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470B1 -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470B1
KR0184470B1 KR1019950040640A KR19950040640A KR0184470B1 KR 0184470 B1 KR0184470 B1 KR 0184470B1 KR 1019950040640 A KR1019950040640 A KR 1019950040640A KR 19950040640 A KR19950040640 A KR 19950040640A KR 0184470 B1 KR0184470 B1 KR 018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rea code
input
telephone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481A (ko
Inventor
최규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470B1/ko
Publication of KR97003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 무선전화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 동작을 개선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지역번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이, 발신 통화시도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입력 완료시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 중인 전화번호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일반전화기번호일 시 상기 제1메모리의 지역번호와 함께 상기 일반전화기 번호를 다이알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 무선전화기에서 일반전화기와 통화를 시도할 시 지역번호의 입력없이 전화번호 입력만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

Description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제1도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무선전화기에서 지역번호를 등록하는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무선전화기에서 발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전화를 호출할 시 지역번호 없이 다이알링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전화기라 함은 휴대용 무선전화기 및 차량 탑재용 무선전화기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무선전화기는 기지국(cell site)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기지국은 교환측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는 또 다른 무선전화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일반전화기와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는 일반전화기의 번호와 다른 체계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동 무선전화기를 사용하여 발신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도 일반전화기와 다른 방식으로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일반전화기와 발신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현재 이동 무선전화기가 위치한 지역에 관계없이 일반전화기가 가입된 지역번호와 함께 해당 일반전화기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전화인 경우 동일 지역 내의 전화기에 발신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지역번호를 누르지 않고 발신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무선전화기에서 일반전화기 가입자의 번호를 다이알링하여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무선전화기에서 일반전화와 발신 통화를 시도할 시 사용자의 지역 번호를 미리 등록하고, 발신 시도시 일반전화기의 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저장 중인 지역번호와 함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번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이, 발신 통화시도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입력 완료시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 중인 전화번호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일반전화기 번호일 시 상기 제1메모리의 지역번호와 함께 상기 일반전화기 번호를 다잉알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의 구성은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도와 같은 무선전화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11은 이동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1메모리112는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타들을 저장한다. 상기 제1메모리112는 EEPROM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 모드에서 지역번호를 발생할 시 이를 등록하기 위한 영역을 소정 어드레스 위치에 할당한다. 제2메모리113은 이동 무선전화기의 동작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제2메모리113은 램(R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입력부114는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의 각종 모드 및 다이알링등을 수행하기 위한 키데이타들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논리부115는 상기 제어부111과 이동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논리부115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각 부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타CTL을 출력한다. 데이타 처리부116은 상기 제어부111와 데이타 통신을 한다. 상기 데이타처리부116은 RF수신부120에서 출력되는 수신데이타RXD를 신호 처리한 처리데이타DT를 상기 제어부111로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111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DT를 신호처리한 송신데이타RXD를 RF송신부12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타처리부116은 디지탈신호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할 수 있다.
듀플렉서(duplexer)122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RF신호 및 수신RF신호를 분리한다. RF수신부120은 상기 듀플렉서122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RF신호를 주파수변환 및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수신부120에서 출력되는 수신오디오신호RXA는 오디오수신부117에 출력하며, 수신데이타RXD는 상기 데이타처리부116에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수신부117은 상기 RF수신부117로 부터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RXA를 입력하여 음성신호를 재생한다. 오디오송신부118은 송신 오디오신호TXA를 입력하여 RF송신부121로 출력한다. RF송신부121은 상기 오디오송신부118에서 출력되는 송신오디오신호TXA 및 데이타처리부116에서 출력되는 송신데이타TXD를 입력하여 송신 형태로 변조한 후 상기 듀플렉서122로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119는 상기 논리부115의 제어데이타CTL에 의해 상기 RF수신부120의 수신 채널 및 상기 RF송신부121의 송신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합성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 무선전화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통화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제2도와 같이 지역번호를 제1메모리112에 등록하여야 한다.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지역번호를 상기 제1메모리112에 등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입력부114의 프로그램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모드를 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11은 200단계에서 프로그램 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부114를 통해 지역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지역번호저장용 기능키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21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13단계에서 지역번호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후 상기 지역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입력되는 지역번호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113에 일시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지역번호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지역의 번호가 될 수 있다. 즉, 이동 무선전화기의 가입지역이 서울인 경우, 서울의 지역번호인 2를 입력하면된다. 상기 지역번호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111은 213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15단계에서 저장키(store key)의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 입력부114에서 저장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15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17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저장 중인 지역번호를 리드하여 상기 제1메모리112의 특정 어드레스 위치에 등록한다. 즉, 상기 저장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제2메모리에 일시 저장 중인 지역번호를 제1메모리의 지역번호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지역번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저장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저장 중인 지역번호를 무시하고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메모리112에 지역번호를 등록한 후, 지역번호의 입력없이 일반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3도는 발신 통화 수행시 입력되는 전화번호에 저장 중인 지역번호를 조합하여 다이알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이알링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입력부114를 통해 통화하고자 하는 일반전화기 가입자의 전화번호들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311단계에서 전화번호의 입력을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입력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113에 일시 저장한다. 상기 311 및 313단계를 통해 입력부 114에서 발생하는 전화번호를 제2메모리113에 저장한 후, 상기 입력부114에서 송출키(send key)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송출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317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13에 일시 저장 중인 입력 전화번호를 리드한 후 전화번호의 첫자리 데이타가 0인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의 첫자리 데이타가 0인 경우이면 이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이거나 또는 일반전화기가 위치된 지역번호와 함께 입력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제2메모리113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첫차리 0이면 323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 중인 전화번호 데이타를 데이타처리부116에 그대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타처리부116은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타를 RF송신부121로 출력하며, RF송신부121은 송신 형태로 상기 전화번호 데이타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은 325단계를 수행하여 데이타처리부116으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분석하며 통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 중인 전화번호를 검사하는 상기 317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 첫자리 데이타가 0이 아닌 경우, 이는 지역번호의 입력없이 원하는 지역권에 가입된 일반전화기와 발신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319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112의 특정 어드레스 위치에 저장 중인 지역번호를 리드한다. 그리고 321단계에서 상기 지역번호와 상기 제2메모리113에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조합하여 지역번호+전화번호 형태로 조합한 후, 상기 제2메모리113의 송출 대기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은 323단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합된 지역번호+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송출하며, 325단계에서 통화 서비스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무선전화기에서 일반전화기와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미리 일반전화기가 가입된 지역의 번호를 등록한 상태에서 발신 통화 시도시 전화번호만을 입력하면 이동 무선전화기는 자동으로 지역번호를 합성하여 다이알링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일반전화기와 통화할 시 다이알링 동작을 간단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지역번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에 있어서, 발신 통화시도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입력 완료시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 중인 전화번호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일반전화기 번호일 시 상기 제1메모리의 지역번호와 함께 상기 일반전화기 번호를 다잉알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 방법.
  2.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를 구비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 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모드에서 지역번호저장용 기능키 입력시 상기 제2메모리에 입력되는 키데이타를 지역번호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지역번호 저장 후 저장키 입력시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 중인 지역번호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프로그램 모드를 종료하는 과정과, 발신통화모드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송출키 입력시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중인 전화번호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첫 자리 전화번호가 0가 아닐시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중인 지역번호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 중인 지역번호 및 전화번호를 연속 다이알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 방법.
KR1019950040640A 1995-11-10 1995-11-10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KR018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640A KR0184470B1 (ko) 1995-11-10 1995-11-10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640A KR0184470B1 (ko) 1995-11-10 1995-11-10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481A KR970031481A (ko) 1997-06-26
KR0184470B1 true KR0184470B1 (ko) 1999-05-15

Family

ID=1943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640A KR0184470B1 (ko) 1995-11-10 1995-11-10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154A (ko) * 1997-06-03 1999-01-15 김영환 휴대용 통신기기의 지역번호 자동발신 제어방법
KR19990049434A (ko) * 1997-12-12 1999-07-05 김영환 무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발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154A (ko) * 1997-06-03 1999-01-15 김영환 휴대용 통신기기의 지역번호 자동발신 제어방법
KR19990049434A (ko) * 1997-12-12 1999-07-05 김영환 무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발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481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613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CA1292041C (en) Cellular cordless telephone
US5101500A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5127042A (en) Cellular cordless telephone
JP33133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固定ユニットおよび移動ユニット
JP2999667B2 (ja) 複数電話番号移動電話機
JPH0650839B2 (ja) 無線電話装置
JPH03226129A (ja) 無線通信装置
JP2001119750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記憶された電話番号の変更方法、携帯電話機の発信方法、及び携帯電話機
KR0184470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KR100378405B1 (ko) 무선전화기에서베이스절환방법
US5765111A (en) Selective mobile station calling method for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system
KR0184501B1 (ko) 휴대폰에서 무선전화기 겸용방법
KR100322272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선택방법
KR100233095B1 (ko) 전화기에서 기억 재다이얼 리스트에 발신시각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369654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다이알링방법
KR1001888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호 처리 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KR100216238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서비스 모드 진입방법
JP3266227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1285514A (ja) 通信装置
KR19990010659A (ko) 스마트폰에서 페이저 모듈을 내장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기와 페이저 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무선 송, 수신방법
KR100444237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200340742Y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프리픽스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