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159B1 -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159B1
KR0183159B1 KR1019950051442A KR19950051442A KR0183159B1 KR 0183159 B1 KR0183159 B1 KR 0183159B1 KR 1019950051442 A KR1019950051442 A KR 1019950051442A KR 19950051442 A KR19950051442 A KR 19950051442A KR 0183159 B1 KR0183159 B1 KR 018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bl
output
uni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810A (ko
Inventor
김영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5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159B1/ko
Publication of KR97005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텔레비젼수상기의 고압 안정화 출력에 있어서, 화면밝기(휘도) 변화량에 따라 ABL 전압 증감을 이용하고, 고압 안정화의 ABL검출, ABL설정과 정전압에 의해 기준 전압으로 바이어스를 걸어 ABL전압 이상 출력과 접속후 수평편향 출력을 제어하여 고압 출력을 안정화되도록 구성됨.

Description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안정화시 온/오프 타이밍도.
본 발명은 대형 텔레비젼(TV)의 고압변동을 안정화시키는 고압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 휘도의 변화량에도 항상 일정한 고압을 유지케 하여 화면의 밝기를 변화시켜도 화면 사이즈 변동과 촛점 열화상태를 방지하는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전원 입력단(10)는 주전원 출력부(D)와 고압 출력용 트랜스포머(T1)에 각각 접속하고, 고압 펄스 입력단(30)는 고압 펄스 출력부(E)을 통해 출려괸 고압펄스를 고압 출력용 트랜스포머(T1)에 동시 연결후 고압 출력용 트랜스포머(T1)의 고압 출력전압단(50)의 저항(R15-R17)에서 전압 분할한 출력전압을 고압안정화입력(Regulotion Buffer)부(A)와 연결하며, 고압 안정화 비교부(B)와 고압 안정화 출력부(C)을 같이 접속하여 주전원 출력부(D)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들어, 화면이 어두운 경우는 전자빔(ABL Current)이 적게 흐르기 때문에 고압 출력용 트랜스포머(FBT, T1)의 고압이 상승된다. 상기 고압이 상승하면 에노드(anode) 내부의 블리더(Bleeder) 저항(R16/R17)으로부터 높게 검출된 출력전압은 입력저항(R1/R2)을 통해 고압 안정화 입력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상기출력전압은 비교기(IC1)를 통해 비교기(IC2)의 기준전압 설정 제너다이오드(D1)에서 보다 높게 얻어 고압 안정화 출력제어부(C)의 트랜지스터(Q2/Q3)의 턴 온상태에 의해 주전원출력부(D)의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에미터간 출력전압이 떨어져 FBT의 B+입력단자에 인가시켜 고압을 낮춰지도록 움직여 고압상승을 억제시키고, 일정한 표준의 고압유지를 시킨다. 한편, 화면이 밝은 경우 고압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FBT의 블리더(Bleeder) 저항(R16/R17)로 부터 낮게 검출된 분할전압은 고압안정화를 위한 입력 저항(R1/R2)에 의해 베이스에 낮게 걸려 턴 오프상대가 되면서 비교기(IC1/IC2)의 기준전압 제너다이오드(D1)보다 낮은 출력전압으로 나타나 저항(R8)을 통해 고압 안정화 제어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고압 안정화 출력 트랜지스터(Q3)를 턴오프 상태로 돌입하면서 주전원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에미터간 출력전압이 높게 올라가 FBT(T1)의 B+입력단자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고압을 표준치 만큼 올리게 된다. 상기 고압 안정화 입력 전압 검출은 FBT(T1)의 내부의 블리더 저항(R16/R17)에서 얻기 때문에 고내압용 저항이 요구되며, 그리고 상기 저항의 유니트가 크기 때문에 FBT의 전체 부피가 확대되고, 회로의 복잡성으로 PCB보드의 면적이 증가되며, 신뢰성 및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제공되며, 전체 시스템의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안정화를 위한 입력전압 검출에 대해 FBT의 ABL 입력단자에서 낮은 전압을 검출하여 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FBT의 고 내압용 저항기(Bleeder)를 생략하여 설계할수 있어 FBT 부피의 축소로 소형화가 가능한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ABL(Automatic Brightness Limitting) 입력단(3)의 신호를 저항(R10, R11) 및 가변저항(VR)을 통해 조절되어 ABL 전압을 설정하는 ABL 전압 설정부(201)와,
상기 ABL 전압설정부(201)의 설정레벨을 캐패시터(C11),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T5)의 구동으로 ABL을 검출하는 ABL검출부(202)와,
상기 ABL검출부(202)의 검출 출력을 전압 입력단(1)의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트랜지스터(T4)와 다이오드(D6)를 통해 ABL전압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ABL전압 이상 검출부(203)와,
상기 전압입력단(1)의 입력 전압에 의해 다이오드(D8), 캐패시터(C8)에 의해 평활회되고, 제너다이오드(D7)와 저항(R4), 캐패시터(C9)를 상기 ABL전압 이상 출력부(203)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 발생부(204)와,
상기 ABL전압 이상 검출부(20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3, T2), 다이오드(D4, D5) 및 코일(L)과 캐패시터(C6, C7) 및 다이오드(D3)를 통해 고압을 안정화시키 위한 출력을 발생하는 고압 안정화출력부(205)와,
수평 드라이브 출력단(2)의 입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1)의 구동으로 상기 고압 안정화 출력부(205)의 출력에 의해 평활 코일(Dy), 캐패시터(C1, C2), 다이오드(D1, D2)에 의해 수평편향값을 출력하는 수평편향 출력부(206)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안 안정화 회로 온/오프시 특성도로서,
점선은 오프시의 예이고, 실선은 온시의 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2,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화면 밝기 상태(ABL)에 따라서 FBT(Fly Back Transformer)의 ABL단자 입력부(3)의 변동전압차를 ABL전압설정부(201), ABL 검출부(202)을 통해검출하고, 기준전압을 기준전압발생부(204)에서 발생하여 ABL전압 이상 출력부(203)에 인가하며, 수평편향 출력부(206)의 수평편향출력 트랜지스터(T1)의 출력이 고압 안정화 출력부(205)의 고압 안정화 출력 트랜지스터(T3, T2)의 콜렉터에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ABL전류가 증가하면 전압은 떨어지는데, 상기 트랜지스터(T5)에서 전압 검출량의 조정으로 ABL 전압 이상 출력 트랜지스터(T4)의 동작점을 결정하여 고압 안정화 트랜지스터(T3, T2)의 전력 증폭 증감으로 수평편향 출력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펄스를 제어하여 고압에 대해 밝은 화면시 올려주고, 어두울시 내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화면이 어두운 경우는 빔(Beam) 전류가 적게 흐르고 고압은 상승된다. 상기 고압이 상승되면 ABL 단자(3)의 전압도 올라가게 되는데,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ABL단자입력부(3)의 전압을 ABL단자 전압 설정부(201)의 입력저항(R10), 가변저항기(VR), 분압저항(R11)의 설정값에 의해 고압의 안정화된 동작점을 설정후, ABL전압 검출부(202)의 검출 트랜지스터(T5)의 베이스의 입력저항(R9)을 통해 높은 전압이 바이어스 걸리면 PNP형으로 구성된 ABL전압 검출부(202)의 트랜지스터(T5)의 콜렉터에는 로우전압으로 떨어지면서 ABL전압 검출부(202)의 트랜지스터(T5)는 오픈상태가 된다. 상기 로우 전압에 의해 ABL전압 이상 출력부(203)의 트랜지스터(T4)의 베이스의 궤환저항(R8)을 통해 로우 전압으로 입력하면 기준전압발생부(204)의 정전압 제너다이오드(D7)와 베이스입력저항(R5)에 의해 낮은 바이어스가 걸리면서 PNP형인 휘도 전압 이상 출력 트랜지스터(T4)는 도통상태로 돌입하고, 콜렉터의 출력저항(R19)에 하이전압 출력을 얻어 역방향 전류 제한 다이오드(D6)를 도통하면서 고압 안정화 출력부(205)의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에 인가시킨다. 상기 인가된 하이 전압은 고압 안정화 출력부(205)의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걸어 다아링턴 접속(Darlingtorn)트랜지스터(T3/T2)와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펄스를 이용하여 고압 안정화 출력부(205)의 트랜지스터(T3, T2)를 구동키 위한 직류전압을 분압한 펄스 분압 콘덴서(C4, C5)에 의해 직류 성분의 DC전압(D3, D6, D7)을 고압 안정화 출력부(205)의 트랜지스터(T3, T2)의 콜렉터 전류 제한 저항(R1, R2)에 공급시켜 다아링턴 접속[(고압 안정화 출력단(205)]에서 전력 증폭시켜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펄스를 감소하여 고압 상승을 감소시킨다. 화면이 밝은 경우는 ABL단자 입력부(3)의 ABL전압은 반대로 떨어져 ABL 검출부(202)의 트랜지스터(T5)의 베이스의 전압은 감소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5)는 도통상태로 된다. 이후 이상 출력 트랜지스터(T4)의 베이스에는 기준 전압이 정전압보다 궤환저항(R6)을 통해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이때 ABL전압 이상 출력 트랜지스터(T4)는 개방상태가 되면서 고압 안정화 트랜지스터(T3, T2)의 베이스 전압은 떨어져 다아링턴 접속트랜지스터(T3, T2)는 점차 개방상태로 돌입하면서 수평 편향 출력부(206)의 수평편향 출력 트랜지스터(T1)는 전력증폭이 상승하면서 고압을 상승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고압 안정화 입력전압 검출은 FBT 대신 ABL입력단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FBT 전체 면적이 축소되고 블리더 저항의 삭제로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으며, FBT면적의 축소로 PCB보드 설계시 공간 활용 극대화를 할수 있고, 고압 전압 분압 입력대신 낮은 저전압을 이용하므로 신뢰성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텔레비젼수상기의 고압 안정화 출력 회로에 있어서, ABL단자 입력부(3)의 신호를 저항(R10, R11) 및 가변저항(VR)을 통해 조절되어 ABL 전압을 설정하는 ABL 전압 설정부(201)와, 상기 ABL 전압설정부(201)의 설정레벨을 캐패시터(C11),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T5)의 구동으로 ABL을 검출하는 ABL검출부(202)와, 상기 ABL검출부(202)의 검출 출력을 전압 입력단(1)의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트랜지스터(T4)와 다이오드(D6)를 통해 ABL전압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ABL전압 이상 검출부(203)와, 상기 전압입력단(1)의 입력 전압에 의해 다이오드(D8), 캐패시터(C8)에 의해 평활화되고, 제너다이오드(D7)와 저항(R4), 캐패시터(C9)를 상기 ABL전압 이상 출력부(203)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 발생부(204)와, 상기 ABL전압 이상 검출부(20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3, T2), 다이오드(D4, D5) 및 코일(L)과 캐패시터(C6, C7) 및 다이오드(D3)를 통해 고압을 안정화시키 위한 출력을 발생하는 고압 안정화출력부(205)와, 수평 드라이브 출력단(2)의 입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1)의 구동으로 상기 고압 안정화 출력부(205)의 출력에 의해 평활 코일(Dy), 캐패시터(C1, C2), 다이오드(D1, D2)에 의해 수평편향값을 출력하는 수평편향 출력부(20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KR1019950051442A 1995-12-18 1995-12-18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KR018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442A KR0183159B1 (ko) 1995-12-18 1995-12-18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442A KR0183159B1 (ko) 1995-12-18 1995-12-18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810A KR970056810A (ko) 1997-07-31
KR0183159B1 true KR0183159B1 (ko) 1999-05-01

Family

ID=1944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442A KR0183159B1 (ko) 1995-12-18 1995-12-18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989A (ko) * 1999-07-24 2001-02-15 김영환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629B1 (ko) * 1999-02-0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압 안정화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989A (ko) * 1999-07-24 2001-02-15 김영환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810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9783C (en) Raster size regulating circuit
US4968106A (en) High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for television equipment
KR0183159B1 (ko) 대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압 안정화 출력회로
US5463290A (en) Power supply stabilization circuit with separate AC/DC negative feedback paths
KR970005223B1 (ko) 고압안정화 회로
US6236577B1 (en) Power circuit with stable main and auxiliary power outputs
JP3432508B2 (ja) 垂直偏向回路
KR200164490Y1 (ko)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KR200144714Y1 (ko) 텔레비젼화면의 수평진폭 자동보정회로
US6262898B1 (en)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transistor
US4812720A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KR100251588B1 (ko) 텔레비전의 수직라스터 자동제어회로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KR100207183B1 (ko) 수직화면사이즈 감응식 자동휘도제어회로
KR200155180Y1 (ko) 영상디스플레이어의 화면명암 및 밝기 자동제어회로
KR870000552B1 (ko) 고압 안정화회로
KR100302490B1 (ko) 모니터의 자동 휘도 제한회로
KR910003653Y1 (ko) 고압안정화 회로
JP3357783B2 (ja) 垂直偏向回路並びに該回路に用いるチャージポンプ回路
US20030206041A1 (en) Driver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transistor
KR200156525Y1 (ko) 모니터의 밝기 조절 장치
EP0972342B1 (en)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transistor
KR920007749Y1 (ko) 자동휘도 제한회로
KR0122114B1 (ko) 스크린 전압 자동조정 회로
KR900008503Y1 (ko) X-Ray 방출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