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596B1 -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596B1
KR100186596B1 KR1019960001919A KR19960001919A KR100186596B1 KR 100186596 B1 KR100186596 B1 KR 100186596B1 KR 1019960001919 A KR1019960001919 A KR 1019960001919A KR 19960001919 A KR19960001919 A KR 19960001919A KR 100186596 B1 KR100186596 B1 KR 10018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paper
sensor
ton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852A (ko
Inventor
김경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596B1/ko
Publication of KR97005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장치에 관환 것으로, 특히 인쇄되는 용지의 화상농도를 체크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는 인쇄된 용지의 화상농도를 판별할 수 있록 한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용지에 인쇄되는 토너의 화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화상형성장치의 공간에 설치하여 센서에 의해 토너 농도를 체크하여 현상유니트에서 토너 농도에 따라 토너를 공급하여 조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Description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제 1도는 종래의 토너 농도 감지장치 구성도
제 2도는 종래의 토너 농도 감지장치 구성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감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상감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센서 40 : 청소기
44 : 현상유니트 46 : 용지
50 : 감광드럼 55 : 토너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되는 용지의 화상농도를 체크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를 제 1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기(42)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50)(photoconduction drum) 표면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부분을 노광부(41)로부터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되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장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토너(toner)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50)(photoconductive drum)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기(44)를 지나는 동안 토너(toner)(55)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급지카세트(47)에 장착된 기록용지(46)가 급지롤러(45)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 위에 전사기(48)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50)(photoconductive drum) 표면의 토너(toner) 화상을 기록용지(46)로 전사되게 한다.
이때 상기 기록용지(46)는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50)표면에 밀착되어지며 분리기(49)는 상기 밀착된 기록용지(46)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후, 분리된 기록용지(46)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트롤러(51)(heat roller)와 압착롤러(52)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46)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배지롤러(54)를 거쳐 인쇄된 용지가 배지트레이(53) 측 또는 상부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사기(48)를 지난 감광드럼(50)(phoroconductive drum) 표면에 잔여분의 토너(toner)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토너(toner)는 청소기(40)(clearning blade)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잠상은 잠상제거 램프(43)(pre-erase lamp arrey)에 의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과 같이 동작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에서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니트(44) 하부에 토너센서(56)를 설치하여 상기 현상유니트(44) 내부의 토너(55)를 토너센서(56)를 통하여 인쇄하기 전에 자체농도를 체크하여 일정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현상유니트(44)의 토너(55)로 감광드럼(50)상의 정점잠상에 토너(55)로 화상을 형성하고, 인쇄중에 현상유니트(44) 내부의 토너(55)를 토너센서(56)로 계속 체크하여 토너(55)가 일정수준의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토너 농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현상유니트에 토너센서를 설치하여 토너 농도를 체크하며 인쇄를 하게 되므로 실제로 인쇄된 용지의 토너 화상과는 상관없이 현상유니트의 토너센스가 위치한 부분만 토너가 있어 농도만 유지하면 일정농도가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어 실제로 인쇄된 용지의 토너화상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는 인쇄된 용지의 화상농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되는 용지의 화상농도를 체크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지에 인쇄되는 토너의 화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화상형성장치의 공간에 설치하여 센서에 의해 토너 농도를 체크하여 현상유니트에서 토너 농도에 따라 토너를 공급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바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면 제 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드럼(50)의 일측에 토너(55)로 현상하는 현상유니트(44)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니트(44)가 설치된 감광드럼(50) 하측의 공간에 화상을 감지하는 센서(10)를 설치하고, 상기 감광드럼(50)에 현상된 토너(55)를 상기 센서(10)가 감지하여 화상 농도를 체크하여 토너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센서(10)는 포토센서로 발광다이오드인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포토센서의 광이 감광드럼(50)상이 토너화상을 감지하여 토너 농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전기(42)의 코로나방전에 의해 감광드럼(50)(phoroconductive drum) 표면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부분을 노광부(41)로 부터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토너(toner)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50)(photoconductive drum)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유니트(44)를 지나는 동안 토너(55)(toner)로 현상하게 된다.
이후 현상유니트(44)가 설치된 감광드럼(50) 하측의 공간에 화상을 감지하는 센서(1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감광드럼(50)에 현상된 토너(55)를 상기 센서(10)인 포토센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토너의 화상농도를 감지하여 화상농도를 체크하고 나서 상기 현상유니트(44)의 토너량을 농도에 따라 조절하여 감광드럼(50)상의 토너 화상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감광드럼(50)에 현상된 토너 농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광드럼(50)의 특정부분을 특정시간에 토너를 현상하고 현상된 토너를 센서(10)로 반복하면서 감지하여 토너농도에 따라 현상유니트(44)의 토너를 공급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토너의 화사를 감지하는 센서를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하측 공간에 설치하여 센서에 의해 감광드럼 상의 토너 농도를 체크하여 현상유니트에서 토너 농도에 따라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의 화상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지에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드럼(50)의 일측에 토너(55)로 현상하는 현상유니트(44)와, 상기 감광드럼(50)의 타측에 잔여분의 토너를 크리닝하는 청소기(40)가 설치되며, 상기 청쇠(40)하측의 용지이송 통로인 공간에 용지(46)의 화상을 감지하는 센서(20)를 설치하고, 상기 용지(46)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상기 센서(20)가 감지하여 화상농도를 체크하여 상기 현상유니트(44)에서 토너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센서(20)는 포토센서로 발광다이오드인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포토센서의 광이 용지(46)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감지하여 토너 농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대전기(42)의 코로나 방저에 의해 감광드럼(50)(photoconductive drum) 표면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부분을 노광부(41)로 부터 노광시킨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토너(toner)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50)(photoconductive drum)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유니트(44)를 지나는 동안 토너(55)(toner)로 현상하고, 이어서 급지카세트(47)에 장착된 기록용지(46)가 급지롤러(45)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 위에 전사기(48)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50)(photoconeuctive drum) 표면의 토너(toner) 화상을 기록용지(46)로 전사되게 한다.
이후 감광드럼(50)타측에 설치된 청소기(40)의 하측 공간에 용지(46)의 화상을 감지하는 센서(2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용지(46)에 현상된 토너(55)를 상기 센서(20)인 포토센서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토너의 화상농도를 감지하여 화상농도를 체크하고 나서 상기 현상유니트(44)의 토너량을 농도에 따라 조절하여 감광드럼(50)상의 토너 화상농도를 조절하여 인쇄되는 용지(46)의 화상을 선명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쇄되는 용지(46)의 토너농도를 센서(20)로 감지하기 위하여 청소기(40)의 하측에 센서(20)를 설치하여 용지(46)의 토너화상을 체크하여 토너농도에 따라 현상유니트(44)의 토너를 공급하여 용지(46)의 토너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인돼되는 토너의 화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로 상에 설치하여 센서에 의해 인쇄되는 용지상의 토너 농도를 체크하여 현상유니트에서 토너 농도에 따라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의 화상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지에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사진 기록장치에서 인쇄되는 토너화상을 직접 체크함으로서 토너의 농도를 조절하여 인쇄되는 용지에 선명한 확상을 얻을 수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에 있어서,
    감광드럼(50)의 일측에는 토너(55)로 현상하는 현상유니트(44)가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50)의 타측에는 잔여분의 토너를 크리닝하는 청소기(40)가 설치되며, 상기 청소기(40)하측의 용지이송경로상에는 이송되는 용지(46)상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감지하여 그 화상농도를 체크하여 상기 현상유니트(44)에서 토너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센서(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용지 급지 압력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0)는 포토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KR1019960001919A 1996-01-29 1996-01-29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KR10018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919A KR100186596B1 (ko) 1996-01-29 1996-01-29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919A KR100186596B1 (ko) 1996-01-29 1996-01-29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852A KR970059852A (ko) 1997-08-12
KR100186596B1 true KR100186596B1 (ko) 1999-04-15

Family

ID=1945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919A KR100186596B1 (ko) 1996-01-29 1996-01-29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5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852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388A (en) Automatic compensation for toner concentration drift due to developer aging
US5689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bstrate roughness and controlling print quality
US47053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n a layer of tacky material present on a cleaning member needs to be rejuvenated
US4825242A (en) Fusing apparatus control system
US7110687B2 (en) Image forming device
US6775514B2 (en) Substrate size monitoring system for use in copier/printers
US4969011A (en) Toner control system for xerographic reproduction machine
EP0179636A1 (en) Copy quality monitoring for magnetic images
US5105219A (en) Developing toner detecting device
US4533236A (en) Charge particle removal device
JPS63244083A (ja) 電子写真式複写機及びその着色粒子排出制御装置
JP2008026704A (ja) 画像形成装置
JP4703266B2 (ja) 画像形成装置
EP0449470A2 (en) Transfer assembly of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3247812B2 (ja) 現像剤濃度検知方法、及び現像剤濃度制御方法
KR100186596B1 (ko)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토너 화상 감지장치
CN107861351B (zh) 定影装置和图像形成设备
JP2784056B2 (ja) 画像形成装置
US5214471A (en) Background monitoring device
US78179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er collection
US5839017A (en) Developer level detection system
US560262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utomatic voltage control
KR100544472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시스템
JP2000019834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8133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