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61B1 -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 Google Patents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61B1
KR0182661B1 KR1019960029553A KR19960029553A KR0182661B1 KR 0182661 B1 KR0182661 B1 KR 0182661B1 KR 1019960029553 A KR1019960029553 A KR 1019960029553A KR 19960029553 A KR19960029553 A KR 19960029553A KR 0182661 B1 KR0182661 B1 KR 018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aqueous
fi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173A (ko
Inventor
이익수
김태균
Original Assignee
한영재
대한페인트잉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재, 대한페인트잉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영재
Priority to KR101996002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661B1/ko
Publication of KR98000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화 성능을 가지는 동시에 내수성, 내구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난 수성계 포비성 내외부용 내화 피복 도료 조성물 및 상기 도료를 피복하여 형성되는 내화 피복재가 개시되어 있다. 도막 형성 주체 수지인 수성계 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또는 특수 아크릭 수지 5-30중량%, 포비 구성 요소인 탄화제 5-20중량%, 촉매 10-40중량%, 발포제 5-20중량%와 특수내화안료 2-10중량%, 착색안료2-10중량% 및 첨가제 2-6중량%를 함유한다. 화재 발생시, 다공성의 세라믹 포비층을 형성함으로써 내화 성능이 우수하며, 수성계 도료이므로 작업자의 위생 환경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휘발성 유기물질의 규제에 적극 대처하는 환경 친화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본 발명은 수성계 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또는 특수 아크릴계 수지를 전색제로 하는 고내수성, 고내구성 및 고내약품성의 도료 기술과 탄화제, 촉매 및 발포제를 이용한 포비 이론(Intumescent Theory)을 응용하여 제조되는 내화 성능이 탁월한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 조제에 관한 것이다.
포비성은 내화 피복재가 화염에 의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체생성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단열재로서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철강재는 불연재이기는 하지만 내화성능이 약하기 때문에 화재등으로 인해 강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인장강도, 압축강도 및 항복점이 변화하면서 강재의 체적뿐만 아니라 강재 내부의 온도 구배가 현저하게 변화되어 궁극적으로는 건물이 붕괴되는 위험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비하여 철강재는 건축물의 구조, 내용, 용도에 따라 내화피복을 반드시 해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내화 피복재로서 암면, 질석등을 무기질 접착제에 강제 혼합시킨 뿜칠재로 철강재를 피복하여 내화 구조 성능을 갖게 하는 방법, 또는 콘크리트로 강재를 씌워 내화 구조를 갖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또한, 도료 상태로서의 내화 피복재라 하면 일반 아크릴 수지를 전색제로 하여 불연성 기체를 발생시키는 탄소 화합물이나 질소 화합물을 첨가 분산시켜 제조한 발포성 방화도료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내화 성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범용화되지 못하였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무기계 뿜칠재는 시공이 되고 난 후, 피복재의 도막밀도가 치밀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구력 및 내후성이 떨어지고 특히, 진동등의 미약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박리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적합하지 못한 치명적인 결함이 있어 그 적용 영역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양생에 의한 피복 방법은 내구성, 내화성은 대단히 우수하나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고화시간(양생기간)이 길며, 피복 두께 때문에 활용공간이 감소되는 등 도료형 내화피복재와 비교해 볼 때, 매우 비경제적,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종래의 발포성 방화 도료는 내수성, 내구성, 내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용으로는 부족하다는 결점 이외에도 화재로부터 구조물은 보호할 수 있는 정도의 내화 성능 즉, 위험물 저장 및 취급설비에 관한 기준(노동부 고시 91-84호)이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내화성능기준(건설부 고시 92-560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정도의 내화 피복 효과를 갖기에는 내화성능이 대단히 부족한 것이 대표적인 결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포비이론 기술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유성계 전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내화 피복 도료를 발명하여 발명의 명칭을 포비성 내화피복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목재로 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95-61493호; 발명자:엄달호, 이익수). 상기에 개시된 도료 조성물은 비닐 톨루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할로겐 변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유성계 특수 열가소성 아크릭 수지를 도막 형성 주체인 전색제로 사용한다. 상기한 특허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화 피복재로서 유성계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 주료 밀폐되었거나 환기 상태가 불량한 작업 조건에서 시공되는 경우에 또 다른 화재 발생의 원인을 제공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 휘발되는 유기 용제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 위생을 저해하는 치명적인 결점을 갖는다.
따라서, 다량의 용제를 사용하여 작업환경을 문제와 심각한 대기오염 문제를 야기시키는 유성계 도료보다 용제의 상당부분을 물로 대치한 수성계 내화 피복 도료에 대한 요구가 휘발성 유기 물질(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더욱 높아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뛰어난 내화 성능을 갖는 동시에 내수성, 내구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아울러 작업자의 위생 환경이나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더욱 안전한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여 특수 아크릭 수지, 탄화제, 촉매 및 발포제와 안료를 적당하게 혼합한 조성물이 상기 목적을 성취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막 형성 주체 수지인 전색제로서 수성계 수지 5-30중량%, 포비 구성 요소인 탄화제 5-20중량%, 촉매 10-40중량 %, 발포제 5-20중량%, 특수 내화 안료 2-10중량%, 착색안료 2-10중량%, 및 첨가제 2-6중량 %로 조성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점은 포비 효과 (포비가 완전히 끝난 상태의 발포 도막 두께 대(對) 포비 이전 완전 경화된 정상도막 두께의 비(比)로 측정)가 뛰어나도록 전체 조성물이 최적의 배합비를 이루고 있으며, 입체적 밀착 효과는 물론이고 세라믹층 형성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단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특수 내화안료가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부용 중방식 일반 도료기능과 내화 피복재 특수 도료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는 두렷한 장점을 갖는다.
위에서 언급한 포비 원리를 개괄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막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이 통상 외부 온도(-15。C ~ 40。C)에서는 분자 구조의 배열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나 화재 발생 등으로 인한 화염에 노출시, 도막 내부의 온도가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면 각 구성 요소들이 상호 가열에 의한 화학 반응을 통하여 고분자화 된다. 또한 소화온도(약250℃)이상에서는 탄화재와 불연성 가스를 생성하면서 본래의 건조 도막보다 50-100배의 수직 방향으로의 두께 상승에 의한 체적을 갖는 포비 팽창막을 형성함으로써 내화 피복층을 이루게 되고, 이 단열 세라믹층이 화염으로부터 철강 재료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효과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 도막 두께는 최종적으로 내화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관리인자가 되며, 건조 도막 두께에 따라 KS F2257에 준한 내화 시간(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이 결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성능을 갖는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를 제조하는데 있어 주요 성분들을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색제로 사용된 수지(Resin)로는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공중합체, 수성계 부틸 아크릴레이크(Butyl acrylate) 공중합체, 수성계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크(Vinylacetate-acrylate)공중합체, 수성계 비닐아세테이트-실란(Vinylacetate-silane)공중합체,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용성 알키드 수지, 수성 에폭시 수지,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수용성 아크릭 수지 및 수성계 할로겐 변성 아크릴레이크(Halogen modified-acrylate)공중합체로서 유리 전이온도가 -50。C ~ 50。C인 수용계 수지이다. 상기 수성계 수지의 조성이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하이면, 연속적인 도막을 형성할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0중량%이상이면 포비효과를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수용성 수지의 함량을 5내지 30중량 % , 바람직하게는 6내지 15중량%로 사용한다.
탄화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는 소르비톨(Sorbitol), 펜타에리츠리톨(Pentaerithritol), 디펜타에리츠리톨(Dipentaerithritol), 트리펜타에리츠리톨(Tripentaerithritol), 메칠올 멜라민(Methylol melamine), 리소시놀(Resorcinol), 린시드 오일(Linseed oil), 트리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뉴레이트(Trihydroxyethyl Isocyurate) 및 알키드 수지(Alkyd Resin)등으로써 화염에 탄화되어 불연성 탄화 세라믹층을 이루는 데 적절한 물질이다. 상기 탄화제의 조성이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하이면, 촉매성분과의 화학반응 생성물이 미흡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20중량%이상이면 포비 효과를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탄화제의 함량을 5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6내지 15중량%로 사용한다.
구성 성분중 하나인 반응 촉진용 촉매는 탄화제와 화학 반응을 하여 고분자층을 이룬다. 적합한 화학 물질로서 무기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 hate), 아민/아마이드 포스페이트(Aminc/Amide Phosphate), 아민 설페이트(Amine sulfate), 멜라민 포스페이트(Melamine phosphate), 디멜라민 포스페이트(Dimelamine phosphate), 멜라민 파이어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 및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ate)등을 들수 있다. 상기 촉매의 조성이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이하이면, 탄화제 성분과의 화학반응 생성물이 미흡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40중량%이상이면 포비효과를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촉매의 함량을 10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15내지 25중량 %로 사용한다.
또 다른 주요 구성 성분인 발포제는 고분자층을 팽창시키는데 필수적인 가스를 발생하게 되는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발포제로는 멜라민(Melamine), 구아니딘(Guanidine), 우레아(Urea), 글리신(Glycine),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 클로리네이티드파라핀(Chlorinated paraffin), 중화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Neutralized phosphoric acid ester),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 디아질레이트(Diazelate), 디이소페틸프탈레이트 (Diisophenylphthalate) 및 테트라클로로프탈릭(Tetrachlorophthalic)중합체 등을 들 수있다. 특히 발포제로 중화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이나 디이소페틸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포제 효과는 물론이고 난연성과 가소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도막의 균열 방지 효과가 대단히 우수하다. 또한, 할로겐 성분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발포물 형성과정에서 유해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하이면, 생성되는 가스 압력이 너무 낮아서 고분자층을 팽창시키기에 미흡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20중량%이상이면 생성되는 가스 압력이 너무 높아서 고분자층을 깨트리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발포제의 함량을 5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6내지 15중량%로 사용한다.
또한 도면 내부의 물리적 밀착 효과와 세라믹층 형성 효과에 기여하는 특수 내화안료로서 세라믹 안료, 다공성 규소계 안료, 유리 필라멘트, 그 속 산화물 및 해포석(海砲石)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상기 특수 내화 안료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중량%이하이면 특수 내화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미흡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10중량%이상이면, 포비효과를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특수 내화 안료의 함량을 2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내지 6중량 %로 사용한다.
이밖에 도료 제조시 첨가되는 물질인 그 기능이 일반 수용성 도료에 필요한 착색 안료를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내지 10중량%를 함유한다. 착색 안료의 함량이 2중량%이하이면, 착색력이 미흡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10중량%이상이면 포비효과를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체질안료, 표면 평활제, 분산제, 기포방지제, 가소제 및 인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이소량, 적정 비율로 최적의 도료 상태 및 도장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수용성 수지의 조성이 전체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중량%내지 6중량%함유시킨다.
따라서, 전색제, 탄화제, 촉매 및 발포제 등의 4대 내화기능 부여용 구성성분들의 선택, 그리고 구성비가 최적으로 조절된 다음, 특수 내화 안료와 일반도료 기능 부여용 첨가제들을 재합하여 제조된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는 육상건축 구조물의 내화 피복재로서 뿐만 아니라 위험물 저장 및 취급 설비중 건축물의 기둥 및 보, 위험물 저장 및 취급 용기의 지지대, 배관 및 전선관 등의 지지대 구조물 및 육상 건축물의 1시간용 내화 피복도료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점은 세라믹 성분을 함유하는 특수 내화 안료를 도료에 적정 비율로 배합하여 이 안료가 갖는 물리적 성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공성 포비층이 본질적으로 갖는 융점 온도 이상에서의 유동에 의한 용융 흐름 현상을 제어해 줌으로서 강재 표면에 대해 수평인 상태로 지속적인 내화 피복 효과를 발휘할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 안료 성분은 입체적으로 조성물간의 밀착 효과를 증대시키고 도막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포비층 상부에 세라믹층을 형성함으로서 포비층 내부로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상당히 지연시킬수 있다. 결국 내화 피복 효과를 보다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전색제로서 수성계 수지 5~ 30중량%, 탄화제5-20중량%, 촉매 10-40중량%, 발포제 5-20중량%, 특수 내화 안료 2-10중량%, 착색 안료 2-10중량%, 첨가제 2-6중량%를 포함하는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형성되고, 가열시에 단열 세라믹층을 유도할 수 있는 포비성을 갖는 내화 피복재를 제공한다. 상기 내화 피복재는 상기 조성물을 주요 철골 구조물에 건조도막 두께 0.5~ 2.0mm가 되도록 도장하여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발명 기술로 제조되는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의 내화 성능 및도막 물성을 이하의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바 ,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하기 실시예에서 함량은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물 24.3부에 분산제로서 트리톤X-100(Triton X-100, 유니온 카바이드사 제품) 1.4부, 동결 방지제로서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3.7부, 기포방지제로서 디포머 HDW(Defoamer HDW, 흥산 화학사 제품)0.2부를 넣고 균일한 상태까지 저속 교반한다. 균일한 상태에 도달하면 저속 교반 상태에서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20.6부, 디펜타에리츠리톨 8.9부, 클로리네이티드 파라핀(염소함량50%) 3.3부, 멜라민 7.8부, 착색 안료로서 산화 티타튬(TiO2)4.6부, 내화 특수 안료로서 다공성 세라믹 안료 1.6부를 넣고 고속 분산시킨다. 방부제로서 스카이 사이드PG-520(Skycide PG-520, 선경인더스트리사 제품)0.2부와 비닐아세테이드계 수지 23.4부를 넣고 균일한 상태까지 저속 교반하고 점도를 100-120KU로 조절한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2]
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23.4부, 디펜타에리츠리틀 8.9부를 사용하는 대신에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에멀젼 수지 22.0부, 펜타에리츠리톨 13.5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20.6부, 클로리네이티드 파라핀(염소 함량50%) 3.3부, 멜라민 7.8부를 사용하는 대신에 멜라민 파이어로포스페이트 22.8부, 중화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2.0부, 멜라민 6.9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산화 티타늄(TiO2) 4.6부, 다공성 세라믹 안료 1.6부를 사용하는 대신에 산화 티타늄(TiO2) 2.8부, 일반 규조토 안료인 실리카#325(Silica #325,경인화학사 제품)3.4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를 제조한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시험용 철골에 건조 도막 두께가 0.8mm가 되도록 도장하여 건조된 도막의 성능을 하기 방법에 다라 측정하였다.
[내화 성능 시험]
이는 건축물의 기둥, 보, 벽, 바닥 등의 구조 부분이 화재 발생시 어느정도의 내화성을 갖는가를 시험하는 방법이다. 즉, 시험체 내부에 열전대를 고정시키고 내화피복 도료를 도장하여 표준 가열 조건으로 가열 시험을 하여 내화 피복 도막이 화원으로부터 시험체로의 열전달을 어느정도 막아 주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먼저 각 구조 부문별로 규정된 시험체를 제작하고 표준 가열 온도 조건을 만족시킬수 있는 규정된 가열로에서 가열 시험하도록 한다. 표준 가열온도는 0.75급 이상의 성능을 가진 지름 1mm의 CA열전대를 이용해서 시험체의 구조 부위별로 최소 3-8개의 부위별 온도를 측정하는데, KS F 2257에서 규정한 표준 가열조건과 비교하여 반드시 허용 오차 이내이어야 한다. 본 실험예에서는 시험체의 6개의 부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가열 조건의 시간변화에 다른 온도 변화는 다음 표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시험체의 온도는 시험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데 구조 부위별로 최소2-6개의 부위별 온도를 측정하여 평균온도와 최고온도를 내화성능을 평가하게 된다. 기둥 또는 보의 경우, 가열 등급에 따른 시험체 온도를 건설부 고시에서는 평균 온도350。C, 최고온도 450。C, 노동부 고시에서는 평균온도 538。C, 최고온도 649。C로 규정하고 있다. 1시간용 내화 피복 도료라 함은 KS F 2257에 순한 내화 시험 결과 노동부 고시용으로 시험체의 온도가 평균 온도 538。C, 최고 온도 649。C를 초과하는 시간이 최소 1시간이 되도록 내화 피복 도막이 열전달을 지연 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염수 분무시험]
이는 금속 재료의 내식성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분무장치는 노즐 방식이고 분무실의 크기는 최소 0.2㎥ 이어야 한다. 분무장치의 구조는 분무 실내온도 및 분무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또 시험편에서 떨어진 용액이 다시 시험에 사용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사용한 염용액은 시약1금의 염화나트륨(NaCl)과 전도율이 1μs/cm인 탈이온수를 이용하여 5±0.5%농도로 조정한 것으로서, 35。C에서 비중이 1.0259-1.0329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소지가 노출되도록 시험관에 미리 표시한 선상에서 2mm이내에 발청이 시작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판정 방법은 면적법, 무게법 또는 협의된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촉진내후성시험]
깨끗한 공기가 유통되고 물을 미세하게 분무할 수 있는 상태에서 카본 아크에 의해 생긴 광선에 도막을 폭로함으로써 건조 도막이 옥외폭로시 기후 변화등 환경요인에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지를 촉진하여 시험하는 방법이다.
내후성 시험기계내 조건은 63±3。C와 50%의 상대습도 상태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카본 아크 방전은 6월달 정오 때의 햇빛과 같이 분광 확산되어야 한다. 도막 외관이나 색상등이 변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한다.
[내약품성시험]
시편을 초산 10% 수용액, H2S포화용액, CaCl220%수용액에 침전시키고 부풀음, 벗겨짐 등의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한다. 건조 도막이 산성 알칼리성 분위기에서 어느정도 견딜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 조성물은 건툭물의 기둥, 보 , 벽, 바닥 등의 구조 부분이 화재 발생시에, 화재로부터 보호할 있는 열전달 지연 효과 즉 내화성능이 성능 규격 시험에서 요구하는 정도에 적합할 수뿐만 아니라, 내식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함을 알수 있다.
특히, 실시예3에서와 같이, 발포제로서 중화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소화 효과가 탁월하여 굴곡성이 우수하고, 또한 할로겐 성분이 없기 때문에 발포체 형성과정에서 유해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화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수 있다.

Claims (8)

  1. 전색제로서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공중합체, 수성계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공중합체, 수성계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Vinylacetate-acrylate) 공중합체, 수성계 비닐아세테이트-실란(Vinylacetate-silance)공중합체,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용성 알키드 수지, 수성 에폭시 수지,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수용성 아크릭 수지 및 수성계 할로겐 변성 아크릴레이트(Halogen modified-acrylate)공중합체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수성계 수지 5-30중량%, 탄화제 5-20중량%, 촉매 10-40중량%, 발포제5-20중량%, 세라믹 안료, 다공성 규소계 안료, 유리 필라멘트, 금속 산화물 및 해포석(海砲石)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특수 단열 안료2-10중량%, 착색 안료 2-10중량%, 첨가제 2-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제로 소르비톨(Sorbitol), 펜타에리츠리톨(Pentaerithritol), 디펜타에리츠리톨(Dipentaerithritol), 트리펜타에리츠리톨(Tripentaerithritol), 메칠올 멜라민(Methylol melamine), 리소시놀(Resorcinol), 린시드 오일(Linseed oil), 트리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뉴레이트(Trihydroxyethyl Isocyurate) 및 알키드 수지(Alkyd Resin)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로 무기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아민/아마이드 포스페이트(Aminc/Amide Phosphate), 아민 설페이트(Amine sulfate), 멜라민 포스페이트(Melamine phosphate), 디멜라민 포스페이트(Dimelamine phosphate), 멜라민 파이어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 및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ate)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로 멜라민(Melamine), 구아니딘(Guanidine), 우레아(Urea), 글리신(Glycine),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 클로리네이티드파라핀(Chlorinated paraffin), 중화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Neutralized phosphoric acid ester),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 디아질레이트(Diazelate), 디이소페틸프탈레이트 (Diisophenylphthalate) 및 테트라클로로프탈릭(Tetrachlorophthalic)중합체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로서 중화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아질레이트, 디이소페닐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내화 피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전색제로서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공중합체, 수성계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공중합체, 수성계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Vinylacetate-acrylate)공중합체, 수성계 비닐아세테이트-실란(Vinylacetate-silane)공중합체,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용성 알키드 수지, 수성 에폭시 수지,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수용성 아크릭 수지 및 수성계 할로겐 변성 아크릴레이크(Halogen modified-acrylate)공중합체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수성계 수지 5-30중량%, 탄화제 5-20중량%, 촉매10-40중량%, 발포제 5-20중량%, 세라믹 안료, 다공성 규소계 안료, 유리 필라멘트, 금속 산화물 및 해포석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특수 단열 안료 2-10중량%, 착색 안료 2-10중량%, 첨가제 2-6중량%를 포함하는수성계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형성되고, 가열시에 단열 세라믹층을 유도할 수 있는 포비성을 갖는 내화 피복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주요 철골 구조물에 건조 도막 두께0.5mm~ 2.0mm가 되도록 도장하여 형성된 내화 피복재.
KR1019960029553A 1996-06-28 1996-07-22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KR018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553A KR0182661B1 (ko) 1996-06-28 1996-07-22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60025322 1996-06-28
KR101996025322 1996-06-28
KR96-25322 1996-06-28
KR1019960029553A KR0182661B1 (ko) 1996-06-28 1996-07-22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73A KR980002173A (ko) 1998-03-30
KR0182661B1 true KR0182661B1 (ko) 1999-04-01

Family

ID=6624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553A KR0182661B1 (ko) 1996-06-28 1996-07-22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54B1 (ko) * 2001-04-30 2007-0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피도물에의내화성 부여방법
KR100908772B1 (ko) * 2007-10-01 2009-07-22 주식회사 케이씨씨 미세크랙방지 및 오염제거기능을 부여한 수성 도료 조성물
WO2012023695A2 (ko) * 2010-08-19 2012-02-23 Park No Ohk 불연성 도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불연성 도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832B1 (ko) * 1999-03-26 2003-03-29 주식회사 디피아이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54B1 (ko) * 2001-04-30 2007-0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피도물에의내화성 부여방법
KR100908772B1 (ko) * 2007-10-01 2009-07-22 주식회사 케이씨씨 미세크랙방지 및 오염제거기능을 부여한 수성 도료 조성물
WO2012023695A2 (ko) * 2010-08-19 2012-02-23 Park No Ohk 불연성 도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불연성 도막
WO2012023695A3 (ko) * 2010-08-19 2012-04-12 Park No Ohk 불연성 도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불연성 도막
US8921481B2 (en) 2010-08-19 2014-12-30 James Nohak PAK Composition for forming non-flammable coating, and non-flammable coating obtain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7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7676B2 (en) Intumescent fire-retardant coating material
US5039454A (en) Zinc-containing magnesium oxychloride cements providing fire resistance and an extended pot-life
KR100880524B1 (ko) 비발포 수성계 난연 도료 조성물
US20040110870A1 (en) Fire protection coating composition
DE19620893A1 (de) Brandgeschützte hinterlüftende Fassaden
KR20090116042A (ko)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에 내화성부여 방법
KR20190030148A (ko) 불연성 코팅층이 형성된 건축용 판넬 및 불연성 코팅층 형성 방법
KR101726987B1 (ko) 우수한 내화성능을 갖는 친환경 무용제 에폭시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0784738B1 (ko) 내화성능을 갖는 고밀도 유성계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그의 도장방법
EP2169013B1 (en) Aqueous intumescent fire barrier composition
JP2004315812A (ja) 発泡性耐火塗料
KR0182661B1 (ko)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US11859097B2 (en) Functional aqueous paint composition having incombustibility, flame resistance, heat shielding, heat insulation and dew condensation prevention effects
JP2001040290A (ja) 発泡形耐火塗料
KR0181365B1 (ko) 포비성 내화 피복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KR100377832B1 (ko) 수성계 포비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화 피복재
KR100688254B1 (ko)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피도물에의내화성 부여방법
KR20190100750A (ko) 불연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368169B1 (ko) 발포성내화도료조성물
KR0182660B1 (ko) 수성계 포비성 연소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연소 방지재
JPH02172847A (ja) 膨張型耐火被覆組成物
WO1998004639A1 (en) Intumescent composition for cement board basecoat
JPH03275774A (ja) 耐久性に優れた膨張型耐火被覆材
JP4185684B2 (ja) 発泡耐火塗料の塗装方法及び膜厚管理方法
FI74509B (fi) Foerfarande och medel foer applicering av tunna brandklassade vaeggbeklaedn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01026

Effective date: 200110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30000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01026

Effective date: 200110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203007059;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1207

Effective date: 200212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203007059;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1207

Effective date: 20021212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303000090;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33000005;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104

Effective date: 200311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303000090;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104

Effective date: 200311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1122

Effective date: 200405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330000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1122

Effective date: 2004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419

Effective date: 200509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300010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419

Effective date: 200509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3008746;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1026

Effective date: 2006090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3008746;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1026

Effective date: 20060901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3002929;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919

Effective date: 200806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3002929;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919

Effective date: 200806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