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55B1 -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55B1
KR100258755B1 KR1019970035017A KR19970035017A KR100258755B1 KR 100258755 B1 KR100258755 B1 KR 100258755B1 KR 1019970035017 A KR1019970035017 A KR 1019970035017A KR 19970035017 A KR19970035017 A KR 19970035017A KR 100258755 B1 KR100258755 B1 KR 10025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output
signal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780A (ko
Inventor
김승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75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전원 변환부에서 보조전원을 브릿지 정류기를 통해 정류하고 상기 정류한 전원을 트렌스포머를 통해 변압하여 필터링한 후 전압조정회로를 통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고, 상용전원 변환부에서 상용전원을 전파 정류한 후 변압하여 릴레이 구동전압과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이 정류 및 필터링되어 출력되면 상기 필터링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감시하여 상기 변압 주기를 가변 하여 안정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고, 릴레이부에서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전압을 통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여 릴레이를 스위칭 하는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를 구현하였다.

Description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APPARATUS FOR POWER SUPPLY IN ISDN NETWORK TERMINAL}
본 발명은 다중입력 및 다중 출력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류의 상용전원과 직류의 교환기 전원을 사용하는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NT; ISDN Network Terminal)에서 사용하는 전원은 크게 기본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bias) 전원과, 로직 전원(Vcc)으로 사용하는 로직(logic)용 전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과, 로직용 전원은 상기 NT의 전원장치에서 발생하여 공급하는데, 상기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과, 로직용 전원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전원장치는 교류의 상용전원(이하 "PS1"이라 칭함)과 직류의 보조전원(이하 "PS2"라 칭함)을 사용한다. 상기 PS1은 망을 통해 제공되는 교류 전원이며, PS2는 단말기 내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NT의 전원장치는 PS1이 공급될 시에는 상기 PS1에 의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bias) 전원을 공급하고 PS2에 의해 로직(logic)용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PS1이 차단될 시에는 상기 PS2에 의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bias) 전원과 로직(logic)용 전원을 공급한다.
종래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에 구비된 전원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 변환부 11, 보조전원 변환부 21, 릴레이부 31로 구성한다.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 11은 트랜스포머 111, 브릿지회로 112, 정류 및 필터 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전원 변환부 21은 브릿지 정류회로 211, 스위치 구동회로 212, 스위치 213, 트랜스포머 214, 정류 및 필터 215와 217, 전압조정회로 21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부 31은 릴레이 제어부 311과 릴레이 312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원장치의 상용전원 변환부 11로 상용전원 PS1이 입력되며, 보조전원 변환부 21로는 보조전원 PS2가 입력될 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전원 변환부 21에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과 로직용 전원을 출력하는 동작을 보면, 입력되는 PS2는 브릿지 정류회로 211을 통해 정류된 후 트랜스포머 214로 입력된다. 이때 스위치 구동회로 212는 상기 트랜스포머 21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여 스위치 213을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 213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트랜스포머 214에 상기 입력되는 전압은 정류 및 필터 215로 변압되어 입력된다. 상기 변압되어 입력된 전압은 정류 및 필터 215를 통해 정류 및 필터링되어 전압조정회로 216에 인가된다. 상기 인가된 전압은 상기 전압조정회로 216에 의해 안정화되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 V3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머 214의 전압은 정류 및 필터 217을 통해 정류 및 필터링되어 로직용 전원 V2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PS2와 V2는 비절연되며, PS2와 V3은 절연된다.
다음으로 상용전원 변환부 11에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는 동작을 보면, 입력되는 PS1은 선형 트랜스포머 111로 입력되어 교류전압이 강압된 뒤 브릿지회로 112로 입력되어 전파 정류된다. 상기 전파 정류된 전압은 정류 및 필터 113으로 입력되어 대용량의 전해 콘덴서를 통해 필터링된다. 상기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직류 전원은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 V1로 출력된다. 상기 출력되는 V1은 릴레이 312를 구동하는 전압으로도 공급된다.
상기 V1에 의해 구동되는 릴레이부 31의 동작을 보면, 상기 V1은 릴레이 제어부 311로 입력되며, 상기 릴레이 제어부 311은 상기 입력되는 V1에 의해 릴레이 312를 스위칭 한다. 즉, 상기 PS1이 입력되어 V1이 출력되면 상기 릴레이 312는 상기 릴레이 제어부 311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V1은 상기 릴레이 312를 통해 Vo로 최종 출력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 PS1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릴레이 312는 상기 릴레이 제어부 311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V3은 상기 릴레이 312를 통해 Vo로 최종 출력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입력전압에 비례하여 출력전압이 변화하는 선형 트랜스포머 111을 사용함에 따라 입력전압 PS1이 불안정한 지역에서는 전송신호의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해 PS1의 전원을 항시 감지하여 PS1의 전압이 낮아지면 릴레이 312를 절체하여 PS2에 의한 전원 V3을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으로 사용하여야 했다.
또한 상기 선형 트랜스포머는 출력 용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소형 단말기의 필수 조건인 이동이 간편하고 충격 및 진동에 강해야 한다는 점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전압의 변화에 대한 안정된 출력전압을 얻고 대용량의 콘덴서가 필요 없는 스위칭 모드의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용전원의 상태를 감지하여 저 전압 입력시 보조전원으로 동작을 전환하기 위한 상용전원 상태 감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용전원 동작 상태에서 보조전원 동작 상태로 전환시 출력전압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전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하의 단락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전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에 구비된 전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에 구비된 전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와 정류기 및 필터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릴레이와 릴레이 구동회로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3과 도 4의 구성이 결합된 상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에 구비된 전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폭 변조방식의 전원장치로 구성하였다.
상기 펄스 폭 변조방식의 전원장치는 그 동작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고압의 상용전원 PS1을 강압하는데 필요한 트랜스포머 414의 크기가 종래 선형 트랜스포머 111 보다 작으며, 필터 415에 사용되는 콘덴서의 크기도 종래 필터 113의 콘덴서 보다 작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전원장치의 보조전원 변환부 21의 구성은 종래 구성과 동일함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용전원 변환부 4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 41은 라인 필터 및 브릿지 정류회로 411, 스위칭 제어회로 412, 스위치 413, 트랜스포머 414, 정류 및 필터 415, 전압검출회로 416, 포토커플러 417로 구성된다.
라인 필터 및 브릿지 정류회로 411은 입력되는 PS1을 필터링한 후 전파 정류하여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회로 412는 피드-백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스위치 413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트랜스포머 414는 상기 스위치 413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라인 필터 및 브릿지 정류회로 411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Vi를 강압하여 출력한다. 정류 및 필터 415는 상기 트랜스포머 41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한 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전압검출회로 416은 상기 정류 및 필터 41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포토커플러 417을 통해 전압 검출신호를 상기 스위칭 제어회로 412로 출력한다.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413, 트랜스포머 414, 정류기 및 필터 415의 상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3의 구성을 보면, 트랜스포머 414의 1차측 Np의 일 측으로 라인 필터 및 브릿지 정류회로 411로부터 전압 Vi가 입력되며, 다른 일 측은 스위치에 해당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 413을 통해 접지 된다. 상기 트랜스포머 414의 2차측 No와 Ns의 일 측은 접지 되며, 상기 No의 다른 일 측과 V1 출력단으로는 다이오드 D1이 순방향 접속된다. 또한 상기 Ns의 다른 일 측과 Vs 출력단으로도 다이오드 D2가 순방향 접속되며, 상기 No의 접지와 V1 출력단 사이와 Ns의 접지와 Vs 출력단 사이에는 콘덴서가 연결된다. 상기 D1, C1은 상기 트랜스포머 414의 2차측 No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한 후 필터링하는 정류 및 필터 415를 구성하는 소자이다. 상기 V1은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이며, 상기 Vs는 릴레이 구동용 전원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릴레이 312와 릴레이 제어부 311의 상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4의 구성을 보면, D2와 C2는 상기 도 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 414의 2차측 Ns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한 후 필터링하여 Vs를 출력한다. 상기 Ns의 양측단으로 출력되는 전압 Vs는 지연회로 321과 상용전원 감지회로 331로 입력된다. 상기 상용전원 감지회로 331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전압은 릴레이 구동회로 341로 입력되어 상기 타임딜레이 321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과 함께 릴레이 312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 341은 상기 입력되는 검출 전압에 의해 릴레이 312를 제어한다. 상기 지연회로 321은 상용전원 PS1이 끊어졌다가 재 인가될 시 저전압의 V1이 출력되는 동안 릴레이 312가 동작하지 않도록 Vs를 지연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 341의 제어에 의한 릴레이 312의 동작을 지연시킨다.
상술한 도 3과 도 4의 구성이 결합된 상세 회로의 일 실시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보조전원에 따른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발생하는 동작은 종래 전원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며,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설명할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용전원 변환부 41과 릴레이부 31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하면, 망을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 PS1은 사용전원 변환부 11을 통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 V1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 11은 상기 PS1의 입력에 따른 릴레이 구동 전원 Vs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Vs와 V1은 릴레이부 31로 제공되며, 상기 릴레이부 31은 제공되는 상기 Vs에 의해 릴레이 312를 스위칭 한다. 상기 스위칭에 의해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 41로부터 인가되는 V1 또는 보조전원 변환부 21로부터 인가되는 V3은 최종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 Vo로 출력된다.
우선 개략적으로 상술한 V1과 Vs를 생성하는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 41의 동작을 도 3을 통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스위칭 제어신호(S.C; Switching Control Signal)에 의해 스위치 413이 온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 414의 1차측 Np에 전원 공급 패스가 형성되면서 상기 Np측에 입력되는 전압 Vi가 2차측 No와 Ns로 유도된다. 상기 S.C는 제어회로 412로부터 인가되는데 상기 S.C를 출력하는 동작은 후술될 것이므로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2차측 No와 Ns측에 유도되는 전압의 극성은 1차측 Np와 반대 극성의 전압이 유도되므로 No측의 다이오드 D1은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려 V1 공급 패스가 차단되며, Ns측의 다이오드 D2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려 V3의 공급 패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2차측 권선 No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1차측 권선 Np로만 전류가 흘러 트랜스포머 414의 2차측 권선 No측의 자화 인덕턴스에 의해 에너지가 축적되며, 2차측 권선 Ns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Vs가 출력된다. 상기 자화 인덕턴스란 트렌스포머 414를 구성하는 코일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413이 오프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렌스포머 414의 1차측 Np에 형성되었던 전원 공급 패스가 차단되면서 상기 Np측에 입력되는 전압 Vi가 차단된다. 상기 1차측 Np에 입력되던 Vi의 차단으로 2차측 No와 Ns로 전압이 유도되지 않아 상기 트렌스포머 414의 2차측 No의 자화 인덕턴스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출력된다.
상기 에너지의 출력으로 이전 상태와 반대 패스가 형성되어 상기 D1은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려 V1이 출력된다. 상기 V1은 상기 출력되는 에너지에 의한 전압이 트렌스포머 414의 자화 인덕턴스와 C1로 구성된 필터 415에 의해 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이다.
상술한 동작을 정류 다이오드 D1, D2의 전압 강하를 무시하고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으로 도시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출력되는 V1의 리플 성분은 아주 작아 무시하기로 하고 상기 트랜지스터 414의 1차측에 VOLT-SEC 평형조건(에너지 전달조건)을 적용하면 아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단, Ts= 1/fs(fs는 동작주파수), d(duty) = Ton/Ts(d는 스위치 413의 스위칭 주기)로 정의되며,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출력전압 V1을 수학식으로 유추하면 아래 〈수학식 2〉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V1은 d 값에 의해 변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414의 1차측 Np 권선과 2차측 Ns 권선의 방향이 같으므로 릴레이 구동용 전원 Vs는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만약 상기 V1이 출력되는 출력단자에 연결된 부하의 이상으로 인해 d 값이 감소하게 되면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V1이 감소하게 되며, 상기 d 값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V1이 증가한다. 상기 d 값은 후술되겠지만 제어회로 412가 전압검출회로 416으로부터 제공되는 검출신호에 의해 스위치 413을 온/오프 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 Vs는 〈수학식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V1과는 달리 상기 d 값에는 관계없이 단지 권선비와 입력전압에 관계되므로 상기 d 값이 변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 값을 통해 안정된 V1을 얻기 위해 스위치 413, 트랜스포머 414, 정류 및 필터 415로 구성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SMPS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직류 입력전압을 일단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필터를 통해 제어된 직류 출력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이때 직류 출력전압의 제어는 스위칭 기간 즉, 스위치가 온/오프 되는 스위칭 주기(d)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직류 출력전압 V1을 조절하기 위해 d 값을 조절하여 스위치 413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 2에 도시된 상용전원 변환부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류 및 필터 415로부터 출력되는 V1은 전압검출회로 416으로 피드-백(feed-back)되며, 상기 피드-백되는 V1은 출력단자에 연결된 부하의 이상에 의해 변화된다.
상기 전압검출회로 416은 상기 V1의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검출신호는 포토커플러 417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검출신호는 제어회로 412로 인가되며, 상기 제어회로 412는 상기 인가되는 검출신호에 의해 d 값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d 값에 따라 스위치 413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신호 S.C를 출력한다. 즉, PS1이 일정 레벨로 떨어지거나 출력단자에 연결된 부하의 불안정에 의해 가변되는 V1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 412로 피드-백함으로써 V1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렌스포머 414를 통해 출력되는 Vs는 릴레이부 31로 인가되어 릴레이 312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릴레이 312의 구동전원 Vs에 의해 릴레이부 31이 동작하여 최종적인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 Vo가 출력되는 동작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용전원 PS1의 정상상태 여부는 트렌스포머 414로부터 입력되는 Vs의 레벨에 의해 상용전원 감지회로 331에서 검출하는데 만약 PS1이 정상상태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V1이 스펙을 벗어나면 PS2에 의한 V3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압 Vo로 출력되도록 패스를 형성한다.
상기 상용전원 감지회로 331에 의해 PS1의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는 릴레이 구동부 341로 인가된다. 상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릴레이 구동부 341은 릴레이 3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연회로 321은 PS1이 끊어졌다가 재 인가될 때 릴레이 312의 동작으로 인해 V1이 저전압에서 출력회로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수학식 3〉에서 V3은 PS1이 인가되어 스위치 413이 동작하면 바로 상승하게 되지만 V1은 도 3에 도시된 필터링 캐패시터 C1을 충전하여야 하므로 〈수학식 2〉에서 d가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 312는 동작하고 V1은 저전압에서 연결되게 되는데 이에 V1 전압이 충분히 상승할 때까지 릴레이 312의 동작을 지연시키기 위함이다.
도 6a, 도 6b에 도시된 파형은 상기 지연회로 321의 효과를 도시한 파형도 이다. 상기 도 6a는 지연회로 321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V1과 Vo의 파형도이며, 상기 도 6b는 지연회로 321을 구비한 경우의 V1과 Vo의 파형도이다. 상기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회로 321을 구비함에 의해 V1이 충분히 상승한 후에 Vo가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상용전원 감지회로 331, 릴레이 구동부 341, 지연회로 321의 상세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지연회로 321은 R1, R2, C3, ZD, Q3, Q4로 구성되는데, V3이 인가되면 캐패시터 C3은 저항 R1을 통해 충전된다.
이때 충전전압은,
Figure pat00004
로 나타나며, 상기 충전전압에 의해 Q3이 동작하고 이에 따라 Q4가 동작하게 되는 C3의 충전전압은,
V'c3=Vbe,Q3+VZD1
이다.
따라서 릴레이 구동부 341이 동작하는데 걸리는 지연시간은 상기 〈수학식 4〉와 〈수학식 5〉에 의한 충전전압이 같을 때이므로 상기 지연시간을 수학식으로 유추하는 과정은 아래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pat00005
또한 상기 〈수학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s는 입력전압 Vi에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Vs를 상용전원 감지회로 331을 구성하는 R3, R4를 통해 검출한다. 상기 R3과 R4에 의해 분압된 전압 중 R4에 분압된 전압은 릴레이 구동부 341을 구성하는 Q5를 제어한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 34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3, Q5, C4로 구성된다. D3은 Q5가 오프될 시 발생하는 릴레이 312 코일의 역기 전압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며, C4는 Vs에 실려있는 고주파 스위칭 노이즈에 의한 릴레이 312 오동작, 즉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압검출은 지연회로 321에 우선하기 때문에 Q5는 Q4가 온 되기 전에 온 되어 있게 되므로 상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312가 동작하였을 때 출력 파형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전압의 변화에도 출력전압을 안정화시키므로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며, 넓은 범위의 상용전원에서도 안정된 출력전압을 얻으므로 상용전원의 상태가 불안정한 지역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상용전원 또는 보조전원에 의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는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을 브릿지 정류회로를 통해 정류하고 트렌스포머를 통해 변압하여 필터링한 후 전압조정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는 보조전원 변환부와,
    상기 상용전원을 전파 정류한 후 변압하여 릴레이 구동전압과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정류 및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상기 필터링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감시하여 상기 변압 주기를 가변하여 안정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출력하는 상용전원 변환부와,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전압을 통해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과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릴레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릴레이 구동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릴레이 구동전압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회로와, 상기 전압검출부의 제어를 받아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로부터 입력되는 릴레이 구동신호와 상기 지연회로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된 릴레이 구동전압에 의해 상기 보조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과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는
    상기 상용전원을 필터링하는 라인필터와,
    상기 필터링한 상용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기와,
    상기 정류한 상용전원을 변압하여 상기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과 상용전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트렌스포머와,
    상기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정류 및 필터링하는 정류 및 필터와,
    상기 정류 및 필터로부터 출력한 외부 신호전송용 바이어스 전원을 감시하여 감시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포토커플러와,
    상기 사용전원의 인가 여부와 상기 포토커플러를 통해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 주기를 결정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회로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하여 상기 트렌스포머의 1차측 루프를 형성하는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KR1019970035017A 1997-07-25 1997-07-25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KR10025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17A KR100258755B1 (ko) 1997-07-25 1997-07-25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17A KR100258755B1 (ko) 1997-07-25 1997-07-25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780A KR19990011780A (ko) 1999-02-18
KR100258755B1 true KR100258755B1 (ko) 2000-06-15

Family

ID=1951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017A KR100258755B1 (ko) 1997-07-25 1997-07-25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7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780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2631B (zh) 具可调控降频曲线的返驰式转换器
US6975521B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10491128B2 (en) Power controlling semiconductor device, switched-mode power supply, and method of designing the device and power-supply
US9621053B1 (en) Peak power control technique for primary side controller operation in continuous conduction mode
US5420777A (en) Switching type DC-DC converter having increasing conversion efficiency at light load
EP14684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constant load current in a switch mode power supply
US8587968B2 (en) Control circuits and methods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US7208883B2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US6101104A (en) Predictive threshold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JP394844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0757428B1 (en) Flyback converter
JP2739706B2 (ja) Ac−dcコンバータ
US7116563B2 (en) Dual mode over-current protection for switching mode power converter
EP0658968B1 (en) Switching regulator
US20140185335A1 (en) Power converter system with synchronous rectifier output stage and reduced no-load power consumption
US5602726A (en) Uninterruptive switching regulator
US4502104A (en) Bootstrapped AC-DC power converter
JP2009207353A (ja) エネルギ伝達エレメントの入力にわたる電圧から導かれた電流に応答するための回路および方法
US9966861B1 (en) Active clamp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0794607B1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KR20080008037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구동 방법
US11703550B2 (en) Resonance voltage attenuation detecti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for switching pow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US6373730B1 (en) Switching power supply
US4276587A (en) DC to DC Converter
KR100258755B1 (ko) 종합정보망 네트워크 단말기의 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