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627B1 -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627B1
KR100191627B1 KR1019950020001A KR19950020001A KR100191627B1 KR 100191627 B1 KR100191627 B1 KR 100191627B1 KR 1019950020001 A KR1019950020001 A KR 1019950020001A KR 19950020001 A KR19950020001 A KR 19950020001A KR 100191627 B1 KR100191627 B1 KR 10019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trip line
attached
produc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739A (ko
Inventor
박관영
조광석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배동만
주식회사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동만, 주식회사에스원 filed Critical 배동만
Priority to KR101995002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627B1/ko
Publication of KR97000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28Tag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상품의 무단 방출을 감지하는 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상품의 무단 방출을 감지하는 장치에서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을 상품의 내부에 부착하여 스트립 제거를 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검출 효율이 양호한 형태로 스트립 패턴을 구성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자계를 발생하는 출력수단과, 특수소재의 상기 자계와 반응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스트립이 부착된 상품의 통과를 감지하는 시스템의 패턴장치가, 상품의 동일 평면상에서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방향과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을 상품의 내부로 부착하고 또한 부착되는 스트립의 패턴을 검출 효율이 양호한 형태로 하여 무단으로 방출되는 상품을 양호하게 검출한다.

Description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 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제1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스트립을 검출하는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스트립의 재질에 따른 B-H 곡선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자화 상태에 따라 스트립의 재질들이 자화되는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비결정 구조의 스트립이 자화될 시 B-H 곡선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6A도 및 제6B도는 도난 방지 시스템에서 반응주파수에 대한 스트립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7A도-제7C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스트립 검출시 발생되는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제8A도 및 제8B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자계방향과 스트립의 위치에 따라 반응하는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데드앵글을 표시하는 도면.
제10도는 종래의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종래의 디스켓의 전면에 부착되는 스트립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의 안테나를 통과하는 상품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의 안테나를 통과하는 상품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도-제19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의 안테나를 통과하는 상품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상품에 부착하는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켓의 내부에 부착되는 스트립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제22도-제26도는 도난 방지시스템의 안테나를 통과하는 상품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 패턴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도난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출 효율이 좋은 스트립의 패턴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난 방지시스템(Electr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 이하 EAS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상품에 스트립을 부착하고 상품이 무단으로 방출될 시 이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제1도는 상기 EAS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1 안테나 11은 입출력 프레임을 구비하며 제1 반응주파수(interrogation frequency)+스캐닝주파수(scaning frequency)를 입력한다. 상기 제1 안테나 11은 1개의 출력프레임과 3개의 수신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출력프레임은 수신되는 상기 제1 반응주파수F1+스캐닝주파수를 송출하고, 수신프레임은 합성주파수 F3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응주파수 F1은 5㎑이고 스캐닝주파수는 16㎐이다. 제2 안테나 12도 역시 입출력 프레임을 구비하며 제2 반응주파수 F2+스캐닝주파수를 입력한다. 상기 제2 안테나 12에서 상기 출력프레임은 수신되는 상기 제2 반응주파수F2+스캐닝주파수를 송출하고 수신프레임은 합성주파수 F3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반응주파수 F2는 7.5㎒이고 스캐닝주파수는 16㎐이다.
제1 수신부 13은 상기 제1 안테나 11의 수신프레임들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안테나 11에서 발생되는 합성주파수 F3을 수신한다. 제2 수신부 14는 상기 제2 안테나 12의 수신프레임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안테나 12에서 발생되는 합성주파수 F3을 수신한다. A/D 변환부 15는 상기 제1 수신부 13 및 제2 수신부 14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 16은 상기 A/D변환부 15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시되는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를 분석하여 상품의 검출 유무를 판단하며, 검출시 이를 경보한다. 상기 제어부 16은 EAS시스템의 각종 경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16은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 및 부저 등을 제어하여 도난되는 상품 검출시 이를 표시하는 동시에 경보한다.
이때 상기 제1 안테나 11 및 제2 안테나 12는 각 프레임이 출력 코일 및 수신코일 들로 이루어지며, 수신되는 제1 반응주파수 F1 및 제2 반응주파수 F2에 의해 안테나 간에 자계를 형성한다. 즉, 안테나 11 및 12의 각 프레임(frame)의 송신코일(transsmiter coil)의 두개의 서로 다른 AC자계(AC magnetic fields : 16㎐ scanning field + 5 or 7㎑ interrogation field)를 발생한다. 그리고 태그(tag)는 상기 자계를 변환시켜 새로운 합성주파수 F3을 발생한다. 즉, 상품에는 아모르퍼스(amorphous metal) 재질의 스트랩(lable)을 부착한다. 따라서 상기 아모르퍼스의 스트립을 부착한 상품이 상기 제1 안테나 11 및 제2 안테나 12 사이를 통과하면, 상기 스트립은 상기 안테나 11 및 12의 출력프레임 0Q-5Q의 출력코일에서 출력되는 반응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이런 태그에 의한 필드의 변화는 상기 안테나 11 및 12의 수신프레임 0I-5I를 구성하는 각 수신코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수신코일에 의해 픽업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변화 데이타를 수신하는 제어부 16은 태그를 검출하고 경보(alarm)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상품이 부착되는 스트립의 특성을 제2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스트립 및 태그들은 아모르퍼스 재질(비결정구조 : non-crystalline structure)을 함유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EAS 시스템은 두개의 반응계(5㎑-7.5㎑)를 사용한다. 이들 두 주파수 F1 및 F2는 스트립이 자계 사이에 위치될 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에 의해 가산되어 두개의 반응주파수 F1 및 F2가 더해져 새로운 신호인 합성주파수 F3(5㎑+7.5㎑=12.5㎑)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 11 및 12의 수신프레임0I-5I의 수신코일들은 상기 합성주파수 F3을 검출한다.
제3도는 스트립 또는 태그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 특성을 설명하는 B-H 특성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스트립 또는 태그를 구성하는 아모르퍼스 재질은 자계에 의해 반응한다. 이들 자계특성은 B-H곡선이라는 형태로 보여진다. 상기 제3도에 도시된 B-H 특성곡선은 H(external manetic field)와 B(resulting internal field, 예 : inside the material)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A도 및 제4B도는 아모르퍼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트립의 자화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스트립의 각 영역에서 작은 영역들을 이탈하려는 메탈은 그 자신에 의해 자석이 된다. 제4A도는 스트립이 비자화된 상태에서 모든 작은 자석들은 자화 방향이 랜덤하게 위치된다. 그러나 외부에서 H를 가하면 제4B도와 같은 형태로 작은 자석들이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자화된다.
제5도는 비결정 구조의 스트립이 자화될 시 B-H 곡선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외부 필드인 H에 강한 자계를 가하면, 내부 필드인 B는 최대값 Bs에 도달한다. 이때 모든 자석들(또는 영역들)은 같은 방향을 지시한다. 이런 상태에서 아모르퍼스는 포화(saturation)된다. 스트립의 아모르퍼스 금속의 비결정 구조는 영역들이 매우 작고 작은 외부필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스트립은 쉽게 포화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되고, 이때의 B-H 곡선은 제5도와 같이 매우 급격한 특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EAS시스템에서 출력하는 두 반응 주파수 F1 및 F2의 혼합(intermodulation)은 스트립의 반응이 비선형인 위치에서 발생된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스트립의 반응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6A도의 B-H 특성 곡선에서, a 위치인 경우 스트립이 포화된 상태이므로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반응하지 않는다. 또한 제6A도의 c위치에서 스트립은 선형(zero 입력, zero 출력)이므로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하지 않는다. 상기 제6A도의 b위치에서 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되는 신호의 진폭은 B-H곡선의 구부러진 위치에서 가장 강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6A도와 같은 B-H곡선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제6B도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이때 출력되는 신호의 형태는 포지티브(+)에서 네가티브(-)로 변화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16㎐의 스캐닝 필드에서 신호의 교차는 제7A도와 같이 완만한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품에 포착된 스트립은 포화상태의 사이를 통과하며, 이때의 특성은 제7B도와 같다. 그러면 제7C도와 같이 두 입력신호인 반응주파수 F1 및 F2의 합성신호인 12.5㎑의 다른 레벨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태그에 의해 혼합된다. 상기 혼합된 신호는 안테나의 수신코일에 의해 픽업되며, 스트립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필드 신호가 증가할 시 신호는 감소되는 필드신호와 명확하게 매칭된다. 그리고 피크값은 골(trough)에서 매칭되며, 피크와 골의 모양이 다르다. 이때의 이점은 작은 스트립로 양호한 검출능력을 갖는다.
제8A도 및 제8B도는 스트립과 자계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스트립이 안테나 11을 통과할 시, 자계 방향과 스트립의 방향이 평행 상태일 시 제8A도와 같이 양호한 신호(harmonics)가 발생된다. 그러나 제B도와 같이 자계 방향과 스트립의 방향이 수직일 시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이 상기 안테나 11을 통과할 시 스트립의 방향과 자계의 방향에 따라 데드앵글로 통과하는 경우 신호는 검출되지 않는다. 상기 데드 앵글은 검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35°보다 작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 및 구성을 갖는 EAS시스템에서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의 패턴은 제10도와 같다. 즉, 종래의 스트립 부착 패턴은 상품에 제1 스트립 선로 SL1과 제2 스트립선로 SL2를 서로 수직 교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트립선로 SL1 및 제2 스트립선로 SL2SMS 특수소재인 아모르퍼스이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과 제2 스트립선로SL2의 길이는 32㎜ 이상이 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스트립이 부착된 상품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점 출구의 적정 위치에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EAS시스템의 안테나 11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어부 16은 전원부 17을 제어하여 제1 반응주파수 F1 및 제2 반응주파수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아모르퍼스 스트립이 부착된 상품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의 사이를 통과하면, 상기 안테나 11 및 12에 각각 연결되는 수신부 13 및 14는 상기 스트립을 검출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A/D 변환부 15는 상기 아날로그 검출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 후 제어부 16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 16은 상기 A/D 변환부 15의 출력을 입력하여 분석하며, 입력된 데이타가 스트립 검출 데이타이면 경보음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패턴의 스트립은 스트립이 교차되어 상품에 부착되므로, 스트립의 재질에 따라 검출신호가 분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EAS시스템은 5㎑의 제1 반응주파수 F1과 7.5㎑의 제2 반응주파수 F2가 통과하는 스트립에 의해 혼합되어 12.5㎑의 주파수로 합성된 후, 수신부 13 및 14의 수신코일을 통해 검출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의 교차되어 스트립에 부착되는 경우, 교차점(contact point)에서 검출신호의 분산이 발생될 수 있어 EAS시스템의 검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최근 컴퓨터와 정보 산업의 발달함에 따라 산업 정보의 보완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에 병행하여 산업정보의 유출 문제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산업정보는 주로 디스켓(diskette)에 저장하여 유출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디스켓에 스트립을 부착하고 이를 상기 EAS시스템에 접목하여 디스켓의 무단 방출을 방지하고 있다.
제11도는 디스켓(diskette)의 상기 제11도와 같은 패턴의 스트립을 부착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2도는 상기와 같은 디스켓이 EAS시스템의 안테나 11 및 12가 통과할 수 있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3도의 (A1), (A2), (A3)은 상기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의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될 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제13도의 (B1)(B2)(B3)은 상기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될 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4도는 상기 제13도의 (A1)과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5도는 상기 제13도의 (A2)와 같이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6도는 상기 제13도의(A3)과 같이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7도는 상기 제13도의 (B1)과 같이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8도는 상기 제13도의 (A2)와 같이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9도는 상기 제13도의 (A3)와 같이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13도의 (A1)과 같이 디스켓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1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다. 따라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의 Q1 및 11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보다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두번째로 제13도의 (A2)와 같이 디스켓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1 및 12의 중간 위치로 스트립이 통과된다. 따라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의 Q1 및 11 및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동일한 레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신부 13 및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와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거의 동일한 레벨을 갖는다. 세번째로 13도의 (A3)과 같이 디스켓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12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다. 따라서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 11의 Q1 및 11에서 검출하는 신호 보다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그러면 A/D변환부 15는 상기 제1 수신부 13 및 제2 수신부 14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들을 입력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디지탈데이타는 결국 상기 제14도-제16도와 같은 형태의 스트립 검출신호의 레벨을 변환한 데이타이다. 상기 검출데이타는 안테나 11 또는 안테나 12에서 검출되는 데이타 또는 상기 안테나 11 및 12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데이타이므로, 스트립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의 임의 위치를 통과하더라도 이를 검출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제어부 16은 A/D변환부 15에서 변환되는 검출데이타를 분석하여 디스켓의 통과를 감지하고 경보하게 된다.
또 제13도의 (B1)과 같이 디스켓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1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다. 이때 상기 디스켓에 부착된 스트립은 자계와 수직상태로 통과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의 Q1 및 11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 보다 훨씬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두번째로 제13도의 (B2)와 같이 디스켓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1 및 12의 중간위치로 스트립이 통과된다. 이때 상기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 및 12와 비교적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 자계 방향과 수직으로 통과하는 경우 매우 미약한 레벨의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의 Q1 및 11 및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는 동일한 크기로서 매우 미약한 레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신부 13 및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와 제2 수신부 14는 신호를 거의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세번째로 13도의 (B3)과 같이 디스켓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2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다. 따라서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 11의 Q1 및 I1에서 검출하는 신호 보다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그러면 A/D 변환부 15는 상기 제1 수신부 13 및 제2 수신부 14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들을 입력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디지탈데이타는 결국 상기 제14도-제16도와 같은 형태의 스트립 검출신호의 레벨을 변환한 데이타이다. 상기 검출데이타는 안테나 11 또는 안테나 12에서 검출되는 데이타 또는 상기 안테나 11 및 12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데이타이므로, 스트립이 안테나 11 및 12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데이타이므로, 스트립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의 임의 위치를 통과하더라도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 16은 A/D변환부 15에서 변환되는 검출 데이타를 분석하여 디스켓의 통과를 감지하고 경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8도와 같이 검출되는 신호의 레벨의 미약한 크기를 갖는 경우 변환되는 검출데이타값도 작아진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 16은 설정된 기준데이타보다 상기 검출데이타의 값이 작은 상태이므로 경보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디스켓에 제10도와 같은 패턴으로 스트립을 부착할 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립선로SL1 및 제2 스트립선로SL2의 접촉에 의해 검출신호가 분산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동일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의 길이는 최소한 32㎜보다 크게 하여 부착하여야 하는데, 디스켓의 크기(특히 3.5인치의 디스켓)에 따라 스트립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3도의 (B1)(B2)(B3)과 같이 디스켓이 자계 방향과 수직 상태로 통과되는 경우, 스트립 패턴이 교차된 상태이므로 스트립의 검출 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스켓에 스트립을 부착하는 경우, 디스켓의 외부에 스트립을 부착하므로 육안으로 스트립의 부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스켓에 부착된 스트립만 제거하면 디스켓을 무단 방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트립을 디스켓의 내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과 제2 스트립선로SL2를 교차하여 부착하여야 하므로, 디스켓의 내부에서 스트립의 두께가 자기 디스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난 방지시스템에서 검출이 용이한 레벨 패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켓의 내부에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스트립과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스트립을 부착할 수 있는 스트립 패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스트립과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스트립이 내부에 부착되는 패턴을 검출할 수 있는 도난 방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품에 부착되며, 상기 상품이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 발생기와 상기 자계와 반응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의 사이를 통과할 시 상품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스트립 감지 시스템의 스트립 패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동일 평면상에서 제1 수평방향으로 신장되어 부착되는 제1 스트립선로와, 상기 제1 스트립선로와 이격되어 상기 상품의 동일 평면상에 제2 수평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부착되는 제2 스트립선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트립선로와 제2 스트립선로의 각도가 90도 전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EAS시스템의 구성을 제1도와 동일하며,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EAS시스템에서 상품에 부착된 스트립을 검출하는 특성은 상기한 제2도-제9도와 동일한 특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라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20도를 참조하면, 상품의 동일 평면 상에서 제1 스트립선로SL1은 제1 방향으로 신장되어 부착되며, 제2 스트립선로SL2는 제1 스트립선로SL1과 소정 이격되어 제2방향으로 신장되어 부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90도의 각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과 제2 스트립선로SL2는 각각 최소 검출 길이인 32㎜ 이상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40㎜로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립 패턴은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아 검출신호가 분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스트립선로SL1과 제2 스트립선로SL2는 서로 90도의 각을 이루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계 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제21도는 상기 제20도와 같은 스트립패턴을 디스켓에 형성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1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1은 헤드 윈도우(head window)의 제1홈으로 디스켓의 상측에 위치된다. 참조번호 22는 쓰기 방지를 위한 라이트 프로텍트용 노치(write protect notch)의 제2 홈으로서, 디스켓의 좌측 하단에 위치된다. 참조 23은 디스켓의 기록매체에 데이타를 기록할 시 단면 또는 양면 기록매체임을 표시하는 제3 홈으로서, 디스켓의 우측 하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참조 24는 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매체가 위치되는 공간으로서 디스크 안착부가 되며, 플라스틱 케이스 상에서 원형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21도는 디스켓의 플라스틱 케이스를 분해한 형태로서, 분해된 플라스틱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2도에 도시된 스트립 패턴을 살펴보면, 제1 스트립선로SL1은 상기 제2 홈22와 제3 홈 23 사이에 수평 위치되어 플라스틱 케이스에 부착되며, 제2 스트립선로SL2는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과 소정 이격되어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과 90도의 위상을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역시 플
라스틱 케이스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 및 제2 스트립선로SL2는 플라스틱 케이스 상에서 기록매체를 안전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함몰공간인 디스크 안착부 24 상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2스트립선로SL2는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과 이격되어 함몰공간인 디스크 안착부 24상의 좌측에 수직 방향으로 부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으로 부착된 디스켓을 검출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디 스켓을 검출하기 위한 EAS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제1도와 동일하며, 이때 상기 EAS시스템의 안테나 11 및 12의 테스트포인트는 상기 제12도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안테나11 및 12의 간격은 자계의 세기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데, 검출이 가능한 최대의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11 및 12의 간격을 70㎝로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패턴으로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을 검출하기 위한 스트립 통과방법은 상술한 제13도와 같은 헝태로 한다. 제13도의 (Al) ,(A2) ,(A3)은 상기 디스켓에 부착된 스트립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의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될 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제13도의 (B1)(B2)(B3)은 상기 디스켓에 부착된 스트립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될 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2도는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이 상기 제13도의 (Al)과 같은 형태로 상기 안테나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3도는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이 상기 제13도의 (A2)와 같은 형태로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 하고 있다. 제24도는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이 상기 제13도의 (A3)과 같은 형태로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5도는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이 상기 제 13도의 (B1)과 같은 형태로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8도는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이 상기 제13도의 (B1)와 같은 형태로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6도는 제21도와 같은 스트링 패턴의 디스켓이 상기 제13도의 (A3)과 같은 형태로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수신부 13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제21도와 같은 패턴으로 디스켓의 내부에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제13도의 (Al)과 같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2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다. 따라서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 안테나 11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 다. 따라서 제22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의 Q1 및 I1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 12의 Q4 및 I4에서 검출하는 신호보다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두 번째로 상기 제21도와 같은 패턴으로 디스켓의 내부에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제13도의 (A2)와 같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1 및 12의 중간 위치로 스트립이 통과된다. 따라서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 의 Q1 및 I1 및 안테나 12의 Q4 및 I4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동일레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신부 13 및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와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거의 동일한 레벨을 갖는다.
세번째로 상기 제21도와 같은 패턴으로 디스켓의 내부에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13도의 (A3)과 같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2의 Q4 및 I4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 11의 Q1 및 I1에서 검출하는 신호보다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그러면 A/D 변환부 15는 상기 제1 수신부 13 및 제2 수신부 14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들을 입력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디지탈데이타는 결국 상기 제22도-제24도와 같은 형태의 스트립 검출신호의 레벨을 변환한 데이터이다. 상기 검출데이타는 안테나 11 또는 안테나 12에서 검출되는 데이타 또는 상기 안테나 11 및 12에서 임의 위치를 통과하더라도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에서 검출되는 신호는 상기 제1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에서 검출되는 신호보다 더 강한 레벨로 검출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6은 A/D 변환부 15에서 변환되는 검출 데이타를 분석하여 디스켓의 통과를 감지하고 경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1도와 같은 패턴으로 디스켓의 내부에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제13도의 (B1)과 같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1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 다. 이때 상기 디스켓에 부착된 스트립은 자계와 수직 상태로 통과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의 Q1 및 I1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보다 훨씬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두번째로 상기 제21도와 같은 패턴으로 디스켓의 내부에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제13도의 (B2)와 같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1 및 12의 중간 위치로 스트립이 통과된다. 이 때 상기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 및 12와 비교적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 자계 방향과 수직으로 통과되는 경우 매우 미약한 레벨의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1의 Q1 및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는 동일한 크기로서 매우 미약한 레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신부 13 및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와 제2 수신부 14는 신호를 거의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세번째로 상기 제21도와 같은 패턴으로 디스켓의 내부에 스트립이 부착된 디스켓이 13도의 (B3)과 같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안테나 12에 근접되어 스트립이 통과된 다. 따라서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12의 Q4 및 14에서 검출하는 신호가 안테나11의 Q1 및 I1에서 검출하는 신호보다 더 강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신부 14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제1 수신부 13에서 변환되는 검출신호가 더 강한 레벨이 된다.
그러면 A/D 변환부 15는 상기 제1 수신부13 및 제2 수신부 14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들을 입력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디지탈데이타는 결국 상기 제25도, 제18도 및 제26도와 같은 형태의 스트립 검출신호의 레벨을 변환한 데이타이다. 상기 검출데이타는 안테나 11 또는 안테나 12에서 검출되는 데이타 또는 상기 안테나 11 및 12에서 동시에 검출하는 데이타이므로, 스트립이 안테나 11 및 12 사이의 임의 위치를 통과하더라도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에서 검출되는 신호는 상기 제1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에서 검출되는 신호보다 강한 레벨을 갖는다. 상기 제어부 16은 A/D 변환부 15에서 변환되는 검출 데이타를 분석하여 디스켓의 통과를 감지하고 경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8도와 같이 검출되는 신호의 레벨의 미약한 크기를 갖는 경우 변환되는 검출 데이타 값도 작아진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 16은 설정된 기준 데이타보다 상기 검출 데이타의 값이 작은 상태이므로 경보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과 제11와 같은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을 테스트한 결과가 하기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의 테스트 조건은 제1 스트립선로SL1 및 제2 스트립의 길이는 40㎜로 하고 안테나 11 및 12의 간격은 70㎝로 하였다. 또한 테스트 포인트는 상기 제12도와 같으며, 스트립 통과방법은 제13도의 (Al)(A2)(A3) 및 (B1)(B2)(B3)와 같은 형태로 한다. 또한 하기 표1은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로 상기 제21도 및 제11도와 같은 스트립 패턴이 부착된 디스켓을 100회 통과시킨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통과방법 종래 본 발명 통과방법 종래 본발명
A1 100 100 B1 89 97
A2 97 100 B2 0 0
A3 100 100 B3 90 98
상기 표1과 같은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제13도의 (Al)(A2)(A3)와 같이 디스켓이 수평 형태로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검출 효율이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날 제13의 (B1)(B2)(B3)와 같이 디스켓이 수직 형태로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검출 효율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3의 (B2)와 같이 디스켓이 수직 형태로 상기 안테나 11 및 12의 중앙으로 통과되는 경우에는 거의 검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패턴의 디스켓은 수직 형태로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종래의 스트립 패턴을 부착한 디스켓보다 검출 효율이 훨씬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1도와 같은 패턴으로 디스크의 내부에l 스트립을 부착하는 경우, 디스크의 스트립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디스크에 저장된 중요 정보의 무단 방출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 패턴에서 스트립들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검출신호의 분산을 제지할 수 있어 검출신호를 안정되게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내부에 스트립을 부착할 시 플라스틱 케이스 내부에서 기록매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함몰공간인 디스크안착부 24 상에 부착하므로서, 스트립 부착이 용이한 동시에 공간 상으로 스트립의 확장이 용이하다. 또한 스트립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으므로서 현재의 디스켓 공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이 점이 있다.
제2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스트립 패턴으로, 상품의 동일 평면상에서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스트립선로SL1과 상기 제1 방향과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스트립선로SL2와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과 제2 스트립선로SL2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3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3 스트립선로 SL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90도를 이루고 상기 제3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45도를 이루는 형태의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상 기 제27도와 같은 형태의 스트립 패턴을 부착한 디스켓이 상기 안테나 11 및 12 사이를 통과할 시 디스켓의 방향에 무관하게 양호한 품질의 검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제3 스트립선로 SL3은 각각 최소 검출 길이인 32mm 이상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40㎜로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립 패턴은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아 검출신호가 분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스트립선로SL1과 제2 스트립선로SL2는 서로 90도의 각을 가지고, 제3 스트립선로SL3은 상기 제1 스트립선로SL1 및 제2 스트립선로SL2와 각각 45도 정도의 각을 가지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계 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Claims (7)

  1. 상품 검출용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신호와 상품의 반응 유무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품의 도난 경보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스트립 감지 시 스템에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 패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동일 평면상에서 제1 방향으로 신장되어 부착되는 제1 스트립 선로와, 상기 제1 스트립 선로와 이격되어 상기 상품의 동일 평면상에 제2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부착되는 제2 스트립선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트립선로와 제2 스트립선로의 부착 각도가 90도 전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감지시스템의 스트립 패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립선로 및 제2 스트립선로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스트립선로들의 소재가 아모르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감지 시스템의 스트립 패턴 장치.
  3. 상품 검출용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신호와 상품의 반응 유무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품의 도난 경보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스트립 감지 시 스템에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는 스트립 패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동일 평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신장되 어 부착되는 제1 스트립선로와, 상기 제1 스트립선로와 이격되어 상기 상품의 동일 평면상에 제2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부착되는 제2 스트립 선로와, 상기 제1 스트립 선로와 제2 스트립선로의 사이의 제3 방향으로 신장되어 부착되는 제3 스트립 선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트립선로 및 제2 스트립선로의 각도가 90도 전후로 부착되며, 상기 제3 스트립선로가 상기 제1 스트립 선로의 부착 각도가 45도 전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감지 시스템의 스트립 패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8 스트립선로 및 제2 스트립선로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스트립선로들의 소재가 아모르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감지 시스템의 스트립 패턴장치.
  5. 디스크 검출용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신호와 상기 디스크의 반응 유무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크의 무단 방출에 따른 경보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스트립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디스크에 부착되는 스트립 패턴 장치에 있어 서, 상기 디스크의 상단 중앙에 위치되는 헤드윈도우의 제1 홈과, 상기 디스크의 좌측 하단에 위치되는 쓰기 방지용 노치의 제2 홈과, 상기 디스크의 우측 하단에 위치되는 단면/양면 표시용 제3 홈과, 기록매체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플라스틱 케이스의 내부에 원형으로 함몰된 형태를 갖는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홈과 대응되는 디스크의 하단 중앙에 제1 방향으로 신장되어 부착되는 제1 스트립 선로와, 상기 디스크의 안착부 내에 위치되며, 사기 제1 스트립 선로와 이격되어 제2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부착되는 제2 스트립 선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트립선로와 제2 스트립선로의 부착 각도가 90도 전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림 감지 시스템의 스트립 패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선로 및 제2 스트립선로의 소재가 아모르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감지시스템의 스트립 패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선로 및 제2 스트립선로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길이가 32㎜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감지시스템의 스트립 패턴장치.
KR1019950020001A 1995-07-07 1995-07-07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KR10019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01A KR100191627B1 (ko) 1995-07-07 1995-07-07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01A KR100191627B1 (ko) 1995-07-07 1995-07-07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739A KR970007739A (ko) 1997-02-21
KR100191627B1 true KR100191627B1 (ko) 1999-06-15

Family

ID=1942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001A KR100191627B1 (ko) 1995-07-07 1995-07-07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6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739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0065A (en) Theft detection system
US4309697A (en) Magnetic surveillance system with odd-even harmonic and phase discrimination
US5142292A (en) Coplanar multiple loop antenna for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s
US47107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magnetic marker
EP0986798B1 (en) Deactivation device with biplanar deactivation
CA1234891A (en) Security system label
EP1502244B1 (e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US5406262A (en) Adjusting magnetic bias field intensity in EAS presence detection system to enhance detection
EP25430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effect of interference in integrated metal detection/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s
CA2091790A1 (en) Method and electromagnetic security system for detection of protected objects in a surveillance zone
US4779076A (en) Deactivatable coded marker and magnet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US6121879A (en) Deactivation element configuration for microwave-magnetic EAS marker
KR100191627B1 (ko) 도난 방지시스템의 상품검출을 위한 스트립 패턴 및 장치
EP1040458A1 (en) Multi-thread re-entrant marker with transverse-anisotropy flux concentrators
EP1312059B1 (en) A magnetomechanical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sideband detection
US6023226A (en) EAS marker with flux concentrators having magnetic anisotropy oriented transversely to length of active element
CA2178901C (en) Circular magnetic target for a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US6690279B1 (en) Security element for the electronic surveillance of articles
CN210244567U (zh) 商品声磁防盗系统
AU2001285203A1 (en) A magnetomechanical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sideband detection
EP1000419B1 (en) Security element for the electronic surveillance of articles
EP0746830A4 (en) ARTICLE DETECTION IN A LIMITED QUERY AREA
JP2001126158A (ja) 無線タグ
KR840003089A (ko) 도난방지방법 및 장치
KR20010001181U (ko) 도난방지시스템용 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