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387B1 - 전기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387B1
KR0183387B1 KR1019900016747A KR900016747A KR0183387B1 KR 0183387 B1 KR0183387 B1 KR 0183387B1 KR 1019900016747 A KR1019900016747 A KR 1019900016747A KR 900016747 A KR900016747 A KR 900016747A KR 0183387 B1 KR0183387 B1 KR 018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member
locking
terminal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892A (ko
Inventor
겐조 오다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사이칙
Publication of KR91000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코넥터는 하우징의 후단 근방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걸림부재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의 후단 개구부의 근방 및 걸림부재의 대향면에는 걸림부재를 제1걸림위치와 제2걸림위치 사이를 미끄럼이동시키는 캠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 캠기구는 걸림부재의 대향면의 한쪽에 제1걸림위치로부터의 단자수용실에의 단자삽입방향과 적당한 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이 단자삽입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상기 제2걸림위치에까지 이르는 제2방향에 뻗는 캠부와 다른쪽에 캠부에 대한 접촉부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코넥터
제1도는 하우징 걸림부재 및 암컷단자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걸림부재를 하우징에 예비적으로 결합한 상태의 후측면도.
제3도는 걸림부재를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하여 정식 멈추게 한 상태의 후측면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제3도의 X-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걸림부재의 하우징에의 예비적 결합시부터 정식멈춤시까지의 양자의 위치관계를 가리키는 도면.
제8도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보(相補)하우징, 이것에 조입되는 가동부재, 걸림부재 및 숫컷단자의 분리사시도.
제9도는 상기 상보 하우징의 일부 및 이것에 결합하는 가동부재의 사시도.
제10도는 상기 상보하우징에 상기 가동부재, 걸림부재 및 숫컷단자를 조입한 상태의 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조립한 상기 양 하우징을 결합하는 과정 및 결합완료상태를 가리키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단자수용실
14 : 개구부 23 : 캠
50 : 걸림부재 53 : 캠 접촉부(걸림돌기)
100 : 단자
본 발명은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에 삽입된 전기 단자에 결합되어 이 단자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부재를 갖춘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코넥터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63-58470호에 기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코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복수의 단자 수용실에 각각 삽입된 전기 단자에 결합하여 이 단자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수단, 즉, 걸림부재(스페이서)를 갖춘 전기 코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걸림부재는 하우징에 대하여 임시멈춤(가삽입)위치에서 정식멈춤(정식삽입)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부재의 임시멈춤위치에 있어서 각 단자 수용실에 단자를 삽입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그 정식멈춤위치에 있어서, 각 단자 수용실에 삽입한 단자 걸림부재의 일부가 결합되어 이 단자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게끔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개소 63-58470호에 기재된 코넥터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대한 걸림부재의 임시멈춤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면, 코넥터의 제조자가 하우징에 걸림부재를 임시멈추게 한 상태에서 코넥터를 수요자에 공급하여야 할 반송과정에서 걸림부재가 무엇인가의 이유로 하우징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일이 있다. 또, 수요자측에서 코넥터를 취급할때도, 그러한 사태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그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전기 단자를 하우징에 조입시킬 수 없기 때문에, 걸림부재를 임시멈춤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것은 매우 번잡한데다가 하우징에의 전기단자의 조입등의 작업능률을 저하시킨다.
다시말하면, 이런 종류의 코넥터에 있어서는 전기 단자는 임시멈춤위치에서 하우징에 조입되고 정식멈춤위치에서 단자 수용실에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식멈춤위치에서는 하우징에 더이상 조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걸림부재가 부주의로 인해 임시멈춤위치에서 정식멈춤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는 하우징의 후단 근방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걸림부재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의 후단 개구부의 근방 및 걸림부재의 대향면에 이 걸림부재를 제1걸림위치 및 제2걸림위치의 사이에서 미끄럼이동시키는 캠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 캠기구는 상기 대향면의 한쪽에 상기 제1걸림위치로부터의 단자 수용실에의 단자삽입방향과 적절한 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이 단자삽입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상기 제2걸림위치에까지 이르는 제2방향에 뻗는 캠부와, 다른쪽의 캠부에 대한 접촉부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제1걸림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부재가 임시 멈추게 된다. 이 임시멈춤위치에서는 상기 걸림부재가 그 전진방향에 삽입되어도 그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은 저지된다.
상기 임시멈춤위치에서,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실에 삽입할 수가 있다.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임시멈춤위치에서 그 전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제1방향)에 압압되고, 당시 상기 단자삽입방향(제2방향)에 압압되면, 상기 정식멈춤위치로 미끄럼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에 의하여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단자가 하우징의 뒤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코넥터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각각 만들어진 절연성 하우징(10) 및 절연성 걸림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후단(12)으로부터 전단(13)에 뻗고 상하좌우에 배열한 다수의 단자 수용실(11)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10)에는 후단면을 둘러싼 개구부(14)가 연출(延出)하고 있다. 개구부(14)는 중앙에부(15)를 갖는 상측벽(16), 양측벽(17) 및 하측벽(18)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부(14)에는 걸림부재(50)가 끼워맞추어지게 된다. 개구부(14)의부(15)에는 전단(13)에 연속하고 후단(12)에 뻗는 탄성걸림레버(19)가 위치하고, 이 걸림레버는 그 후단에 압압부(20) 및 그 근방에 걸림부(21)를 갖추고 있다. 걸림레버(19)는 하우징(10)과 상보(相補)관계에 있는 후기(後記)하는 하우징과 결합한다. 개구부(14)의 상측벽(16)의 양측에는 걸림구멍(22)이 걸림부재(50)의 상면양측의 후반고단부(後半高段部)(51)에는 걸림구멍(22)과 결합하는 걸림돌기(5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4)의 양측벽(17)에는 상하2단에 거의 L자형의 캠홈(23이, 걸림부재(50)의 양측면에는 캠홈(23)에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걸림돌기(캠종동절)(5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캠홈(23)은 약간 후방향으로 경사하여 상하방향으로 뻗는 제1부분(23a) 및 거의 수평방향으로 뻗는 제2부분(23b)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14)의 양측벽(17)의 내면에는 걸림돌기(53)를 캠홈(23)에 인도하는 안내홈(24)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개구부(14)의 양측벽(17)의 내면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는 뻗는 안내홈(25a,25b)이 걸림부재(50)의 양측면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뻗고 안내홈(25a,25b)에 미끄러져 끼워지는 안내돌기물(5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시, 개구부(14)의 양측벽(17)의 내면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 근방에 뻗는 안내홈(26)이 걸림부재(50)의 양측면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지 못하고 중도까지만 뻗고 또한 안내홈(26)의 홈폭보다도 상하폭이 작고 이것에 미끄러져 끼워지는 안내돌기(5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4)의 하측벽(18)의 양측 및 중앙에는 그 전단근방으로부터 후단에 뻗는 각 걸림홈(27)이 걸림부재(50)의 하면의 양측 및 중앙에 돌출하는 리브(56)에는 각 걸림홈(27)에 결합하는 각 걸림돌기(5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50)의 하면중앙에 있어서의 리브(56)에서 양측 하방향에 뻗는 탄성랙(58)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50)의 상면 중앙에는 개구부(14)의부(15)의 하면에 맞추어지는부(59)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50)는 하우징(10)의 단자수용실(11)에 대응하는 개수의 공동(60)을 갖고 있다.
다음에는 제2 내지 제7도를 참조한다. 우선 제2도 및 제4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50)의 걸림돌기(53)과 안내돌기물(54)을 하우징(10)의 안내홈(24), 안내홈(25a)에 각각 위치시키고 걸림부재(50)를 하우징(10)의 후단개구부에 끼워 맞춘다. 이 예비위치에서는, 걸림부재(50)의 탄성랙(58)을 자연의 상태를 보전하고 있다.
이어서 제5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상기 예비위치에서 걸림부재(50)의 후반 고단부(51)의 전단면이 하우징(10)의 후단면에 충돌결합 할때까지 걸림부재(50)를 하우징(10)에 넣으면, 걸림부재(50)의 걸림돌기(53)가 하우징(10)의 캠홈(23)의 제1부분(23a)의 상단에 결합한다. 따라서, 걸림부재(50)에 인위적으로 뒤방향으로의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지 않는한, 걸림부재(50)가 하우징(10)의 후단 개구부로부터 빠져 이탈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걸림돌기(53)가 캠홈(23)의 제1부분(23a)에 결합하고 있는 위치를 임시멈춤이라 한다. 이 임시멈춤위치에서는, 걸림부재(50)의 공동(60)에서 하우징(10)의 단자 수용실(11)에 전선(101)을 전기 접속한 암컷단자(100)를 삽입 할 수가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정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임시멈춤 상태로 코넥터를 코넥터 수요자에게 공급하고, 이 임시멈춤 상태에서 후자에 있어서 암컷단자(100)(제1도 참조)는 걸림부재(50)의 공동(60)에서 하우징(10)의 암컷 단자수용실(1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삽입된 암컷단자(100)의 거의 중앙 상면에는 단자수용실(11)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란스(lance)(28)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큰 암컷단자(100)는 하우징(10)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큰 단자수용실(11)에 또 좌측에 위치하는 작은 암컷단자(100)는 기타의 단자수용실(11)에 삽입된다.
최후로, 제6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상기 임시멈춤위치에서 탄성랙(58)(제2도, 제3도 참조)의 걸림부재(50)를 눌러내림과 동시에, 다시, 제7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제3도 참조) 눌러 내리면 걸림부재(50)의 걸림돌기(53)가 캠홈(23)에 따라서 그 제1부분(23a)에서 그 제2부분(23b)으로 미끄럼이동하고, 그 제2부분(23b)의 종단(終端)에 결합된다. 이 위치에서는 걸림부재(50)의 공동(60)이 하우징(10)의 단자수용실(11)에 대하여 아래방향으로 벗어나고, 공동(60)에 맞추어지는 걸림부재(50)의 리브의 내면이 암컷단자(100)의 후단에 근접하고, 암컷단자(100)이 하우징(10)의 뒤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걸림부재(50)가 암컷단자(100)의 하우징(10)뒤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과 같이 이 하우징에 결합하고 있는 위치를 정식멈춤이라 한다. 이 정식멈춤위치에서는 걸림부재(50)의 안내돌기물(54)이 하우징(10)의 상반의 안내홈(25a)에서 아래쪽의 안내홈(25b)에 이동하고, 걸림부재(50)의 걸림돌기(52), 안내돌기(55), 걸림돌기(57)가 하우징(10)의 걸림구멍(22), 안내홈(26), 걸림홈(27)에 각각 결합하고, 걸림부재(50)의 탄성랙(58)이 이 걸림부재의 하면과 하우징(10)의 후단개구부의 하측벽과의 사이에 편평(扁平)상태로 압압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결합한 걸림부재(50)를 이탈시키는 것은 전술한 조작순서를 역순으로 하면 되지만, 이때 걸림부재(50)의 탄성랙(58)의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2도 및 제4도에 가리키는 걸림부재(50)의 하우징(10)에 대한 위치까지 이 걸림부재를 되돌아 오게 할 수 있다. 탄성랙(58)은 걸림부재(50)을 하우징(10)에 대하여 결합할때의 조작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걸림부재(50)의 걸림돌기(53)가 캠홈(23)의 제1부분(23a)이나 제2부분(23b)에 결합하는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는 탄성랙(58)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점은 하우징(10) 및 걸림부재(50)의 각 부분의 설계 정밀도를 높임으로써 어느정도 가능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탄성랙(58)을 필요 요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캠홈(23)의 제1부분(23a)과 제2부분(23b)이 행하는 각도는 직각이라도 좋지만, 제4도 내지 제7도에 가리키는 바와 같이, 90도 보다 작을 경우에는 걸림부재(50)를 하향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암컷단자(100)의 후단이 약간만 하우징(10)의 후단에 돌출하고 있어도 걸림부재(50)의 그 이동에 의하여 암컷단자(100)의 후단을 하우징(10)의 안쪽방향에 압압하여 정렬시킬 수가 있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는 참고로 기술한 코넥터와 상보관계에 있는 코넥터를 가리키고 있다. 이 코넥터는,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150), 가동부재(200) 및 걸림부재(250)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50)은 전방에는 이미 설명한 하우징(10)에 대한 결합부재(151) 및 후방에는 상하 2단에 배열한 단자수용실(152)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150)의 후단개구부(153)에는 이미 설명한 하우징(10)의 캠홈(2), 걸림구멍(22) 및 걸림홈(27)과 동일 기능을 갖는 캠홈(154), 걸림구멍(155) 및 걸림홈(15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걸림부재(250)에는 이미 기술한 걸림부재(50)의 걸림돌기(52,53,57)와 동일 기능을 갖는 걸림돌기(251,252,25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250)는 하우징(150)의 단자수용실(152)과 동일 수의 공동(254)를 갖추고 있다.
가동부재(200)는 하우징(150)의 결합부(151)내에 수용되고, 판면(板面)에 핀 삽통구멍(201), 한쪽의 상방에서 하방에의 순서로 제1, 제2 및 제3걸림 암(202,203,204) 및 다른쪽의 하방에서 상방에의 순서로 제1, 제2 및 제3걸림암(202,203,204)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제1걸림암(202)은 그 선단이 하우징(150)의 결합부(151)의 전단 양측면에 설치된 걸림돌기(157)에 각각 충돌 결합하고, 가동부재(200)가 전방향으로의 빠짐을 멈추게 한다. 각 제2걸림 암(203)은 그의 홈(205)이 이미 설명한 하우징(10)(제1도 참조)의 양측면에 설치된 삼각형의 걸림돌기(29)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후술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 제3걸림암(204)은, 그의 홈(206)이 하우징(150)의 전단 양 측내면에 설치된 삼각형 걸림돌기(158)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가동부재(200)가 하우징(150)의 결합부(151)의 내부에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저지한다. 제10도와 같이 가동부재(200)를 하우징(150)의 결합부(151)내에 수용하여 제3걸림암(204)의 홈(206)의 선단에 걸림돌기(158)를 결합하고, 하우징(150)의 단자수용실(152)에 숫컷 단자(300)를 삽입하고, 이것에 탄성란스(159)를 결합함과 동시에 숫컷단자(300)의 선단핀(301)을 가동부재의 핀 삽통구멍(201)에 삽통하고, 걸림부재(250)를 정식멈춤위치에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이들 각 부재를 조립한다. 이 조립상태에서는 가동부재(200)의 규제에 의하여 숫컷단자(300)의 핀(301)이 기술한 암컷단자(100)의 선단부의 중심에 올바르게 일치하여 대향하도록 위치가 결정되어 유지되고 있다. 이어서, 제11도 및 제12도에 가리키는 바와같이, 하우징(150)의 결합부(151)내에 조립한 하우징(10)을 결합하면, 암컷단자(100)의 선단부의 중심에 숫컷단자(300)의 핀(301)이 정상적으로 삽입하여 이것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가동부재(200)가 하우징(10)의 전단에서 압압후퇴되고, 드디어 결합부(151)의 속벽면에 충돌 결합하고, 하우징(150)의 걸림부(160)가 하우징(10) 걸림레버(19)의 걸림부(21)에 결합하고, 하우징(10,150)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가동부재(200)는 암컷단자(100)의 선단부에 숫컷단자(300)의 핀(301)이 충돌하는 일이 없고, 정상적으로 삽입하도록 이 핀의 위치를 결정하고 유지하는 역활을 갖고 있고, 그 역활을 끝내면 동시에 퇴각하며, 하우징(150)의 소정위치에의 하우징(1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때 하우징(10)의 걸림돌기(제1도 참조)가 제2걸림암(203)의 홈(205)에 위치하고 있다.
걸림레버(19)를 압압한 상태에서 하우징(10,150)의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또는 쌍방을 서로 떨어뜨려 놓으면, 그들의 결합을 풀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떨어뜨려 놓을때, 제2걸림암(203)의 홈(205)의 선단에 하우징(10)의 걸림돌기(2)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10,150)을 다시 결합시킬때, 후퇴하고 있던 가동부재(200)가 결합부(151)내에 소정위치, 즉, 제10도에 가리키는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에 의하면, 걸림부재의 임시멈춤위치인 제1걸림위치에서는 하우징 및 걸림부재의 한쪽에 설치되고 또한 단자삽입방향과 적절한 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에 뻗는 캠부에 하우징 및 걸림부재의 다른쪽에 설치된 캠 미끄럼접촉부가 결합하기 때문에, 임시멈춤위치에서 걸림부재가 단자삽입방향으로 아무리 강하게 압압되어도 이 방향으로는 미끄러져 이동하는 일이 없다.
더우기, 단자삽입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2방향으로 뻗는 캠부에 캠접촉부를 따라서 걸림부재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면, 걸림부재가 정식멈춤위치인 제2걸림위치로 스스로 미끄러지는 염려가 없다.
따라서, 하우징에 걸림부재를 임시 멈추게 한 상태에서, 코넥터를 출하 수송하는 등에 있어서 걸림부재가 부주의로 의해 임시멈춤위치에서 정식멈춤위치로 스스로 이동하여 정식멈추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전기 단자 수용실을 가지고 있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각 단자수용실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부터 전단방향으로 삽입되는 전기 단자와, 인위적으로 압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단 근방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제1걸림위치에서 제2걸림위치로 미끄럼이동하여 상기 단자의 상기 하우징 뒤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절연성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 근방의 개구부 및 상기 걸림부재의 대향면에 걸림부재를 상기 제1걸림위치와 상기 제2걸림위치사이에서 미끄럼이동시키는 캠기구를 갖추고 있고, 상기 캠기구가 상기 대향면의 한쪽에 상기 제1걸림위치에서 상기 단자 삽입방향과 적당한 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이 단자 삽입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상기 제2걸림위치에까지 이르는 제2방향으로 뻗는 캠부 및 다른쪽에 이 캠부에 대한 캠접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KR1019900016747A 1989-10-24 1990-10-20 전기코넥터 KR0183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680089 1989-10-24
JP1-276800 1989-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892A KR910008892A (ko) 1991-05-31
KR0183387B1 true KR0183387B1 (ko) 1999-05-15

Family

ID=1757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747A KR0183387B1 (ko) 1989-10-24 1990-10-20 전기코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18B1 (ko) * 2006-10-30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892A (ko)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0310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を有するコネクタシステム
US10153586B1 (en) Reinforced position assurance member
EP1054481B1 (en) A connector
KR970004146B1 (ko) 단자 위치 보증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676156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204725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US5829994A (en) Lever-type connector
KR940001442Y1 (ko)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JPH03116672A (ja) 電気コネクタ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7828583B2 (en) Connector with an aligner with a flexible deformable arm with a slit
KR100709086B1 (ko)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WO2019180562A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KR20120052328A (ko) 단락 바아 작동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2004063115A (ja) コネクタ
JPH04209479A (ja) 電気コネクタ
EP064699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operating lever
CN112005446A (zh) 连接器位置保证构件
EP061085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ans
US5562495A (en) Electric connector
US5928014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air of connector housings
US8337255B2 (en) Connector and series of connectors
KR0183387B1 (ko) 전기코넥터
JP3541929B2 (ja) コネクタ
KR100236240B1 (ko) 전기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