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268B1 -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268B1
KR100186268B1 KR1019950029451A KR19950029451A KR100186268B1 KR 100186268 B1 KR100186268 B1 KR 100186268B1 KR 1019950029451 A KR1019950029451 A KR 1019950029451A KR 19950029451 A KR19950029451 A KR 19950029451A KR 100186268 B1 KR100186268 B1 KR 10018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gion
virtual image
region
virtu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630A (ko
Inventor
박광훈
이진학
문주희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2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268B1/ko
Publication of KR97001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5Motion estimation with spatial constraints, e.g. at image or region b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영상 영역을 사용하여 물체가 영상 밖으로 움직였을 때 이것을 가상 영상 영역에 담아 두었다가 이 물체가 다시 영상내로 들어오는 경우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보상하도록 함으로서 전송해야 할 데이터 양을 줄이고 재생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키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원영상 영역이외에 가상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이전 프레임에서 물체가 원영상 영역 밖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것을 가상 영상 영역에 담아두는 단계와, 상기 이전 프레임에서 가상 영상 영역에 있던 물체의 부분이 현재 프레임에서 원영상 영역으로 들어오는 경우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보상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제1도는 종래의 블록지향 부호화에서 블록단위로 분할된 영상의 도면.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움직임 보상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잘못된 움직임 추정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간의 차분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영상 영역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지향 부호화에서 가상 영상 영역을 갖는 블록단위를 분할한 도면.
제6도는 가상 영상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의 움직임 보상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가상 영상 영역의 움직임 보상과정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영상 영역의 움직임 정보 예측도.
본 발명은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가상 영역을 사용하여 물체가 영상 밖으로 움직였을 때 이것을 가상 영상 영역에 담아 두었다가 이 물체가 다시 영상내로 들어오는 경우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보상하도록 함으로서 전송해야 할 데이터 양을 줄이고 재생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키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전화, 영상회의 시스템 및 움직임 보상 방법을 사용하는 모든 시스템, 특히 초저속 전송용 데이터 압축 처리에 사용된다.
종래의 경우를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종래의 블록지향 부호화에서 블록단위로 분할된 영상의 도면이고,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움직임 보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잘못된 움직임 추정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간의 차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지향 부호화에서 영상은 제1도와 같이 l×m개의 블록으로 나우어 진다. 나누어진 각 블록은 각각 움직임 추정을 하게 되는데, 움직임 추정 방법은 이전 프레임내에서 가장 유사한 블록을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블록지향 부호화에서 종래의 움직임 보상 방법을 도시한 제2도를 참조하면, 영상내의 물체가 n-i프레임에서는 중심에 위치해 있다가(제2a도), n번째 프레임에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제2b도), n+j번째 프레임에서는 물체가 오른쪽 위로 이동하고 있다(제2c도). 여기서 n+j번째 프레임을 블록 단위로 움직임 추정을 할 경우 영상의 아래 가장자리에 위치한 (k, m)위치의 블록은 n번째 프레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영상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블록의 움직임 추정을 하는 경우 이전 프레임내에 같은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이 경우 n+j번째 프레임의 (k, m)위치와 블록은 n번째 프레임에서 가장 유사한 부분을 사용하여 움직임 추정을 하게된다. 이 경우 정확한 움직임 추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영상과 움직임 보상된 영상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복원을 위해서 부호기에서는 움직임 정보뿐만 아니라 실제 영상과 움직임 보상된 영상의 차를 부호화하여 전송해야 한다. 제3도는 이와 같이 잘못된 움직임 추정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간의 차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발생된 블록간의 차분을 부호화하여 전송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트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한정된 전송 속도에 발생 비트량을 맞추기 위해 양자화 스텝 크기를 늘여야 하기 때문에 화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가장자리에서 가상 영상 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기존의 움직임 추정 방법의 경우 이전 프레임내에 같은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의 가장자리 주위에 일정한 크기의 가상영상 영역을 만들어 움직임 추정을 위하여 사용하여, 이전 프레임에서 존재하였던 화면상의 물체가 화면 밖으로 사라졌다가 다시 화면내로 들어오는 경우 움직임 보상을 정확히 하여 움직임 추정이 잘못되는 블록수를 줄여서 전송해야 할 비트수를 줄이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의 일예로서, 원영상 영역이외에 가상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이전 프레임에서 물체가 원영상 영역 밖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것을 가상 영상 영역에 담아두는 단계와, 상기 이전 프레임에서 가상 영상 영역에 있던 물체의 부분이 현재 프레임에서 원영상 영역으로 들어오는 경우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보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구조의 일예로서, l×m개의 블록을 갖는 원영상 영역과, 상기 원영상 영역에 대해 좌우가로방향으로 각각 a, c개의 블록을 가지며, 상하 세로방향으로 b, d개의 블록을 가지는 가상 영상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원영상 영역과 가상 영상 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a≥0, b≥0, c≥0, d≥0이고, a+c=p, b+d=q라 하기로 한다.
제5도는 가상 영상 영역을 사용하는 움직임 추정 방식에서 가상 영상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 전체를 (l+p)×(m+q)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있다. 여기서, t는 0td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가상 영상 영역을 사용하여 움직임 추정을 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블록지향 부호화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보상 방법을 도시한 제6도를 참조하면, 영상내의 물체가 n-i프레임에서는 중심에 위치해 있다가(제6a도), n번째 프레임에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지만 가상 영상 영역내에 있게 되고(제6b도), n+j번째 프레임에서는 물체가 오른쪽 위로 이동하고 있지만 그 (k, m)번째 블록은 n번째 프레임의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추정이 가능하게 된다(제2c도).
따라서,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정확히 추정된 블록은 n+j번째 프레임의 블록과 n번째 프레임의 블록 사이의 차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호기에서는 움직임 정보만을 전송하면 된다.
가상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보상은 제7도와 같이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보상된다. 가상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얻기 위해서 다음의 2가지 방법을 이용한다.
첫째로, 제4도의 가상 영상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영상을 카메라로부터 얻고, 전체 영상에 대해서 움직임 추정을 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제4도의 원영상에 해당하는 부분만 부호화하는 방법으로 가상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추정이 가능하다.
둘째로, 가상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영상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영상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예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8도에서 가상 영상 영역의 한 블록인 H블럭 즉 (c, m+t)위치의 블록에 대한 움직임 정보는 영상내의 3블록(MV(c-1, m), MV(c, m), MV(c+1, m))의 움직임 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사용한다
MV(c, m+t) = α·MV(c-1, m) + β· MV(c, m) + κ·MV(c+1, m)
여기서, α+β+κ=1
MV(c, m+t) : (c, m+t) 위치 블록의 움직임 정보
MV(c-1, m) : (c-1, m) 위치 블록의 움직임 정보
MV(c, m) : (c, m) 위치 블록의 움직임 정보
MV(c+1, m) : (c+1, m) 위치 블록의 움직임 정보
같은 방법으로 가상 영상 영역의 4번에 위치한 블록들(예; E, F, G, H)은 그 블록에 가장 가까운 원영상의 3블록의 가중 평균치로 예측한다. 가상 영상 영역의 E블럭은 원영상 영역의 e1, e2, e3의 가중 평균치, 가상 영상 영역의 F블럭은 원영상 영역의 f1, f2, f3의 가중 평균치, 가상 영상 영역의 G블럭은 원영상 영역의 g1, g2, g3의 가중 평균치에 의해 예측된다. 또한, 가상 영상 영역의 4귀 부분에 위치한 블록들(A, B, C, D)은 원 영상의 4귀의 블록들(a, b, c, d)의 움직임 정보를 그대로 사용한다. 가상 영상 영역의 A블럭은 원영상 영역의 a로 예측되고, 가상 영상 영역의 B블럭은 원영상 영역의 b로 예측되고, 가상 영상 영역의 C블럭은 원영상 영역의 c로 예측되고, 가상 영상 영역의 D블럭은 원영상 영역의 d로 예측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같이, 영상내의 물체가 영상밖으로 움직였다가 다시 영상내로 들어오는 경우 기존의 방법에서는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움직임 추정이 불가능해서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많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가상 영상 영역을 사용하여 물체가 영상 밖으로 움직였을 때 이것을 가상 영상 영역에 담아 두었다가 이 물체가 다시 영상내로 들어오는 경우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보상하도록 전송해야할 데이터를 줄이고 재생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원영상 영역이외에 가상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이전 프레임에서 물체가 원영상 영역 밖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것을 가상 영상 영역에 담아두는 단계와, 상기 이전 프레임에서 가상 영상 영역에 있던 물체의 부분이 현재 프레임에서 원영상 영역으로 들어오는 경우 가상 영상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보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상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얻기 위하여 가상 영상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영상을 카메라로부터 얻고, 전체 영상에 대해서 움직임추정을 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원영상에 해당하는 부분만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영상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가상 영상 영역의 4변에 위치한 블록들은 그 블록에 가장 가까운 원영상의 3블록의 가중 평균치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가상 영상 영역의 4귀 부분에 위치한 블록들은 원영상의 4귀의 블록들의 움직임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7. l×m개의 블록을 갖는 원영상영역과, 상기 원영상 영역에 대해 좌우가로방향으로 각각 a, c개의 블록을 가지며, 상하 세로방향으로 b, d개의 블록을 가지는 가상 영상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 자리 부분 보상 구조.
KR1019950029451A 1995-09-07 1995-09-07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KR10018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451A KR100186268B1 (ko) 1995-09-07 1995-09-07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451A KR100186268B1 (ko) 1995-09-07 1995-09-07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630A KR970019630A (ko) 1997-04-30
KR100186268B1 true KR100186268B1 (ko) 1999-05-01

Family

ID=1942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451A KR100186268B1 (ko) 1995-09-07 1995-09-07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5726A1 (en) * 2005-02-14 200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and referencing virtual area image
KR101342783B1 (ko) 2009-12-03 2013-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9352A2 (ko) * 2011-01-20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5726A1 (en) * 2005-02-14 200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and referencing virtual area image
KR101342783B1 (ko) 2009-12-03 2013-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630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386A (en) Adaptive predictive coding system for television signals
JP3197420B2 (ja) 画像符号化装置
US5412430A (en) Image coding method and image coding apparatus
US4437119A (en) Inter-frame adaptive prediction system for television signals
KR100523908B1 (ko) 격행주사 영상에 대한 영상신호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
EP0644697B1 (en) Method for half-pixel motion compensation in image decoding
CA2070757C (en) Motion compensated predicting apparatus
KR20070103334A (ko)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45919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redictive encoding/decoding of multi-level picture signals
JP3659157B2 (ja) 映像内容に重み付けをする画像圧縮方式
US5481310A (en) Image encoding apparatus
US5396292A (en) Encoding apparatus for motion video signals
JPH0458756B2 (ko)
US5394190A (en) Video signal encoding apparatus
KR100186268B1 (ko)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US5528300A (en) Coding mode control device for digital video signal coding system
US7068721B2 (en)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coding a digitized picture, and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decoding a digitized picture
JPH0750839A (ja) 動画像の符号化方法
KR100186266B1 (ko) 가상 영상 영역을 이용한 영상의 가장자리 부분 보상 방법 및 구조
JPH0630394A (ja)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装置
JPH0221776A (ja) 予測性静止画像エンコーダ・デコーダ
JPH0332185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2608909B2 (ja) 動画像の予測符号化方式
KR100186267B1 (ko) 적응적인 블록분할에 의한 움직임 추정 및 보상방법
JPH0313908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