding one layer of fabric fibers (glass fiber), respectively,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s of a plurality of glass fibers, then One sandwich panel integrally molded by the autoclave method is preferably used.

상기 슬라이스 포옴은,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포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측 외면에 직물상의 유리섬유를 한층씩 포갠 상태에서 섬유실로 지그재그로 꿰매는 일명 스티칭(Stitching)공법이 이용된다.As the slice foam,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urethane foam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ng property, and a so-called stitching method is used in which both sides of the fabric are stitched in a zigzag with a fiber thread in a state where fabric glass fibers are layered one by one.

상기에서 패널류를 오토크레이브공법으로 성형한 이유는, 한 장으로 일체 성형된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함으로써 넓은 폭과 긴 길이를 갖는 패널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panel is molded by the autoclave method is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panel having a wide width and a long length by manufacturing a sandwich panel integrally molded into one sheet.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패널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도의 Ⅲ-Ⅲ선을 취한 측단면도로서, 슬라이스 포옴(102)의 양측 외면에 한 장씩의 유리섬유(112)를 포갠 상태에서 섬유질(101)로 군데군데 꿰매어 슬라이스 포옴(102)의 형상을 고정시키고, 양측의 각 유리섬유(112) 외면에 복합소재(C)를 적층시킨 다음, 오토크레이브공법으로 경화시켜 일체로 성형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panel using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heet of glass fiber (on each side of the slice foam 102) 112 is sewn in place with fibers 101 to fix the shape of the slice foam 102, and laminated the composite material (C)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glass fiber 112 on both sides, and then hardened by the autoclave method It is shown to be molded integrally.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동 컨테이너의 패널류는, 큰 하중을 받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복합소재(C)는 유리섬유만의 적층으로 충분하며, 이때, 상기 복합소재(C)가 로빙상의 유리섬유와 직물상의 유리섬유가 교차되며 적층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Since the panel of the refrige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ceive a large load, the composite material (C) is sufficient to be laminated only with glass fiber, and the composite material (C) is a roving glass fiber. Of course, the glass fibers on the fabric is configured to cross and laminated.

또한, 상기한 패널류의 표면을 이루게되는 복합소재(C)의 최외면은 유리섬유와 동일한 성질을 갖는 재질의 필름(surface veil)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끝단 부위에는 별도의 크로싱 멤버를 사용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C) forming the surface of the panel can be composed of a film (surface vei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lass fiber, using a separate crossing member for the end portion Strength may be reinforced.

본 발명의 냉동 컨테이너에 적용되는 패널류는, 60mm 두께의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 외면에 각각 한 장의 0.45mm 두께의 유리섬유를 포갠 상태에서 섬유실로 꿰매고, 각 유리섬유의 외면에 각각 다층의 복합소재로 여러겹 적층시킨 다음, 이를 오토크레이브 공법으로 경화시켜 완성한다.Panels applied to the refrigera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wn into a fiber thread in a state in which a piece of 0.45 mm thick glass fiber is plac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slice foam having a thickness of 60 mm, and each layer is a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glass fiber. After stacking several layers, it is hardened by autoclave method and completed.

[실시예 4]Example 4

상기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면에 꿰매진 각 유리섬유의 양측 외면에 각각 유리섬유를 2층씩 적층하되,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가 교차되도록 배열시킴으로써 총 두께가 63.4mm인 패널을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4에 의하여 제작된 패널류는 종래의 패널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3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Two layers of glass fibers were respectively laminated on both sides of each glass fiber sewn on both sides of the slice foam, and a panel having a total thickness of 63.4 mm was prepared by arranging the glass fibers on the fabric and the glass fibers on the roving. Panels produced by Example 4 exhibited the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3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nels.

[실시예 5]Example 5

상기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면에 꿰매진 각 유리섬유의 양측 외면에 각각 유리섬유를 3층씩 적층하되,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가 교차되도록 배열시킴으로써 총 두께가 65mm인 패널을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5에 의하여 제작된 패널류는 종래의 패널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3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Three layers of glass fibers were respectively laminat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glass fibers sewn on both sides of the slice foam, and a panel having a total thickness of 65 mm was prepared by arranging the glass fibers on the fabric and the glass fibers on the roving. Panels produced in Example 5 exhibited the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3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nels.

[실시예 6]Example 6

상기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면에 꿰매진 각 유리섬유의 양측 외면에 각각 유리섬유를 4층씩 적층하되,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가 교차되도록 배열시킴으로써 총 두께가 65.9mm인 패널을 제작하였다. 상시 실시예 6에 의하여 제작된 패널류는 종래의 패널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3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Four layers of glass fibers we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each glass fiber sewn on both sides of the slice foam, and a panel having a total thickness of 65.9 mm was prepared by arranging the glass fibers on the fabric and the glass fibers on the roving. The panels produced by Example 6 at all times exhibited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s in Table 3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nels.

상기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종래 알루미늄/스틸 결합체보다 적지 않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 외면에 각기 3층 이상의 유리섬유를 적층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ferr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maintain the strength not les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luminum / steel combination, it is sufficient to stack three or more layers of glass fibers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slice foam.

즉, 종래의 알루미늄/스틸 결합체로 이루어진 종래 패널류와 비교하여 볼 때, 상기 실시예 5 및 6에서와 같이 결합된 복합소재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전체의 중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계절이나 환경에 적응하는 내후성 및 내식성이 우수해지고, 적은 열 전달율에 의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었다.That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nels made of aluminum / steel combinations, the composite material bonded as in Examples 5 and 6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eight of the entire container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strength. It was excellent in weathe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adapted to the seasons and the environment, and improve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by low heat transfer rate.

또한, 이와 같이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패널류는, 그 표면과 폴리우레탄 포옴이 일체로 성형되어 상호 밀착력이 강해짐으로써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의 운용중 국부적인 파손의 발생시에는, 파손된 부분의 주변을 제거한 다음, 그 부위를 폴리우레탄 포옴과 복합소재로 감싼 상태에서 경화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국부적인 파손이 간단히 수리될 수 있었고, 이때 내구성이나 기타의 물성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panels made of the composite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eeled off due to the strong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polyurethane foam being integrally formed, and the broken part in case of local breakage dur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The local breakage could be easily repaired by removing the area around and then curing the area with polyurethane foam and composites, and it was found that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urability or other physical properties. .

-냉동 컨테이너용 레일류의 구성;The configuration of rails for refrigerated containers;

레일류는, 복합소재 단독으로 성형되는데, 레일류의 대부분이 동일 단면의 긴 형상을 가지므로, 일종의 인발성형과 유사한 펄트루젼공법에 의해 제작된다.The rails are formed of a composite material alone, and since most of the rails have a long shape with the same cross section, they are produced by a pulsation process similar to a kind of drawing.

상기 펄트루젼(Pultrusion)공법은, 동일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긴 제품의 제작시 사용하는 바, 보빈에 감겨 있는 직물상의 유리섬유, 직물상의 카본섬유의 매트, 로빙상의 유리섬유 및 로빙상의 카본섬유를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시키면서 가열금형 내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수지, 불포오 폴리에틸렌, 비닐 에스테르, 그리고 경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ltrusion method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long products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fiberglass fibers, mats of carbon fibers, rovings, and rovings The carbon fiber is transferred into a heating mold while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s an epoxy resin, a fluoropolyethylene, a vinyl ester, and a curing agent.

이때, 유리섬유 및 카본섬유는 금형내에서 등분포된 상태로 가열되면서 경화가 일어남과 동시에 냉각되면서 금형 내를 빠져나와 제품화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섬유들이 금형 내로 안내될 때 여러단계의 가이드를 거치면서 필요로하는 형태와 구조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glass fiber and the carbon fiber is heated in an equal distribution state in the mold, and hardening takes place while cooling and exiting the mold to be commercialized. On the other hand, when each of the fibers are guided into the mold has a shape and structure required by going through the guide of several stages.

상기한 레이류 중에서 사이드 탑 레일은, 직물상 유리섬유와 로빙상 유리섬유가 다층을 이루도록 성형되는데, 이것은 사이드 탑 레일이 루프 패널과 사이드 패널 간에 조립되어 비교적 하중을 받는 부분이므로 카본섬유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Among the above-mentioned lays, the side top rail is formed so that the woven glass fibers and the roving glass fibers are formed in multiple layers. This is because the side top rail is assembled between the roof panel and the side panel and is relatively loaded, so that carbon fiber is not used. It is not.

그리고, 레일류 중에서 사이드 버텀 레일, 볼스터, 아웃트리거, 그리고 크로스 멤버는, 각각 하중을 받는 심부에 직물상 카본섬유와 로빙상 카본섬유가 다층을 이루도록 성형되는데, 이것은 상기 각 부분이 바닥 쪽에서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에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복합소재의 심부에 비교적 유리섬유보다 강도가 높은 카본섬유가 적층되도록 한 것이다.Among the rails, the side bottom rail, the bolster, the outrigger, and the cross member are formed to have a multi-layered fabric carbon fiber and a roving carbon fiber in a core portion, each of which is loaded at the bottom side. In order to reinforce its strength, carbon fiber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glass fiber is laminated to the core of the composite material.

한편, 레일류 중에서 T플로어는, 서브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며, 베이스조립체 상에서 T플로어와 서브 플로어 패널은 하나의 플로어조립체를 이룬다.Meanwhile, among the rails, the T floo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floor panel with an adhesive, and the T floor and the sub floor panel form one floor assembly on the base assembly.

제4도는 펄트루젼공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사이드 버텀 레일(5)(5')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도의 Ⅳ-Ⅳ선을 취한 단면도로서, 제2도에서와 같이, 외부에는 유리섬유(107)를, 내부에는 카본섬유(104)를 다층으로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데, 상부에 사이드 패널을 끼울 수 있는 U자형의 삽입부(103)가 형성되도록 성형됨으로써, 사이드 패널을 안정되게 받칠 수 있도록 제작된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bottom rails 5 and 5 'obtained by the pulverization method. As shown in FIG. 107,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carbon fibers 104 are laminat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is formed to form a U-shaped insertion portion 103 into which a side panel can be fitted, so that the side panel can be stably supported. Is produced.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레일류를 제작하되, 다층의 복합소재 단독으로 펄프루젼 공법을 이용하여 레일류를 완성하였다.Using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duce the rails as follows, to complete the rails using the pulverization method as a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alone.

[실시예 7]Example 7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이 유리섬유를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시킨 후, 금형을 통과시켜 5mm 두께의 복합소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7에 의하여 제작된 레일류는 종래의 레일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4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After arranging the glass fibers on the fabric and the roving phases to cross the glass fibers repeatedly, a 5 mm thick composite material was formed through the mold. The rails produced in Example 7 exhibited the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4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ails.

[실시예 8]Example 8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를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시킨 후, 금형을 통과시켜 7mm 두께의 복합소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8에 의하여 제작된 레일류는 종래의 레일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4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After arranging the glass fibers on the fabric and the glass fibers on the roving to cross repeatedly, a 7 mm thick composite material was formed by passing through a mold. Rails produced in Example 8 exhibited the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4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ails.

[실시예 9]Example 9

심부에는 카본섬유, 양측 외면에는 각각 유리섬유가 적층되도록 하되, 직물상의 섬유와 로빙상의 섬유가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시킨 후 금형을 통과시켜, 심부에는 6mm 두께의 카본섬유가, 그 양측 외면에는 각각 3mm 두께의 유리섬유가 적층되도록 하여 총 12mm 두께의 복합소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9에 의하여 제작된 레일류는 종래의 레일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4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Carbon fiber on the core and glass fibers on both sides are laminated, but the fabric fibers and roving fibers are arranged so that they cross repeatedly, and then passed through a mold. 6mm thick carbon fibers on the core and 3mm on both sides A total thickness of 12mm thick composite material was made by stacking glass fibers. Rails manufactured according to Example 9 exhibited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4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rails.

[실시예 10]Example 10

심부에는 카본섬유, 양측 외면에는 각각 유리섬유가 적층되도록 하되, 직물상의 섬유와 로빙상의 섬유가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시킨 후 금형을 통과시켜, 심부에는 4mm 두께의 카본섬유가, 그 양측 외면에는 각각 4mm 두께의 유리섬유가 적층되도록 하여 총 12mm 두께의 복합소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9에 의하여 제작된 레일류는 종래의 레일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 표 4에서와 같은 물성을 나타냈다.The carbon fiber is laminated on the core and the glass fiber is laminated on both outer surfaces, but the fabric fibers and the roving fibers are arranged so as to cross repeatedly, and then passed through a mold. The carbon fibers are 4mm thick on the core and 4mm on both sides. A total thickness of 12mm thick composite material was made by stacking glass fibers. Rails manufactured according to Example 9 exhibited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4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rails.

상기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종래 알루미늄 압출물로 제작된 사이드 버텀 레일보다 향상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총 12mm의 두께중 심부에 최소한 6mm 두께의 카본섬유가 적층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부피비로 환산하는 경우 복합소재 전체에 대하여 약 50%이상의 두께층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소재의 결합은 비교적 큰 하중을 받게 되는 사이드 버텀 레일, 볼스터, 아웃트리거 및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도 동일한 구성의 복합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ferr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n order to maintain the improved strength compared to the side bottom rail made of a conventional aluminum extrusion, it can be seen that at least 6mm thick carbon fiber should be stacked in the center of the total thickness of 12mm, which is the volume ratio In case of converting to, it was found that it corresponds to more than 50% of the thickness of the entire composite material. It can be seen that the material can be applied.

또한, 비교적 적은 하중을 받는 사이드 탑 레일의 경우에는, 7mm 두께로 적층된 유리섬유만으로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side top rails subjected to a relatively low load, sufficient rigidity can be maintained only by glass fibers laminated to a thickness of 7 mm.

다시말해, 이와 같이 복합소재로 제작된 레일류는, 냉동 컨테이너의 자체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이며, 복합소재가 지닌 특성인 우수한 에너지 흡수성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운용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하중을 충분히 흡수하여 체결부위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복합소재의 특성에 의하여 해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In other words, the rails made of the composite material not only reduce the weight of the refrigeration container itself, but also sufficiently absorb vibrations and load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due to the excellent energy absorp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fastening par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by seawat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materia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냉동 컨테이너용 도어조립체의 구성;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assembly for the refrigerated container;

컨테이너의 도어조립체는, 상기 사이드 버텀레일에 대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펄트루젼공법에 의한 보강 구조물인 도어 빔과 도어 로드 빔이 오토크레이브공법에 의하여 도어 패널과 일체로 성형되며, 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The door assembly of the container, as in the embodiment for the side bottom rail, the door beam and the door rod beam, which is a reinforcement structure by the pulverization metho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or panel by the autoclaving method, which is also described above. You can expect the same effect.

상기 도어 빔은, 도어의 후방내면에서 가운데 쪽의 모서리에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도어 로드 빔은 잠금핸들을 도어의 후방에서 조작할 때 그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를 회전가능하게 잡아주는 브래킷의 고정을 위해 도어의 후방 패널 내부에 위치한다.The door beam is located vertically at the corner of the center of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door, the door rod beam of the bracket for rotatably holding the ro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operating the lock handle from the rear of the door It is located inside the rear panel of the door for fix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로서 콘테이너이 패널류, 프레임류 및 레일류를 구성시킴으로써, 컨테이너의 자체 중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해수 등에 의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운용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피로도의 축적을 방지하여 내구수명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onstitutes panels, frames, and rails,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tself and effectively preventing corrosion due to seawat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durability life 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atigue with respect to the applied load.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냉동 컨테이너는, 서브 플로어 패널과 사이드 패널 및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사이드 버텀 레일의 경우 컨테이너 자체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중의 진동 및 화물의 하중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각 패널의 표면과 단열재의 결합부가 열,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한 박리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refrige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side bottom rail connecting the sub-floor panel, the side panel and the frame can fully support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tself,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r damage caused by vibration during movement and load of the carg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rface of each panel and the heat insulator is prevented from peeling phenomenon due to heat, load and impa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냉동 컨테이너는 또한, 비교적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들로 컨테이너를 구성하여 냉동효율이 높아지고, 부분적 또는 국부적인 파손이 발생할 경우 그 부분에 대한 부품의 교체, 수지의 코팅 및 열처리 등을 통한 국부적인 수리가 용이해 짐에 따라 재활용의 범위를 확장시켜 원가절감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made of a material with a relatively low thermal conductivity to increase the refrigeration efficiency, and in case of partial or local breakage, replacement of parts to the part, coating and heat treatment of the resin, etc. As the local repair is made easier, the scope of recycling can be extended to contribute to cost reduction.

Claims (10)

패널류, 레일류, 프레임류 및 도어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냉동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패널류는, 슬라이스 포옴의 양측에 각각 한겹의 직물상 유리섬유를 포갠 상태에서 섬유실로 꿰매고, 그 외면에 로빙상의 유리섬유와 직물상의 유리섬유가 상호 교차되며 반복하여 층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복합소재와 포옴의 적층형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In a refrigerated container consisting of panels, rails, frames, and door assemblies, the panels are sewn into a fiber thread in a state in which a single layer of woven glass fibers are wrapped on both sides of the slice foam, and roving glass fibers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Refrig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aminated form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the foam by forming a layer repeatedly and cross the fiberglass on the fabric.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스 포옴의 외면에 적층되는 상기 로빙상의 유리섬유와 직물상 유리섬유가, 3층 이상으로 교차되는 유리섬유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The freez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ving glass fibers and the woven glass fibers sta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ice foam are made of glass fibers intersecting in three or more layers. 패널류, 레일류, 프레임류 및 도어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냉동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레일류는, 사이드 탑 레일과 사이드 버텀 레일, 볼스터, 아웃트리거, 그리고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탑 레일을 제외한 사이드 버텀 레일과 볼스터, 아웃트리거, 및 크로스 멤버는, 보빈에 감겨 있는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를 각기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하여 층을 이루도록 적층하되, 하중을 받는 심부에는 직물상의 카본섬유와 로빙상의 카본섬유를 여러겹으로 적층하고, 이를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하여주므로써 복합소재 단독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A refrigerated container comprising panels, rails, frames, and door assemblies, wherein the rails include side top rails, side bottom rails, bolsters, outriggers, and cross members, except for side top rails. Bottom rails, bolsters, outriggers, and cross members are laminated to form a layer by repeating intersecting each of the fiberglass fibers and roving glass fibers wound on the bobbin. A refrigerated contai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of carbon fibers on top, and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o form a composite material alone. 패널류, 레일류, 프레임류 및 도어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냉동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류는, 스틸의 외면에 직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를 각기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하고, 여기에 직물상의 카본섬유와 로빙상의 카본섬유를 적층하여 심부를 이루도록 하며, 그 외측에 다시 작물상의 유리섬유와 로빙상의 유리섬유를 각기 반복 교차되도록 배열한 후, 이를 경화시켜 줌으로서 복합소재와 스틸류의 적층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In a refrigerated container consisting of a panel, a rail, a frame and a door assembly, the frames are arranged so as to cross the fabric glass fibers and the roving glass fibe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repeatedly, and the fabric carbon fibers Laminating and roving carbon fibers to form a core, and the outer side of the glass fibers of the crop and the roving glass fibers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repeatedly, and then cured to form a laminated material of composite materials and steels Refrig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조립체는, 도어 빔과 도어 로드 빔이 도어 패널과 일체를 이루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The freez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assembly is formed such that the door beam and the door rod beam are integral with the door pa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상 유리섬유와 직물상 카본섬유는, 직포와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The freez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woven glass fibers and the woven carbon fibers include a woven fabric and a nonwoven fabric.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탑 레일은, 복합소재 전체가 직물상 유리섬유와 로빙상 유리섬유를 상호 반복되게 여러겹으로 적층한 유리섬유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The freez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ide top rail is made of a glass fiber in which the entire composite material is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of woven glass fibers and roving glass fibers. 제3항에 있어서, 하중을 받는 심부에 여러겹으로 적층된 상기 카본섬유 층이, 복합소재 전체의 50%에 해당되는 두께층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4. The freez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arbon fiber layer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on the core portion under load maintains a thickness layer corresponding to 50% of the total composite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버텀 레일은, 상부에 사이드 패널을 끼울 수 있는 U자형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The freez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ide bottom rail is formed with an U-shaped insert portion into which a side panel can be fitted. 제4항에 있어서, 심부를 이루는 상기 카본섬유 층이, 복합소재 전체에 대하여 15%이상의 두께층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The freez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arbon fiber layer forming the core portion is configured to maintain a thickness layer of 15% or more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mposite material.
KR1019960015337A 1996-05-10 1996-05-10 Refrigerating container KR1001917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337A KR100191771B1 (en) 1996-05-10 1996-05-10 Refrigerat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337A KR100191771B1 (en) 1996-05-10 1996-05-10 Refrigerating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597A KR970074597A (en) 1997-12-10
KR100191771B1 true KR100191771B1 (en) 1999-06-15

Family

ID=1945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337A KR100191771B1 (en) 1996-05-10 1996-05-10 Refrigerating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77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597A (en)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937B2 (en) Method of making a fiber reinforced core panel
KR100403778B1 (en) Cargo container
JP4278678B2 (en) Sandwich panel
US4963408A (en) Structural unitary composite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034428B2 (en) Reinforced sandwich structure
EA012676B1 (en) Support panel structure
US8646183B2 (en) Process for forming a fiber reinforced core panel able to be contoured
WO1997008037A1 (en) Panel and cargo compartment for a truck
WO2000021861A2 (en) Explosion resistant aircraft cargo container
US10829163B2 (en) Transverse beam for composite fl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07056204A1 (en) Integrally damped composite aircraft floor panels
JP4759390B2 (en) Container component made of FRP and lightweight container using the same
KR100191771B1 (en) Refrigerating container
EP1104364B1 (en) People mover carshells
US20220289307A1 (en) Reinforced preforms for optimized composite structures
US20120238168A1 (en) Fiber reinforced core panel able to be contoured
US8375656B2 (en) Insulating sheet and refrigerated trailer components formed from same
CA2611344C (en) Insulating sheet and refrigerated trailer components formed from same
CN218232269U (en) Enhanced heat-insulation polyurethane foam material
US20180209146A1 (en) Composite structure joining system and method and related structures
JPH08156186A (en) Composite panel and production thereof
JPH08142266A (en) Panel for reservoir
WO2012125224A1 (en) Fiber reinforced core panel able to be contoured
NO810766L (en) ENERGY ABSORB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