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941B1 - Dct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Dct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941B1
KR0185941B1 KR1019960001116A KR19960001116A KR0185941B1 KR 0185941 B1 KR0185941 B1 KR 0185941B1 KR 1019960001116 A KR1019960001116 A KR 1019960001116A KR 19960001116 A KR19960001116 A KR 19960001116A KR 0185941 B1 KR0185941 B1 KR 018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nit
data
dc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169A (ko
Inventor
최성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941B1/ko
Publication of KR97006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48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 G11B20/10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selecting parameter values from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et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2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distor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T모드선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영상데이타의 DCT변환부호화장치에서 DCT모드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인접한 각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의 대응하는 화소들의 차와 합을 구하기 위한 연산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8×8모드입력데이타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해서 예측된 주파수의 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예측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4×8모드입력데이타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해서 예측된 주파수의 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예측부, 상기 제1예측부와 제2예측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의 데이타를 DCT로 인가하는 모드입력부, 및 상기 모드입력부로부터 인가된 모드의 데이타를 DCT변환하는 DCT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DCT변환단위내의 고주파성분이 포함된 정도를 예측하여 DCT모드를 적응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데이타손실시 화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DCT모드선택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 DCT모드선택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T모드선택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8×8치수의 블럭에 대한 DCT모드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연산부 60 : 제1예측부
70 : 제2예측부 80 : 모드입력부
84 : 멀티플렉서부 90 : DCT
본 발명은 디지탈 VCR에서의 DCT 부호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CT블럭내의 데이타가 고주파성분을 어느만큼 포함하는가에 따라 8×8모드 또는 4×8모드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DC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생시 보다 개선된 화질을 제공하기 위한 DCT모드선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VCR에 있어서 영상데이타를 압축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표적으로 변환부호화방식이 있다. 이 변환부호화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화면을 이루는 각 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변환을 행하여 영상데이타를 주파수영역의 변환계수로 변환한다. 각 프레임에 대한 데이타변환방식에는 대표적으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가 사용되고 있다. DCT에는 8×8모드와 4×8모드의 두 모드가 있다. 필드간 고주파성분이 적은 화상인 경우 8×8치수의 변환블럭을 사용하는 8×8모드를 사용하며, 각 필드간 고주파성분이 많은 화상인 경우 4×8치수의 변환블럭을 사용하는 4×8모드가 사용된다. 이와같은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도의 장치는 인가되는 영상데이타를 공간영역(spatial domain)에서 분석하여 필드간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판단해서 판단된 화상의 필드간 고주파성분에 따라 8×8모드와 4×8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10)를 구비한다. 모드선택부(10)는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선택신호를 멀티플렉서부(30)와 DCT(40)로 공급한다. 또한, 제1도의 장치는 8×8치수의 화소블럭과 4×8치수의 화소블럭을 멀티플렉서부(30)로 공급하기 위한 연산부(20)를 구비한다. 멀티플렉서부(30)의 출력단에는 선택된 모드에 의한 데이타를 DCT변환하는 DCT(40)가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DCT모드선택장치의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의 장치로 입력하는 영상데이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8×8치수의 화소블럭으로 구획화된 데이타이다.
먼저, 모드선택부(10)는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2개의 필드사이에 대응되는 화소(pixel)의 차값을 구하기 위한 제1감산기(13)를 구비한다. 제1감산기(13)의 전단에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8×8화소블럭의 한 행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1지연기(11)가 연결된다. 즉, 제1감산기(13)의 연산은│Ax-Bx│가 된다. 이 연산의 결과는 8×8모드의 화소블럭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하는 데이타가 된다. 제1감산기(13)의 결과는 제1누산기(15)로 출력한다. 제1누산기(15)는 입력되는 값을 누산하여 1DCT블럭단위가 전부 누산되었을때 그 값을 비교부(17)로 출력한 후 리셋(Reset)된다. 또한, 모드선택부(10)는 프레임 내의 대응되는 화소의 차값을 구하기 위한 제2감산기(14)를 구비한다. 제2감산기(14)의 전단에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8×8화소블럭의 두 행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2지연기(12)가 연결된다. 즉, 제2감산기(14)의 연산은 │AX-AX+8│ 또는 │BX-BX+8│가 된다. 이 연산의 결과는 4×8모드의 화소블럭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하는 데이타가 된다. 제2감산기(14)의 결과는 제 2누산기(16)로 출력한다. 제2누산기(16)는 입력되는 값을 누산하여 1DCT블럭단위가 전부 누산되었을때 비교부(17)로 출력한후 리셋된다. 여기서 비교부(17)는 입력되는 두 값을 비교하여 고주파성분을 적게 포함한 쪽의 모드를 선택한다. 즉, 제1누산기(15)의 입력값이 제2누산기(16)의 입력값보다 작은 경우 8×8모드를 선택하고, 제2누산기(16)의 입력값이 제1누산기(15)의 입력값보다 작은 경우 4×8모드를 선택한다. 연산결과가 작은 쪽이 고주파성분을 적게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고주파성분이 적은 쪽을 선택함으로써 가변길이부호화(Varible Length Coding)를 행할때 코드의 길이를 제한함으로 양자화에 의한 에러값을 최소화 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선택된 모드신호를 멀티플렉서부(30)와 DCT(40)로 출력한다.
한편, 연산부(20)는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2개의 필드사이의 대응되는 화소의 차값을 구하기 위한 제3감산기(23)를 구비한다. 제3감산기(23)의 전단에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8×8화소블럭의 한 행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 4지연기(22)가 연결된다. 즉, 제3감산기(23)의 연산은 │AX-BX│가 된다. 이 연산의 결과는 4×8모드의 차신호(DIFF)입력데이타가 된다. 또한 연산부(20)는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2개의 필드사이의 대응되는 합값을 구하기 위한 가산기(24)를 구비하고 있다. 가산기(24)의 전단에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8×8화소블럭의 한 행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4지연기(22)가 연결된다. 즉, 가산기(24)의 연산은 │AX+BX│가 된다. 이 연산의 결과는 4×8모드의 합신호(SUM)입력데이타가 된다. 제3감산기(23)와 가산기(24)는 출력을 멀티플렉서부(30)로 보낸다. 또한 멀티플렉서부(30)에는 제3감산기(23)와 가산기(24)와의 동기를 위하여 제3지연기(21)를 통하여 지연된후 입력되는 8×8모드의 데이타가 들어온다. 멀티플렉서부(30)는 입력된 모드중 비교부(17)의 선택명령에 의한 모드의 데이타를 DCT(40)로 출력한다. DCT(40)는 입력된 DCT모드에 의한 데이타를 DCT변환한다.
여기서, 모드선택부(10)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되는 8×8화소블럭의 영상데이타를 가지고 4×8모드 또는 8×8모드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하여 모드를 선택했다. 따라서, 4×8모드를 선택했을 경우 직접 입력되는 데이타에 의한 선택이 아니므로 전체적인 효율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각 모드에 따른 입력데이타를 가지고 주파수성분을 예측해서 DCT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좀더 효율이 좋은 쪽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는 DCT모드선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을 구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데이타의 DCT변환부호화장치에서 DCT모드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인접한 각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의 대응하는 화소들의 차와 합을 구하기 위한 연산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8×8모드예측주파수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예측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4×8모드입력데이타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해서 예측된 주파수의 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예측부, 상기 제1예측부와 제2예측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의 데이타를 DCT로 인가하는 모드입력부, 및 상기 모드입력부로부터 인가된 모드의 데이타를 DCT변환하는 DCT를 포함하는 DCT모드선택장치에 있다.
또한,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영상데이타의 DCT변환부호화장치에서 DCT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구하는 제1단계, 상기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기설정된 제1기준값과 비교하는 제 2단계, 상기 제2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작을 때 8×8모드를 선택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클 때,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구하는 제4단계, 상기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기설정된 제 2기준값과 비교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을 때 4×8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5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클 때 8×8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T모드선택방법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DCT모드선택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대응되는 필드간의 합과 차를 구하기 위한 연산부(50)를 구비한다. 연산부(50)에는 입력되는 데이타의 8×8모드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해서 예측된 주파수의 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예측부(60)와 입력되는 데이타의 4×8모드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해서 예측된 주파수의 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예측부(70)를 연결한다. 제2예측부(70)의 출력단에는 모드입력부(80)를 연결해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드를 전달한다. 모드입력부(80)는 제2예측부(70)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8×8모드 입력데이타 또는 4×8모드 입력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DCT(90)를 연결한다. 모드입력부(80)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위해 멀티플렉서부(84)와 다수의 지연기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도 장치의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구제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의 장치로 입력하는 영상데이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8×8치수의 화소블럭으로 구획화된 데이타이다.
먼저, 연산부(50)는 2개의 필드사이의 대응되는 화소의 차값을 구하기 위한 제 1감산기(52)를 구비한다. 제1감산기(52)의 전단에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8×8화소블럭의 한 행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1지연기(51)를 연결한다. 즉, 제1감산기(52)의 출력(data3)은 │AX-BX│, │Bx-Ax+8│의 순서로 제1예측부(60)내의 제1비교부(61)로 들어간다. 제1감산기(52)의 출력(data3)은 8×8모드의 주파수예측 데이타가 된다. 또한 제1감산기(52)의 출력중 │AX-BX│(data4)는 제2예측부(70)내의 제2감산기(71)로 들어간다. 제1감산기(52)의 출력(data4)은 4×8모드 DCT의 차신호(DIFF)입력데이타이다. 또한 연산부(50)는 입력되는 2개의 필드사이의 대응되는 화소의 합값을 구하기위한 가산기(53)를 구비하고 있다. 가산기(53)의 전단에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8×8화소블럭의 한 행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1지연기(51)를 연결한다. 즉, 가산기(53)의 출력(data7)은 │ AX+BX│가 되며, 제2예측부(70)내의 제3감산기(74)로 들어간다. 가산기(53)의 출력(data7)은 4×8모드 DCT의 합신호(SUM)입력데이타이다. 한편,4×8모드의 입력되는 데이타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하기위한 제2예측부(70)는 제1감산기(52)로부터의 출력(data4)과 제 1감산기(52)의 출력(data4)을 제2지연기(71)를 통해 8클럭지연시킨 출력(data5)을 입력받아 두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2감산기(73)를 구비한다. 즉, 제2감산기(73)의 출력(data6)은 ││A1-B1│ -│A9-B9││ , ││A9-B9│ -│A17-B17││ ,……의 값을 가진다. 제2감산기(73)의 출력(data6)은 4×8모드 DCT의 차신호(DIFF)입력데이타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하는 데이타가 된다. 또한, 제2예측부(70)는 가산기(53)의 출력(data7)과 가산기(53)의 출력(data7)을 제3지연기(72)를 통하여 8클럭지연시킨 출력(data8)을 입력받아 두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3감산기(74)를 구비한다. 즉, 제3감산기(74)의 출력(data9)은 ││A1+B1│-│A9+B9││,││A9+B9│-│ A17+B17││ ,……의 값을 가진다. 제3감산기(74)의 출력(data9)은 4×8모드 DCT의 합신호(SUM)입력데이타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하는 데이타가 된다.
한편, 제1예측부(60)내의 제1비교부(61)는 입력(data3)된 값을 미리실험을 통해 설정된 제1기준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제1비교부(61)의 입력(data3)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보다 클 경우는 카운트를 해서 1씩 증가시킨다. 이렇게해서 1 DCT블럭이 전부 입력되었을때 카운트값과 미리 실험을 통해 설정해놓은 제2기준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카운트값이 제2기준값보다 작은 제1경우와 카운트값이 제2기준값보다 큰 제2경우의 두가지 경우가 발생한다.
먼저, 카운트값이 제2기준값보다 작은 제1경우에서는, 예측한 8×8모드 DCT의 입력데이타의 고주파성분이 적다는 뜻이되어 8×8모드 DCT를 선택하라는 신호를 제2예측부(70)내의 제2비교부(75)로 출력(ctr11)한다. 제2비교부(75)는 8×8모드 DCT의 선택신호(ctr11)를 받아서 별도의 비교동작없이 모드입력부(80)내의 멀티플렉서부(84)와 DCT(90)로 8×8모드 DCT의 선택신호(ctr12)를 보낸다. 멀티플렉서부(84)는 제2비교부(75)로부터 인가받은 8×8 DCT를 위한 선택신호(ctr12)에 따라 멀티플렉서부(84)내의 제1멀티플렉서(841)에 입력된 8×8모드데이타(data10)를 선택하여 DCT(90)로 출력한다. DCT(90)는 멀티플렉서부(84)에서 선택된 데이타(data10)에 대해 선택된 8×8 DCT모드로 DCT변환을 수행한다.
한편, 카운트값이 제2기준값보다 큰 제2경우에서는, 예측한 8×8모드 DCT의입력데이타의 필드간 고주파성분이 많다는 뜻이되어 8×8모드 DCT가 적당하지 않다는 신호(ctrl1)를 제2예측부(70)내의 제2비교부(75)로 출력한다. 즉, DCT모드 선택권을 제2비교부(75)로 넘기는 것이다. 선택권을 넘겨받은 제2비교부(75)는 4×8모드 DCT의 주파수예측데이타의 값(data6, data9)을 미리 실험을 통하여 설정해 놓은 제 3기준값과 각각 비교한다. 비교결과, 4×8모드 DCT의 주파수예측데이타의 값(data6, data9)이 제3기준값보다 크면 카운트를 해서 1씩 증가시킨다. 이렇게해서 1 DCT블럭이 전부 입력되었을때 주파수예측데이타의 값들(data6, data9)을 비교한 카운트값의 합을 미리 실험을 통해 설정해놓은 제4기준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카운트값의 합(data6의 카운트값┼data9의 카운트값)이 제4기준값보다 작은 제1경우와 카운트값의 합이 제4기준값보다 큰 제2경우의 두가지 경우가 발생한다.
먼저, 카운트값의 합이 제4기준값보다 작은 제1경우에서는, 예측한 4×8모드 DCT의 입력데이타의 고주파성분이 적어서 합당하다는 뜻이되어 4×8모드 DCT를 선택하라는 신호(ctrl2)를 모드입력부(80)내의 멀티플렉서부(84)와 DCT(90)로 보낸다. 멀티플렉서부(84)는 제2비교부(75)로부터 인가받은 4×8 DCT를 위한 선택신호(ctr12)에 따라 멀티플렉서부(84)내의 제2멀티플렉서(843)에 입력된 4×8모드데이 타(data11,data12)를 선택하여 DCT(90)로 출력한다. DCT(90)는 멀티플렉서부(84)에서 선택된 데이타(data11,data12)에 대해 선택된 4×8 DCT모드로 DCT변환을 수행한다.
한편, 카운트값의 합이 제4기준값보다 큰 제2경우에서는, 예측한 4×8모드 DCT의 입력데이타의 고주파성분이 많다는 뜻이되어 4×8모드 DCT가 적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는 두 DCT모드중 8×8 DCT모드가 효율이 더 좋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8×8 DCT모드를 선택하라는 신호(ctrl2)를 모드입력부(80)내의 멀 티플렉서부(84)와 DCT(90)로 보낸다. 멀티플렉서부(84)는 제2비교부(75)로부터 인가받은 8×8 DCT를 위한 선택신호(ctrl2)에 따라 멀티플렉서부(84)내의 제1멀티플렉서(843)에 입력된 8×8모드데이타(data10)를 DCT(90)로 출력한다. DCT(90)는 멀티플렉서부(84)에서 선택된 데이타(data10)에 대해 선택된 8×8 DCT모드로 DCT변환을 수행한다.
한편, 모드입력부(80)내의 제4지연기(81), 제5지연기(82), 및 제6지연기(83)는 멀티플렉서부(84)로 각각 8×8모드의 데이타, 4×8모드의 차신호(DIFF)데이타, 및 4×8모드의 합신호(SUM)데이타를 입력할때 동기화를 시켜주기 위해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DCT모드의 선택을 각 DCT모드에 입력될 데이타를 가지고 직접 비교해서 8×8DCT모드와 4×8DCT모드중 적당한 모드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화질의 향상을 가져온다.

Claims (10)

  1. 영상데이타의 DCT변환부호화장치에서 DCT모드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인접한 각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의 대응하는 화소들의 차와합을 구하기 위한 연산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8×8모드예측주파수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예측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4×8모드입력데이타의 주파수성분을 예측해서 예측된 주파수의 성분에 따라 DCT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예측부; 상기 제1예측부와 제2예측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의 데이타를 DCT로 인가하는 모드입력부; 및 상기 모드입력부로부터 인가된 모드의 데이타를 DCT변환하는 DCT를 포함하는 DCT모드선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입력되는 인접한 각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의 대응하는 화소들의 차를 구하기위한 제1감산기; 상기 필드간 대응되는 화소들의 합을 구하기 위한 가산기; 및 상기 감산기와 상기 가산기의 전단에 먼저 입력되는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를 다음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가 입력되는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제1지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측부는 상기 연산부로부터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기준값과의 비교에 의하여 모드선택을 한후 선택한 모드신호를 상기 제2예측부로 출력하는 제1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측부는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는 8×8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측부는 상기 연산부로부터 입력된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때는 상기 제2예측부의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예측부는 상기 연산부로부터 인가되는 4×8모드의 차신호(DIFF)데이타의 주파수예측값을 구하기 위한 제2감산기; 상기 연산부로부터 인가되는 4×8모드의 합신호(SUM)입력데이타의 주파수예측값을 구하기 위한 제3감산기;상기 제2감산기의 전단에 먼저 인가되는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를 다음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가 입력되는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제2지연기; 상기 제3감산기의 전단에 먼저 인가되는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를 다음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가 입력되는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제3지연기; 및 상기 제2감산기, 상기 제3감산기, 및 상기 제1예측부의 출력을 받아 기설정된 기준값에 의거하여 비교한후 DCT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모드입력부에 출력하는 제2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예측부는 상기 제2감산기로부터 입력된 4×8모드의 차신호(DIFF)데이타의 주파수예측값과 상기 제3감산기로부터 입력된 4×8모드의 합신호(SUM)데이타의 주파수예측값과의 합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는 4×8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예측부는 상기 제2감산기로부터 입력된 4×8모드의 차신호(DIFF)데이타의 주파수예측값과 상기 제3감산기로부터 입력된 4×8모드의 합신호(SUM)데이타의 주파수예측값과의 합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때는 8×8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입력부는 입력된 데이타를 상기 제2예측부의 선택명령에 의해 상기 DCT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 상기 멀티플렉서부에 8×8모드 데이타를 입력하기위해 상기 영상데이타로부터 데이타를 인가받아 상기 멀티플렉서부에 입력되는 데이타들간의 동기화를 위해 지연시킨 제4지연기; 상기 멀티플렉서부에 4×8모드 차신호(DIFF)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연산부로부터 데이타를 인가받아 상기 멀티플렉서부에 입력되는 데이타들간의 동기화를 위해 지연시킨 제5지연기; 및 상기 멀티플렉서부에 4×8모드 합신호(SUM)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연산부로부터 데이타를 인가받아 상기 멀티플렉서부에 입력되는 데이타들간의 동기화를 위해 지연시킨 제6지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DCT모드선택장치.
  10. 영상데이타의 DCT변환부호화장치에서 DCT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구하는 제1단계; 상기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기설정된 제1기준값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작을 때 8×8모드를 선택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8×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클 때,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구하는 제4단계; 상기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을 기설정된 제2기준값과 비교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을 때 4×8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5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4×8모드의 주파수예측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클 때 8×8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T모드선택방법.
KR1019960001116A 1996-01-19 1996-01-19 Dct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KR018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116A KR0185941B1 (ko) 1996-01-19 1996-01-19 Dct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116A KR0185941B1 (ko) 1996-01-19 1996-01-19 Dct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169A KR970060169A (ko) 1997-08-12
KR0185941B1 true KR0185941B1 (ko) 1999-04-15

Family

ID=1944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116A KR0185941B1 (ko) 1996-01-19 1996-01-19 Dct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9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169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9867B2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US6144700A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removing blocking effect in a motion picture decoder
US5786856A (en) Method for adaptive quantization by multiplication of luminance pixel blocks by a modified, frequency ordered hadamard matrix
EP0585051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8401073B2 (en) Inverse quantization circuit, inverse quantization method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20070133687A1 (en) Motion compensation method
US8380769B2 (en) Filter operation unit and motion-compensating device
JPH0970044A (ja) 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EP2594072A1 (en) Variable localized bit depth increase for fixed-point transforms in video coding
US8537888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58446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ene change detection in digital video compression
JPH05300494A (ja) 動画像符号化器とその制御方式
US88616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figurable DCT/IDCT module in a wireless handset
US6215823B1 (en) Motion vector decoder
KR20020076196A (ko)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들을 복호하고 동시에 포맷감소시키는 방법
KR0185941B1 (ko) Dct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US65076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decision
US6040875A (en) Method to compensate for a fade in a digital video input sequence
JPH07193818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8249151B2 (en) SIMD-processor-friendly MPEG-2 intra-quantizer
RU2154917C2 (ru) Улучшенный способ заключ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US8249150B2 (en) SIMD-processor-friendly MPEG-2 inter-quantizer
JPH08275159A (ja) デジタル・ビデオ符号器プロセッサ
CN112449187B (zh) 视频解码方法、编码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JP3653799B2 (ja) 画像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