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497B1 -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497B1
KR0183497B1 KR1019950038015A KR19950038015A KR0183497B1 KR 0183497 B1 KR0183497 B1 KR 0183497B1 KR 1019950038015 A KR1019950038015 A KR 1019950038015A KR 19950038015 A KR19950038015 A KR 19950038015A KR 0183497 B1 KR0183497 B1 KR 018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shoot
voltage
feedback control
circui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476A (ko
Inventor
송의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5003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497B1/ko
Publication of KR97002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5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with means for allowing continuous operation despite a fault, i.e. fault tolerant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전원제어 회로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드백 제어부(4)내에 저항, 콘덴서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오버슈트 차단회로(5)를 부가시켜 시스템의 턴온시 발생되는 출력전압의 오버슈트현상을 차단시킴으로써, 오버슈트로 인한 부하 및 평활콘덴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제1도는 이 발명의 오버슈트 방지회로가 설치된 전원제어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전원제어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펄스폭 변조기 2 : 반파정류부
3 : 안정화부 4 : 피드백 제어부
5 : 오버슈트 차단회로
이 발명은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항, 콘덴서 및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초기 기동시 발생되는 출력전압의 오버슈트(OverShoot)현상을 미연에 차단시켜 부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원 제어회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결합기(PC)의 제어를 받아 소정주파수의 펄스폭 변조신호를 반도체 스위칭 소자(S1)에 제공시켜주는 펄스폭변조기(PWM; 31)와; 상기 펄스폭 변조기(31)의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주기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직류전원(Vin)이 1차측(L1)에 연결된 트랜스(T1)의 2차측(L2)에 교류전압이 유기되도록 하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S1)와; 두개의 다이오드(1)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L2)을 통해 유기되는 교류전압을 반파정류시켜 주는 반파정류부 (32)와; 코일(Lo)과 콘덴서(Co)로 구성되어 상기 반파정류부(32)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내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신호를 제거함과 동시에 평활시켜 부하(Ro)에 공급시켜 주는 안정화부(33)와; 수개의 저항(R1-R3), 콘덴서(C1) 및 션트 레지스터(SR)로 구성되어 부하(Ro)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의 변동율을 검출, 광결합기(PC)를 통해 펄스폭 변조부(31)에 전달하여 반도체 스위칭 소자(32)의 스위칭 주기를 변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부(34)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기기의 작동중 부하(Ro)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의 변동율에 따라 트랜스(T1)의 1차측에 연결된 반도체 스위칭 소자(32)의 스위칭 주기를 변동시켜 줄 수는 있으나, 수개의 저항(R1-R3), 콘덴서(C1) 및 션트 레귤레이터(SR)로 구성된 상기 피드백 제어부(43)가 다이나믹 응답특성에 의한 적분형태를 가지므로 시스템의 턴온시 발생되는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현상을 방지할 수 없어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부하(Ro) 또는 평활용 콘덴서(Co)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전원제어 회로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드백 제어부내에 저항, 콘덴서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오버슈트 차단회로를 부가시켜 시스템의 턴온시 발생되는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현상을 차단시킴으로써 부하 및 평활콘덴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은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결합기(PC)의 제어를 받아 소정주파수의 펄스폭 변조신호를 반도체 스위칭 소자(S1)에 제공시켜 주는 펄스폭 변조기(1)와; 상기 펄스폭 변조기(1)의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주기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직류전원(Vin)이 1차측(L1)에 연결된 트랜스(T1)의 2차측(L2)에 교류전압이 유기되도록 하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S1)와;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L2)을 통해 유기되는 교류전압을 반파정류시켜 주는 반파정류부(2)와; 상기 반파정류부(2)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내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신호를 제거함과 동시에 평활시켜 부하(Ro)에 공급시켜 주는 안정화부(3)와; 부하(Ro)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의 변동율을 검출하여 광결합기(PC)를 통해 펄스폭 변조부(1)에 전달시켜 주는 피드백 제어부(4)로 구성된 전원제어 회로에 있어서, 다이오드(D3)와 그 다이오드(D)에 직렬 연결된 콘덴서(C2) 및 그 콘덴서(C2)에 병렬 연결된 저항(R4)으로 구성되어 기동초기로부터 소정시간동안 상기 피드백 제어부(4)에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오버슈트 차단회로(5)를 상기 피드백 제어부(4)내에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의 작동이 시작되는 기동초기의 부하(Ro)전압(즉, 출력전압(Vo))은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피드백 제어부(4)내 콘덴서(C1)의 충전량도 적게되는데, 만약 이 발명의 주요 기술 구성 요소인 오버슈트 차단회로(5)가 없다면 피드백 제어부(4)내의 저항(R3)과 광결합기(PC)의 발광소자를 통해 전달되는 피드백 전압도 낮게 되어 광결합기(PC) 수광소자의 출력신호가 하이상태가 됨에 따라 부하(Ro)에 인가되는 출력전압(Vo)에서 오버슈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피드백 제어부(4)내에 다이오드(D3)와 콘덴서(C2) 및 저항(R4)으로 구성되는 오버슈트 차단회로(5)가 설치되면, 기동초기에 콘덴서(C2)의 양단전압이 매우 낮은 상태이므로 다이오드(D3) ⇒ 콘덴서(C2) ⇒ 광결합기(PC)의 발광소자 ⇒션트 레귤레이터(SR)로 흐르는 전류가 크게 되어 광결합기(PC)의 수광소자가 턴온되므로 펄스폭 변조부(1)에 로우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펄스폭 변조부(1)의 출력주파수에 의해 제어를 받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S1)의 스위칭 횟수가 적어지므로 결국 부하(Ro)로 공급되는 출력전압(Vo)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후 상기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서서히 놓아지면 다이오드(D3) ⇒ 콘덴서(C2) ⇒ 광결합기(PC)의 발광소자 ⇒ 션트 레귤레이터(SR)로 흐르는 전류도 그 만큼 줄어들게 되어 출력전압(Vo)에서의 오버슈트를 피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세트의 기동이 끝나 정상상태에 이르면 오버슈트 차단회로(5)내의 콘덴서(C2)는 만충전 상태가 되므로 다이오드(D3)에는 아무런 전류가 흐리지 않게 되어 상기 오버슈트 차단회로(5)는 없는 것과 같은 형태가 된다.
따라서, 기동 이후의 상기 피드백 제어부(4)는 종래에서와 같이 부하(Ro)에 인가되는 출력전압(Vo)의 변동율을 검출하여, 광결합기(PC)를 통해 반도체 스위칭 소자(32)의 스위칭 주기제어용 펄스폭 변조부(31)에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이 오프되면 상기 오버슈트 차단회로(5) 내의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은 저항(R4)을 통해 방전되어 초기상태를 유지하므로 시스템이 반복구동 되더라도 오버슈트 방지기능은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전원제어 회로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드백 제어부내에 저항, 콘덴서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오버슈트 차단회로를 부가시켜 시스템의 턴온시 발생되는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현상을 차단시킴으로써, 오버슈트로 인한 부하 및 평활콘덴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광결합기(PC)의 제어를 받아 소정주파수의 펄스폭 변조신호를 반도체 스위칭 소자(S1)에 제공시켜 주는 펼스폭 변조기(1)와; 상기 펄스폭 변조기(1)의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주기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직류전원(Vin)이 1차측(L1)에 연결된 트랜스(T1)의 2차측(L2)에 교류전압이 유기되도록 하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S1)와;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L2)을 통해 유기되는 교류전압을 반파정류시켜 주는 반파정류부(2)와; 상기 반파정류부(2)를 퉁해 출력되는 직류전압내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 신호를 제거함과 동시에 평활시켜 부하(Ro)에 공급시켜 주는 안정화부(3)와; 부하(Ro)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의 변동율을 검출하여 광결합기(PC)를 통해 펄스폭 변조부(1)에 전달시켜 주는 피드백 제어부(4)로 구성된 전원제어 회로에 있어서, 기동초기로부터 소정시간동안 상기 피드백 제어부(4)에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오버슈트 차단회로(5)가 상기 피드백 제어부(4)내에 설치되었으며, 상기 오버슈트 차단회로(5)가 상기 피드백 제어부(4)내에 설치되었으며, 상기 오버슈트 차단회로(5)는 다이오드(D3)과, 상기 다이오드(D3)와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C2) 및 상기 콘덴서(C2)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R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KR1019950038015A 1995-10-30 1995-10-30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KR018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015A KR0183497B1 (ko) 1995-10-30 1995-10-30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015A KR0183497B1 (ko) 1995-10-30 1995-10-30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76A KR970024476A (ko) 1997-05-30
KR0183497B1 true KR0183497B1 (ko) 1999-05-15

Family

ID=1943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015A KR0183497B1 (ko) 1995-10-30 1995-10-30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5196B2 (en) 2003-12-19 2007-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high volta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327B1 (ko) * 2005-01-18 2006-11-10 주식회사 엘씨케이전자 외부기기의 강력한 전파 간섭으로 인한 에스엠피에스의피드백 계통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5196B2 (en) 2003-12-19 2007-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high volta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76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1151B1 (en) High efficiency switching controller
US4030024A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floating internal supply circuit
US5914865A (en) Simplified AC-DC switching converter with output isolation
KR100574252B1 (ko) 과전류 보호 스위치 모드 전원
US6301135B1 (en) Isolated switching-mod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having secondary-side controller and supervisory primary-side controller
US543824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magnetron-excited lamp
US4156273A (en) Protection of a switching regulator
US7649755B2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soft start operation
US5077652A (en) Dual feedback loop DC-to-AC converter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US6023178A (en) Pulse width control IC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unit
KR100465577B1 (ko) 보조 전원 장치용 고속 리셋 회로
US4293902A (en) Transformerless fast current limiter with symetry correction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KR100521112B1 (ko) 보조 전원 장치의 제어 회로
US686219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432853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limiting and regulating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control element transistor of a switching network component
KR0183497B1 (ko) 출력전압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US5668704A (en) Self-exciting flyback converter
JP200411299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226697B1 (ko) 스위칭 전원 회로의 과부하 보호 장치
KR0176452B1 (ko) 전원장치에 있어서 출력전압의 오차검출회로 및 방법
KR100258755B1 (ko)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JPH06284710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制御回路
KR200172696Y1 (ko) 과전압보호회로
CN117134618A (zh) 控制装置、电源供应装置及电源转换器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