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313B1 - 피롤릴벤즈 이미다졸 유도체 - Google Patents

피롤릴벤즈 이미다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313B1
KR100189313B1 KR1019960059232A KR19960059232A KR100189313B1 KR 100189313 B1 KR100189313 B1 KR 100189313B1 KR 1019960059232 A KR1019960059232 A KR 1019960059232A KR 19960059232 A KR19960059232 A KR 19960059232A KR 100189313 B1 KR100189313 B1 KR 10018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ethyl
acid
bis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071A (ko
Inventor
아키오 마쯔나가
유키 미타
히로시 코오노
하지메 에다쯔기
다이지 이와타
Original Assignee
사또 아끼오
미쯔이 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 아끼오, 미쯔이 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또 아끼오
Publication of KR97002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가지고 항암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을 재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하기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염을 얻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암제로서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피롤릴벤즈이미다졸유도체
본 발명은, DNA에 결합하여,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신규의 벤즈이미다졸유도체인화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의약조성물, 특히 항암제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DNA에 작용하는 화합물중에는 항암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예를들면,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은 DNA에 인터케레이트하는 항암제로서 유용하다. 또, 시스플라틴(Cisplatin), 마이토마이신(Mitomycin)과 같이 DNA와 반응하는 화합물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DNA에 작용함으로 인한 항암작용은, 그 전부를 설명할 수는 없어도, 일단 확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최근, 디스타마이신(Distanmycin), 혹은 네트로프신(Netropsin)은 DNA에 결합하여, 항종양활성을 가진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Nature,1964년,203권,1064-64페이지). 이들은, 종래의 항암제와는 DNA와의 결합양식이 다른 그루브바인더로서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항암제에 관한 지견에서는, DNA와의 상호작용에 관해서, 화합물중의 어느 부분이 정말 필요한 구조인지, 혹은 달리 어떠한 구조가 대체될 수 있는지를 예상하는 것은, 현재 시점에서 전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외에 바람직한 구조를 가진 화합물의 존재를 예측해서, 탐색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구조의 탐색은, 신규의 항암제의 창제(創製)를 위하여 특히 요구되고 있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디스타마이신유도체에 알킬화제를 결합시킨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예를 표시하면, J. Am. Chem. Soc. 1985년 107권 8266페이지, EP246868, WO93-13739, J. Med. Chem. 1989년 32권 774페이지 등이 있다. N-메틸이미다졸을 부분 구조로해서, 그것을 아미드결합으로 연결한, 디스타마이신과 유사한 화합물에 알킬화제를 결합한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US5273991). 이들중에서 알킬화제로서, 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잔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있으나, 이 잔기는 이미 항암제의 구조의 일부인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클로람부실(Chlorambucil)은 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잔기를 분자내에 가진 항암제로서 알려져 있다. 이 화합물의 항암활성은 DNA, 효소등에의 알킬화를 행하는 결과라고 상상되고 있다. 그러나, 크롤로에틸아민구조를 가진 알킬화제를, DNA와 결합하는 항암제의 일부의 구조로서 부가하는 것의 가치는 아직 확립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DNA에 작용하는 새로운 화합물 혹은 DNA에 작용하는 부분구조를 가진 새로운 화합물로서 항암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일이다.
상술한 디스타마이신이 DNA에 결합하는 화합물의 전형예이다. 디스타마이신은, 피롤이란 방향고리가 아미드결합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고하는 구조상의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DNA에 결합하는 구조와, 각각의 유용성의 유열에 대해서 검토된 예는 없다. 이에 의해 본 발명자는, 피롤의 구조를 일부유지하면서, 기지의 화합물과 다른 구조를 가지고, 또한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이외에도 존재하는 것을 예상해서, 새로운 구조의 탐색을 행하였다.
또, 우리들은, 이미 EP0711768A1로서 이와 같은 구조의 화합물을 함유한 화합물 군을 표시하고 있다.
또, 특히 피롤와 벤즈이미다졸을 직접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또한 아미드결합으로 다른 치환기를 부가한 구조를 가진 신규화합물에 대해서 탐색하고, 1H-2(4-니트로피롤-2-일)벤즈아미다졸-5-카르복사미드유도체에 알킬화제를 부가하고, 또한, 이 피롤의 4위에 알킬티오유도체를 결합하고, 또, 이 알킬티오기를 알킬화하므로서 술포늄화합물을 얻었다. 이 술포늄화합물의 효과를 검토하였던바 고활성의 항암제로 될 수 있음을 알았다. 이들 지견에 부가해서, 이 술포늄화합물의 카운터아니온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던 바, 카운터아니온으로서 p-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등의 술폰산을 가진 화합물은, 비교적 안정성에 뛰어난 것도 알았다.
이상의 일로부터, 우리들은 새로운 항암제의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1] 일반식(1)
[식중, m은 1∼3의 정수를 표시하고, R1, R2는 각각 동일 또는 다른 탄소수 1∼5의알킬기이며, R3은 수소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또는할로겐원자를 표시하고, X-는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에서 선택되는 산잔기이며,]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염이며, 또,
[2] R3이 수소, 메틸기, 메톡시기 혹은 클로르원자인 [1]기재의 화합물 및 그 염이며, 또,
[3] R1, R2다같이 메틸기인 [2]기재의 화합물 및 그 염이며, 또,
[4] ] 2-[N-[1-메틸-2-[5-[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조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및 그 염이며, 또,
[5]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조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 및 그 염이며, 또,
[6] [1]∼[5]의 어느 1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암제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탄소수 1∼5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는 술포늄기란, 탄소수 1∼5의 직사슬 또는분기의 알킬기로 치환된 술포늄기이며, 치환되고 있는 알킬기로서는, 예를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3의 알킬기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3의 알콕시기란,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i-프로필옥시기가 바람직하다.
할로겐원자란,불소원자,염소원자,브롬원자,요드원자이다.
염으로서는, 예를들면 이들의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둥의 무기산염, 흑은 메탄술폰산염, 톨루엔술폰산염,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산, 벤젠술폰산, 니트로벤젠술폰산, 캠퍼술폰산염, 아세트산염, 푸마르산염, 구연산염, 옥살산염, 타르타르산염등의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합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명 혹은 실시예중에서, DCC는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CDI는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EDCI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DECP는 디에틸시아노포스
포네이트, DNA는 디메틸포름아미드,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표시한다. Pd/C는
파라듐부가 활성탄을 표시하고, 통상 그 파라듐은,5∼10%이다.
주요한 중간체인 일반식(2)에 표시한 화합물은 이미 EPO711768A1에 개시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일반식(2)의 아미노화합물에 일반식(3)의 카르복시산유도체를 일반적인 축합제(예를들면, DCC, CDI, EDCI, DECP등)에 의해서 축합해서, 알킬티오기를 결합할 수 있다. 이들의 반웅에 사용되는 용매는, 일반적인 것이면되나, DNA 흑은 그것을 함유한 혼합용매가 좋은 결과를 부여한다. 반응시간은 30분∼40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웅온도는 0∼4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산클로리드를 사용해서 마찬가지로 일반식(4)를 얻올 수 있다. 이때의 반응시간은 1분∼1시간이다(반응식(1)).
또,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당한 알킬화제로서의 술폰산에스테르, 예를들면 메탄술폰산메틸, 벤젠술폰산메틸, p-톨루엔술폰산메틸, p-톨루엔술폰산에틸, p-톨루엔술폰산프로필등으로 알킬화해서 일반식(5)에 표시한 술포늄유도체를얻을 수 있다. 여기서의 용매는, 개미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브롬화수소산, 메탄올, 에탄올, 이 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에테르, THF, 디옥산, 아세트산에틸, 아세톤, 2-부타논,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등이 사용된다. 이들 용매를 2종류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킬 수도 있다. 반응시간은 1∼150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0∼6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반응식(2)).
또, 일반식(5)에 표시한 술포늄유도체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황산염, 질산염,인산염, 메탄술폰산염, 톨루엔술폰산염, 캠퍼술폰산염 등의 무기산 혹은 유기산과의 염이 합성될 수 있다.
일반식(4)로 표시한 화합물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메탄술폰산염, 톨루엔술폰산염, 캠퍼술폰산염 등의 산과의 염이 합성될 수 있다. 이들 염도 또는 반응식(2)에표시한 반응과 마찬가지로 적당한 알킬화제로서의 술폰산에스테르, 예를들면 메탄술폰산메틸, 벤젠술폰산메틸, p-톨루엔술폰산메틸, p-톨루엔술폰산에틸, p-톨루엔술폰산프로필등으로 알킬화해서, 대응하는 술포늄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의 용매는, 개미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에테르, THF, 디옥산, 아세트산에틸 , 아세톤, 2-부타논,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을 단독 혹은 2종류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킬 수도 있다. 반응시간은 1∼150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0∼6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반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당한 알킬화제로서의 술폰산에스테르, 예를들면 메탄술폰산메틸, 벤젠술폰산메틸, p-톨루엔술폰산메틸, p-톨루엔술폰산에틸, p-톨루엔술폰산프로필등으로 알킬화해서 일반식(5)에 표시한 술포늄유도체를 얻을 때, 메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캠퍼술폰산을 반응액속에, 일반식(4)의 화합물에 대해서 1∼2배몰첨가하므로서 상당하는 염을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의 용매는, 개미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올, 에탄을,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에테르, THF, 디옥산, 아세트산에틸 , 아세톤, 2-부타논,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을 단독 혹은 2종류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킬 수도 있다. 반응시간은 1∼150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0∼6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술포늄기를 가진 화합물이 약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예는 적고, 또한, 그 카운터이온으로서 술폰산이 사용되고 있는 예도 적고, 항암제에 한정하면 그예는 거의 없다고 해도 된다.
또, 우리들은 이들의 화합물군의 안정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시험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각화합물의 원체(原體)를 외부로부터의 습도영향을 제거한 상태에서 50∼60℃의 인큐베이터속에서 보존하여, 그 잔존률을 HPLC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의 카운터아니온을 가진 화합물과 요드의 카운터아니온을 가진 화합물을 비교하면 전 2자의 것이 후자의 것보다 안정성에 뛰어난 것을 알았다.
그러나, 대략 0∼5℃의 냉장고에 보존한 경우는, 명백한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의 카운터아니온을 가진 화합물은 요드의 카운터아니온을 가진 화합물보다 안정적이며, 실제로 취급하기 용이하다고 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반식(1)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예를 표-1에 표시한다. 이 표에는 술포늄기의 카운터아니온은 메탄술폰산과 톨루엔술폰산을 예로서 표시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란 것은 지금까지 실명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카운터 아니온을 특정할 필요가 있을때는, 그때마다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또, 표-1의 화합물에 대해서는, 화합물의 구조로부터 술포늄기의 카운터아니온 이외에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미 그 합성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한바 있다. 카운터아니온과 그 이외의 염으로서 표시한 산잔기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반드시 양자를 구별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고, 또한 비율도 1:1이 아닌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그와 같은 염의 형태도 포함해서 고려하기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포함되는 술포늄화합물의 예를 염의 형태를 포함해서 열거한다. 이들은 편의상, 이미 존재하는 술포늄화합물의 염에 새로이 다른염을 형성하는 것을 전제로 명칭을 붙이나, 상술한 이유에서, 함유되는 산잔기가 고정된 것이 아닌 것은 명백하다.
2-[N-[1-메틸-2-[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폐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 피롤-4-일] 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 )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메탄술폰산염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p-톨루엔술폰산염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벤젠술폰산염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 ]-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 p-톨루엔술포네이트·메탄술폰산염
2-[N-[1-메틸-2-[5-[N-[ 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 p-톨루엔술포녜이트·p-톨루엔술폰산염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 카르바모일에틸-디에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 트·벤젠술폰산염
2-[N-[1-메틸-2-[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 페닐]]카르바모일 ]-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벤젠술포네이트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벤젠술포네이트·메탄술폰산염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 ]-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털술포늄벤젠술포네이트·p-톨루엔술폰산염
2-[N-[1-[메틸-2-[ 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벤젠술포네이트·벤젠술폰산염
2-[N-[1-메틸-2-[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 ]-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 탄술포네이트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염
이상 설명한 것을 전제로, 술포늄기의 카운터아니온을 메탄술폰산 또는 톨루엔술폰산일때의 구조를 열거한다. 이 표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른 카운터아니온의 예도 마찬가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이 문서 속의 화합물번호는 표-1(표1∼표6)에 표시한 화합물의 번호를 표시한 것이다.
[표 1]
[표 1 계속된 1]
[표 1 계속된 2]
[표 1 계속된 3]
[표 1 계속된 4]
[표 1 계속된 5]
본 발명의 화합물은, 뛰어난 활성을 가진 항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암종(癌腫)은, 백혈병, 골육종, 유방암, 난소암, 위암, 대장암, 폐암, 두경부암 등이다.
제제화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가능하다. 제형으로서는, 각종의 형태가 치료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고,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고형제제, 액제, 기타 좌약제 등을 들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은 각종제제이다. 즉, 고형제제로서는, 정제, 환제(丸劑), 산제, 과립제, 캅셀제등, 액제로서는, 용액으로서의 주사 제외에, 현탁제, 시럽제, 유제(乳劑)등, 기타의 제제로서는, 좌약제등이다.
정제의 형태로 성형할 때에는, 담체로서의 분야에서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각종의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유당, 백당, 염화나트륨, 포도당, 전분, 탄산칼슘, 카올린, 결정셀룰로스, 규산 등의 부형제, 물, 에탄을, 프로판올, 단시법, 포도당액, 전분액, 젤라틴용액, 세락용액, 메틸셀룰로스용액,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용액, 폴리비닐피롤리돈용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용액 등의 결합제, 건조전분, 아르긴산나트륨, 한천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라우릴 황산나트륨,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리드, 전분, 유당 등의 붕괴제, 백당, 스테아르산, 카카오버터, 수소첨가오일 등의 붕괴억제제, 제 4급암모늄염기,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흡수촉진제, 글리세린, 전분 등의 보습제, 전분, 유당, 카올린, 벤트나이트, 콜로이드상규산, 결정성셀룰로스, 경질무수규산 등의 흡착제, 탤크, 스테아르산염, 붕산분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활택제등이다.
또 정제의 경우, 필요에 따라 통상의 제제표피를 실시한 정제, 예를들면 당의정, 젤라틴 피포정, 장용피정, 피름코팅정 혹은 2층정, 다층정으로 할 수 있다. 환제(丸劑)의 형태로 성형할때에는, 담체로서 종래 이 분야에서 공지의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예를들면 포도당, 유당, 전분, 카카오기름, 경화식물유, 카올린, 탤크 등의 부형제, 아라비아고무분말, 토라간트분말, 젤라틴 등의 결합제, 카르메로스칼슘, 한천 등의 붕괴제 등을 들 수 있다.
캅셀제는, 상법에 따라 통상 유효성분화합물을 상기에서 예시한 각종의 담체와 혼합해서 경질젤라틴캅셀, 연질캅셀 등에 충전해서 조제된다.
주사제로서 조제하는 경우, 액제, 유제 및 현탁제의 형태로 조제할때에는, 회석제로서 이 분야에 있어서 상용되는 것, 예를들면 물, 에탄올, 마크로골, 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시화스테아릴알콜, 폴리옥시화이소스테아릴알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면실유, 옥수수유, 낙화생유, 올리브유 등을 사용할 수 있
다. 또 본 발명의 화합물에 물을 첨가, 적절한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현탁성수용액, 또는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HC0-60),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한 유탁액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식염, 포도당 글리세린을 의약제제속에 함유시켜도 되고, 또 통상의 용해보조제, 완충제, 무통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좌약제의 형태로 성형할때에는, 담체로서 종래공지의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카카오기름, 고급알콜, 고급알콜의 에스테르류, 젤라틴, 반합성글리세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착색제, 보존제, 향료, 풍미제, 감미제등이나 기타의 의약품을 의약제제속에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의약제제의 투여방법은 특히 제한은 없고, 각종제제형태, 환자의 년령, 성별 기타의 조건, 질환의 정도에 따른 방법으로 투여된다. 예를들면, 정제, 환제, 액제, 현탁제, 유제, 산제, 과립제, 시럽제 및 캅셀제의 경우에는, 경구투여된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또는 포도당, 아미노산 등의 통상의 보조액으로서 혼합해서 정맥내 투여되고, 또 필요에 따라서 단독으로 근육내, 피하 혹은 복공내에 투여된다. 좌약제의 경우는 직장내 투여된다. 본 발명의 이들의 약제제의 투여량은, 용법, 환자의 년령, 성별 기타조건, 질환의 정도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나, 통상 유효성분화합물의 양이 성인 1일당 0.001∼1,000mg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 투여단위 형태의 제제속에는 유효성분화합물이 약 0.001∼1,000mg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암제는 일반적으로 말해서, 예를들면 아드리아마이신, 시스플라틴등이 상용되는 약제라도 부작용이 작다는 말할 수 없다. 현재의 기술레벨로 보아서, 부작용은 작용강도와의 관계를 고려해서 판단되어야하며, 어느정도는 피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부작용은, 항암제로서 사용하는 정도로는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합성예 1
N, N-비스(2-클로로에틸)-1,4-페닐렌디아민염산염
4-니트로-[N,N-비스(2-클로로에틸)]아닐린 5,0g(19.⒣⒨)을 아세트산에틸 50ml와 메탄올 25㎖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4N염산5.0㎖를 첨가하였다. 이것을 10%Pd/C를 사용해서 상압실온에서 수소첨가하였다. Pd/C를 여과제거하고, 용매를 유거하였다. 이것을 에탄올에테르에 의해 결정화해서, 목적물 4.lg(15.2mmo1, 80%)을 얻었다.
mp.230-233℃
참고합성예 2
1H-2-(1-메틸 -4-니트로피롤-2-일 ) 벤즈이미다졸-5-[ N-[ 4-[ 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 ] 카르복사미드
1H-2-(1-메틸-4-니트로피롤-2-일)벤즈이미다졸-5-카르복시산 0.3g(1.05mmod)을 DMF6㎖에 용해하고, 그 속에 N,N-비스(2-클로로에틸)-1,4-페닐렌디아민염산염0.3G(1,1mmol, 1.05eq.)와 트리에틸아민 0.15㎖(1.82mmol,3.1eq.)를 DMF8㎖에 용해해서 적하하였다. HOBt0.16g(1.18mmol, 1.1eq.)을 첨가, 질소분위기하 빙냉하고, DCC 0.24g(1.16mmol, 1.1eq.)을 첨가, 실온으로 되돌려서 3시간 교반후 하룻밤 방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별후 감압하 농축하여,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염화메틸렌/메탄올 2%)메탄올슬러징하므로서, 표기화합물0.38g(0.76mmmol, 72.2%)을 황색결정으로서 얻었다.
mp .144-148℃
참고합성예 3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
1H-2-(1-메틸-4-니트로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 0.20g(0.40mmol)을 DMF3㎖와 메탄올 3㎖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1N염산 0.45㎖를 첨가, 10%Pd/C(Wet)0.10g을 촉매로해서 상압물침가에 의해 대응하는 아미노체로 유도하였다. 이 아미노체의 DMF용액을 질소기류하 빙냉교반해서 트리에틸아민 67㎕(0.48mmo1, 1.2eq.), 3-(메틸티오)프로피오닐이미다졸 {3-(메틸티오)프로피온산 0.06g(0.50mmol), 1.2eq.), CDI95mg(0.59mmol, 1.4eq.)/DMF3㎖에서 조제}/DMF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으로 되돌려 4시간 교반후 하룻밤 방치하였다. 감압하 농축해서 잔사를 실리카겔크로마토에 의해 정제하고(클로로포름/메탄올4%), 아세트산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므로서 포기화합물 164mg(0.29mmol, 71.6%)을, 담갈색결정으로서 얻었다.
IR(KBr ) cm-1: 3275, 1642, 1518,1327, 813
원소분석 : 계산치(C27H30Cl2N6O2S) C : 56.54, H : 5.22 N : 14.30, Cl : 12.30 분석치 C : 56.12, H : 5.22, N : 14.30, Cl : 12.30
(실시예 1)(화합물번호 25)
2-[N-[1-메틸-2-[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 ]-1H-벤즈이미다졸-2-일] 피롤-4-일]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필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 0.2g을 98∼100% 개미산 2㎖에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메틸 2㎖를 첨가해서, 차광조건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하룻밤 방지하였다. 반응액을 메탄올에 의해 회석하여, 감압하용매를 유거하였다. 잔사를 겔여과컬럼(Sephadex LH-20,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고, 또 에틸에테르에 의해 처리해서 목적물 0.21g(86%)을 황색분말로서 얻었다.
NMR(DMSO-66)δ : 10.31(s, 1H), 10.02(s, 0.4H), 9.96(S, 0.6h), 8.32(s, 0.6H), 8.02(s, 0.4H), 7.81(m, 1.5H), 7.64(m, 3H), 7.52(d, 0.5H), 7.48(d, 2H), 7.47(s, 1H), 7.11(d, 2H), 6.95(d, 1H), 6.76(d, 2H), 4.09(s, 3H), 3.73(s, 8H), 3.53(t, 2H), 2.94(s, 6H), 2.93(t, 2H), 2.29(s, 3H).
C35H36N6O5Cl2S2·2H2O
calcd. C : 53.09, H : 5.09, N : 10.61
anal. C : 53.20, H : 5.27, N : 10.37
(실시예 2)(화합물번호 1)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 0.3g을 98∼100% 개미산 3㎖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메탄술폰산메틸 3㎖를 첨가해서, 차광조건하, 실온에서 9시간 교반한 후,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메탄올에 의해 희석하고, 감압하용매를 유거하였다. IPE를 첨가해서 교반하여, IPE를 디캔트해서 제거하였다. 이잔사에 에틸에테르을 첨가해서 교반하여, 에틸에테르을 디캔트해서 제거하였다. 이 잔사를 에틸에테르에 의해 처리해서 목적물0.33g(97%)을 황색분말로서 얻었다.
NMR(DMSO-66)δ : 10.33(s, 1H), 9.99(s, 1H), 8.15(s, 1H), 7.81(d, 1H), 7.65(d, 2H), 7.60(bs, 1H), 7.30(s, 1H), 6.95(s, 1H), 6.77(d, 2H), 4.10(s, 3H), 3.73(s, 8H), 3.54(t, 2H), 2.95(s, 6H), 2.94(t, 2H), 2.34(s, 3H).
C29H36N6O5Cl2S2·2H2O
calcd. C : 48.40, H : 5.60, N : 11.68
anal. C : 48.48, H : 5.07, N : 11.11
(실시예 3)(화합물번호 25·p-톨루엔술폰산염)
2-[N-[1-메틸-2-[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p-톨루엔술폰산염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드]페닐]]카르복사미드10.1g을 98∼100%개미산 35㎖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메틸 8㎖와 p-톨루엔술폰·1수화물4.1g(1.2eq)을 첨가해서, 차광조건하, 실온에서 2일간 교반하였다. 이것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해서 디캔트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하고(700㎖×2), 또 아세트산에틸 300㎖에 의해 슬러징해서 담황색의 분말을 얻었다. 이것을 겔여과컬럼(Sephadex LH-20,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고, 또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해서 목적물 8.72g(53%)을 얻었다.
NMR(DMSO-66)δ : 10.38(s, 1H), 10.12(s, 1H), 8.23(s, 1H), 7.95(d, 1H), 7.71(d, 1H), 7.64(d, 2H), 7.48(d, 4H), 7.42(s, 1H), 7.15(d, 4H), 7.07(s, 1H), 6.77(d, 1H), 4.06(s, 3H), 3.74(s, 8H), 3.54(t, 2H), 2.94(s, 6H), 2.94(t, 2H), 2.29(s, 6H).
C42H48N6O8Cl2S3·H2O
calcd. C : 53.10, H : 5.30, N : 8.85
anal. C : 53.01, H : 5.20, N : 8.56
(실시예 4)(화합물번호 25·메탄술폰산염)
2-[N-[1-메틸-2-[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 p-톨루엔술포네이트·메탄술폰산염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 0.1g을 98∼100% 개미산 1㎖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메틸 1㎖와 메탄술폰산 12㎕(1.1eq)를 첨가해서, 차광조건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메탄올으로 회석하여, 그 용액을 겔여과컬럼(Sephadex LH-20,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고, 또 에틸에테르에 의해 처리해서 목적물 0.08g(54%)을 황색분말로서 얻었다.
NMR(DMSO-66)δ : 10.40(s, 1H), 10.13(s, 1H), 8.24(s, 1H), 7.96(d, 1H), 7.73(d, 1H), 7.64(d, 2H), 7.48(d, 2H), 7.44(s, 1H), 7.13(s, 1H), 7.09(d, 2H), 6.77(d, 2H), 4.06(s, 3H), 3.74(s, 8H), 3.54(t, 2H), 2.95(s, 6H), 2.95(t, 2H), 2.35(s, 3H), 2.29(s, 3H).
(실시예 5) (화합물번호 1·메탄술폰산염)
2-[N-[1-메틸-2-[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메탄술폰산염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 8.1g을 98∼100% 개미산 20㎖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메탄술폰산메틸 3.58㎖(42.3mmol)와 메탄술폰산 1.1㎖(17.0mmol)을 첨가해서, 차광조건하, 실온에서 3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틸에테르을 첨가, 디캔트하는 것을 2회반복하고, 잔사를 겔여과컬럼(Sephadex LH-20,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고, 또 에틸에테르에 의해 처리해서 목적물 8.0g(73%)을 황색분말로서 얻었다.
NMR(DMSO-66)δ : 10.45(s, 1H), 10.16(s, 1H), 8.26(s, 1H), 8.00(d, 1H), 7.77(d, 2H), 7.64(d, 2H), 7.49(s, 1H), 7.12(s, 1H), 6.77(d, 2H), 4.06(s, 3H), 3.74(s, 8H), 3.55(t, 2H), 2.95(s, 6H), 2.95(t, 2H), 2.38(s, 6H).
C30H40N6O8Cl2S3·H2O
calcd. C : 45.17, H : 5.31, N : 10.53
anal. C : 45.10, H : 5.08, N : 10.27
(실시예 6)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해서, 이하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NMR(DMSO-66)δ : 10.31(s, 1H), 9.98(s, 1H), 8.22(s, 1H), 7.81(d, 1H), 7.64(d, 2H), 7.57(bd, 2H), 7.29(s, 1H), 6.95(s, 1H), 6.76(d, 2H), 4.09(s, 3H), 3.73(s, 8H), 3.54(t, 2H), 2.94(s, 6H), 2.93(t, 2H).
C29H32N6O5Cl2F3S2·0.5H2O
calcd. C : 56.71, H : 4.46, N : 11.27
anal. C : 46.92, H : 4.57, N : 10.98
(실시예 7)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해서, 이하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룰-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녜이트·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염
NMR(DMSO-66)δ : 10.37(s, 1H), 10.12(s, 1H), 8.23(s, 1H), 7.95(d, 1H), 7.71(d, 2H), 7.63(d, 2H), 7.42(s, 1H), 7.07(s, 1H), 6.77(D, 2H), 4.07(s, 3H), 3.74(s, 8H), 3.53(t, 2H), 2.94(s, 6H), 2.94(t, 2H).
C30H33N6O8Cl2F6S3·H2O
calcd. C : 39.83, H : 3.90, N : 9.29
anal. C : 39.74, H : 4.03, N : 9.03
(실시예 8)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 N-비스(2-클로로에틸 )아미노] 페닐]]카르복사미드·메 탄술폰산염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 570㎎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따로 준비한 2배몰의 메탄술폰산을 적하하였다. 30분 교반해서 발생된 황색의 침형상 결정을 여취하여, 건조해서 목적물 597㎎을 얻었다.
NMR(DMSO-66)δ : 10.15(s, 1H), 10.12(s, 1H), 8.24(s, 1H), 7.97(d, 1H), 7.74(d, 2H), 7.63(d, 2H), 7.45(s, 1H), 7.08(s, 1H), 6.78(d, 2H), 4.05(s, 3H), 3.74(s, 8H), 2.76(t, 2H), 2.58(t, 6H), 2.34(s, 3H), 2.09(s, 3H).
(실시예 9)
1H-2[1-메틸-4-(3-메틸티오프로피오닐)아미노피롤-2-일]벤즈이미다졸-5-[N-[4-[N, 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복사미드·p-톨루엔술폰산염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해서 p-톨루엔술폰산염을 얻었다.
NMR(DMSO-66)δ : 10.15(s, 1H), 10.11(s, 1H), 8.23(s, 1H), 7.98(d, 1H), 7.73(d, 1H), 7.63(d, 2H), 7.48(d, 4H), 7.45(s, 1H), 7.11(d, 4H), 6.77(d, 2H), 4.04(s, 3H), 3.74(s, 8H), 2.76(t, 2H), 2.58(t, 2H), 2.35(s, 3H), 2.09(s, 6H).
(시험예 1) (인비트로의 종양세포증식억제작용)
이들 화합물의 항종양활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96구멍배양플레이트에 새앙쥐 B16멜라노머세포를 뿌리고, 1일후에 약물을 첨가, 또 3일간 5%CO2속 37℃에서 배양하였다. Cancer Res.1988년 48권 589-601페이지에 표시된 방법에 준해서 50%의 증식억제를 일으키는데 필요한 약물의 농도를 구하였다. 표-2에 대표적인 화합물의 항종양활성을 표시한다. 단위는 마이크로그램/㎖이다. 비교예로서 디스타마이신의 결과를 동시에 표시하였다.
인비트로의 종양세포증식억제작용
[표 2]
(1)메탄술폰산염, (2)p-톨루엔술폰산염
(시험예 2)
Colon 26 새앙쥐결장암세포 1×107cells/mL HBSS(Hanks' Blanced Salt Solution)의 농도의 세포부유액을 조제하였다. 이 세포부유액 0.1㎖를 암컷 CDF1새앙쥐의 복부쪽피하에 이식하였다(day0). 종양이식 다음날(day1)에 새앙쥐의 체중을 측정한 후 화합물의 용액(5%의 Tween80을 포함한 5%글루코스용액)을 새앙쥐의 꼬리정맥내에 투여하였다. day15에 종양을 적출해서 그 중량을 측정하였다.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평균종양중량을 100%로한 경우의 실험군의 평균 종양중량의 비율을 T/C값으로서 산출하였다. 이 50%를 표시한 약물의 농도를 표-3에 표시한다.
인비보항종양활성
[표 3]
(1)메탄술폰산염, (2)p-톨루엔술폰산염
(시험예 3)
안정성의 비교시험으로서, 약 40℃와,50℃의 인큐베이터를 사용해서, 3일간의 화합물의 잔존률을 HPLC의 피크면적비의 측정에서 구한 표-4.
화합물의 안정성(1)
[표 4]
단, (1)메탄술폰산염, IODIDE는 화합물1의 카운터아니온을 요드로 변경한 화합물이며, 기타의 염은 포함하지 않는다.
(시험예 4)
이들 화합물군의 안정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원체를 60℃에서 1개월간 가열했을때의 원래의 화합물의 잔존률을 안정성의 지표로서 구하였다. 잔존률은 HPLC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5에 표시한다.
화합물의 안정성(2)
[표 5]
(1)메탄술폰산염, (2)p-톨루엔술폰산염
본 발명의 화합물은 DNA에 작용하는 새로운 화합물 혹은 DNA에 작용하는 부분구조를 가진 신규화합물이며, 항암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일반식(1)
    [식중, m은 1∼3의 정수를 표시하고, R1, R2는 각각 동일 또는 다른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R3은 수소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표시하고, X-는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에서 선택되는 산잔기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염.
  2. 제1항에 있어서, R3이 수소, 메틸기, 메톡시기 또는 클로르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 염.
  3. 제2항에 있어서, R1, R2다같이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 염.
  4.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및 그 염.
  5. 2-[N-[1-메틸-2-[5-[N-[4-[N,N-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H-벤즈이미다졸-2-일]피롤-4-일]카르바모일에틸-디메틸술포늄-메탄술포네이트 및 그 염.
  6. 제1항∼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암제.
KR1019960059232A 1995-11-29 1996-11-29 피롤릴벤즈 이미다졸 유도체 KR100189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072995 1995-11-29
JP95-310729 199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071A KR970027071A (ko) 1997-06-24
KR100189313B1 true KR100189313B1 (ko) 1999-06-01

Family

ID=1800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232A KR100189313B1 (ko) 1995-11-29 1996-11-29 피롤릴벤즈 이미다졸 유도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08087A (ko)
EP (1) EP0776891B1 (ko)
KR (1) KR100189313B1 (ko)
DE (1) DE69601527T2 (ko)
ES (1) ES213073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9171B1 (en) 1999-06-04 2003-05-06 Eli Lilly And Company 7-oxo-2-azabicyclo[2.2.1]heptanes as selective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US6559125B1 (en) 2000-01-28 2003-05-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olyamide-alkylator conjugates and related products and method
WO2002101007A2 (en) * 2001-06-13 2002-12-19 Genesoft Pharmaceuticals, Inc Antipathogenic benzamide compounds
AU2002312371A1 (en) * 2001-06-13 2002-12-23 Roland W. Burli Aryl-benzimidazole compounds having antiinfective activity
DE60326735D1 (de) 2002-08-02 2009-04-30 Genesoft Pharmaceuticals Inc Biaryl-verbindungen mit antiinfektiver wirkung
US7265129B2 (en) * 2002-10-25 2007-09-04 Genesoft Pharmaceuticals, Inc. Anti-infective biaryl compounds
JP2006509027A (ja) 2002-12-10 2006-03-16 オーシェント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ピロールカルボキサミド)−(ベンズアミド)−(イミダゾールカルボキサミド)モチーフを有する抗菌化合物
CA2599989A1 (en) * 2005-03-03 2006-09-08 Sirtris Pharmaceuticals, Inc. N-phenyl benzamide derivatives as sirtuin modulators
CA2617532A1 (en) 2005-08-04 2007-02-15 Sirtris Pharmaceuticals, Inc. Imidazo [2,1-b] thiazole derivatives as sirtuin modulating compounds
US8088928B2 (en) * 2005-08-04 2012-01-03 Sirtris Pharmaceuticals, Inc. Sirtuin modulating compounds
US8093401B2 (en) * 2005-08-04 2012-01-10 Sirtris Pharmaceuticals, Inc. Sirtuin modulating compounds
US7855289B2 (en) * 2005-08-04 2010-12-21 Sirtris Pharmaceuticals, Inc. Sirtuin modulating compounds
WO2007045096A1 (en) * 2005-10-21 2007-04-26 University Of Saskatchewan Oligoheteroaromatic luminiscent assemblies as high-affinity dna sequence-directed ligands
CL2008001822A1 (es) * 2007-06-20 2009-03-13 Sirtris Pharmaceuticals Inc Compuestos derivados de tiazolo[5,4-b]piridi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a dichos compuestos; y uso del compuesto en el tratamiento de la resistencia a la insulina, sindrome metabolico, diabetes, entre otras.
US20110039847A1 (en) * 2007-11-01 2011-02-17 Sirtris Pharmaceuticals, Inc Amide derivatives as sirtuin modulators
JP2011503066A (ja) * 2007-11-08 2011-01-27 サートリ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溶化チアゾロピリジン誘導体
UA104447C2 (uk) 2008-12-19 2014-02-10 Сіртріз Фармасьютікалз, Інк. Тіазолопіридинові сполуки, що модулюють сиртуїн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9853A (en) * 1954-09-21 Certain i
DE1117000B (de) * 1955-03-14 1961-11-09 Phoenix Gummiwerke Ag Schuhwerk und Einlegesohlen aller Art aus Kautschuk- oder Kunststoffmischungen
NL264338A (ko) * 1960-05-04
NL135043C (ko) * 1963-10-11
US3309378A (en) * 1963-11-22 1967-03-14 Smith Kline French Lab Novel nitropyrrylheterocyclic derivatives
JPS495967A (ko) * 1972-05-23 1974-01-19
CH583226A5 (en) * 1973-07-13 1976-12-31 Siegfried Ag 2-(1-Benzimidazolyl) succinimides prodn. - from N-substd, maleinimides and benzimidazoles, useful e.g. as antiarrhythmics and intermediates for pyrrolo quinoxalines
JPS525769A (en) * 1975-07-02 1977-01-17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Preparation of 3-substituted pyrolidine derivatives
GB8612218D0 (en) * 1986-05-20 1986-06-25 Erba Farmitalia Site specific alkylating agents
IT1262921B (it) * 1992-01-10 1996-07-22 Federico Arcamone Agenti antitumorali analoghi di oligopeptidi pirrol-amidinici retroversi processi di preparazione e prodotti farmaceutici che li contengono
US5273991A (en) * 1992-07-29 1993-12-28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Imidazole-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nalogs of distamycin
WO1995032960A1 (fr) 1994-05-31 1995-12-07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Derive de benzimidaz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071A (ko) 1997-06-24
EP0776891A1 (en) 1997-06-04
DE69601527T2 (de) 1999-06-17
DE69601527D1 (de) 1999-03-25
US5808087A (en) 1998-09-15
ES2130736T3 (es) 1999-07-01
EP0776891B1 (en) 199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313B1 (ko) 피롤릴벤즈 이미다졸 유도체
US8980899B2 (en) Methods of inhibiting Ire1
AU707751B2 (en) Substituted 2,4-imidazolidinedione compounds as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s
AU2005335298C1 (en) N-phenyl-2-pyrimidine-am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0165131B1 (ko) 1,4-벤조티아제핀 유도체
US4532344A (en) Fluoranthene derivatives
US4551282A (en) Triphenylene derivatives
FR2530626A1 (fr) Composes de carbostyryle
KR20130046436A (ko)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 항암제로서 사이클릭 n,n''-다이아릴티오우레아 및 n,n''-다이아릴우레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4564713B2 (ja) 窒素性複素環式化合物、ならびに窒素性複素環式化合物およびその中間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AU779318B2 (en) Novel N-triazolymethyl-piperazine derivatives as neurokinin receptor antagonists
KR100267883B1 (ko) 티아졸린 유도체
WO2009140928A1 (zh) 二氢吲哚酮衍生物
BG63305B1 (bg) Фармацевтични пиперазинови производни
US5075301A (en) Furan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JPH0735373B2 (ja) カルボン酸アミド化合物
RU203905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триазолилгидразида 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годные соли
JPH0386853A (ja) 置換フェノ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CN110167554A (zh) 一种具有抗癌作用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11171886A (ja) アミジンまたはグアニジンを側鎖にもつピロリル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
JP3197495B2 (ja) ピロリル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
FR2581064A1 (fr) Derive antipsychotique a base de 8-(4-(4-(1-exo-1,2-benzisothiazol-3-yl)-1-piperazinyl)-butyl)-8-azaspiro(4,5)decane-7,9-dion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6066667A (en) Substituted furanones, compositions and antiarthritic use
KR100472521B1 (ko) 신규한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4043458A1 (en) Ep300/cbp inhib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