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02B1 -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02B1
KR0182602B1 KR1019970006940A KR19970006940A KR0182602B1 KR 0182602 B1 KR0182602 B1 KR 0182602B1 KR 1019970006940 A KR1019970006940 A KR 1019970006940A KR 19970006940 A KR19970006940 A KR 19970006940A KR 0182602 B1 KR0182602 B1 KR 018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industrial wastewater
electrodes
wastewater
insula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687A (ko
Inventor
지종기
Original Assignee
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종기 filed Critical 지종기
Priority to KR101997000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6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23Movabl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폐수, 피혁폐수, 석유화학폐수, 제지화학폐수 및 폐기물 침출수와 같은 각종 산업폐수에 염소, 염산, 염소화합물 및 간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염색폐수 처리시약을 넣고 연속 전해처리하여 정화시키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처리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개로 설치되는 전해전극을 도전성 금속봉체로 구성한 다음 산업폐수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산업폐수의 흐름저항 요인을 감소시키고, 또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전해전극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면서 유지보수(전극교체) 및 수리가 쉽도록 하며,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는 충분히 이격시켜 이웃하는 전해전극끼리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시켜 산업폐수의 정화처리 효율을 극대화 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횡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급전부분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상부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제5도의 부분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상부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제7도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2 : 절연(원)통체
4 : 감속모터 6 : 회전축
8 : 스크루 10 : 받침간
12, 52, 54 : 급전단자 14, 42 : 상부판
16 : 보조덮개 18 : 배출구
20 : 양전극 22 : 음전극
24 : 지지편 26, 28 : 걸림테
30, 32 : 급전선 34 : 지지간
36 : 공급관 38 : 공기버블러
44, 46 : 조각판 45 : 고정밴드
48, 50, 62, 64 : 접속단자
본 발명은 염색폐수, 피혁폐수, 석유화학폐수, 제지화학폐수 및 폐기물 침출수와 같은 각종 산업폐수에 염소, 염산, 염소화합물 및 간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염색폐수 처리시약을 넣고 연속 전해처리하여 정화시키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처리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개로 설치되는 전해전극을 도전성 금속봉체로 구성한 다음 산업폐수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산업폐수의 흐름저항 요인을 감소시키고, 또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전해전극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면서 유지보수(전극교체) 및 수리가 쉽도록 하며,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는 충분히 이격시켜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시켜 산업페수의 정화처리 효율을 극대화 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폐수와 같은 각종 산업폐수는 색도가 높아서 강물이나 지하수 및 바닷물과 같은 수질을 오염시키고 또한 수중으로 유입되는 빛과 산소 등을 차단시켜 수중생물과 미생물에게 엄청난 피해를 끼치고 있으며 수자원의 오염으로 용수 생산에도 큰 장애요소로 되고 있다.
또한,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에 따라 산업폐수의 발생량 또한 급증추세에 있으며 이들로 인한 환경공해 및 생태계파괴가 큰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방류 폐수의 법적 환경기준치를 마련하여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그 처리수단과 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고심과 더불어 꾸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산업폐수를 전해(전기분해)처리하면서 공기, 산소 또는 오존이나 이들의 혼합가스를 버블링(bubbling)시키면 산업폐수의 색도,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그리고 분산된 고체(SS)입자 등을 크게 저하시켜 산업폐수가 정화처리되며, 상기 화합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산업폐수에 넣고 공기, 산소 및 오존이나 이들의 혼합가스를 버블링시키면 염소이온(Cl-)의 산화로 인하여 차아 염소산이온(ClO2 -), 아 염소산이온(ClO2 -), 염소산이온(ClO3 -) 및 과 염소산이온(ClO4 -)이 발생되므로 산업폐수내의 산소용해도가 크게 증가된다.
또한 이와 같은 염소산 이온들을 포함한 산업폐수에 저전압(3V-15V)의 직류나 교류, 맥류 및 고주파 교류펄스를 인가하여 전기분해 하면 이들 염소산 이온들로부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산소이온(O2-)들이 분리되어 나와 염료분자나 안료분자의 발색단이나 조색단을 공격하여 이들 분자들을 산화 분해하므로서 산업용폐수의 색도, COD, BOD 및 SS 등을 크게 저하시켜 정화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산업폐수를 시약과 공기로 버블링하면서 정화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국내 특허출원 제96-18074호 염색폐수 탈색장치(1996. 5. 22)와, 동 제96-14619호 염소화합물과 전기분해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탈색처리방법(1996. 5. 2)과, 동 제96-52501호 산업폐수 연속전해 처리방법 및 그 장치(1996. 11. 5)이외에도 산업폐수 정화처리와 관련한 특허를 본 발명인이 본 출원에 앞서 특허로 다수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출원 제96-18074호 산업폐수 탈색장치는 절연 원통체 내에 다수의 전해전극을 설치한 다음 염색폐수 처리조에 침투시켜 시약과 전기분해로 산업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게 구성 한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된 전해 전극군이 절연 원통체에 다층 구조로 빙둘러 설치된 홈에 끼워 체결시키는 구성이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소모성 전해전극의 유지보수 및 전극교체등이 힘들며, 또한 전해전극이 산업폐수의 배출방향(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산업폐수의 흐름에 큰 저항요인으로 작용하여 정화효율이 낮으며,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의 이격거리가 비교적 가까우면서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 서로 전기적인 간섭을 일으켜 산업폐수의 정화효율이 크게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해전극의 구조를 도전성 금속봉체화 한 다음 절연통체 내에 복수개로 설치하여 고정하되, 산업폐수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하여 구성을 단순화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저렴하고, 유지보수와 수리(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정화효율이 향상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웃하는 전해 전극간의 이격거리를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같은 극성으로 하여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의 전해 저하를 방지시켜 전체 정화처리 효율을 극대화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산업폐수의 처리량이 많은 경우 절연통체의 크기를 적절한 크기의 크기로 형성한 다음 전해전극을 복수열로 설치함으로써 정화처리량에 구애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가 밀폐된(또는 폐쇄된) 절연원통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약 2/3 높이 지점까지 복수개의 배출구를 적당 간격으로 형성하여 산업폐수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전해처리시 스크루에 의해 상승하는 산업폐수가 원통체의 상부에서 와류되게 함으로써 정화처리 효율이 더욱 증진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폐쇄되는 구조의 절연원통체 하부에 원통체의 길이방향으로 약 2/3 지점까지 상승되는 산업폐수 배출구를 형성하고, 절연원통체의 중앙에는 속도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설치한 다음 복수개의 스크루를 적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산업폐수가 상승되면서 시약 및 전해에 의해 정화되면서 배출구로 배출되게 하고, 도전성 금속봉체로 된 전해전극을 절연 원통체내에 길이 방향으로 평행 설치한다.
상기에서 이웃하는 전해 전극끼리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동일 극성으로 하여 이웃하는 전해 전극끼리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여 정화 효율감소를 방지한다.
절연 원통체의 상부에는 만곡형의 와류유도판을 설치하여 스크루에 의해 상승되는 산업폐수가 밑으로 와류되면서 배출되게 함으로써 정화효율이 더욱 향상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원통체의 하부에는 공기 또는 산소(O2)나 오존(O3)과 같은 산소류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공기 버블러를 설치하여 산업폐수중의 BOD, COD, SS 등을 크게 저하시켜 정화처리 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가)의 종단면 구성도이고, 제2도는 그 횡단면 구성도로 상.하부로 개방된 절연(원)통체(2)에 전해전극이 설치되고 중앙부에 감속모터(4)로 회전되는 회전축(6)이 축설치되고, 상기 회전축(6)에 스크루(8)가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절연통체(2)의 하부에 높낮이가 조절되는 3개 또는 2개 이상의 받침간(10)이 설치된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에 있어서, 감속모터(4) 및 급전단자(12)가 설치되는 절연통체(2)의 상부에 상부판(14) 또는 보조덮개(16)를 얹거나 덮어 씌워 밀폐(또는 폐쇄)시키고, 절연통체(2)의 하부에서 대략 2/3 되는 높이 지점까지 복수개의 배출구(18)를 적정간격으로 수직 형성하여 스크루(8)에 의해 상승하는 산업폐수가 정화되면서 배출구(18)로 배출되게 한다.
상부판(14)의 대략 가장자리 부근에는 짝수개의 통공을 적당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여 도전성 금속봉체로 된 양전극(20)과 음전극(22)을 수직으로 평행하도록 끼워 이웃하는 전극끼리는 같은 극성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20)(22)의 하단부는 지지편(24)을 이용하여 절연통체(2)의 하부에 고정시켜 전해전극(20)(22)끼리 평행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직접적인 전해가 이루어지는 한쌍의 양전극(20)과 음전극(22)은 비교적 가깝게 설치하여 충분히 전해가 이루어지게 하고, 양전극(20)과 음전극(22)의 거리(L1)는 이웃하는 전극과의 거리(L2) 보다 약 2배 또는 그 이상의 거리로 이격시켜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의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함으로써 전해효율 감소를 방지한다.
또한 배출구(18)의 폭(L3)은 배출구(18)사이의 폭(L4)보다 다소 좁게 형성함으로써 절연통체(2)의 하부 지지력이 유지(구조 약화방지)되게 하며, 배출구(18)의 안쪽 양측은 제2도와 같이 만곡부(19) 또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산업폐수의 배출저항이 감소되게 한다.
전해전극(20)(22)의 상부에는 걸림테(26)(28)를 돌출 형성하여 상부판(14)에 걸림되게 하고 절연통체(2)의 상부로 노출된 양전극(20)의 돌출 길이는 음전극(22)보다 다소 높게 형성함으로써 (또는 반대로 양전극의 돌출길이를 음전극의 돌출길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4도와 같이 사각형상(전해전극의 배열수에 따라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할 수도 있다.)의 급전단자(2)를 일단에는 급전선(30)(32)을 각각 접속하여 전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은 저전압(3V-15V) 고전류의 직류나 교류, 맥류, 고주파 또는 저주파 펄스 등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6)의 직경이 왜소하거나 그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제1도와 같이 회전축(6)의 중간에 지지간(34)을 적당 간격으로 축설치하여 회전축(6)이 지지되게 하며, 전해전극(20)(22) 또한 그 직경이 왜소하거나 길이가 비교적 길므로 지지가 필요한 경우 상기 회전축(6)처럼 중간 중간에 절연재로된 지지간(도시안됨)을 설치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절연통체(2)의 하부에 공급관(36)을 갖는 복수개의 공기버블러(38)를 설치한 다음 도시안된 산소발생공급장치 또는 오존발생공급장치에 연결하여 적정량의 산소 및 오존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산업폐수중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그리고 분산된 고체(SS) 입자등을 크게 저하시켜 산업폐수가 정화처리되게 한다.
한편, 산업폐수의 정화처리량이 많거나 절연통체(2)가 비교적 큰 경우 제3도와 같이 전해전극(20)(22)을 적절히 이격되는 다중 원호상에 각각 설치하여 다중 전극화 함으로써 산업폐수의 처리량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 역시 다른 원호상에 위치하는 전극끼리는 극성을 달리하여 전기적인 간섭을 배재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제3도의 경우, 2개의 원호상에 전해전극(20)(22)을 배치하였으나 절연통체(2)의 크기가 더욱 큰 경우 그 이상의 원호상에 한 쌍의 전해전극(20)(22)을 적당한 간격으로 각각 배열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전해전극(20)(22)과 급전단자(12)등의 금속체는 염색폐수에 대하여 내식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그 표면에 이러한 성질의 금속피막을 코팅, 도금,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여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절연통체(2)의 상부에 산업폐수의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 유도판(40)을 설치하여 스크루(8)에 의해 상승되는 일부의 산업폐수가 전해되면서 와류된 다음 배출되게 함으로써 산업폐수 정화효율이 더욱 향상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5도는 본 발명 상부판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 절연체로 된 상부판(42)을 절연체로 된 크고 작은 복수개의 조각판(44)(46)으로 등분한 다음 전해전극(20)(22)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반원형상의 전기 접속단자(48)(50)를 상기 조각판(44)(46)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사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앞서 기술한바와 같이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는 같은 극성이 되게 구성하여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며,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양전극(20)은 비교적 높게 설치하고, 안쪽에 위치하는 음전극(22)은 양전극(20)보다 낮게 설치함으로써 제6도와 같이 직경이 크고 작은 링형상의 급전단자(52)(54) 및 급전선(56)(58)을 설치하여 전해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전해전극(20)(22)이 제1, 2도와 같이 한 개의 원호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4도와 같은 급전단자(12) 및 급전선(30)(32)을 이용하여 전해용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조각판(44)(46)의 가장자리 부분은 밴드(45)로 감아 고정하면 될 것이다.
또한, 제 7,8도와 같이 절연체로 된 상부판(6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전해전극(20)(22)이 체결되는 도전성 접속단자(62)(64)를 적당한 간격으로 일체화되게 설치한 다음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접속단자(62)(64)에 각각 체결되는 전해전극(20)(22)으로 동일극성의 전원이 각각 공급되게 할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전해전극(20)(22)이 제1,2도 처럼 한 개의 원호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4도와 같은 급전단자(12) 및 급전선(30)(32)을 이용하여 전해용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전해전극(20)(22)이 복수개의 원호선상에 설치되는 경우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양전극(20)과 안쪽에 위치하는 음전극(22)은 비교적 높게 돌출시킨 다음 급전단자(66)(68)를 체결시켜 전해용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미 설명 부호 (70)는 상수면, (72)는 전원, (74)는 피스 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발명은 산업폐수가 저수되거나 흐르는 정화처리조(도시안됨)에 받침간(10)을 이용하여 적절한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한 다음 절연통체(2)의 상부가 상수면(70)이상으로 노출되게 하고, 정화 처리조로 산업폐수 처리시약인 염소화합물이 정량펌프에 의해 적당량으로 공급되어 시약 소모분이 계속적으로 보충 공급되게 하고, 공기버블러(38) 및 도시안된 공기펌프에 의해 적정량의 공기(O2)나 오존(O3)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가 절연통체(2) 내부로 계속 공급되게 하고, 감속모터(4)와 급전단자(12)로는 적당한 전원(72)을 공급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산업폐수 중으로는 염소, 염산 등의 염소화합물이나 간수 또는 이들을 혼합한 시약이 공급되어 혼합되고, 또한 공기버블러(38)로는 공기, 산소 또는 오존이나 이들의 혼합가스가 버블링되어 산업폐수 중으로 용존되고, 또한 전해전극(20)(22)으로 직류나 맥류, 교류 또는 펄스를 인가하면 염소이온(Cl-)의 산화로 인하여 차아 염소산이온(ClO-), 아 염소산이온(ClO2 -), 염소산이온(ClO3 -) 및 과 염소산이온(ClO4 -)이 발생되므로 산업폐수내의 산소용해도가 크게 증가되며, 또한 전기분해에 의해 이들 염소산 이온들로부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산소 이온(O2 -)들이 분리되어 염료분자나 안료분자의 발색단이나 조색단을 공격하여 이들 분자들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배출구(18)로 배출되는 산업폐수의 색도, COD, BOD 및 SS 등이 크게 저하되어 정화처리되며, 산업폐수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연속 정화처리하면 매우 능률적이다.
또한, 염색폐수의 경우 이들 염소화합물에서 해리되어 나오는 m몰의 염소이온(Cl-)과, 공기버블러(38)에 의해 염색폐수 중으로 투입되는 산소[O2], 오존[O3] 등으로부터 분해되는 n몰의 산소원자와 반응하여 아래 화학반응식(1)(2)와 같이 w몰의 차아 염소산이온(ClO-), x몰의 아 염소산이온(ClO- 2), y몰의 염소산이온(ClO- 3)과 z몰의 과 염소산이온(ClO- 4)이 각각 발생된다.
[식 1]
Figure kpo00002
[식 2]
Figure kpo00003
상기 식(1)의 반응 생성물들은 분해되어 발생기 산소[O]를 생성할 수 있으나 저전위 고전류의 전원(44)을 인가하면 이들 생성물들은 완전분해 되면서 활성이 매우 높은 발생기 산소[O]가 대량으로 생성되고, 상기 발생기 산소[O]는 염료나 안료의 발색단과 조색단을 산화시켜 분해하므로 색도가 높은 염색폐수는 순식간에 탈색(표백)되어 그 색도를 잃어버려 무색으로 처리되며, 따라서 방류되는 폐수는 색도가 없어지므로 빛과 산소가 수중으로 유입되어 수중생물과 미생물에 피해를 끼치지 않게 되며 수자원의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극(20)(2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발명인)이 국내 특허 제96-29771호로 출원한 바 있는 활성금속을 이용하여 비활성 전극을 만드는 전기분해 방법과 그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하도록 하며,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양전극은 철(Fe)보다 산화전위가 높은 마그네슘(Mg), 아연(Zn) 또는 알루미늄(Al) 금속들이나 그들의 염으로 된 용액에 담군 희생적 양극을 연결하고, 적절한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양전극과 음전극 둘다 이와 같은 희생전 양극을 연결하여 전해전극(20)(22) 및 스크루(8)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서 절연통체(2)의 상부에는 상부판(14)이나 보조덮개(16)로 폐쇄 또는 밀폐되어 있으므로 펌핑된 버블링가스는 배출구(18)로 빠져 나올때까지 산업폐수에 용존되어 흐르므로 산소 용해도가 최대한으로 증가되어 산업폐수의 정화처리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생성물들은 전하의 이동에 의해 전해전극(20)(22)의 표면으로 달라 붙게되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누적량은 점증되면서 전해효율을 크게 감쇄시키므로 사용중 이들 생성물을 수시로 제거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해전극(20)(22)으로 공급하는 전원(44)을 역극성으로 인가하면 전하의 역이동에 의해 전해전극(20)(22)의 표면에 달라붙은 전해 생성물들이 분리되고 전해전극(20)(22)의 세척을 간편히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전해전극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역극성의 전원을 소정시간 인가하면 전극세척이 매우 쉽게 달성되며, 전해전극(20)(22)으로 공급하는 전원(72)의 극성을 소정시간마다 반복하여 바꾸어 주면 전해와 세척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매우 바람직하며, 이때 고주파 교류 펄스를 인가하면 직류를 인가할 때보다 더욱 증진된 정화처리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받침간(10)은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처리조의 수위에 따라 설치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받침간의 받침부는 중량체이고 평면적이 비교적 크므로 원통체(2)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전해전극(20)(22)은 그 형상이 봉형상(봉체)이면서 산업폐수의 흐름방향으로 평행설치되므로 산업폐수의 흐름저항이 크게 감소되어 전해 정화효율이 향상되어 탈색, BOD, COD, SS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봉형 전해전극(20)(22)에 의해 본 발명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유지보수 및 마모된 전극의 교체가 쉽다.
또한, 이웃하는 전해전극(20)(22)끼리는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같은 극성이므로 이웃하는 전해전극(20)(22)간의 전기적인 간섭이 방지되어 산업폐수의 전해 정화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통체(2)의 상부에 만곡형의 와류유도판(40)을 설치한 경우 전해되는 산업폐수가 와류되면서 배출구(18)로 배출되므로 산업폐수의 정화효율이 더욱 증진된다.

Claims (8)

  1. 절연통체(2)에 전해전극이 설치되고, 절연통체(2)의 중앙부에 감속모터(4)로 회전되는 회전축(6)에 스크루(8)가 적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절연통체(2)의 하부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간(10)이 설치된 산업폐수 전해정화장치에 있어서, 절연통체(20)의 상부에 상부판(14)이나 보조덮개(16)를 얹거나 덮어씌워 밀폐(또는 폐쇄)시키고, 절연통체(2)의 하부에 복수개의 배출구(18)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전해정화되는 산업폐수가 배출되게 하고, 절연통체(2) 내에 전해전극인 복수개의 양전극(20)과 음전극(20)을 수직으로 고정설치하여서 된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양전극(20)과 음전극(22)은 도전성 금속봉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접적인 전해가 이루어지는 전해전극(20)(22)끼리 가깝게 설치하고, 상기 전극과 이웃하는 전해전극 끼리는 비교적 2배 또는 그 이상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면서 같은 극성이 되게 배치하여 전기적 간섭에 의한 전해감소를 방지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통체(2)의 상부에 와류유도판(4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전극(20)(22)에 전해전극(20)(22)보다 산화전위가 높은 희생적 양극을 접속하여 전해전극(20)(22)의 마모를 크게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판(14)은 반원형상의 도전성 전기 접속단자(48)(50)가 일체로 형성된 크고 작은 조각판(44)(46)으로 구성하고, 상기 접속단자(48)(50)에 전해전극(20)(22)을 끼워서 조립한 다음 조각판(44)(46)의 가장자리 부분을 밴드(45)로 감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체로 된 일체형의 상부판(60)에 전해 전극(20)(22)이 체결되는 도전성 접속단자(62)(64)를 적당한 간격으로 일체화 되게 설치하여 도전성 급속단자(62)(64)에 전해전극(20)(22)을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8.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전해전극(20)(22)을 상부판(46)(60)으로 상승 돌출시키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양전극(또는 음전극)은 음전극보다 비교적 높게 설치한 다음 링 형상의 급전단자(52)(66)를 각각 체결시켜 고정하고, 안쪽에 위치하는 음전극(또는 양 전극)은 양전극보다 낮게 설치한 다음 링형상의 급전단자(54)(68)를 각각 체결 고정하여 급전단자(52)(54)(66)(68) 끼리 충분히 이격되어 자가방전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KR1019970006940A 1997-02-27 1997-02-27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KR018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940A KR0182602B1 (ko) 1997-02-27 1997-02-27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940A KR0182602B1 (ko) 1997-02-27 1997-02-27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87A KR19980069687A (ko) 1998-10-26
KR0182602B1 true KR0182602B1 (ko) 1999-04-01

Family

ID=1949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940A KR0182602B1 (ko) 1997-02-27 1997-02-27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3674B (zh) * 2022-11-30 2024-05-14 浙江树人学院 一种用于矿山废水除镉的生物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87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0923A (en) Liquid treating electrolytic cell
Peralta-Hernández et al. A Brief Review on Environmental Application of Boron Doped Diamond Electrodes as a New Way for Electrochemical Incineration of Synthetic Dyes.
US4908109A (en) Electrolytic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rapid reverse current plating electrodes
US20080223731A1 (en) Advanced Electro-Coagulation Device And Process Of Using The Same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080094345A (ko) 폐수 및 하수 처리에 적용가능한 논-파울링 전기분해 장치
CA2960825C (en) Electrocoagulation reactor
US3893900A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an electrolytic cell
FI76773B (fi) Foerfarande foer elektrolytisk behandling av skadliga komponenter, saosom cyanid innehaollande avloppsvatten och vid foerfarandet anvaendbar anordning.
KR100319022B1 (ko) 전해부상법을이용한폐수처리장치
EP1156014A1 (en)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0182602B1 (ko) 직립형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KR200179939Y1 (ko) 초음파와 고주파 펄스 결합 고밀도 플라즈마 폐수처리장치
KR100188232B1 (ko) 산업폐수 연속 전해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25927A (ko) 초음파와 고주파 펄스 결합 고밀도 플라즈마 폐수 처리방법과 그 장치
KR100326451B1 (ko) 초음파 결합 고밀도 플라즈마 폐수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0204356B1 (ko) 분해 조립식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KR200177618Y1 (ko) 초음파 결합 고밀도 플라즈마 폐수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0220082B1 (ko) 양전극의 교체가 간편한 산업폐수 전해 정화장치
KR102603704B1 (ko) 전기응집 처리장치
KR101568169B1 (ko) 전기분해식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정화 시스템
RU20383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EP0812302B1 (en) Ioniser for water disinfection and separation of contaminants
KR101568173B1 (ko) 전기분해식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정화 시스템
KR0116304Y1 (ko) 수처리용 전기산화분해장치
RU20404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 очистк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