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866B1 -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866B1
KR0185866B1 KR1019960037617A KR19960037617A KR0185866B1 KR 0185866 B1 KR0185866 B1 KR 0185866B1 KR 1019960037617 A KR1019960037617 A KR 1019960037617A KR 19960037617 A KR19960037617 A KR 19960037617A KR 0185866 B1 KR0185866 B1 KR 018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bit
register
user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800A (ko
Inventor
김덕년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8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 H04L2012/5654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using the AAL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로부터의 데이터와는 다른 외부신호, 예컨대 프레임신호를 이용하여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를 발생시키도록 된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클록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카운트를 수행함과 더불어 제어수단(15)으로부터의 리세트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프레임신호가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오프셋을 위한 카운터(11)와; 제어수단(15)에 의해 이네이블되어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카운트 비트가 저장되는 제 1 레지스터(12); 이 제 1 레지스터(12)로부터의 카운트 비트와 패리티 발생수단(14)으로부터의 패리티 비트로부터 포인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2 레지스터(13); 널 포인터를 생성하는 널포인터 발생수단(16); 이 널포인터 발생수단(16)과 상기 제 2 레지스터(13)로부터의 포인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7) 및; 프레임신호에 의해 상기 카운터(11)를 리세트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레지스터(12, 13)를 이네이블시킴과 더불어 1 사이클 동안 프레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녈포인터 선택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17)로 출력하는 제어수단(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본 발명은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위계층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로부터의 데이터와는 다른 외부신호, 예컨대 프레임신호를 이용하여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를 발생시키도록 된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 적응계층(ATM Adaptation Layer)은 ATM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상위계층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ATM 적응계층은 사용자 평면, 제어평면의 상위기능 및 관리평면의 지원을 수행함과 더불어 ATM 환경과 비 ATM 환경과의 접면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ATM 적응계층에서는 상위계층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PDU; protocol data unit)를 ATM셀의 유료부하 구간에 매핑시킴과 더불어 전송오류를 처리하고, 손실된 셀과 삽입된 셀의 처리 및 흐름제어와 타이밍 제어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ATM 적응계층은 분할 및 재결합(SAR; segmentation and reassembly) 부계층과 수렴 부계층(CS; convergence sublayer)의 두 부계층으로 구분되게 된다.
상기 수렴 부계층(CS)은 특정 서비스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분할 및 재결합(SAR)은 서비스 종료에 관계없는 기능을 처리하여 사용자 정보의 분할과 재결합에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측에서는 상기 수렴 부계층(CS)이 상위계층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로 인가받아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여 수렴 부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S-PDU)를 형성하여 분할 및 재결합(SAR) 부계층으로 보내고, 이 분할 및 재결합(SAR) 부계층은 이를 ATM셀의 크기로 절단한 후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여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를 형성하여 ATM계층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분할 및 재결합(SAR) 부계층이 ATM계층을 통해 수신된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중 유료부하 구간만을 추출하여 수렴 부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S-PDU)를 형성한 후 수렴 부계층(CS)으로 전달하고, 이 수렴 부계층(CS)에서는 수신된 수렴 부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S-PDU) 중 상위계층 사용자 정보만 추출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송신 과정에 있어서 각 부계층을 통과할 때마다 붙는 헤더와 트레일러는 오류처리와 버퍼관리 및 순서보존 등과 관련된 것이고, 수신 과정에 있어서는 이들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가 없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정보를 상위의 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ITU-T에서는 항등비트율(CBR; constant bit rate), 실시간성, 연결성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서비스를 A, B, C 및 D 종의 4 가지로 분류하고, 이들 각종 서비스에 대응되도록 AAL 타입 1 내지 4 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게 된다. 또한, 1992 년 6 월의 ITU-T 회의에서는 고속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AAL 타입 5 를 새로이 논의하였다.
상기 AAL 타입 1에서는 연결성 방식으로 실시간 항등비트율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크게 항등비트율(CBR) 데이터 전달, 타이밍 정보전달, 사용자 데이터구조 정보전달, 오류 복구능력과 복구될 수 없는 오류 및 손실에 대한 정보의 표시 등이 있다.
따라서, AAL 타입 1에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즉 사용자 데이터 구조의 경계를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컨대 8kHz 구조 데이터(structured data)의 경우 수렴 부계층(CS)에서는 사용자 데이터블록의 시작을 포인터로 나타내는 바, 이러한 포인터를 이용한 구조적 데이터 전달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위계층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로부터의 데이터와는 다른 외부신호, 예컨대 프레임신호를 이용하여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를 발생시키도록 된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클록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카운트를 수행함과 더불어 제어수단으로부터의 리세트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프레임신호가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오프셋을 위한 카운터와; 제어수단에 의해 이네이블되어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카운트 비트가 저장되는 제 1 레지스터; 이 제 1 레지스터로부터의 카운트 비트와 패리티 발생수단으로부터의 패리티 비트로부터 포인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2 레지스터; 널 포인터를 생성하는 널포인터 발생수단; 이 널포인터 발생수단과 상기 제 2 레지스터로부터의 포인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프레임신호에 의해 상기 카운터를 리세트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레지스터를 이네이블시킴과 더불어 1 사이클 동안 프레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녈포인터 선택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로부터의 데이터와는 다른 프레임신호와 같은 외부신호를 이용하여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를 발생함으로써 외부신호로부터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에서의 비트오류 검출 및 정정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ATM 프로토콜 참조모델을 도시한 개념도,
도 2a는 ATM셀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사용자망접면(UNI)에서의 헤더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c는 망노드접면(NNI)에서의 헤더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ATM 통신방식에 있어서 계층별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2a에 나타낸 AAL 타입 1의 SAR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및 포인터 구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를 이용한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형성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FIFO 11 : 7 비트 카운터
12 ,13: 제 1 및 제 2 레지스터 14 : 패리티 발생기
15 : 제어부 16 : 널포인터 발생장치
17,22 : 멀티플렉서 20 : 포인터 발생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방식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ATM 프로토콜 참조모델을 도시한 개념도로, 여기서 상기 개넘도는 관리 평면(management plane)과, 제어 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리 평면은 다시 계층 관리와 평면 관리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평면 관리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를 의미하고, 계층관리는 자원 및 사용 변수의 관리와 OAM 정보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 평면에서는 호 제어 및 접속 제어 정보를 관장하고, 사용자 평면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의 프로토콜은 상위 계층과, ATM 적응 계층, ATM 계층 및, 물리 계층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ATM셀을 기본으로 통신하는 바, 사용자의 긴 메시지는 ATM셀로 분할되어 송신되고, 수신된 ATM셀은 다시 하나의 메시지로 재조립되어 상위 사용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도 2a는 ATM셀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사용자망접면(UNI)에서의 헤더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망노드접면(NNI)에서의 헤더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ATM셀은 5 바이트(또는 옥텟)의 헤더구간과 48 바이트의 사용자 정보구간으로 구분되고, 5 바이트의 헤더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망접면(UNI: user network interface)에서의 헤더구조로 구분되며, 사용자망접면(UNI)에서의 헤더구조는 제 1 바이트가 4 비트의 일반흐름제어(GFC: generic flow control)와 4 비트의 가상경로 식별번호(VPI: virtual path identifier)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2 바이트가 4 비트의 가상경로 식별번호(VPI)와 4 비트의 가상채널 식별번호(VCI: virtual channel identifier)로 이루어지고, 제 3 바이트는 8 비트의 가상채널 식별번호(VCI)로 이루어지며, 제 4 바이트는 4 비트의 가상채널 식별번호(VCI)와 3 비트의 유료부하형태(PT: payload type)와 1 비트의 셀포기순위(CLP: cell loss priority)로 이루어지고, 제 5 바이트는 8 비트의 헤더오류제어(HEC: header error control)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망노드접면(NNI)에서의 헤더구조를 보면, 상기 사용자망접면(NNI)의 첫 번째 바이트에 있는 일반흐름제어(GFC)가 가상경로 식별번호(VPI)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용자망접면(NNI)의 헤더구조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ATM 통신방식은 다음 표 1에서와 같이 계층적인 구조를 이루고, 각각의 계층별로 표준화된 기준을 가지고 있다.
계 층 부 계 층 기 능
상위계층 상위계층기능
ATM 적응계층 수렴(CS) 부계층 수렴기능
절단및 재결합(SAR) 절단기능 및 재결합기능
ATM 계층 일반흐름제어 및 셀헤더 처 리기능
물리 계층 전송수렴(TC) HEC 신호발생 및 추출기능
물리매체 비트시간 정보기능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ATM 통신방식은 물리계층, ATM 계층, ATM 적응계층(AAL: ATM adaptation layer),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같이 수직적인 구조로 구분되고, AAL 계층은 절단 및 재결합 부계층(SAR: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ublayer)과 수렴(CS: convergence sublayer) 부계층으로 구분되며, 물리계층은 물리매체(PM)와 전송수렴(TC: transmission convergence) 부계층으로 다시 구분되게 된다.
또한, ATM 통신방식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는 그 특성에 따라 다음 표 2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서비스의 종류 종단간의시간관계 비트율 연결모드 서비스의 예
A종 실시간성 항등 연결성 항등율 영상신호
B종 실시간성 가변 연결성 가변율 영상신호
C종 비실시간성 가변 연결성 연결성 데이터
D종 비실시간성 가변 비연결성 비연결성 데이터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AAL 프로토콜은 다음 표 3과 같이 AAL 1 에서부터 AAL 5까지로 구분되게 된다.
AAL 형태 대표적인 기능
AAL 1 항등비트율의 A종 서비스를 지원
AAL 2 실시간성, 가변비트율의 B종 서비스를 지원
AAL 3/4 가변비트율의 C종 및 D종 서비스를 지원
AAL 5 AAL 3/4 기능을 간소화하여 고속서비스 지원
상기 표 3에 있어서 AAL 계층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주기 위해 AAL 1, AAL 2, AAL 3/4, AAL 5와 같이 수평적으로 구분되게 된다.
여기서, AAL 1계층은 비트율이 일정한 A종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U-SDU)를 투명하게 전달함과 더불어 전송오류를 검출하고, 정보의 식별 및 클록동기화 기능을 수행하는 수렴부계층(CS)과 이 수렴부계층(CS)으로부터 받은 가변길이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ATM셀을 만들어 ATM 계층으로 전달함과 더불어 ATM 계층으로부터 ATM셀을 수신하여 재조립하여 CS-PDU를 복구하는 절단 및 재결합 부계층(SAR)으로 분할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렴(CS) 부계층은 연결성 및 비연결성 서비스에 공통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공통부 수렴부계층(CPCS: common part convergence sublayer)과, 특정 AAL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특유 수렴부계층(SSCS: service specific convergence layer)으로 구분되게 된다.
도 3a는 ATM 통신방식에 있어서 계층별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으로, 여기서 상위계층의 사용자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U-SDU)가 AAL 서비스 접속점(AAL-SAP: AAL-service access point)틀 통과한 후 AAL 서비스 데이터단위(AAL-SDU)로 형성되어 AAL FIFO에 저장되고, AAL1 SAR계층에서는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따라 CS-PDU를 47 바이트씩 분할한 후 1 바이트의 SAR헤더를 부가하여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단위(SAR-PDU)를 형성하여 ATM 서비스 접속점(ATM-SAP)을 거쳐 ATM계층으로 내려 보내게 된다. 그리고, ATM계층에서는 5 바이트의 ATM헤더를 부착하여 53 바이트의 ATM셀을 형성한 후 물리계층의 광전송로를 통해 타 단말기 또는 ATM교환기로 송신되게 된다.
즉, AAL 타입 1 프로토콜은 항등비트율의 U-SDU를 관련 시간정보와 함께 동일한 비트율로 전달되어 정보원의 클록정보가 수신측에서 추출 가능하게 되고, 수렴부계층에서는 고품질의 영상 또는 음향신호에 대해 비트오류를 정정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분할 및 재조립부계층에서는 CS-PDU를 분할한 후 1 바이트의 헤더를 부가하여 ATM계층으로 내려 보내게 된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AAL 타입 1의 SAR 포맷을 나타낸 도면으로, 여기서 송신된 메시지는 47 바이트의 SAR-PDU 유료부하와 1 바이트의 헤더로 구분되는 바, 이 헤더는 4 비트의 순서번호보호(SNP: sequence number protection)로 구분되고, 이 순서번호(SN)는 1 비트의 수렴부계층식별자(CSI: convergence sublayer indicator)와 3 비트의 순서카운트(SC: sequence count)로 이루어지며, 상기 순서번호보호(SNP)는 3 비트의 CRC와 1 비트의 패리티(P)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및 포인터 구간을 나타낸 도면으로, 여기서 포인터 구간이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유료부하 구간에 포함되는 바, 이는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마다 가능한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유료부하 구간을 부호화하게 된다.
먼저,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유료부하 구간은 도 4a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P 형식(P format)과 비-P 형식(non P format)으로 구분되는 바, 이 P 형식은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유료부하 구간의 첫 바이트가 포인터 구간이고, 그 형식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 4c에 나타낸 포인터 구간의 내용은 포인터 구간의 끝부분부터 그 뒤에 있는 93 바이트(경우에 따라 94 바이트)중 처음으로 나오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시작까지의 거리를 옥텟(octet)으로 나타낸 오프세트 값이다. 이 오프세트의 2 진수값은 오른쪽으로 정렬되고, 포인터 구간의 첫 비트는 홀수 및 짝수 검사비트로 사용되게 된다.
또한, P 형식은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헤더의 순서번호가 짝수, 예컨대 0, 2, 4, 6 일 경우에만 가능하고, 1 사이클, 즉 8 개의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를 전송하는 주기 동안에 단 1 번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 사이클 동안에 경계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헤더의 순서번호가 6 인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를 P 형식으로 형성하고, 포인터 구간에는 모든 비트가 1 인 더미 포인터(dummy pointer)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가 P 형식일 경우에는 헤더의 수렴 부계층 식별자(CSI; convergence sublayer indicator) 비트를 1 로 하여 전송하고, 이와 같이 하면 수신측에서는 단지 상기 수렴 부계층 식별자(CSI) 비트만 검사하여 경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상위계층이 데이터 구조의 경계를 알려주고자 하는 신호로서 외부 입력신호, 예컨대 프레임신호를 사용하고, 상위계층의 사용자 데이터 서비스 유니트(U-SDU)로는 항등비트율(CBR)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포인터는 8 비트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바, 이 8 비트중 7 비트는 오프세트 필드이고, 1 비트는 예약비트, 예컨대 패리티 체크비트이다. 따라서, 상위계층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페이로드 데이터, 즉 93 바이트 또는 94 바이트가 FIFO(10)로 입력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터 발생장치(20)가 1 바이트의 포인터를 발생하게 된다. 즉,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의 헤더가 0, 2, 4, 6 인 경우에만 포인터를 발생하기 때문에 카운터(11)는 93 바이트(프레임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또는 94 바이트(프레임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마다 0 으로 리세트시키게 된다.
그리고, 포인터는 1 사이클, 예컨대 순서번호가 0 내지 7 인 동안 1 개만 발생하지만, 상위계층의 오동작으로 1 사이클내에서 프레임신호가 여러번 발생하게 되면 문제가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1 사이클내에서 첫번째 프레임신호를 검출한 후 그 다음에 프레임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발생한 프레임신호는 무시되게 된다. 또한, 1 사이클내에서 프레임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널 포인터(null pointer)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가 8 비트씩 FIFO(10)로 입력되어 저장되고,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클록신호가 상기 FIFO(10)와 7 비트 카운터(11)로 입력되게 된다. 이때, 상위계층으로부터 프레임신호가 제어부(15)로 입력되게 되면, 이 제어부(15)는 프레임신호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카운터(11)를 리세트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7 비트 카운터(11)가 상기 제어부(15)로부터의 리세트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게 되면, 상기 사용자 클록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7 비트의 카운트 비트를 출력하고, 이 7 비트의 카운트 비트는 임시로 제 1 레지스터(12)에 저장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1 레지스터(12)에 저장된 7 비트의 카운트 비트가 제어부(12)로부터의 이네이블신호(EN)에 의해 제 2 레지스터(13)로 시프트되고, 또한 패리티 발생기(14)로부터 1 비트의 패리티 비트가 상기 제 2 레지스터(13)로 시프트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레지스터(13)에 7 비트의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카운트 비트와 1 비트의 패리티 비트로 구성된 포인터가 형성되어 저장되게 되면, 제어부(12)로부터의 선택신호에 의해 멀티플렉서(17)가 상기 제 2 레지스터(13)에 저장된 8 비트의 포인터를 출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를 이용한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형성장치를 나타낸 도면, 여기서 도면중 참조부호 10은 FIFO이고, 20은 포인터 발생장치이며, 22는 멀티플렉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프레임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즉 포인터 발생장치(20)로부터 포인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멀티플렉서(22)로는 상기 FIFO(10)로부터 AAL 사용자정보, 예컨대 47 옥텟의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의 유료부하와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ATM헤더 또는 SAR헤더가 입력되게 된다. 이후,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시스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22)는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를 형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신호가 발생한 경우, 즉 포인터 발생장치(20)로부터 포인터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멀티플렉서(22)로는 상기 FIFO(10)로부터 AAL 사용자정보, 예컨대 46 옥텟의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의 유료부하가 입력되고, 상기 포인터 발생장치(20)로부터 1 비트의 패리티 비트가 입력되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ATM헤더와 SAR헤더가 입력되게 된다.
이후,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시스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22)는 포인터가 포함된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를 형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로, 먼저 제 1 단계(S1)는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의 유료부하가 FIFO(10)로 입력된 후 저장되어 제 1 대기상태로 되고, 제 2 단계(S2)는 상기 제 1 단계(S1)에서의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의 유료부하에 대한 프레임신호가 상위계층으로부터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 3 단계(S3)는 상기 제 2 단계(S2)에서 프레임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클록을 기초로 7비트 카운터(11)가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7 비트의 카운트 비트를 생성하고, 패리티 발생수단(14)으로부터 1 비트의 패리티 비트가 생성되어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8 비트의 포인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제 4 단계(S4)는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생성된 포인터를 제 2 레지스터(13)에 저장한 후 제 2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5 단계(S5)는 SAR헤더의 순서번호를 검출하여 현재 사이클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사이클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4 단계(S4)의 제 2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현재 사이클이 종료된 경우에는 제 2 레지스터(13)에 저장된 포인터를 출력한 후 제 1 단계(S1)의 제 1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제 6 단계(S6)는 상기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위계층으로부터 프레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SAR헤더의 순서번호를 검출하여 현재 사이클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사이클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단계(S1)의 제 1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7 단계(S7)는 상기 제 6 단계(S6)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사이클이 종료된 경우 널포인터 발생수단(16)로부터 널 포인터를 출력한 후 제 1 단계(S1)의 제 1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원 청구범위의 각 구성요건에 병기된 도면참조부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할 의도에서 병기한 것은 아니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위계층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로부터의 데이터와는 다른 프레임신호와 같은 외부신호를 이용하여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를 발생함으로써 외부신호로부터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에서의 비트오류 검출 및 정정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클록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카운트를 수행함과 더불어 제어수단(15)으로부터의 리세트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프레임신호가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오프셋을 위한 카운터(11)와; 제어수단(15)에 의해 이네이블되어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카운트 비트가 저장되는 제 1 레지스터(12); 이 제 1 레지스터(12)로부터의 카운트 비트와 패리티 발생수단(14)으로부터의 패리티 비트로부터 포인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2 레지스터(13); 널 포인터를 생성하는 널포인터 발생수단(16); 이 널포인터 발생수단(16)과 상기 제 2 레지스터(13)로부터의 포인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7) 및; 프레임신호에 의해 상기 카운터(11)를 리세트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레지스터(12, 13)를 이네이블시킴과 더불어 1 사이클 동안 프레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녈포인터 선택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17)로 출력하는 제어수단(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11)는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 유료부하의 헤더 순서번호가 0 내지 7 인 동안, 즉 1 사이클 동안 사용자 데이터의 경계정보에 대한 7 비트의 카운트 비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5)은 1 사이클 동안 여러 개의 프레임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첫번째 프레임신호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4.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가 FIFO(10)로 입력된 후 저장되면, 제 1 대기상태로 되는 제 1 단계(S1)와; 이 제 1 단계(S1)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신호가 상위계층으로부터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2); 이 제 2 단계(S2)에서 프레임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위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클록을 기초로 7비트 카운터(11)가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7 비트의 카운트 비트를 생성하고, 패리티 발생수단(14)으로부터 1 비트의 패리티 비트가 생성되어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8 비트의 포인터를 생성하는 제 3 단계(S3);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생성된 포인터를 제 2 레지스터(13)에 저장한 후 제 2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제 4 단계(S4); SAR헤더의 순서번호를 검출하여 현재 사이클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사이클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4 단계(S4)의 제 2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현재 사이클이 종료된 경우에는 제 2 레지스터(13)에 저장된 포인터를 출력한 후 제 1 단계(S1)의 제 1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제 5 단계(S5); 상기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위계층으로부터 프레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SAR헤더의 순서번호를 검출하여 현재 사이클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사이클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단계(S1)의 제 1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제 6 단계(S6) 및; 이 제 6 단계(S6)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사이클이 종료된 경우 널포인터 발생수단(16)로부터 널 포인터를 출력한 후 제 1 단계(S1)의 제 1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제 7 단계(S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방법.
KR1019960037617A 1996-08-31 1996-08-31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KR018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617A KR0185866B1 (ko) 1996-08-31 1996-08-31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617A KR0185866B1 (ko) 1996-08-31 1996-08-31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00A KR19980017800A (ko) 1998-06-05
KR0185866B1 true KR0185866B1 (ko) 1999-05-15

Family

ID=1947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617A KR0185866B1 (ko) 1996-08-31 1996-08-31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641A (ko) * 2019-12-31 2021-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닥나무를 이용한 조습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641A (ko) * 2019-12-31 2021-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닥나무를 이용한 조습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00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222B1 (ko) 종래의 디지탈 패킷 교환 망에서 멀티미디어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 처리 방법
US5878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ata streams in a cell based communications system
EP1080600B1 (en) Method for eliminating misconcatenation of partial packets in aal2 and partial packet with channel identifier
EP1047280B1 (en) Communication systems
US6597697B1 (en) Extended AAL2 connection identifier
KR0185866B1 (ko)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US5974047A (en) Method for decoupling a cell rate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KR0185861B1 (ko)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을 위한 포인터 발생장치 및 그 발생방법
KR0185864B1 (ko)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정보를 갖춘포인터로부터의 경계신호 추출장치 및 그 추출방법
KR0185859B1 (ko)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고정비트율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구조적 데이터 전달방법
KR0185862B1 (ko)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구조적 데이터 전달정보를 갖춘포인터로부터의 경계신호 추출장치 및 그 추출방법
US200201722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timer of communication system
US7403533B2 (en) AAL2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221330B1 (ko) 에이에이엘 계층의 분할 및 재결합이들 셀 제거에 의한 잔여 대역폭의 효율적 이용방법
KR100705569B1 (ko) 타임슬롯 인터체인지 디바이스의 데이터 메모리를 이용한신호 경로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KR0185860B1 (ko)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고정비트율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처리방법
KR100236038B1 (ko) 외부영상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atm카드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장치
KR100221329B1 (ko)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서의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 처리장치
KR0185865B1 (ko) 에이에이엘 타입 1에서의 리드 솔로몬 순방향 오류정정 시스템에 있어서 교직을 위한 메모리 매핑방법
JP3491135B2 (ja) Atm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警報セルの挿入方法
KR100221332B1 (ko) 에이에이엘 계층의 분할 및 재결합 부계층에서의 잔여 대역폭의 효율적 이용방법
KR0123223B1 (ko) Aal3/4 수신처리장치
KR0123225B1 (ko) Atm 통신방식의 sar 길이에러 검출장치
KR970002815B1 (ko) 비동기셀 적응계층 3/4의 송신처리장치
JP3582464B2 (ja) 基地局制御装置及びセル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