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162B1 -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162B1
KR100190162B1 KR1019960034441A KR19960034441A KR100190162B1 KR 100190162 B1 KR100190162 B1 KR 100190162B1 KR 1019960034441 A KR1019960034441 A KR 1019960034441A KR 19960034441 A KR19960034441 A KR 19960034441A KR 100190162 B1 KR100190162 B1 KR 100190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microcomputer
temperatur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196A (ko
Inventor
김성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162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발생되는 오동작을 줄이기 위해 조작을 하면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조작부와, 모니터 내부에 장착되어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모니터 내부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부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고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인가 받고 인가된 모니터 온도 신호를 판단하여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오프 신호를 인가 받아 모니터 내에서 소비 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회로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처리하여 OSD 신호를 출력하는 OSD로 구성하여 마이콤이 모니터 내에서 발생된 열로 오동작이 발생되고 심하면 열화되는 원인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METHODE AND CIRCUIT FOR PROTECTING MICROCOMPUTER)
본 발명은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 내부 온도와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가 높을 경우 마이콤이 열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적회로는 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열로 인해 집적회로가 동작 중에 오동작이 발생하고 더욱 심하면, 열화 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집적회로가 동작 중에 발생되는 열을 집적 회로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집적 회로 제작사들은 열 방출 기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기이고 있다.
이러한 집적 회로 중에서도 특히, 마이콤은 집적 회로 제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욱 빠르고 소형화되어 경향으로 인해 동작 중에 발생되는 열이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열 방출 재료 및 냉각팬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콤을 내장하고 있는 종래의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로 칭함)(100)는 사용자가 사용한 키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발생하는 CPU(110)와, 상기 PC(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로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 신호(R,G,B)와 상기 영상 신호(R,G,B)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로 되어 있다.
상기 PC(100) 내에 있는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는 모니터(200)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는 마이콤(210)과, 모니터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버튼(Button)부(220)와, 상기 마이콤(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아 라스터(Raster)를 동기화 시키는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표시하는 비디오 회로부(240)와, 상기 마이콤(21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240)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모니터(200) 내부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마이콤(210)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콤(210)은 각종 모니터 화면 제어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이콤(210)으로 제어 버튼(Button)부(220)에서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를 인가하면 인가된 화면 제어 신호에 따라 마이콤(210)에서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상을 조정하는 상 조정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 버튼(Button)부(220)는 수평 및 수직 위치 제어 신호와, 수평 및 수직 사이즈 조정 신호등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210)은 인가 받은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210)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발진 신호는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 내에 있는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에서 인가 받는다. 또한,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는 수평 및 수직 발진 회로(도시 않음)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를 인가 받는다.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는 비디오 카드(110)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톱니파 발생 회로의 온/오프 동작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펄스는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에서 인가 받는다. 수직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는 일반적으로 1단 의 수직 증폭형이 많이 사용되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을 가하고 에미터 단자에서 출력 전압을 꺼내는 에미터 팔로우(Emitter Folower)형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득보다는 직선성 개선의 동작을 한다. 이러한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인가 받은 수직 출력 회로(230-3)는 V-DY(230 -4)을 통해 흐르는 수직 동기 펄스에 부합된 톱니파 전류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또한,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발진 신호를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발진 신호를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는 수평 출력 회로(230-6)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6)는 드라이브단이 온 일때 출력단도 온이 되는 동위상(동극성) 방식과, 현재 많이 사용되는 드라이브단이 온 일때 출력단도 오프 되는 역위상(역극성)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이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은 수평 출력 회로(230-6)는 H-DY(230-7)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수평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그리고, 안정된 직류(DC) 전압을 CRT(240-4)의 애노드(Anode) 단자(240-4-1)에 공급하기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mer; 이하 FBT라 칭함)(230-9)를 통해 귀선 콜렉터를 이용하고 누설 인덕턴스와 고압 회로(230-8)의 분포 용량에 의한 고조파를 이용하여, 콜렉터 펄스가 작아도 큰 고압이 발생하여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40-3)의 애노드(Anode) 단자(240-3-1)에 고압을 인가하게 되다.
이와 같이 애노드(Anode) 단자(240-4-1)를 통해 고압을 인가 받은 영상 신호 처리부(240) 내에 있는 CRT(240-4)에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210)을 통해서 화면 제어에 따라 발생된 OSD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OSD부(240-1)는 OSD 이득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OSD부(240-1)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240-2)는 저전압 증폭기로 낮은 영상 신호(R,G,B)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가령 예를 들어 1VPP미만의 신호를 4 ∼ 6VPP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4 ∼ 6VPP의 신호로 증폭 된 것을 비디오 출력 앰프(240-3)는 40 ∼ 60VPP의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출력 앰프(240-3)에서 증폭된 영상 신호는 CRT(240-4)의 캐소드(Cathode)에 인가되어 모니터 화면을 통해 영상 신호(R,G,B)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 화면을 통해 영상 신호(R,G,B)가 표시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 교류를 입력받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이하 AC라 칭함) 입력단(250-1)을 통해 교류를 입력받는다. AC 입력단(250-1)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를 입력받은 디가우징 코일(250-2)은 모니터 화면의 색 순도가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하기 위해 디가우징 코일(250-2)에 순간적으로 2-8초 동안 교류를 가하면, 모니터 내에 있는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형성된 자계를 흩트려 색상의 번짐 상태를 회복시키게 된다.
또한, AC 정류기(250-3)를 통해 출력되는 교류는 정류기(250-3)를 통해 정류되어 스위칭 트랜스(250-4)로 인가된다. 정류기(250-3)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를 인가 받는 스위칭 트랜스(250-4)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압 출력단(250-5)을 통해 모니터(20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만일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H-SYNC)가 인가되지 않으면 마이콤(210)은 서스팬드 모드 신호를 전압 레귤레이터(250-6)로 인가하여 편향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부(250-7)에서 출력된 구형파 펄스는 스위칭 장치의 온/오프 드라이브 동작을 시키며, 펄스 폭의 변화는 도전 시간(Conduction Time)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PWM부(250-7)는 마이콤(210)에서 파워 오프 모드 신호를 인가받아 모니터(200) 내로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200)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모니터 내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콤(210)이 열방출재 및 냉각팬을 고려하지 않으면 마이콤(210)이 동작하는 동안에 오동작이 발생하고 더욱 심해지면 마이콤(210) 내부가 열화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모니터 주의 및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비교하여 일정 온도까지 높아지면 자동으로 모니터의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마이콤을 보호하는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 보호 회로의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온도 센서부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 및 키조작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로,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프리 앰프와 OSD와 비디오 컷옵(Cutoff)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한 마이콤 보호 회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 보호 회로의 블럭도로, 모니터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발생되는 오동작을 줄이기 위해 조작을 하면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조작부(10)와, 모니터 내부에 장착되어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모니터 내부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내장형 온도센서부(20)와, 모니터 외부 케이스에 부착되어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모니터 외부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30)와, 영상 신호(R,G,B)와 영상 신호(R,G,B)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40)와, 상기 비디오 카드(4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고 상기 키조작부(10)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내부 온도 신호와 상기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외부 온도 신호를 인가 받고 인가된 모니터 내부 온도 신호와 모니터 내부 온도 신호를 비교하여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50)과, 상기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오프 신호를 인가 받아 모니터 내에서 소비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회로(60)와, 상기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처리하여 OSD 신호를 출력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칭함)(70)와, 상기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상기 비디오 카드(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80-1)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최종 증폭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80-2)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80-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의 컷옵(Cutoff) 이득을 조정하는 비디오 컷옵(Cutoff)부(80-3)와, 상기 비디오 컷옵(Cutoff)부(80-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CRT(90)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 내부에는 고전압을 사용하는 회로가 많음으로 인해서 항상 많은 열이 발생하고 있다. 열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이 심해지면 모니터 내부의 각 회로부를 제어하는 마이콤(50)에 열이 가해지게 된다. 마이콤(50)이 모니터 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받으면, 마이콤 동작 중 오동작이 발생할 수 도 있고, 이로 인해 심하면 열화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 주위의 온도가 높아져 모니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모니터 내에 있는 마이콤(50)은 더 많은 열을 받아 오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콤(50)이 열로 인해 오동작을 발생할 수 있는 정도로 모니터 내부 및 주변의 온도가 높아지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는 키조작부(10)를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키조작부(10)를 사용하면 키조작부(10)에서는 키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키조작부(10)에서 발생된 키신호는 마이콤(40)으로 입력된다. 키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콤(50)은 키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와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내부 온도 신호를 마이콤(50)에 인가하는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는 모니터 내부에 있는 마이콤(50)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여 모니터 내부 특히, 마이콤(5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마이콤(5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는 감지된 내부 온도 신호를 마이콤(50)으로 인가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는 모니터 외부 케이스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여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모니터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는 감지된 외부 온도 신호를 마이콤(50)으로 인가하게 된다.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와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콤(50)은 입력된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 레벨를 비교하게 된다. 입력된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 레벨를 비교하는 마이콤(50)은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가 일정 레벨이 되면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 회로로 인가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오프 신호를 인가 받은 전원 회로는 모니터 내에 있는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전원 회로는 모니터 내에 있는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모니터의 각 회로부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되는 열, 특히, 고압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모니터 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게 됨으로 해서 마이콤으로 더 이상 열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와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온도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비교하는 마이콤(50) 동작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OSD 처리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본체(도시 되지 않음) 내에 있는 비디오 카드(40)는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CPU(도시 않음)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데이터를 비디오 카드(40)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 처리를 하게 된다. CPU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는 비디오 카드는 처리된 영상 신호(R,G,B)와 영상 신호(R,G,B)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카드(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 중에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마이콤(50)으로 인가하게 된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은 마이콤(50)은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또한, 마이콤(50)은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와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와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가 일정 레벨의 온도 레벨인지를 판단하는 정보 등의 OSD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는 OSD(70)으로 인가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를 인가 받은 OSD(70)는 OSD 처리하여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OSD(70)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80-1)를 통해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입력받은 비디오 출력 앰프(80-2)는 최종 증폭하여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비디오 출력 출력 앰프(80-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컷옵(Cutoff) 레벨을 비디오 컷옵부(80-3)에서 조정하게 된다. 비디오 컷옵(Cutoff)부(80-3)를 통해 컷옵(Cutoff) 레벨이 조정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OSD 신호는 CRT(90)로 인가되어 영상 신호(R,G,B)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OSD 정보를 온 하면 CRT(90)를 통해서 OSD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를 이용하여 마이콤(50)을 보호하는 온도 변화에 의한 마이콤 보호 회로에서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온도 센서부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로,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내장형 온도 센서부(20)와, 모니터의 외부 케이스에 부착되어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된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30)와, 상기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20)에서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온도 신호를 판별하는 마이콤(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 중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는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정 온도 센서부(21)와, 상기 제 1 수정 온도 센서부(21)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단(22)과, 상기 제 1 증폭단(22)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재 증폭하는 제 2 증폭단(23)과, 상기 제 2 증폭단(23)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는 출력 증폭단(24)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 중에 수정 온도 센서부(21)는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정 온도 센서(X1) 및 커패시터(C1), 가변 커패시터(C2), 코일(L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에 제 1 증폭단(22)은 트랜지스터(Q1)와, 다수의 저항(R1 ∼ R3), 커패시터(C3 ∼ C5), 코일(L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 중에 제 2 증폭단(23)은 트랜지스터(Q2)와, 다수의 저항(R4 ∼ R6), 커패시터(C6), 코일(L3)로 되어 있다.
나머지, 상기 구성 중에 제 3 증폭단(24)은 트랜지스터(Q3)와, 다수의 저항(R7, R8)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성 중에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는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수정 온도 센서부(31)와, 상기 수정 온도 센서부(31)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증폭하는 제 4 증폭단(32)과, 상기 제 4 증폭단(32)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재 증폭하는 제 5 증폭단(33)과, 상기 제 5 증폭단(33)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6 증폭단(34)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 중에 수정 온도 센서부(31)는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정 온도 센서(X2) 및 커패시터(C11), 가변 커패시터(C12), 코일(L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에 제 4 증폭단(32)은 트랜지스터(Q4)와, 다수의 저항(R9 ∼ R11), 커패시터(C13 ∼ C15), 코일(L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 중에 제 5 증폭단(33)은 트랜지스터(Q5)와, 다수의 저항(R12 ∼ R14), 커패시터(C17), 코일(L6)로 되어 있다.
나머지, 상기 구성 중에 제 6 증폭단(34)은 트랜지스터(Q6)와, 다수의 저항(R15, R16)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 전압(VCC1)을 인가 받아 구동되는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는 모니터 내부에 있는 마이콤(50)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제 1 수정 온도 센서부(21)를 장착하게 된다. 제 1 수정 온도 센서부(21)가 마이콤(50)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면 제 1 수정 온도 센서부(21)의 수정 온도 센서(X1)는 키조작부(10)의 키신호가 인가됨으로써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정 온도 센서(X1)는 진동 운동을 하면서 주파수를 발진한다. 수정 온도 센서(X1)에서 발진된 주파수의 신호는 미약하기 때문에 코일(L1)과 커패시터(C1)를 통해 보상 발진을 한다. 이때 보상 발진된 주파수는 가변 용량 커패시터(C2)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되어 제 1 증폭단(22)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된다. 제 1 증폭단(22)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입력된 보상된 주파수는 증폭되어 이미터단으로 출력된다. 이때, 저항(R1, R2)은 구동 전압(VCC1)을 분배하고, 코일(L1) 및 커패시터(C3, C4)는 이미터단으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주파수를 피드백(Feedback)시켜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커패시터(C5) 및 저항(R3)은 잡음 제거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 1 증폭단(22)에서 1 차 증폭된 온도 신호에 따른 주파수를 재 증폭하기 위해 결합 커패시터(C6)를 통해 제 2 증폭단(22)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주파수를 인가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된 주파수를 재 증폭하여 컬렉터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2 증폭단(23)의 저항(R4), 저항(R5)은 구동 전압(VCC1)을 분배하고, 저항(R6) 및 커패시터(C7)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코일(L3)은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으로 미세한 교류 잡음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라인 필터(Filter)로 사용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결합 커패시터(C10)를 통해서 제 3 증폭단(24)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으로 인가하게 된다. 베이스단으로 주파수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3)는 온도 신호에 따른 주파수를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설명되지 않은 커패시터(C8, C9)는 제 1 증폭단(22) 및 제 2 증폭단(23)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VCC1)이 최종 출력 증폭단인 제 3 증폭단(24)으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통해서 증폭되어 출력된 온도에 따른 주파수 신호는 마이콤(50)으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구동 전압(VCC2)을 인가 받아 구동되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는 모니터 외부 케이스의 적절한 위치에 제 2 수정 온도 센서부(31)를 장착하게 된다. 제 2 수정 온도 센서부(31)가 모니터 외부 케이스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면 제 2 수정 온도 센서부(31)의 수정 온도 센서(X2)는 키조작부(10)의 키신호가 인가됨으로써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정 온도 센서(X2)는 진동을 통해서 주파수를 발진한다. 수정 온도 센서(X2)에서 발진된 주파수의 신호는 미약하기 때문에 코일(L4)과 커패시터(C11)를 통해 보상 발진을 한다. 이때 보상 발진된 주파수는 가변용량 커패시터(C12)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되어 제 4 증폭단(32)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된다. 제 4 증폭단(32)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인가된 주파수는 증폭되어 이미터단으로 출력된다. 이때, 저항(R9, R10)은 구동 전압(VCC2)을 분배하고, 코일(L2) 및 커패시터(C13, C14)는 이미터단으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주파수를 피이드백(Feedback)시켜 트랜지스터(Q4)의 출력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커패시터(C15) 및 저항(R11)은 잡음 제거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 4 증폭단(32)에서 1 차 증폭된 온도 신호에 따른 주파수를 재 증폭하기 위해 결합 커패시터(C16)를 통해 제 5 증폭단(32)의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으로 주파수를 인가한다. 트랜지스터(Q5)는 베이스단으로 인가된 주파수를 재 증폭하여 컬렉터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5 증폭단(33)의 저항(R12), 저항(R13)은 구동 전압(VCC2)을 분배하고, 저항(R14) 및 커패시터(C17)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코일(L6)은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단으로 미세한 교류 잡음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라인 필터(Filter)로 사용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이미터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결합 커패시터(C16)를 통해서 제 6 증폭단(34)의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로 인가하게 된다. 베이스단으로 주파수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6)는 온도 신호에 따른 주파수를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설명되지 않은 커패시터(C18, C19)는 제 4 증폭단(32) 및 제 5 증폭단(33)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VCC2)이 최종 출력 증폭단인 제 6 증폭단(34)으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6)를 통해서 증폭되어 출력된 온도에 따른 주파수 신호는 마이콤(50)으로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내장형 온도 센서부(20)의 최종 증폭 출력단인 제 3 증폭단(24)의 트랜지스터(Q3)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가 내부 온도 신호가 되는 것이고, 외장형 온도 센서부(30)의 최종 증폭 출력단인 제 6 증폭단(34)의 트랜지스터(Q6)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가 외부 온도 신호가 된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Q3, Q6)를 통해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50)이 내부 및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고 비교하여 일정 온도 레벨 이상이 되면 파워 오프 신호를 모니터 내의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더 이상 모니터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콤(50) 및 키조작부(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 및 키조작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로, 모니터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발생되는 오동작을 줄이기 위해 조작을 하면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조작부(10)와, 상기 키조작부(10)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가 인가됨으로 해서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인가 받고 인가된 내부 및 외부 온도 신호의 레벨를 판정하는 마이콤(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 중에 키조작부(10)는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만을 온 시키는 제 1 스위치(SW1)와, 모니터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를 온 시키는 제 2 스위치(SW2)와,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모니터 외부의 오도를 측정하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를 모두 온 시키는 제 3 스위치(SW3)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 마이콤(50)은 내부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입력받는 온도 신호 입력단(50-1)과, 상기 마이콤(50)에 일정한 클럭을 공급하는 수정 발진부(50-2)와, 비디오 카드(제 2 도에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입력단(50-3)과, 상기 키조작부(10)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와 온도 신호 입력단(50-1)으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와 상기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은 마이콤(50)은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의 각 회로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50-4)과, 상기 마이콤(50)에서 입력된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이 진행 중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50-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중에 수정 발진부(50-2)는 수정 진동 소자(X3)와 다수의 커패시터(C21, C2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 중에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입력단(50-3)은 다수의 제너 다이오드(ZD1, ZD2)와, 다수의 저항(R20) 및 커패시터(C20), 코일(L8)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에 표시부(50-5)는 트랜지스터(Q7)와, 다수의 저항(R23, R24)과,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로 되어 있다.
나머지, 상기 구성 중에 출력단(50-4)은 다수의 저항(R25 ∼ R30)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모니터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라 마이콤(50)을 보호하기 위해 키조작부(10)의 제 1 스위치(SW1)를 온하면 제 1 키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제 1 스위치(SW1)를 온 하여 발생된 제 1 키신호는 저항(R17)을 통해 유기 되어 마이콤(50)으로 인가하게 된다. 제 1 키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50)은 온도 신호 입력단(50-1) 중에서 내부 온도 신호만을 선택하여 입력받게 된다.
내부 온도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콤(50)은 내장된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된 온도 신호의 레벨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입력된 내부 온도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 레벨의 온도 이상이면 마이콤(50)은 판단하여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오프 신호는 전원 회로(60)에서 인가 받아 모니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마이콤(50)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는 마이콤(50)은 처리된 내부 온도 신호에 대한 정보와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입력된 내부 온도 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OSD 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마이콤(20)에서 발생된 OSD 데이터를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마이콤(50)의 입출력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50)에서 실행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클럭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클럭은 수정 발진부(50-2)로부터 공급받아 실행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콤(50)에 클럭을 공급하는 수정 발진부(50-2)는 수정 발진 센서(X3)의 진동을 통해 발진하여 클럭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커패시터(C21)는 발진되는 주파수를 안정화시킨다. 커패시터(C22)는 진폭을 조정하게 된다. 만일 커패시터(C21)의 값이 커지면 주파수의 진폭이 커지고, 커패시터(C22)가 커지면 주파수의 진폭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수정 발진부(50-2)를 통해 발진되어 출력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마이콤(50)이 실행된다.
수정 발진부(50-2)를 통해 발진되어 출력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마이콤(50)이 실행되어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입력단(50-3)을 통해서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저항(R20) 및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유기하고 커패시터(C20)의 충방전에 따라 코일(L7)에 유기 되어 마이콤(50)의 입력단에 입력된다. 또한,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저항(R21) 및 제너 다이오드(ZD2)에 의해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레벨를 유지하고 코일(L8)을 통해서 입력되는 미세한 교류 잡음을 제거하여 입력된다.
마이콤(50)으로 입력된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마이콤(50)은 출력단(50-4)을 통해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출력된다. 또한, 마이콤(50)은 입력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각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출력단(50-4) 내에 있는 저항(R25 ∼ R29)을 통해 유기 되는 직류전압(5V)과 및 저항(R30)을 통해 유기 되는 직류전압(12V)과 유기 되어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각 저항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항 중에 저항(R25)을 통해서 직류전압(5V)을 인가 받아 출력되는 수직 시프트(V-SHIFT) 신호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수직 영상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저항 중에 저항(R26)을 통해서 동기 되어 출력되는 수직 사이즈(V-SIZE) 신호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수직 영상의 사이즈(Size)를 결정하는 신호이고, 저항(R27)을 통해서 직류 전압(5V)을 인가 받아 출력되는 트레페조이드(TRAPEZOID) 신호는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사다리꼴로 왜곡되는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저항(R28)을 통해서 유기 되는 직류전압(5V)을 인가받아 출력되는 사이드 핀(SIDE-PIN) 신호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찌그러짐을 보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리고, 저항(R28)을 통해서 유기 되는 직류전압(5V)을 인가 받아 출력되는 수평 시프트(H-SHIFT) 신호는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수평 영상이 좌우로 이동하는 신호이다. 또한, 저항(R30)을 통해 유기 되는 직류전압(12V)을 인가 받아서 출력되는 수평 사이즈(H-SIZE) 신호는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크기를 결정하는 신호이다.
나머지, 출력단(50-4)에서는 입력된 내부 온도 신호를 마이콤(50)에 내장된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된 모니터 내부 온도 신호 레벨 및 입력된 내부 온도 신호를 처리하여 판정된 정보를 OSD 처리하여 OSD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수평 신호(H-OUT) 및 수직 신호(V-OUT)를 출력하고, 수평 신호(H-OUT)에서는 영상 신호(R,G,B)의 이득을 일정하게 하는 클램프 신호(CLAMP)가 출력된다.
한편, 이와 같은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50-5)는 마이콤(50)을 통해 내부 온도 신호를 처리하게 되면 마이콤(50)에서는 하이 신호만을 출력하여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온 시킨다. 발광 다이오드(LED1)가 온이 되면 사용자는 현재 내부 온도 신호를 마이콤(50)에서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키조작부(10)에서 사용자가 제 2 스위치(SW2)를 온 하여 제 2 키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마이콤(50)에서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온도 신호 레벨 판정하게 된다. 마이콤(50)에서 외부 온도 신호 레벨이 미리 정해진 외부 온도 신호 레벨보다 높을 경우는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된 파워 오프 신호는 전원 회로에서 입력받아 모니터의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모니터 내에서 각 회로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으로 인한 열의 발생을 차단하여 마이콤(50)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조작부(10)의 제 2 스위치(SW2)를 온 하여 마이콤(50)에서 외부 온도를 처리하는 동작을 표시하기 위해 마이콤(50)은 로우 신호를 표시부(50-5)에 인가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로우 신호를 인가 받은 표시부(50-5)는 트랜지스터(Q7)가 오프 되어 발광 다이오드(LED2)가 온 된다. 표시부(50-5)의 발광 다이오드(LED2)가 온 되면 사용자는 현재 마이콤(50)에서 외부 온도 신호를 처리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표시부의 발광 다이오드(LED1, LED2)가 모두 오프 된 상태이면 현재 모니터가 오프 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나머지 키조작부(10)의 제 3 스위치(SW3)를 온 하여 제 3 키신호가 출력되면 마이콤(50)은 내장형 온도 센서부(20) 및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인가 받아 내부 온도 신호 레벨 및 외부 온도 신호 레벨를 판단하게 된다. 마이콤(50)을 통해 판단된 내부 온도 신호 레벨 및 외부 온도 신호 레벨이 미리 정해진 내부 온도 신호 레벨 및 외부 온도 신호 레벨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오프 신호는 전원 회로에서 인가 받는다. 파워 오프 신호를 인가 받은 전원회로(60)는 모니터 내에 있는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더 이상 모니터내에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마이콤(50)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조작부(10)의 제 3 스위치(SW3)를 온 하여 마이콤(50)에서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처리하여 동작을 표시하기 위해 마이콤(50)은 하이 및 로우 신호를 반복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및 로우 반복 신호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7)는 하이 신호 일 때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온 시킨다. 또한, 로우 신호 일 때 발광 다이오드(LED2)를 온 시킨다. 따라서, 표시부(50-5)의 발광 다이오드(LED1) 및 발광 다이오드(LED2)가 주기적으로 온/오프 되면 현재 마이콤(50)에서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처리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50-5)의 발광 다이오드(LED1, LED2)의 온/오프 동작을 보면서 현재 마이콤(50)에서 어느 온도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지를 알게 된다.
다음은, 마이콤(50)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된 신호들을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프리 앰프와 OSD와 비디오 컷옵(Cutoff)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로,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처리하여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OSD(70)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80-1)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와 상기 OSD(70)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 를 최종 증폭하고 영상 신호(R,G,B)의 컷옵(Cutoff) 레벨를 조정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 및 비디오 컷옵부(80-2, 80-3)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 및 비디오 컷옵부(80-2, 80-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표시하는 CRT(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 중에 OSD(70)는 OSD(70)로부터 출력되는 R-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로직 (Transistor Transistor Logic; 이하 TTL이라 칭함) 신호와, G-TTL 신호, B-TTL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회로(71)와, 다수의 저항(R37 ∼ R51)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폭 회로(71)는 R-TTL 신호, B-TTL 신호, G-TTL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지스터(Q8 ∼ Q10) 및 다수의 저항(R52 ∼ R54)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 중에 비디오 프리 앰프(80-1)는 입력단(80-1-1)에 영상 신호(R,G,B)를 입력받기 위해 다수의 저항(R31 ∼ R36)와, 다수의 커패시터(C23 ∼ C27) 및 다수의 다이오드(D3 ∼ D8)로 되어 있다. 또한 출력단(80-1-2)는 일정 레벨까지 증폭된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55 ∼ R59)와, 다수의 가변 저항(VR1 ∼ VR3) 및 다수의 커패시터(C33 ∼ C35)로 되어 있다.
나머지, 상기 구성 중에 비디오 출력 앰프 및 비디오 컷옵(Cutoff)부(80-2, 80-3)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최종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지스터(Q10 ∼ Q14)와, 다수의 저항(R61 ∼ R73) 및 다수의 커패시터(C36 ∼ C38), 다수의 코일(L7 ∼ L9)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50)을 통해서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판단하여 비교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OSD 처리하기 위해 OSD 신호 중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설정하기 위한 SCL 신호와 OSD 데이터(SDA)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렬 클럭 라인(Sierial Clock Line; SCL)신호와 직렬 데이터(Sierial Data; SDA)를 인가받은 OSD(70)는 수평 플라이백(Horizontal-Flyback; H-FLB) 신호와, 영상 신호(R,G,B) 신호의 바이어스 즉, R-Bias와 G-Bias와 B-Bias를 인가받아 OSD 신호 처리하게 된다.
OSD(70)에서 OSD 신호가 처리되면, OSD(70)에서는 영상 신호(R,G,B)의 이득 신호(R-Gain, G-Gain, B-Gain)와 R-TTL 신호와 G-TTL 신호와 B-TTL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OSD(7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이득 신호(R-Gain G-Gain, B-Gain)는 각각 저항(R40, R41, R42)를 통해서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된다. 이때, 저항(R40)를 통해서 인가되는 R-Gain 신호는 저항(R47, R48)를 통해서 적절하게 분배된 직류전압(5V)을 인가받아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한다. 이때 커패시터(C30)는 역기전력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저항(R41)를 통해서 인가되는 G-Gain 신호는 저항(R45, R46)를 통해서 적절하게 분배된 직류전압(5V)을 인가 받아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한다. 이때, 커패시터(C31)는 역기전력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저항(R42)를 통해서 인가되는 B-Gain 신호는 저항(R43, R44)를 통해서 적절하게 분배된 직류전압(5V)을 인가받아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한다. 이때 커패시터(C32)는 역기전력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OSD(70)로부터 출력되는 R-TTL 신호와 G-TTL 신호와 B-TTL 신호는 직류전압(5V)를 인가받아 구동되는 증폭회로(71)의 각 트랜지스터(Q8, Q9, Q10)의 베이스단으로 인가하게 된다. 각 트랜지스터(Q8, Q9, Q10)의 베이스단으로 인가 R-TTL 신호와 G-TTL 신호와 B-TTL 신호는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가 디지탈 영상 신호(R,G,B)인 경우에 사용되는 OSD 이득 신호이다. 이때 저항(R52, R53, R54)는 이미터 저항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OSD(7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이득 신호(R-Gain G-Gain, B-Gain)는 각각 저항(R40, R41, R42)를 통해서 인가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80-1)는 비디오 카드(40; 제 2 도에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는다. 비디오 카드(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가 입력될 때 커패시터(C23, C25, C27)는 비디오 프리 앰프(80-1)의 입력단에 정합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다이오드(D4, D6, D8)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가 부극성의 역기전력을 방지하며, 다이오드(D3, D5, D7)는 양극성의 역기전력을 방지하고, 저항(R31, R32) 및 저항(R33, R34) 및 저항(R35, R36)는 각각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안정화시키며 커패시터(C24, C26, C28)은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가 입력단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카드(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와 OSD(70)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에 따른 영상 신호(R,G,B)의 이득 신호(R-Gain G-Gain, B-Gain)를 입력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80-1)는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영상 신호(R,G,B) 및 OSD에 따른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에 따른 영상 신호(R,G,B)의 이득은 가변 저항(VR1, VR2, VR3)를 이용하여 조정한다.
따라서, 가변 저항(VR1, VR2, VR3)를 통해 이득 이 조정되면 영상 드라이브 신호(R-DRIVE, G-DRIVE, B-DRIVE) 신호가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되어 비디오 출력 앰프를 통해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에 따른 영상 신호(R,G,B)가 출력된다. 이때, 아직 설명지 않은 커패시터(C33, C34, C35)는 영상 드라이브 신호(R-DRIVE, G-DRIVE, B-DRIVE) 신호가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따라서, 비디오 프리 앰프(80-1)의 출력단(82)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에 따른 영상 신호(R,G,B)는 각각 저항(R55, R56, R59) 및 저항(R57, R58, R60)를 통해 비디오 출력 앰프 및 비디오 컷옵(Cutoff)부(80-2, 80-3)으로 인가된다.
이때, 만일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되는 OSD 선택 신호(OSD SELECT)가 비디오 프리 앰프(80)로 인가되면 비디오 프리 앰프(80-1)는 OSD 신호에 따른 영상 신호(R,G,B)를 비디오 출력 앰프 및 비디오 컷옵(Cutoff)부(80-2, 80-3)으로 출력한다.
OSD 신호에 따른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은 비디오 출력 앰프 및 비디오 컷옵(Cutoff)부(80-2, 80-3)는 직류전압(12V)로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10, Q11, Q12)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받아 증폭하여 각각 출력되는 OSD 신호에 따른 영상 신호(R,G,B)를 트랜지스터(Q13, Q14, Q15)의 베이스단으로 인가하여 충분히 증폭한 후 코일(L9, L10, L11)로 인가하여 저항(R65, R68, R73)를 CRT(90)의 영상 신호(R,G,B)의 각 캐소드(Cathode)(R.K, G.K, B.K)로 인가하여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되는 OSD 선택 신호(OSD SELECT)가 선택되지 않으면 비디오 카드(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가 OSD에 따른 영상 신호(R,G,B)와 같은 회로를 거쳐 CRT(90)로 인가되어 모니터 화면에 영상 신호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비디오 프리 앰프(80-1)로 인가되는 OSD 선택 신호(OSD SELECT)가 입력되면 CRT(90)를 통해 OSD 화면이 표시도어 사용자가 온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의 흐름을 첨부된 도면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한 마이콤 보호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사용자가 마이콤(50)을 온도에서 보호하기 위해 키조작부(10)를 온 하여 마이콤(50)이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개시 스텝(S51)과, 상기 마이콤(50)이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개시 스텝(S51)에서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과, 상기 마이콤(50)이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개시 스텝(S51)에서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3)과, 상기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과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3)에서 감지된 내부 온도 신호와 외부 온도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정 온도인가를 판단하고 비교하는 스텝(S54)과, 상기 내부 온도 신호와 내부 온도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정 온도인지 비교하고 판단하는 스텝(S54)에서 적정 온도로 판단되면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과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3)으로 리턴(Return)되는 스텝(S55)과, 상기 내부 온도 신호와 내부 온도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정 온도인가를 판단하는 스텝(S54)에서 적정한 온도가 아닌 경우에는 내부 온도 신호와 외부 온도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가 적정 온도를 넘으면 마이콤(50)는 전원 회로(60)를 오프 시키는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텝(S56)과, 상기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텝(S56)에서 파워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전원을 오프 하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LED1, LED2)가 점멸하는 스텝(S57)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1, LED2)가 점멸하는 스텝(S57)에서 발광 다이오드(LED1, LED2)가 점멸하면 발생되는 열로 인해 마이콤(50)을 보호하는 과정을 종료하는 스텝(S58)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50) 내에 있는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스텝(S51)에서 모니터 주의 및 모니터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모니터 내에 있는 마이콤(50)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조작부(10)를 온 하게 된다. 사용자가 키조작부(10)를 온 하면 키조작부(10)에서 키신호가 출력된다. 키조작부(10)에서 출력되는 키신호를 마이콤(50)에서 감지하게 된다. 키조작부(10)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50)은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을 통해서 내장형 온도 센서부(20)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3)을 통해서 외장형 온도 센서부(30)에서 감지하고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과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3)을 통해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와 외부 온도 신호가 적정한 온도인가를 비교하고 판단하는 스텝(S54)을 통해서 판단하게 된다. 즉,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한 마이콤(50)에서 마이콤(50)을 보호하기 위한 적정 온도를 미리 정해 놓게 된다. 가령 예를 들면, 모니터 내부인 경우에 마이콤(50)이 열에 의해 오동작을 범하지 않기 위한 적정한 온도가 50℃ 이하라면 적정 온도를 50℃이하로 정해 미리 마이콤(50)에 저장하게 된다. 적정 온도를 50℃이하로 정해지면 온도 제어 프로그램은 적정 온도인 50℃ 이하를 이용하여 내장형 온도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여 입력된 내부 온도 신호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 주위의 온도가 높은 곳이라면 쉽게 모니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쉽게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니터 내에 있는 마이콤(50)이 모니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오동작을 범하지 않기 위한 적정한 온도가 40℃이하라면 적정 온도를 40 ℃이하로 정해 마이콤(50)에 저장하게 된다. 적정 온도를 40℃ 이하로 정해지면 온도 제어 프로그램은 적정 온도인 40℃이하를 이용하여 외장형 온도 센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여 입력된 외부 온도 신호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정 온도를 판단하고 비교하는 스텝(S54)을 통해서 만일 내부 온도 신호가 적정 온도 범위 50℃ 이하이고, 외부 온도 신호가 적정 온도 범위 40℃ 이하라면 다시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과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3)으로 리턴(Return)한다.
또한,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과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3)으로 리턴(Return)은 내부 온도 신호와 외부 온도 신호가 적정 온도 범위를 넘어가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가 적정 온도인지를 판단하는 스텝(S54)에서 만일 내부 온도 신호와 외부 온도 신호 레벨이 적정 온도 범위를 넘으면 마이콤(50)에서는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내부 온도 신호가 50℃ 이상이거나 외부 온도 신호가 40℃ 이상인 경우에는 마이콤(50)에서는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의 적정 온도를 비교하고 판단하는 스텝(S54)에서 파워 오프 신호가 출력되면, 출력된 파워 오프 신호를 전원 회로에서 인가 받는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오프 신호를 인가 받은 전원 회로(60)는 모니터의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전원 회로(60)에서 모니터의 각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더 이상 모니터의 각 회로부가 동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게 되고, 마이콤(50)의 동작이 정지됨으로 해서 마이콤(50)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이콤(50)을 보호하기 위해 전원이 오프 되면 내부 온도 신호 및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여 마이콤(50)을 보호하는 동작의 온을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 LED2)가 점멸하는 스텝(S57)에서 발광 다이오드(LED1, LED2)가 점멸하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LED1, LED2)가 점멸 즉, 오프 되면 모니터는 전원이 오프 되어 마이콤(50)을 보호하는 모든 스텝들이 종료하는 스텝(S58)을 통해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 내부에 있는 마이콤이 모니터 내에서 발생된 열로 오동작이 발생되고 심하면 열화되는 원인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모니터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발생되는 오동작을 줄이기 위해 조작을 하면 키신 호를 출력하는 키조작부와, 모니터 내부에 장착되어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모니터 내부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부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고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를 인가 받고 인가된 모니터 온도 신호를 판단하여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오프 신호를 인가 받아 모니터 내에서 소비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회로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신호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처리하여 OSD 신호를 출력하는 OSD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최종 증폭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의 컷옵 이득을 조정하는 비디오 컷옵부와, 상기 비디오 컷옵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CRT를 포함하는 마이콤 보호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부는 모니터 내부에 장착되어 모니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장형 온도 센서부와, 모니터 외부 케이스 부착되어 모니터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장형 온도 센서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 보호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마이콤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 보호 회로.
  4. 마이콤이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되면 내부 온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와 외부 온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과, 상기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에서 입력된 내부 온도 신호와 내부 온도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정 온도인가를 판단하고 비교하는 스텝과,상기 내부 온도 신호와 내부 온도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정 온도인가를 판단하고 비교하는 스텝에서 적정 온도로 판단되면 온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온도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52)으로 리턴(Return)되는 스텝과, 상기 내부 온도 신호와 내부 온도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정 온도인가를 판단하는 스텝에서 적정한 온도가 아닌 경우에는 마이콤에서 전원 회로를 오프 시키는 파워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텝를 포함하는 마이콤 보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마이콤에서 전원 회로를 오프 시키는 전원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텝은 마이콤으로부터 파워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전원 회로가 오프되는 것을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점멸 스텝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 보호 방법.
KR1019960034441A 1996-08-20 1996-08-20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 KR100190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441A KR100190162B1 (ko) 1996-08-20 1996-08-20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441A KR100190162B1 (ko) 1996-08-20 1996-08-20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196A KR19980015196A (ko) 1998-05-25
KR100190162B1 true KR100190162B1 (ko) 1999-06-01

Family

ID=1947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441A KR100190162B1 (ko) 1996-08-20 1996-08-20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574B1 (ko) * 2002-11-04 2010-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Cpu 과열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196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572B1 (ko) Os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dpms 표시 방법
KR100247393B1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US594322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witching power of display monitor with remote controller
JP290190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電源制御回路
JPH0913539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パワーセーブモード表示方法
US5944830A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onitor by switching off heater power in power-off mode
US10714978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is turned off in standby stat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0655502B1 (ko) 화상표시장치
KR100190162B1 (ko) 마이콤 보호 회로 및 방법
US6275221B1 (en) Low consumption power circuit using an electronic switch in a display monitor
KR100234421B1 (ko) 모니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40210843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illumin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9980015197A (ko) 모니터의 자동전원 제어회로(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 monitor)
WO2022022481A1 (zh) 激光投影设备及人眼保护方法
US6246554B1 (en) Surge protector for a video display apparatus
KR19980085431A (ko) 동기신호 처리시 발생된 오류 동작 코드화 장치 및 방법
JPH0833148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源on/off検知装置
KR100209505B1 (ko) 듀티(duty) 변경 회로
US875183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broadcasting receiver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the method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KR100823916B1 (ko) 프로젝터의 소비 전력 감소 장치
KR100833381B1 (ko)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160674A (ja) 液晶ディスプレー素子の駆動制御装置
KR19980060005U (ko) 모니터 냉각 장치
US7271553B2 (en) Deflection circuit to control base current of output transis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