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577B1 - 광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577B1
KR100190577B1 KR1019960031935A KR19960031935A KR100190577B1 KR 100190577 B1 KR100190577 B1 KR 100190577B1 KR 1019960031935 A KR1019960031935 A KR 1019960031935A KR 19960031935 A KR19960031935 A KR 19960031935A KR 100190577 B1 KR100190577 B1 KR 100190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optical
light
disk
photo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170A (ko
Inventor
최양오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3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577B1/ko
Publication of KR98001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9Single pris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데이타기록매체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기록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재생시키는 광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적 음악재생용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와 영상 및 음성 재생용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광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정 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측에 배치되어 다수의 광학소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빔을 투과하는 프리즘, 상기 프리즘의 중앙부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레이저 빔을 일정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빔 스플리트, 상기 프리즘의 일 측 중앙에 형성되어 디스크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검출기, 상기 프리즘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반사 및 집속시켜 광검출기로 조사하는 반사형 홀로그램격자, 상기 프리즘의 상면에 형성되고 입사빔을 전량 투과하는 전투광부와, 이 전투광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입사빔을 일정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반투광부로 이루어져 디스크상에 빔 스포트 크기를 조절하는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광 픽-업장치
본 발명은 광학 데이타 기록매체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기록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재생시키는 광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적 음악재생용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와 영상 및 음성 재생용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광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 또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에 기록된 정보를 전기신호를 재생시키는 광 픽-업장치는 대물렌즈, 빔 스플리트, 회절격자, 레이저 다이오드, 광검출기 등의 개개부품을 사용하여 조립한다.
즉, 일반적으로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에 사용되는 광 픽-업(OPTIC- AL PICK-UP)장치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51)의 일측에는 레이저 빔을 포커스 및 트래킹 에러검출용의 광으로 분리하는 회절격자(52)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절격자(52)의 일측에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일정한 비의 반사율과 투과율을 가져 입사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하는 빔 스플리트(53)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빔 스플리트(53)의 상부에는 소정 파장 이하의 회절한계 성능을 갖고 상기 분리된 광을 집광하여 디스크(55)상에 포커싱시켜 기록된 정보를 읽는 대물렌즈(54)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빔 스플리트(53)의 하부에는 대물렌즈(54)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 디스크(55)상에 기록된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하는 광검출기(56)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광 픽-업장치는,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51)에서 소정의 발진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송출하게 되며, 이러한 레이저 빔은 회절격자(52)를 경유함에 따라 포커스 및 트랙킹 에러 검출용으로 3빔(THREE BEAM : 0차광, ±1차광)으로 분리하여 방사한다.
따라서 상기의 회절격자(52)에 의해 분리된 광은 일정한 비의 반사율과 투과율을 갖는 빔 스플리트(53)로 방출되어 입사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하게 되며, 상기 반사광은 대물렌즈(54)에 의해 소정파장 이하의 회절한계 성능으로 빔을 집광하여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스크(55)상에 보내어져 디스크(55)상에 촛점을 맺혀 디스크(55)에 기록된 정보를 읽게 된다.
즉, 대물렌즈(54)에 의해 수 μm 정도의 에어리 형태로 집광되어 디스크(55)의 신호면에 조사되며, 이 빛은 데이타가 기록된 피트(55a)가 없는 곳에서는 거의 그대로 돌아오게 되나, 피트(55a)가 있는 곳에서는 광이 피트(55a)에 의해 회절되어 대물렌즈(54) 범위밖으로 방출 되고, 이로 인하여 입사된 광 가운데 일부만 되돌아오게 됨으로서 광검출기(56)에 광량차이를 발생시킨다.
한편,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스크(55)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의 강도가 피트(55a)에 의해 변조되며, 이 변조된 광정보는 대물렌즈(54)와 빔 스플리트(53)를 통해 광검출기(56)로 보내어져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시키며, 이 변환된 전류를 미도시된 디지탈신호처리부에 의해 원래의 신호로 복조함으로서 디스크(55)상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광 픽-업장치는, 다수의 개별 광학소자를 조립 구성함으로서 조립과정시 기구적인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 또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중 하나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만을 읽어들일뿐 두 종류의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읽어들일 수 없게 된다.
그 이유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는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에 비해 데이타 기록 용량이 4배에 달하게 되며, 이로인해 피트의 폭이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 보다 절반 정도로 좁아지게 됨으로서 빔 포커스 형성시 스포트 사이즈(SPOT SIZE)역시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에서의 스포트 사이즈는 직경이 1.6μm, 그리고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에서의 스포트 사이즈는 직경이 0.8μm가 각각 형성되어야 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타를 정확히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광 픽-업장치는, 직경이 1.6μm, 또는 직경이 0.8μm중 하나만의 스포트 사이즈 형성이 가능하므로 데이타 기록 방식이 서로다른 오디오 및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즘에 빔 스플리트,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 광검출기, 반사형 홀로그램격자 등을 일체로 집적 형성하여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는 기구적인 오차를 제거함과 동시에 디스크상에 직경이 1.6μm와 0.8μm의 빔 포커스가 동시에 형성되도록하여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는 물론, 상기 오디오 디스크 보다 데이타 기록 용량이 수배 많아 피트의 폭이 현저히 좁은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토록하여 광 픽-업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소정 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측에 배치되어 다수의 광학소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빔을 투과하는 프리즘, 상기 프리즘의 중앙부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레이저 빔을 일정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빔 스플리트, 상기 프리즘의 일 측 중앙에 형성되어 디스크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검출기, 상기 프리즘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반사 및 집속시켜 광검출기로 조사하는 반사형 홀로그램격자, 상기 프리즘의 상면에 형성되고 입사빔을 전량 투과하는전투광부와, 이 전투광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입사빔을 일정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반투광부로 이루어져 디스크상에 빔 스포트 크기를 조절하는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광 픽-업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장치의 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1 : 레이저 다이오드 22 : 프리즘
23 : 빔 스플리트 24 : 광검출기
25 : 반사형 홀로그램격자 26 : 반투광부
27 : 전투광부 28 :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
54 : 대물렌즈 55 : 디스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장치의 구성도로서, 소정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21)의 상측에는 다수의 광학소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빔을 투과하는 프리즘(22)이 배치되고, 상기 프리즘(22)의 상측에는 입사되는 빔을 집광하여 디스크상(55)에 빔 포커스를 형성하는 대물렌즈(5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22)의 중앙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21)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 빔을 일정한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빔 스플리트(23)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리즘(22)의 일 측 중앙에는 디스크(55)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검출기(24)가 일체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22)의 타측면에는 디스크(55)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반사 및 집속시켜 광검출기(24)로 조사하는 반사형 홀로그램격자(25)가 형성되며, 프리즘(22)의 상면에는 입사빔을 전량 투과하는전투광부(27)와, 이 전투광부(27)의 내부에 형성되어 입사빔을 일정한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반투광부(26)가 혼합 형성되어 디스크(55)에 빔 스포트 크기를 조절하는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21)로부터 소정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게 되며, 이 레이저 빔은 프리즘(22)을 통해 상기 프리즘(22)의 중앙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빔 스플리트(23)로 조사되어 입사빔을 일정한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빔 스플리트(23)를 투과한 레이저 빔은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에 조사됨에 따라 두 종류의 빔 경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 빔 경로에 따라 스포트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 또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에 기록된 정보를 읽게 된다.
즉, 빔 스플리트(23)를 통해 반사된 레이저 빔은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반투광부(26)에 의해 절반은 반사하고, 나머지 절반은 투과하게 되며, 이 투과된 빔은 대물렌즈(54)로 조사됨에 따라 θ1의 각으로 집속되어 디스크(55)상에 빔 포커스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빔 스플리트(23)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빔이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전투광부(27)에 의해 전량 투과되어 대물렌즈(54)에 조사됨으로서 이 전량 조사된 빔과 반투광부(26)에 의해 절반 투과된 빔량이 합해진 θ2의 각으로 디스크(55)에 빔 포커스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전투광부(27)와 반투광부(26)에 의해 두 개의 제 1 및 제 2 개구수(NA1)(NA2)로 나누어지며, 이 두 개구수의 차이에 의해 디스크(55)상에 형성되는 빔의 크기가 변화되고, 이로인해 광량에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개구수의 수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식 1]
NA1=ηSinθ1 이며, NA2=ηSinθ2가 된다.
(여기서, η은 굴절율이며, 공기중에서 η은 1이다.)
[수식 2]
NA1=Sinθ1이며, NA2 =Sinθ2가 된다.
[수식 3]
D = K×λ/NA, H = R×λ/(NA)2
(여기서 D는 빔 사이즈이며, H는 초점심도이고, K와 R은 각각 상수이므로 NA가 변함에 의해 빔 사이즈와 초점심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반투광부(26)를 투과하여 θ1의 각도로 집속되는 빔 사이즈와 초점심도는 전투광부(27)를 투과하여 θ2의 각도로 집속되는 빔 사이즈와 초점심도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그 이유는 빔 사이즈는 NA에 반비례하고, 초점심도는 (NA)2에 반비례하기 때문)
따라서,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반투광부(26)를 투과하여 대물렌즈(54)에 의해 θ1의 각으로 집속된 레이저 빔은 디스크(55)상에 1.6μm 크기의 빔 스포트가 형성됨으로서 피트(55a)의 길이가 보다 넓은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에 수록된 데이타를 읽어들이며, 또한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전투광부(27)를 투과하여 대물렌즈(54)에 의해 θ2의 각으로 집속된 레이저 빔은 디스크(55)상에 0.8μm 크기의 빔 스포트가 형성됨으로서 피트(55a)의 길이가 보다 좁은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에 수록된 데이타를 각각 읽어들이게 된다.
즉,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전투광부(27) 및 반투광부(26)와 대물렌즈(54)에 의해 θ1, θ2의 각으로 집속된 1.6μm와 0.8μm의 에어리 형태로 집광되어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또는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55)의 신호면에 조사되며, 이 빛은 데이타가 기록된 피트(55a)가 없는 곳에서는 거의 그대로 돌아오게 되나, 피트(55a)가 있는 곳에서는 광이 피트(55a)에 의해 회절되어 대물렌즈(54)의 범위밖으로 방출되고, 이로 인하여 입사된 광 가운데 일부만 되돌아오게 됨으로서 광검출기에 광량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55)가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일 경우라고 가정하면, θ1의 각으로 집속되어 돌아오는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의 광정보는 다시 θ1의 각으로 대물렌즈(54)와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반투광부(26)를 경유하여 빔 스플리트(23)로 조사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빔 스플리트(23)는 디스크(55)를 통해 돌아오는 광정보를 일정한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고, 이 반사된 빔은 프리즘(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형 홀로그램격자(25)에 의해 반사 및 집속되어 프리즘(22)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광검출기(24)로 조사된다.
한편 디스크(55)가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일 경우라고 가정하면, θ2의 각으로 집속되어 돌아오는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의 광정보는 다시 θ2의 각으로 대물렌즈(54)와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의 전투광부(27)를 경유하여 빔 스플리트(23)로 조사되어진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빔 스플리트(23)는 디스크(55)를 통해 돌아오는 광정보를 일정한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고, 이 반사된 빔은 프리즘(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형 홀로그램격자(25)에 의해 반사 및 집속되어 프리즘(22)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광검출기(24)로 조사된다.
따라서, 상기 광검출기(24)에서는 디스크의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출력시키며, 이 광검출기(24)의 출력을 이용하여 미도시된 디지탈 신호처리부에 의해 알.에프(RF)신호, 포커스신호, 트랙킹신호를 검출 및 원래의 신호로 복조함으로서 디지탈 오디오 및 비디오 디스크상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 포커스에러 검출은 포컬트(Foucault)법으로, 그리고 트랙킹에러 검출은 원 빔(One beam)의한 푸시 풀(Push-Pull)법으로 검출된다.
본 발명은 프리즘에 빔 스플리트,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 광검출기, 반사형 홀로그램격자 등을 일체로 집적 형성하여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는 기구적인 오차를 제거함과 동시에 디스크상에 직경이 1.6μm와 0.8μm의 빔 포커스가 동시에 형성되도록하여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는 물론, 상기 오디오 디스크 보다 데이타 기록 용량이 수배 많아 피트의 폭이 현저히 좁은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토록하여 광 픽-업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레이저 빔을 대물렌즈로서 빔을 집광하여 디스크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기록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재생시키는 광 픽-업장치에 있어서,
    소정 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21),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1)의 상측에 배치되어 다수의 광학소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빔을 투과하는 프리즘(22), 상기 프리즘(22)의 중앙부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레이저 빔을 일정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빔 스플리트(23), 상기 프리즘(22)의 일 측 중앙에 형성되어 디스크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검출기(24), 상기 프리즘(22)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정보를 반사 및 집속시켜 광검출기(24)로 조사하는 반사형 홀로그램격자(25), 상기 프리즘(22)의 상면에 형성되고 입사빔을 전량 투과하는전투광부(27)와, 이 전투광부(27)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입사빔을 일정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반투광부(26)로 이루어져 디스크상에 빔 스포트 크기를 조절하는 스포트 사이즈 조절판(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장치.
KR1019960031935A 1996-07-31 1996-07-31 광 픽-업장치 KR100190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935A KR100190577B1 (ko) 1996-07-31 1996-07-31 광 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935A KR100190577B1 (ko) 1996-07-31 1996-07-31 광 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170A KR980011170A (ko) 1998-04-30
KR100190577B1 true KR100190577B1 (ko) 1999-06-01

Family

ID=1946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935A KR100190577B1 (ko) 1996-07-31 1996-07-31 광 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5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170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11158A (ko) 광 픽-업장치
JP2000315328A (ja) Dvd−ramの再生可能な互換型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234261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190577B1 (ko) 광 픽-업장치
KR100190576B1 (ko) 광 픽-업장치
KR100565036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0174474B1 (ko) 광 픽-업 장치
KR0174473B1 (ko) 광 픽-업 장치
KR100289719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KR0154200B1 (ko) Cd/dvd 계열 디스크 호환 기록/재생이 가능한 광픽업장치
KR0175814B1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39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37A (ko) 광 픽-업장치
KR19990049998A (ko) 광량조절형 액정판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KR980011163A (ko) 광 픽-업장치
KR20000039838A (ko) 듀얼포커스 프리즘이 구비된 광픽업장치
KR19980029889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41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57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52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51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40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49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13A (ko) 광 픽-업장치
KR19980029890A (ko) 광 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