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264B1 - 디스크의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의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264B1
KR100186264B1 KR1019950018794A KR19950018794A KR100186264B1 KR 100186264 B1 KR100186264 B1 KR 100186264B1 KR 1019950018794 A KR1019950018794 A KR 1019950018794A KR 19950018794 A KR19950018794 A KR 19950018794A KR 100186264 B1 KR100186264 B1 KR 10018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ray
gear
rack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035A (ko
Inventor
권창민
김희철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1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264B1/ko
Publication of KR97000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for moving the turntable or the clamper towards the disk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픽업베이스를 운동시킬 수 있는 구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정랙(50)을 가진 트레이(30)와, 턴테이블(104) 및 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108) 및 회전축인 힌지(103)로 구성된 픽업베이스(2)와, 상기 트레이의 왕복운동 및 상기 픽업베이스의 상하운동을 동시에 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의 로딩 장치에 있어서, 그 측면에 돌출된 돌부(5)를 가진 픽업베이스(2)와, 구동모터(10), 제1기어(11), 제2기어(12) 및 최종기어(13)로 구성된 기어군과, 상기 최종기어(13)와 맞물려서 픽업베이스의 상하운동시키는 슬라이드 수단과, 상기 최종기어(13)와 맞물려서 트래이를 이동시키는 트래이랙 수단으로 구성된다.
간단한 구조로서 트레이의 이송 및 픽업베이스의 상하 운동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로딩 장치의 제조 단가가 다운되며 조립공정 시간도 단축되며, 더욱이 제품의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의 로딩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서, 트레이가 고정베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서, 트레이가 고정베이스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크를 올려놓은 트레이가 고정베이스상에 수납되어 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크를 올려놓은 트레이가 고정베이스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픽업베이스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트레이가 고정베이스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트레이가 고정베이스로 진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챠트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와 트래이랙을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픽업베이스 5 : 돌부
10 : 구동 모터 11 : 제1기어
12 : 제2기어 13 : 최종기어
20 : 가동랙 21 : 상승홈
23 : 슬라이드부 52 : 스프링
55 : 제1센서 56 : 제2센서
100 : 고정베이스 101 : 디스크
103 : 힌지 104 : 턴테이블
108 : 스핀들 모터
본 발명은 디스크의 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서 픽업베이스 및 트레이를 운동시킬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의 로딩 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베이스(100)내에는 픽업 베이스(102)가 힌지(103)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픽업 베이스(102)는 디스크(101)를 안착시키기 위한 턴테이블(104)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도록 턴테이블 하부에 설치된 스핀들 모터(108)와, 그 내부에 절단된 절단부(109) 및 한쪽측면에 돌출된 돌부(105)로 구성된다.
상기 픽업 베이스(102)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픽업 베이스(102)의 회전운동은 가동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바, 상기 가동부(120)는 픽업베이스(102)의 돌부(105)가 수용되어 이 돌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상승홈(121)을 가진다.
상기 가동부(120)는 고정베이스(100)상에 형성된 안내홈(123)에 의해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120)의 왕복운동은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와 밸트(114)에 의해 연동되는 기어군(111,112,113)에 의한다.
제1도는 디스크(101)를 담은 트레이(도시않음)가 고정베이스(100)상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가동부(120)가 안내홈(123)내에서 맨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픽업베이스(102)의 돌부(105)가 상승홈(121)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결국 픽업베이스(102)는 상승되어 고정베이스(100)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제2도는 디스크(101)를 담은 트레이(130)가 고정베이스(100)로부터 전진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가동부(120)가 안내홈(123)내에서 맨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고정베이스(100)상에 형성된 스톱부(128) 가까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픽업베이스(102)의 돌부(105)가 상승홈(121)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결국 픽업베이스(102)는 하강되어 고정베이스(100)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경우는 픽업베이스를 상하로 하강(또는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가동부가 필요하고, 상기 가동부는 고정베이스의 홈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또한 정밀한 부품 제작 및 조립이 요구되어 제조 공정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픽업베이스 및 트레이를 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예로서, 고정랙을 가진 트레이와, 턴테이블 및 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 및 회전축인 힌지로 구성된 픽업베이스와, 상기 트레이의 왕복운동 및 상기 픽업베이스의 상하운동을 동시에 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의 로딩 장치에 있어서, 그 측면에 돌출된 돌부를 가진 픽업베이스와, 구동모터, 제1기어, 제2기어 및 최종기어로 구성된 기어군과, 상기 최종기어와 맞물려서 픽업베이스의 상하운동시키는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최종기어와 맞물려서 트래이를 이동시키는 트래이랙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제3도는 디스크(101)를 올려놓은 트레이(30)가 고정베이스(100)상에 장착되어 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고정베이스(100)내에는 픽업 베이스(2)가 힌지(103)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픽업 베이스(2)는 디스크(101)를 안착시키기 위한 턴테이블(104)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도록 턴테이블 하부에 설치된 스핀들 모터(108)와, 그 내부에 절단된 절단부(109) 및 상부 측면에 돌출된 돌부(5)로 구성된다.
상기 픽업 베이스(2)는 힌지(103)를 중심으로 상하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픽업 베이스(2)의 상하회전운동은 슬라이드부(23)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바,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부(23)는 고정베이스(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트래이랙(31) 하부에 위치하며, 그지지면(24)에 형성되며 그 상부에 형성된 돌부(33)를 가진 가동랙(20)과, 상기 지지면(24)으로부터 전방으로돌출되며 픽업베이스(2)의 측면 돌부(5)가 수용되어 이 돌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상승홈(21)을 가진다.
또한 고정베이스(100)상에는 슬라이드부의 스프링(52)을 고정하기 위한스프링 고정부(51)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52)의 타단은 슬라이드부의 돌부(53)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3)는 고정베이스(100)상에 설치된 기어군에 의해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의 왕복운동은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와 벨트에 의해서 구동되는 제1 및 제2기어(11,12), 최종기어(13)에 의한다.
상기 최종기어(13)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두께는 트래이랙(31)과 가동랙(20)을 합친 두께가 된다.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트래이랙(31)은 트레이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맨 좌측은 무기어부(32)로서 나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가동랙의 우측 나선이 끝나는 지점부터는 나선이 형성된다. 트래이랙(31)의 우측에는 트래이랙 고정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장치의 상부에는 돌출부(46)가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드부(23)는 트래이랙 하부에서 별도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돌출부(46)는 제3도와같이 고정베이스(10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7)와 탄성적으로 맞물림된다.
또한 픽업베이스(2)에는 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55)와 고정베이스(100)에는 트레이(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56)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의 로딩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와 같은 상태에서 트레이(30)가 고정베이스(100)로부터 전진하는(도면에서 왼쪽 방향) 과정을 보면, 먼저 구동기어(10)가 회전되면, 제1 및 2 기어(11,12)를 통하여, 제2기어와 맞물린 최종기어(13)가 회전된다.
최종기어(13)가 회전함에 따라서, 이와 맞물린 슬라이드부(23)의 가동랙(20)이 구동되어 슬라이드부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되면 픽업 베이스의 측면 돌부(5)가 상승홈(21)의 상부(21a)에서 경사면을 타고 하부(21b)로 하강되어 결국 픽업베이스(2)는 힌지(103)를 중심으로 하강하게 된다(제4도상태).
이때 트래이랙(31)은 그 무기어부(32)로 인해 최종기어(13)가 회전되더라도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4도와 같이 슬라이드부(23)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가동랙(20)의 돌부(33)가 트래이랙(31)의 턱(34)과 맞물려 트래이랙(31)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최종기어(13)와 맞물리게 되고, 이후 트레이는 고정베이스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완전히 전진된 상태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23)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은 스프링(52)이다.
제6도를 참조하면, 트레이(30)가 고정베이스(100)내로 진입해 오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구동기어(10)가 반대로 회전되면, 제1 및 2기어(11,12)를 통하여, 제2기어와 맞물린 최종기어(13)가 회전하기 시작된다.
최종기어(13)가 회전함에 따라서, 이와 맞물린 트래이랙(31)이 후진하게 되어 트레이(30)는 고정베이스(100)쪽으로 진입된다.
트레이(30)가 완전히 진입되기 전에 트래이의 턱(34)이 슬라이드부(23)의 돌부(33)를 쳐서 슬라이드부(23)의 가동랙(20)이 최종기어(13)와 맞물리게 된다. 이후 트레이가 완전히 진입되면 트레이 고정장치의 돌출부(46)와 고정베이스의 돌출부(47)가 맞물려 트래이가 좌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최종기어(13)의 회전으로 가동랙(20)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결국 픽업 베이스의 전면 돌부(5)가 하부(21b)에서 경사면을 타고 상부(21a)로 상승되어 결국 픽업베이스(2)는 힌지(103)를 중심으로 상승하게 된다(제3도상태).
제9도는 디스크의 로딩 장치의 타이밍 챠트로서, 트레이를 배출하고 있을 때에는 감지센서(55)는 오프되고, 감지센서(56)는 온되고, 이때 로딩모터는 오프된다. 로딩동작이 시작되어 트레이가 고정베이스로 완전히 진입되는 로딩완료시까지는 감지센서(55)는 오프되고, 감지센서(56)는 오프되고, 이때 로딩모터는 온된다. 트레이를 고정베이스로부터 배출하기 시작하여 배출완료가 될 때 까지는 감지센서(55)는 온되고, 감지센서(56)는 오프되고, 이때 로딩모터는 역회전하도록 오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서 트레이의 이송 및 픽업베이스의 상하 운동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로딩장치의 제조 단가가 다운되며 조립 공정 시간도 단축되며, 더욱이 제품의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다.

Claims (6)

  1. 측면에 랙을 구비한 트레이(30)와, 턴테이블(104)과 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108) 및 회전축인 힌지(103)로 구성된 픽업베이스(2)와, 상기 트레이의 왕복운동 및 상기 픽업베이스의 상하운동을 동시에 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의 로딩 장치에 있어서, 그 측면에 돌출된 돌부(5)를 가진 픽업베이스(2)와,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 모터(10)의 동력을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제1기어(11), 제2기어(12) 및 최종기어(13)로 구성된 기어군과, 상기 최종기어(13)와 맞물려서 상기 돌부(5)를 상하 운동시켜 픽업베이스(2)를 상하운동시키는 슬라이드 수단과, 상기 최종기어(13)와 맞물려서 트래이를 직선 이동시키는 트래이랙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로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트래이랙(31) 하부에서 지지면(24)에 구비되며 그 상부에 설치된 돌부(33)를 가진 가동랙(20)과, 상기 지지면(24)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픽업베이스(2)의 측면 돌부(5)가 수용되어 이 돌부(5)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상승홈(2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로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고정베이스(100)상에 고정된 스프링 고정부(51)와, 돌부(53)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스프링(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로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이랙 수단의 일단에는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무기어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로딩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이랙 수단의 타단에는 고정베이스에 장착된 탄성부(47)와 탄성적으로 맞물림하는 돌출부(46)를 포함하는 트래이랙 고정장치(36)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로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베이스(2)에는 위치감지센서(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로딩 장치.
KR1019950018794A 1995-06-30 1995-06-30 디스크의 로딩 장치 KR100186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94A KR100186264B1 (ko) 1995-06-30 1995-06-30 디스크의 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94A KR100186264B1 (ko) 1995-06-30 1995-06-30 디스크의 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035A KR970003035A (ko) 1997-01-28
KR100186264B1 true KR100186264B1 (ko) 1999-04-15

Family

ID=1941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794A KR100186264B1 (ko) 1995-06-30 1995-06-30 디스크의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633B1 (ko) * 2000-03-20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 매체 기기용 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035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244A (en) Disc player
KR920009778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연속 플레이장치
KR920009428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
EP0456464B1 (en) Automatic changer for digital records
CN1118921A (zh) 可装载cd盘和md盘的盘播放机
KR100186264B1 (ko) 디스크의 로딩 장치
US5621708A (en) Disk player equipped with disk changer
KR0167450B1 (ko) 디스크의 로딩 장치
US5822290A (en) Disk player having ascending/descending structure for a deck
CN1135548C (zh) 记录光盘的重放系统
US20060174253A1 (en) Disc changer device
KR100290759B1 (ko) 정보기록및/또는재생장치
JP3428174B2 (ja) 移動操作装置
CN1164101A (zh) 换盘器
US6233216B1 (en) Device for loading a tray down into a pick up disk player
CN1258183C (zh) 打开盒快门的装置和方法
JP353372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S6325433B2 (ko)
CN1242863A (zh) 带有由单一驱动源操纵的驱动机构的光盘换盘装置
KR900005914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모우터를 이용한 로딩장치
JPH0650856Y2 (ja) トレー駆動装置
KR200212862Y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
KR970000915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디스크 로딩장치
US5621718A (en) Compact disc playing mechanism having first and second operating positions
KR930003872B1 (ko) 디스크의 자동반송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