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224B1 - Physical theraphy system for patient respiratory disease - Google Patents

Physical theraphy system for patient respiratory dise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224B1
KR100190224B1 KR1019960008573A KR19960008573A KR100190224B1 KR 100190224 B1 KR100190224 B1 KR 100190224B1 KR 1019960008573 A KR1019960008573 A KR 1019960008573A KR 19960008573 A KR19960008573 A KR 19960008573A KR 100190224 B1 KR100190224 B1 KR 10019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take
training
outpu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67045A (en
Inventor
문재호
강성웅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문재호
박용재
강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호, 박용재, 강성웅 filed Critical 문재호
Priority to KR101996000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224B1/en
Publication of KR97006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22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개시된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은 폐질환 환자가 호기(呼氣) 및 흡기(吸氣)를 동시에 수행하면서 호흡 훈련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륵 하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고, 훈련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륵 하는 것이다.The disclosed chest physiotherapy system allows the lung disease patients to directly check the respiratory training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exhalation and inspi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patient and motivating training. It is.

본 발명은 호기 및 흡기를 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을 구비하고, 마우스피스는 흡입관 및 배출관을 통해 흡입 공기량 및 배출 공기량을 각기 조절할 수 있는 흡입 공기 조절실 및 배출 공기 조절실에 각기 연결되며, 흡입 공기 조절실 및 배출 공기 조절실에는 흡입 밸브 및 배출 밸브가 각기 구비되고, 흡입 밸브 및 배출 밸브의 사이에는 압력 검출실이 구비되며, 압력 검출실에는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피스턴과, 피스턴의 이동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가 구비되며, 압력 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을 증폭기로 증폭한 후 기준 레벨 표시부로 입력시켜 압력을 표시함과 아울러 단계 설정부에 설정된 단계의 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단계 이상의 세기로 훈련을 하고 있는 지를 표시하고, 단계 설정부의 출력 신호로 비교 분석부가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하면서 호흡 훈련을 하는 지를 판단하고,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하면서 훈련을 하였을 경우에 이를 경보함으로써 환자들이 자신의 호흡 상태를 직접 는으로 확인하면서 훈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uthpiece for exhalation and intake, the mouthpiece is connected to the intake air control room and exhaust air control room that can respectively adjust the intake air amount and exhaust air amount through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respectively, intake air control The inlet valve and the outlet valve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suction valve and a discharge valve, a pressure detection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intake valve and the discharge valve, and 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intake and discharge air. And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the moving pressure of the piston, and amplifies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with an amplifier and inputs it to the reference level display to display the pressure and compare it with the value of the step set in the step setting unit. It indicates whether you are training at a strength higher than the set step, and the comparison analysis unit uses the output signal of the step setting unit. It is possible to train patients by checking their breathing status by determining whether they are practicing breathing training for a set time and alerting them if they have trained for more than the set time.

Description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Thoracic physical therapy system for patients with lung disea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est physiotherapy system for lung disease patients that can assist in chest physiotherapy of lung disease patie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기 호흡 훈련 및 호기 호흡 훈련이 모두 가능하고, 호흡 운동량의 객관적인 단계 설정이 가능한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st physiotherapy system for lung disease patients capable of both inspiratory breathing training and exhalation breathing training, and the objective stage setting of the respiratory momentu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상 휴대하면서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단히 훈련을 하고, 기도 내의 분비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양성 호기압력(positive exploratory pressure) 치료가 가능한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rry the chest physiotherapy of patients with lung disease capable of treating positive exploratory pressure, which is effective to remove secretions in the airways, and can be easily trained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carrying any time and place. To provide a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훈련 동기를 촉진할 수 있는 궤환(feedback) 기전이 가능하게 하여 많은 환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하고,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est physiotherapy system for a lung disease patient, which enables a feedback mechanism that can promote training motivation to be easily used by many patients and to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There i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에 따르면, 환자가 입을 대고, 흡기 및 호기를 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구비 하고, 마우스피스는 흡입관 및 배출관을 각기 통해 흡입 공기량 및 배출 공기량을 각기 조절할 수 있는 흡입 공기 조절실 및 배출 공기 조절실에 각기 연결된다.According to 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the lung disease pat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atient has a mouthpiece that can mouth, inhale and exhale, the mouthpiece is the amount of intake air and It is connected to the intake air control room and the exhaust air control room where the exhaust air volume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상기 흡입 공기 조절실 및 배출 공기 조절실에는 흡입 밸브 및 배출 밸브가 각기 구비되고, 흡입 밸브 및 배출 밸브의 사이에는 압력 검출실이 구비되고, 압력 검출실에는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피스턴과 피스턴의 이동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가 구비된다.Each of 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and the exhaust air control chamber is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and a discharge valve, respectively, a pressure detection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intake valve and the discharge valve, and 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is left and right depending on the pressure of the air sucked in and out. The piston and the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moving pressure of the piston is provided.

상기 압력 센서가 검출하는 호기 및 흡기 압력을 증폭기로 증폭한 후 기준 레벨 표시부로 입력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단계 표시부에 설정된 훈련 단계의 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훈련 단계 이상의 세기로 호흡 훈련을 하고 있는 지를 표시 한다.The aerobic and inspiratory pressure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are amplified by an amplifier and input to the reference level display,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training step set in the step display unit. do.

그리고 단계 설정부의 출력신호로 비교 분석부가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하면서 호흡 훈련을 하는 지를 판단하고,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하면서 호흡 훈련을 하였을 경우에 이를 경보한다.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of the step sett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omparison analysis unit performs the respiration training while continuing the set time, and alerts the case when the respiration training continues the setting time.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들이 자신의 호흡 상태를 직접 확인하면서 훈련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tients can train while checking their own breathing state.

제1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에서 호흡 훈련기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spiratory trainer in 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관을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cal 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회로도.3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cal 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관을 보인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cal 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회로도.5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cal 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마우스피스 3 : 압력 검출실2: mouthpiece 3: pressure detection chamber

5 : 발광 표시부 9 : 흡입 공기 조절실5 light emitting display 9 intake air control chamber

9' : 흡입 공기 구멍 10 : 배출 공기 조절실9 ': intake air hole 10: exhaust air control chamber

10' : 배출 공기 구멍 11 : 흡입 밸브10 ': exhaust air hole 11: intake valve

12 : 배출 밸브 13 : 피스턴12: discharge valve 13: piston

14 : 압력 센서 15 : 증폭기14 pressure sensor 15 amplifier

16 : 기준 레벨 표시부 17 : 제1단계 표시부16: reference level display 17: first stage display

17' : 비교기 18 : 시간 지연부17 ': comparator 18: time delay unit

19 : 비교 분석부 20 : 경보음/멜로디 발생부19: comparison analysis unit 20: alarm sound / melody generating unit

21 : 단계 설정부 22 : 제2단계 표시부21: step setting unit 22: second stage display unit

VR1 : 가변저항 R3 : 저항VR1: Variable resistor R3: Resistance

본 발명은 폐 질환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치료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rapeutic aids for use in treating patients with lung disease.

보다 상세하게는 폐 질환 환자들이 호기(呼氣) 및 흡기(吸氣)를 수행하면서 환자 자신이 훈련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고, 훈련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lung disease that allows patients with lung disease to perform aerobic and inhalation while allowing the patient to directly check the amount of training, thereby increas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patient and motivating the training. A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a patient.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많은 공해 물질을 배출하고, 이로 인하여 폐 질환 환자의 수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many pollutants are emitted from factories and automobile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lung disease patients is increasing.

이들 폐 질환 환자를 위한 효율적인 치료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efficient treatment methods for these lung disease patients.

주지된 바와 같이 폐 질환 환자들의 치료는 단순한 약물 치료만을 할 경우에 환자들의 활동 장애를 개선하는 데에는 많은 제한이 있으므로 약물 치료와 병행 하여 흉부 물리 치료, 심리 치료 등의 포괄적인 호흡 재활 치료로 호흡을 보조하고 있다.As is well know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lung disease has a lot of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patients' activity impairment in the case of simple drug treatment. Therefore, in combination with drug treatment, breathing is performed by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such as chest physiotherapy and psychotherapy. It is subsidizing.

상기 호흡 재활 치료로는 체위 배액 요법, 호흡 운동 및 이완 운동 등이 있다.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treatment includes position drainage therapy, breathing exercise and relaxation exercise.

환자들은 호흡 재활 치료를 통해 기관지 내의 분비물 제거, 기관지 경직의 완화 및 폐 조직의 확장에 많은 도움을 받게 되고, 호흡 형태의 개선 및 호흡 조절법을 습득하여 운동 능력을 증가시키며, 일상 생활 동작의 수행 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Patients with respiratory rehabilitation can benefit greatly from removing bronchial secretions, alleviating bronchial stiffness, and expanding lung tissue, improving breathing patterns and learning to control breathing, increasing motor skills, and performing daily life movements. Will increase.

특히 호흡 운동은 호흡 양상의 교정과 호흡근을 강화시켜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고, 기도내의 분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기침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수 적으로 필요한 치료 중의 하나이다.In particular, respiratory exercise is one of the necessary treatments to increase the alveolar ventilation by correcting the breathing pattern and strengthening the respiratory muscles, and to increase the cough function to release the secretions in the airways.

상기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호흡근의 근력과 지구력의 증가 훈련이 필요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alveolar ventilation, training of increasing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respiratory muscles is required.

그리고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기침 능력의 증가를 위해서는 호기근의 근력 강화 훈련이 필요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coughing ability to remove secretions, strength training of aerobic muscles is required.

즉, 폐 질환 환자의 기능 회복 또는 수술 후 호흡계 합병증의 감소를 위해서는 흡기 호흡 운동과 호기 호흡 운동을 모두 실시하여야 한다.In other words, both inhalation breathing and exhalation breathing should be perform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lung disease patients or to reduce postoperative respiratory complications.

흡기 호흡 훈련 중에서 흡기근 훈련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흡기 저항 호흡 (inspiratory resistive breathing) 기구들을 사용하여 개인이 편리하게 호흡근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Among the inspiratory breathing exercises, for inhalation muscle training, a variety of inspiratory resistive breathing apparatuses can be used by the individual to conveniently perform respiratory muscle training.

호기 훈련을 위해서는 마땅한 기구가 없고, 촛불 불기 및 병 불기 등과 같은 고전적인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re is no proper apparatus for training, and many classical methods such as candle blowing and bottle blowing are used.

그러나 촛불 불기 및 병 불기 등의 고전적인 방법은 적절한 장소와 별도의 기구 장치를 필요로 함으로 호기 훈련을 하는 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However, the classical methods such as candle blowing and bottle blowing require a proper place and a separate device device, which has caused a lot of inconvenience in exhalation training.

또한 호흡 훈련은 환자들의 상태나 치료의 경과에 따라 호흡 시간과 호흡 운동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해 주어야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훈련 기구는 적절하고 객관적인 훈련 단계의 설정이 가능해야 한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training should be able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by adjusting the respiratory time and the respiratory exercis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or the progress of treatment, the training apparatus should be able to set the appropriate and objective training sta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a lung disease pat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에서 호흡 훈련기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ract of a respirator in 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가(2)가 흡입관(7) 및 배출관(8)을 통해 흡입 공기 조절실(9) 및 배출 공기 조절실(10)에 각기 연결된다.As shown therein, the mouthpiece 2 is connected to 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9 and the exhaust air control chamber 10 through the suction pipe 7 and the discharge pipe 8, respectively.

상기 흡입 공기 조절실(9) 및 배출 공기 조절실(10)에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흡입 공기 구멍(9') 및 배출 공기 구멍(10')이 각기 구비됨과 아울러 흡입 밸브(11) 및 배출 밸브(12)가 각기 구비된다.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9 and the exhaust air control chamber 10 are each provided with an intake air hole 9 'and an outlet air hole 10', which can be adjusted in size, and are also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11 and a discharge valve. Each of 12 is provided.

상기 흡입 밸브(11) 및 배출 밸브(12)의 사이에는 압력 검출실(3)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 검출실(3)에는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피스턴(13)과, 피스턴(13)의 이동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4)가 구비된다.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3 is provided between the intake valve 11 and the discharge valve 12, and 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3 moves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air sucked in and discharged from the piston 13. And a pressure sensor 14 for detecting the moving pressure of the piston 13.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흡 훈련기는 환자들이 자신의 상태에 적절하게 흡입 공기 구멍(9') 및 배출 공기 구멍(10')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마우스피스(2)에 입을 대고, 호기 훈련 및 흡기 훈련을 하게 한다.The breat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thed to the mouthpiece 2 after the patients have properly adjusted the sizes of the intake air hole 9 'and the exhaust air hole 10' according to their condition. Have training and intake training.

환자가 호기 훈련을 할 경우에 환자의 입으로부터 상기 마우스피스(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관(8)을 통해 배출 공기 조절실(10)로 들어가게 된다.When the patient is doing exhalation train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mouthpiece 2 from the patient's mouth enters the discharge air control chamber 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8.

상기 배출 공기 조절실(10)로 들어간 공기의 일부는 환자들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조절된 배출 공기 구멍(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또한 배출 공기 조절실로(10)로 들어간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배출 밸브(12)를 통해 압력 검출실(3)로 유입된다.A part of the air entering the exhaust air control chamber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air hole 10 'adjusted to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s, and also the air entering the exhaust air control chamber 10 The remaining part flows into 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3 through the discharge valve 12.

상기 압력 검출실(3)로 유입된 공기는 피스톤(13)을 밀어 압력 센서(14)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detecting chamber 3 pushes the piston 13 to move toward the pressure sensor 14.

그러면, 피스톤(13)이 밀리면서 압력 센서(14)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력 센서(14)는 환자가 호기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되면서 압력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n, the piston 13 pushes the pressure sensor 14 while being pushed, thereby causing the pressure sensor 14 to output a pressure detection signal while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air exhaled by the patient.

그리고 환자가 흡기를 할 경우에는 환자가 마우스피스(2)를 입에 대고,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입 공기 구멍(9')을 통해 흡입 공기 조절실(9)로 유입되고, 또한 압력 검출실(3)의 공기가 흡입 밸브(11)를 통해 흡입 공기 조절실(9)로 유입된다.When the patient inhales, the patient puts the mouthpiece 2 on his mouth, and as the air inhales,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9 through the intake air hole 9 ', and also the pressure Air in the detection chamber 3 flows into 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9 through the intake valve 11.

상기 흡입 공기 조절실(9)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관(7)을 통하고, 마우스피스(2)를 통해 환자의 입으로 들어가게 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9 passes through the intake pipe 7 and enters the patient's mouth through the mouthpiece 2.

이 때, 압력 검출실(3)의 공기가 흡입 공기 조절실(9)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피스턴(13)이 압력 센서(14) 측으로 흡인되면서 압력 센서(14)를 누르게 되므로 압력 센서(14)는 환자가 흡기하는 공기에 압력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되면서 압력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air in 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3) enters 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9), the pressure sensor (14) is pressed because the piston (13) is sucked toward the pressure sensor (14). As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atient's intake air, a pressure detection signal is output.

즉, 상기한 호흡 훈련기는 환자가 호기 및 흡기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피스턴(13)이 이동하면서 압력 센서(14)를 눌러 압력 센서(14)에서 압력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respiratory trainer presses the pressure sensor 14 while the piston 13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air exhaled and inhaled by the patient, and outputs a press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14.

제2도는 상기 호흡 훈련기를 내장하고 상기 압력 센서(14)가 출력하는 압력 검출 신호로 호흡 훈련 상태를 판단 및 경보하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respiratory training and alert by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pressure sensor 14, the built-in respiratory trainer.

여기서, 부호 1은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본체이다.Here, 1 is the main body of 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상기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본체(1)에는 환자가 입을 대고 호기 및 흡기를 하는 마우스피스(2)가 구비되고, 환자가 호흡한 레벨을 표시하는 복수의 기준 레벨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16A)와, 훈련 단계를 조절하는 단계 설정 바(4)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1 of 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is provided with a mouthpiece 2 for exhaling and inhaling the patient's mouth,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level display light emitting diodes 16A for indicating the level at which the patient breathed; A step setting bar 4 is provided for adjusting the training step.

그리고 단계 설정 바(4)의 일측에는 상기 단계 설정 바(4)로 설정한 단계까지 호흡 훈련을 하였는 지를 표시하는 발광 표시부(5)와, 경보음 또는 소정의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6)가 구비된다.On one side of the step setting bar 4, a light emitting display unit 5 indicating whether the breathing training is performed until the step set by the step setting bar 4, and a speaker 6 which outputs an alarm sound or a predetermined melody are provided. It is provided.

제3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회로도 이다.3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cal 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4)의 출력단자가 증폭기(15)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증폭기(15)의 출력단자는 다이오드(D1) 및 저항(R1)을 통해 기준 레벨 표시용 집적소자(16')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기준 레벨 표시용 집적소자(16')의 기준 단자에는 기준 레벨 설정부(16)가 접속되고, 출력단자에는 복수의 기준 레벨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16A)가 접속되어 기준 레벨 표시부(16)가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ressure sensor 14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15,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15 is connected with the diode D1 and the resistor R1 for the reference level display integrated device ( 16 '), the reference level setting section 16 is connected to the reference terminal of the reference level display integrated device 16', a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level display light emitting diodes 16A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The reference level display unit 16 is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증폭기(15)의 출력단자가 저항(R2)을 통해 비교기(17')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비교기(17')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전원(B+)에 직렬 연결된 가변 저항(VR1) 및 저항(R3)의 접속점이 접속되며, 비교기(17')의 출력단자에는 상기 발광 표시부(5)가 접속되어 제1단계 표시부(17)가 구성된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15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7 'through the resistor R2,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7'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B +.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variable resistor VR1 and the resistor R3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and the light emitting display section 5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7 'to form the first display section 17.

상기 가변 저항(VR1)은 단계 설정 바(4)의 가변에 따라 조절된다.The variable resistor VR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step setting bar 4.

또한 상기 제1단계 표시부(17)의 비교기(17')의 출력단자는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1) 및 시간 설정부(18')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시간 지연부(18)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7 'of the first stage display unit 17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apacitor C1 and the time setting unit 18' through the resistor R4, and thus the time delay unit 18 is configured. do.

상기 시간 지연부(18)의 출력단자는 콘덴서(C2)매 접속됨과 아울러 저항(R5)을 통해 비교기(19')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비교기(19')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전원(B+)에 직렬 연결된 저항(R6) 및 가변 저항(VR2)의 접속점이 접속되며, 비교기(19')의 출력단자에는 스피커(6)로 경보음/멜로디를 출력하는 경보음/멜로디 출력부(20)가 접속되어 비교 분석부(19)가 구성된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time delay unit 18 is connected to the capacitor C2, and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9 'through the resistor R5,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9'. (-)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or (R6) and the variable resistor (VR2) connected in series to the power supply (B +), and the alarm sound / melody output to the speaker 6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9 ' The melody output part 20 is connected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part 19 is compris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원(B+)이 인가된 상태에서 환자가 호기 및 흡기함에 따라 압력 센서(14)에서 출력되는 압력 검출 신호가 증폭기(15)에서 증폭되어 출력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4 is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amplifier 15 as the patient exhales and inhales while the power source B + is applied.

상기 증폭기(15)에서 증폭된 압력 검출 신호는 다이오드(D1) 및 저항(R1)을 통해 기준 레벨 표시부(16)의 기준 레벨 표시용 집적소자(16')의 입력단자로 입력된다.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15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reference level display integrated device 16 ′ of the reference level display unit 16 through the diode D1 and the resistor R1.

그러면, 기준 레벨 표시부(16)의 기준 레벨 표시용 집적소자(16')는 입력된 압력 검출 신호를 기준 레밸 설정부(16)에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6A)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환자가 호기 및 흡기하는 레벨을 표시하게 된다.Then, the reference level display integrated device 16 ′ of the reference level display unit 16 compares the input pressure detection signal with the reference level set in the reference level setting unit 16,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 Selective illumination of 16A) will indicate the level at which the patient exhales and breaths.

또한 상기 증폭기(15)에서 증폭된 압력 검출 신호는 제1단계 표시부(17)의 저항(R2)을 통해 비교기(17')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고, 비교기(17')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전원(B+)을 단계 설정 바(4)의 가변에 따라 조절된 가변 저항(VR1) 및 저항(R3)으로 분할한 단계 설정 전압이 인가된다.In addition,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15 is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7 'through the resistor R2 of the first stage display unit 17 and the comparator 17'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is applied with a step setting voltage obtained by dividing the power source B + into the variable resistor VR1 and the resistor R3 adjusted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step setting bar 4.

그러면, 제1단계 표시부(17)의 비교기(17')는 증폭기(15)에서 출력되는 압력 검출 신호의 레벨과 전원(B+)을 단계 설정 바(4)의 가변에 따라 조절되는 가변 저항(VR1) 및 저항(R3)으로 분할한 단계 설정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게 된다.Then, the comparator 17 ′ of the first stage display unit 17 adjusts the level of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15 and the power supply B +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step setting bar 4. ) And the level of the step set voltage divided by the resistor R3.

이 때, 환자가 호흡하는 압력이 낮아 압력 검출 신호의 레벨이 단계 설정 전압의 레벨보다 낮을 경우에는 비교기(17')가 계속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발광 표시부(5)가 점등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ressure of the patient breathing is low and the level of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step setting voltage, the comparator 17 'continues to output the low potential, so that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5 is not turned on.

그리고 환자가 호흡하는 압력이 높아 압력 검출 신호의 레벨이 단계 설정 전압의 레벨보다 높을 경우에는 비교기(17')가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발광 표시부(5)가 점등된다.When the pressure of the patient breathing is high and the level of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i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ep setting voltage, the comparator 17 'outputs a high potential, so that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5 is turned on.

또한 제1단계 표시부(17)의 비교기(17')에서 출력되는 고전위가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된 후 시간 지연부(18)의 시간 설정부(18')에 입력된다.In addition, the high potenti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 'of the first stage display unit 17 is charged to the capacitor C1 through the resistor R4 and then input to the time setting unit 18' of the time delay unit 18. do.

그러면 시간 설정부(18')가 동작하여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Then, the time setting unit 18 'operates to output a high potential when a predetermined set time has elapsed.

이와 같이 시간 설정부(18')가 출력하는 고전위는 비교 분석부(19)의 콘덴서(C2)에 충전되면서 저항(R5)을 통해 비교기(19')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비교기(19')의 반전 압력단자(-)에는 전원(B+)을 저항(R6) 및 가변 저항(VR2)으로 분할한 기준 전압이 인가된다.The high potential output by the time setting unit 18 'is appli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9' through the resistor R5 while being charged in the capacitor C2 of the comparison analyzer 19. The reference voltage obtained by dividing the power source B + into the resistor R6 and the variable resistor VR2 is applied to the inverting pressure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9 '.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 설정부(18')에서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여 비교기(19')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전 압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보다 높게 되면, 비교기(19')가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time setting unit 18 'continuously outputs a high potential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9' become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pplied to the inverting pressure terminal (-). The comparator 19 'outputs a high potential.

상기 비교기(19')가 출력하는 고전위에 따라 경보음/멜로디 출력부(20)가 구동 되며 경보음 또는 소정의 멜로디를 발생하고, 발생한 경보음 또는 소정의 멜로디는 스피커(6)로 출력되어 환자에게 알리게 된다.According to the high potential output by the comparator 19 ′, the alarm sound / melody output unit 20 is driven to generate an alarm sound or a predetermined melody, and the generated alarm sound or the predetermined melody is output to the speaker 6 to be patient. You will be informed.

제4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n appear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단계 설정 바(4) 대신에 단계 상승 키(SW1) 및 단계 하강 키(SW2)를 구비하고, 설정된 단계를 표시하는 복수의 단개 설정용 발광 다이오드(22A)를 구비한다.As shown there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ngle-stage setting light emitting diodes having a step rising key SW1 and a step falling key SW2 instead of the step setting bar 4 and displaying the set steps. 22A).

제5도는 본 발명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회로 도이다.5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hest physical therap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단계 설정부(21) 및 제 2 단계 표시부(22)를 구비한다.As shown there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etting unit 21 and a second step display unit 22.

상기 단계 설정부(21)는, 전원(B+)에 복수의 저항(R11∼R1N)이 직렬 연결되어 복수의 저항(R11∼R1N)의 접속점이 멀티플렉서(21A)의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되고, 멀티플렉서(21A)의 제어단자에는 단계 상승 키(SW1) 및 단계 하강 키(SW2)가 접속되며, 멀티플렉서(21A)의 출력단자는 다이오드(D11) 및 저항(R2l)을 통해 상기 제1단계 표시부(17)의 비교기(17')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다.In the step setting section 21, a plurality of resistors R11 to R1N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power supply B +, and connection points of the plurality of resistors R11 to R1N are connected to input terminals of the multiplexer 21A, respectively, and the multiplexer A step up key SW1 and a step down key SW2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21A,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21A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p display unit 17 through a diode D11 and a resistor R2l.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7 '.

그리고 상기 제2단계 표시부(22)는, 상기 단계 설정부(21)의 멀티플렉서(21A)의 출력단자가 다이오드(D12) 및 저항(R22)을 통해 단계 표시용 집적소자(2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단계 표시용 집적소자(22')의 기준 단자에는 기준 레벨 설정부(22)가 접속되며, 단계 표시용 집적소자(22')의 출력단자에는 복수의 기준 레벨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22A)가 접속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tage display unit 22 has an out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21A of the stage setting unit 21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stage display integrated device 22 'through a diode D12 and a resistor R22. The reference level setting section 22 is connected to the reference terminal of the step display integrated device 22 ', a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level display light emitting diodes 22A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tep display integrated device 22'. Is connec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2단계 설정부(21)의 단계 상승 키(SW1) 및 단계 하강 키(SW2)를 조작하여 단계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단계 상승 키(SW1)를 누름에 따라 멀티플렉서(21A)는 높은 전압을 출력하고, 단계 하강 키(SW2)를 누름에 따라 멀티플렉서(21A)는 낮은 전압을 출력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ep is set by operating the step rising key SW1 and the step falling key SW2 of the second step setting unit 21. The multiplexer 21A outputs a high voltage, and the multiplexer 21A outputs a low voltage as the step down key SW2 is pressed.

즉, 멀티플렉서(21A)는 전원(B+)을 복수의 저항(R11∼R1N)으로 분할한 전압 중 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단계 상승 키(SW1) 및 단계 하강 키(SW2)를 누름에 따라 설정되는 해당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That is, the multiplexer 21A selectively outputs any one of the voltages obtained by dividing the power supply B + into the plurality of resistors R11 to R1N, and thus the step-up key SW1 and the step-down key SW2 are pressed. Output the corresponding voltage set accordingly.

상기 멀티플렉서(21A)가 출력하는 전압은 다이오드(D12) 및 저항(R22)을 통해 제 2단계 표시부(22)의 단계 표시용 집적소자(22')의 입력단자로 입력된다.The voltage output from the multiplexer 21A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tep display integrated device 22 'of the second stage display unit 22 through the diode D12 and the resistor R22.

그러면, 제2단계 표시부(22)의 단계 표시용 집적소자(22')는 입력된 단계 설정 전압을 기준 레벨 설정부(22)에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2A)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설정된 단계를 표시하게 된다.Then, the step display integrated device 22 ′ of the second step display unit 22 compares the input step setting voltage with the reference level set in the reference level setting unit 22,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 22A) is selectively turned on to display the set step.

그리고 상기 멀티플렉서(21A)에서 출력되는 단계 설정 전압은 다이오드(D11) 및 저항(R21)을 통해 제1단계 표시부(17)의 비교기(17')의 반전 입력단자(-)에 기준 전압이 인가된다.Th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7 'of the first stage display unit 17 through the diode D11 and the resistor R21 through the diode D11 and the resistor R21. .

그러면, 비교기(17')는 증폭기(15)에서 출력되는 압력 검출 신호의 레벨과 멀티플렉서(21A)에서 출력되는 단계 설정 전압을 비교하여 환자가 설정된 압력 이상 호흡하는 지를 판별하게 된다.Then, the comparator 17 'compares the level of the pressur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15 with the step setting voltage output from the multiplexer 21A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breathes more than the set pressur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호기와 흡기 호흡근 훈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분비물 제거에 이용되는 양성 호기 압력 치료가 가능한 훈련기로서 환자 자신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단계를 설정하여 호흡 훈련 또는 호흡 운동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크게 촉진시킬 수 있고, 작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in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exhalation and inspiratory re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is capable of treating positive exhalation pressure to be used for removing secretions, and appropriately setting the steps according to the patient's own condition to perform respiratory training or respiratory exercise. By doing so, the therapeutic effect can be greatly promoted, and it is small and can be easily carried, so that it can be used anywher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설정값에 도달하여 필요한 시간만큼 훈련이 이루어질 경우에 표시 장치를 점등시키고, 경보음을 출력하게 하여 훈련 상황을 환자 자신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ining is performed for the required time by reaching the reference set value,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n and an alarm sound is output so that the patient can confirm the training situation, thereby increasing the treatment effect.

또한 본 발명은 계획적인 훈련을 환자 스스로 수행할 수 있고, 환자에게 훈련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가 가능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에 없이 필요에 따라 훈련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arry out the planned training by the patient himself, can motivate the patient training, as well as being portable and can be trained as needed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Claims (5)

호흡 훈련의 호기 압력 및 흡기 압력을 검출하는 호흡 훈련기, 상기 호흡 훈련기가 검출한 호기 및 흡기 압력을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로 호기 및 흡기 압력을 표시하는 기준 레벨 표시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로 설정 압력 이상 호기 및 흡기하는 지를 표시하는 제1단계 표시부, 상기 제1단계 표시부의 출력신호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 상기 시간 지연부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 분석부, 및 상기 비교 분석부가 출력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멜로디를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경보음/멜로디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치스템.Respiratory trainer for detecting exhalation pressure and inspiratory pressure of respiratory training, Amplifier for amplifying exhalation and inspiratory pressure detected by the respiratory trainer, Reference level display for displaying exhalation and inspiratory pressure as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Output of the amplifier Comparison of generating an alarm control signal when the set time of the first stage display unit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intake and intake of the set pressure is exceeded by the signal, the time delay unit for de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tage display unit, and the set time of the time delay unit Chest physiotherapy treatment system for a lung disease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larm unit and a sound generating a sound / melody generated by a speaker according to the alarm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ison analysis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훈련기는, 환자가 입을 대고 호흡 훈련을 하는 마우스피스가 흡입관을 통해 연결되고 흡입 공기 구멍이 구비되는 흡입 공기 조절실, 상기 마우스피스가 배출관을 통해 연결되고 배출 공기 구멍이 구비되는 배출 공기 조절실, 상기 흡입 공기 조절실과의 사이에 흡입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공기 조절실과의 사이에 배출 밸브가 구비되어 호흡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실, 상기 압력 검출실내에 설치되어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피스턴, 및 상기 피스턴의 이동에 따른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The breath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reathing apparatus comprises: an intake air control chamber having a mouthpiece to which the patient puts his mouth and is trained to breathe and is connected through an intake pipe and is provided with an intake air hole; Is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between the discharge air control chamber, the intake air control chamber and a discharge valve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air control chamber and 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for detecting the respiratory pressure,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detection chamber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lung disease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ston and the piston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intake and discharge ai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공기 구멍 및 배출 공기 구멍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The chest physiotherapy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intake air hole and the exhaust air hole are adjustable in size.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표시부는, 단계 설정 전압을 설정하는 가변저항 및 저항,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가변저항 및 저항으로 설정한 단계 설정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로 호기 및 흡기 압력이 설정된 단계 이상임을 표시 하는 발광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The output of the compa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display unit compares a variable resistor and a resistor for setting a step set voltage, a step set voltage for se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to the variable resistor and a resistor, and an output of the comparator. A chest physiotherapy system for a lung disease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display to indicate that the exhalation and inspiratory pressure is at a predetermined stage or more as a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출력전압과 비교하기 위한 단계 설정 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설정부, 및 상기 단계 설정부에 설정된 단계를 표시하는 제2단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ep setting unit for generating a step setting voltage for comparison with an output voltage of the amplifi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second step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ep set in the step setting unit. Chest physical therapy system of patient with lung disease.
KR1019960008573A 1996-03-27 1996-03-27 Physical theraphy system for patient respiratory disease KR100190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573A KR100190224B1 (en) 1996-03-27 1996-03-27 Physical theraphy system for patient respiratory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573A KR100190224B1 (en) 1996-03-27 1996-03-27 Physical theraphy system for patient respiratory dise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45A KR970067045A (en) 1997-10-13
KR100190224B1 true KR100190224B1 (en) 1999-06-01

Family

ID=1945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573A KR100190224B1 (en) 1996-03-27 1996-03-27 Physical theraphy system for patient respiratory dise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22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45A (en)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86B1 (en) Smart respiration training machine
US8118713B2 (en) Respiratory muscle endur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JP6843850B2 (en) Breathing training, observation and / or auxiliary equipment
US20070089740A1 (en) Pursed lip breathing device
US20030140925A1 (en) System for conditioning expiratory muscles for an improved respiratory system
JP2018533412A5 (en)
JP2018535735A (en) Breathing training, observation and / or assistive devices
WO200601220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PREDICTION OF INTRINSIC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PEEPi) IN PATIENTS RECEIVING VENTILATOR SUPPORT
KR100231328B1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JP6275033B2 (en) Maternity labor guidance by breathing pace
CN111491684A (en) Hypoxic gas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altitude training and athletic exercise
JP63162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ufflation pressure during insufflation
KR101470328B1 (en) Portabl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KR100190224B1 (en) Physical theraphy system for patient respiratory disease
CN210728587U (en) Respiratory movement therapeutic device integrating respiratory training and inhalation drug therapy
Chinevere et al. Nasal splinting effects on breathing patterns and cardiorespiratory responses
CN107257698B (en) Breathing apparatus
Davenport et al. Inspiratory resistive load detection in conscious dogs
CN112156433A (en) Respiratory muscle exerciser
JP2004222785A (en) Artificial respirator
KR20210068268A (en) Smart Breath
RU171354U1 (en) Breathing simulator
CN213192373U (en) Respiratory muscle exerciser
CN220676687U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with sound excitation function
CN216909093U (en) Brea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