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962B1 -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962B1
KR0181962B1 KR1019910002617A KR910002617A KR0181962B1 KR 0181962 B1 KR0181962 B1 KR 0181962B1 KR 1019910002617 A KR1019910002617 A KR 1019910002617A KR 910002617 A KR910002617 A KR 910002617A KR 0181962 B1 KR0181962 B1 KR 018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pokes
wheel
wheel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10021331A (en
Inventor
디. 코닝 윌리엄
씨이. 밀러 배리
더블유. 리틀 케이트
Original Assignee
게리 엘. 와머
퍼스트 브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A002010489A external-priority patent/CA2010489C/en
Priority claimed from CA002023501A external-priority patent/CA2023501C/en
Application filed by 게리 엘. 와머, 퍼스트 브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게리 엘. 와머
Publication of KR91002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3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9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opening plastic bags to remove their contents has a pair of wheels (11,12) mounted in approximate coplanar relationship such that there is a point of approximate cotangency. The two wheel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 series of tines 13 are mounted in spaced relation on the periphery of each wheel to extend normal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loop. Once a filled plastic bag is placed onto the apparatus at the point of approximate cotangency of the wheels, a biased flexing structure presses the bag against the tines. A hole is created in that surface riding on the tines as the tines move away from the point of approximate cotangency. To remove any articles remaining in an opened bag, a pair of oppositely-rotating rollers (63,68) are positioned so as to draw the bag between them. An oscillating member forward of the rollers acts to prevent any articles remaining in an opened bag from entering between the rollers. A vacuum collection means 73 draws off the emptied bags. The apparatus has particular application to the opening of bags containing recyclable articles. <IMAGE>

Description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개방과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장치Devices for opening filled plastic bags and removing filled content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개방과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장치의 제1실시예를 부분 절단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partly cut away from a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opening the filled plastic bag and removing the filled cont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제1실시예를 부분 절단한 측면도.2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제1실시예를 부분 절단한 측면도.3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FIG.

제4a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사시도.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제4b도는 장치 바퀴의 한 바퀴살(tine) 상에 걸린 플라스틱 주머니의 가능한 위치 순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4a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사시도.FIG. 4b shows a possible positional sequence of plastic bags hung on a tine of the device wheel, with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a.

제5도는 제1도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어지는 바퀴살의 한 형태의 측면도.FIG. 5 is a side view of one type of spokes to b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제6도는 제5도의 바퀴살의 끝면도.6 is an end view of the spokes of FIG.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개방과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장치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opening a filled plastic bag and for removing the filled cont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8도는 제7도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제9도는 제7도의 선 Ⅸ-Ⅸ를 따라서 취한 제2실시예의 체인 및 부착된 바퀴살의 단면도.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chain and attached spokes of the second embodiment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7. FIG.

제10도는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개방과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장치의 제1실시예를 위한 대안적인 스트레이너(strainer)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strainer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opening the filled plastic bag and removing the filled contents.

제11도는 제1도의 제1실시예용 주머니 잔류물의 제거를 위한 대안적인 흡입구조물의 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suction structure for removal of bag residue for the first embodiment of FIG.

제12도는 제1도의 지1실시예용 대안적인 주머니 이송설비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bag transfer facility for the first embodiment of FIG.

제13도는 제12도의 대안적인 주머니 이송 설비에 있는 바퀴살을 향하여 충만된 주머니들을 누르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for pressing the filled pouches towards the spokes in the alternative pouch delivery facility of FIG.

제14도는 제13도의 선 ⅩⅣ-ⅩⅣ를 따라서 취한 제13도 장치의 끝단면도.14 is an end view of the device of FIG. 13 taken along line XIV-XIV of FIG.

제15도는 제10도 내지 제14도의 설비를 가진 제1실시예의 사시도.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with the provisions of FIGS. 10 to 1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12 : 바퀴 13 : 바퀴살11, 12: wheel 13: wheel

16 : 입력축 17 : 제1기어박스16: input shaft 17: first gear box

18 : 벨트 19 : 제2기어박스18: belt 19: second gear box

20 : 풀리 21 : 벨트20: pulley 21: belt

33 : 슈트 36 : 축선33: suit 36: axis

40 : 제1베어링 43 : 제2베어링40: first bearing 43: second bearing

45 : 꺽인 원추형 받침접시 50 : 환형부리45: curved conical saucer 50: annular beak

52 : 경사로 53 : 콘베어 벨트조립체52: ramp 53: conveyor belt assembly

60 : 스트레이너 62 : 모터60: strainer 62: motor

75, 76 : 안내바아 82 : 수직평면75, 76: guide bar 82: vertical plane

83 : 지주 90, 91 : 체인83: holding 90, 91: chain

92, 93 : 안내트랙 98, 100 : 스프라켓92, 93: guide tracks 98, 100: sprockets

본 발명은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개방과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재생될 수 있는 물품들로 채워진 플라스틱 쓰레기 주머니들의 조절된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opening a filled plastic bag and for removing the filled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led opening device of plastic garbage bags filled with recyclable items.

환경에 대한 관심은 사용된 병, 깡통, 종이 및 다른 물품들의 재생을 위한 수집을 유도하게 되었었다. 편리함 때문에, 이러한 물건들은 종종 플라스틱 쓰레기 주머니들로 수집되어 저장된다. 수동에 의해 이 주머니들을 개방하는 것은 속도가 느리고 노동력이 많이들기 때문에, 다수의 이러한 주머니들을 신속하게 개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Attention to the environment has led to collections for the recycling of used bottles, cans, paper and other items. For convenience, these items are often collected and stored in plastic garbage bags. Since opening these pockets manually is slow and labor intensive, it is necessary to have a means for quickly opening a large number of these pockets.

다양한 기계적인 설비들이 충만된 주머니를 개방하고 그 주머니의 내용물을 비우기 위하여 제안되어졌었다. 이러한 설비 중 하나가 1989년 1월 17일자로 더 도우 캐미컬 컴패니(The Dow Chemical Company)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798,508호로서 공고된 채워진 주머니를 개방하고 비우며, 빈주머니를 처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주머니는 한쌍의 회전드럼들 사이에 있는 공간부로 안내된다. 일련의 스파이크들이 드럼 둘레에 연장한 벨트를 통하여 각각의 드럼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스파이크들이 드럼들 사이에 있는 공간부로 들어감으로써, 주머니들은 스파이크들에 걸리게 되어서 절단수단 내부로 당겨지게 된다. 절단 수단은 내용물을 비우도록 주머니를 반으로 째고, 비워진 반쪽 주머니는 각각의 반쪽 주머니로부터 스파이크들이 빠지도록 벨트로부터 스파이크들이 떨어지는 지점으로 각 드럼의 스파이크들 상에서 이송된다.Various mechanical arrangements have been proposed to open a bag full and empty its contents. One such facility is a device for opening and emptying filled bags and disposing of empty bags, as disclosed in US Patent No. 4,798,508, issued to The Dow Chemical Company on January 17, 1989. And method. In this case, the bag is guided 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drums. A series of spikes extend radially from each drum through a belt extending around the drum. As the spikes enter the space between the drums, the pockets are caught by the spikes and pulled into the cutting means. The cutting means slit the bag in half to empty the contents, and the empty half bag is transported on the spikes of each drum to the point where the spikes fall from the belt so that the spikes fall out of each half bag.

재생 공정에서는 유리병 및 이와 유사한 취성체들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때문에, 주머니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미합중국 특허 제4,798,508호에 게재된 것과 같은 설비를 사용하는 것은 실용적이 아니다. 대신하여 요구되는 것으로서,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측부를 개방하고 그리고 그 내용물이 개방된 측부를 통하여 떨어지도록 상기 주머니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주머니 안에 있는 각 물품들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한편 플라스틱 주머니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비울 수 있는 플라스틱 주머니 개방 및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수단이다.Since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glass bottles and similar brittles in the regeneration process, it is not practical to use equipment such as that disclosed in US Pat. No. 4,798,508 as described above for opening the pockets. As required instead there is a means for opening the side of the filled plastic bag and positioning the bag so that its contents fall through the open sid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plastic bag opening and removal of filled contents, which can quickly open and empty the plastic bag while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each item in the bag.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는 제1회전 평면에서 움직이고 다른 하나는 제2회전 평면에서 움직이는 한 쌍의 바퀴를 가진다. 한쪽 바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적합하게 되고, 다른쪽 바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적합하게 된다. 두 바퀴들은 대체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평면들이 대략 동일 평면이 되고록 하고 그리고 2개의 바퀴들이 서로에 대하여 접선 분리 관계로 연장하는 곳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근 위치가 존재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장치들은 또한 각 바퀴의 회전평면의 동일한 측부상에서 회전평면에 대하여 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각 바퀴의 외주부 상에 분리된 관계로 장착되는 일련의 바퀴살들을 가진다. 더욱이 이 장치는, 이들 바퀴살들이 주머니의 제1표면을 침투하도록 접근 위치를 지나서 이동하는 이들 바퀴살들 상으로 주머니를 누르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바퀴살들이 접근 위치로부터 멀리 움직임으로써, 2개의 바퀴들 상에 있는 바퀴살들의 연속적인 이탈은 주머니의 제1표면에 찢김선을 만들도록 작용한다. 이 장치는 또한 각 바퀴의 외주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과 진공 수집 수단을 가진다. 바퀴들의 접선 분리 관계와 동일한 바퀴상에 있는 인접한 바퀴살들 사이의 간격은, 바퀴들 상에 있는 바퀴살들이 접근지역으로부터 멀리 움직임에 따라서 주머니의 제1표면에 만들어진 찢김선들이 이 표면에 하나의 연속적인 구멍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만큼 충분히 접근할 정도이다. 주머니의 내용물 모두 또는 일부분은 그 구멍을 통하여 쏟아지기에 적합하게 된다. 당김(straining) 및 요동(oscillating) 작용의 결합된 작용을 통하여,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은 주머니 안의 어떠한 내용물도 비우기에 적합하게 된다. 진공 수집 수단은 비워진 주머니를 수집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진공 수집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은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에 바로 인접하여 각 바퀴의 회전에 대하여 그 스트레이너 수단의 아래에 직접 접하게 되어지도록 위치되어진다.The device of the invention has a pair of wheels, one moving in the first rotational plane and the other moving in the second rotational plane. One wheel is adapted to rotate clockwise and the other wheel is adapted to rotate counterclockwise. The two wheels rotate at substantially the same angular velocity,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nes of rotation are approximately coplanar and there is at least one approach position where the two wheels extend in tangential sepa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ll be located. The devices also have a series of spokes mounted in a separate relationship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wheel so as to extend main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rotation on the same side of the plane of rotation of each wheel. Moreover, the device has means for pressing the pocket onto these wheels moving past the access position such that the wheels penetrate the first surface of the pocket. As the spokes move away from the approaching position, successive departures of the spokes on the two wheels act to create a tear line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ocket. The apparatus also has oscillatory strainer means and vacuum collection means locate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each wheel.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spokes on the same wheel as the tangential separation of the wheels is such that the tear lines made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ocket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is surface as the spokes on the wheels move away from the access area. It is close enough to connect to form a hole. All or part of the contents of the bag is adapted to be poured through the hole. Through the combined action of the straining and oscillating action, the oscillatory strainer means is adapted to empty any contents in the bag. The vacuum collecting means is adapted to collect the empty bag. At least a portion of the vacuum collecting means is positioned to be directly adjacent to the oscillating strainer means and to be in direct contact below the strainer mean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each wheel.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은, 각각의 롤러 회전축선들이 다른 롤러에 평행하고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각각 설치된 한쌍의 롤러이다. 2개의 롤러들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의 원통표면이 당김선을 따라서 결합하도록 서로 떨어져 있다. 상기 당김선은 롤러들의 한쪽 단부를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 상에 걸린 주머니가 당김선 안으로 당겨지도록 위치된다. 상기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은 또한 한쌍의 롤러들 앞에서 연장하고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가지는 요동성 부재를 가진다.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당김선의 앞에 놓여진 장벽에 있는 요동성 홈부의 한쪽 부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당김선으로 들어가는 주머니들이 홈부를 통하여 당겨지게 된다. 주머니 안에 있는 어떠한 내용물도 상기 홈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상기 제2부분이 상기 홈부에 들어가는 주머니들에 대향하여 움직이기 위한 요동성 안내부를 형성한다.The oscillatory strainer means is a pair of rollers each provided so that each roller axis of rotation extends parallel and horizontally to another roller. The two roller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rollers engages along the pull line. The pull line is positioned so that the bag hung on the spokes moving past one end of the rollers is pulled into the pull line. The oscillating strainer means also has a oscillating member extending in front of the pair of rollers and hav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forms one beak of the oscillating groove portion in the barrier placed in front of the pull line; Pockets entering the pull line are pulled through the grooves. The second portion forms an oscillatory guide for moving against the pockets entering the grooves to help prevent any contents in the pockets from entering the grooves.

정지링은 각각의 바퀴의 외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링은 각 바퀴 상의 바퀴살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가진다. 바퀴 상에 있는 바퀴살들은 각각의 링에 인접한 링의 내부에서 움직인다. 각각의 링은 스트레이너 수단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링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가 스트레이너 수단을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의 상부 단부를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장치에 설치된다.The stop ring is arrange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each wheel. Each ring has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le formed by the spokes on each wheel. The spokes on the wheels move inside the ring adjacent to each ring. Each ring is installed in the apparatus such that the upper edge of the ring portion extending adjacent to the strainer means extends adjacent the upper end of the spokes moving past the strainer means.

주머니 누름수단은 다수의 링크들의 편향된 유연성 구조를 포함하고, 그 링크들 중 하나는 주머니 상에서 누르기 위한 판수단을 가진다. 유연성 구조는 대체로 상자형 구성으로 서로 직렬로 경첩 연결된 4개의 링크들로 구성되어진다. 각 외부링크의 외부단부는 장치의 프레임에 경첩 연결된다. 유연성 구조는 정상적으로 정지위치에 있는 장치의 프레임 상에서 지지되고, 이동후에 그 정지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수단에 의하여 편향된다. 이러한 장치와 함께, 판 수단을 가지는 주머니의 초기 접촉은 그 정지위치로부터 유연성 구조를 이동시킨다. 편향수단은 대체로 접근위치에 있는 바퀴상의 바퀴살들을 향하여 주머니들을 누르도록 작용하고, 그리고 나서 정지위치로 유연성 구조를 복귀시킨다.The bag pressing means comprises a deflected flexible structure of a plurality of links, one of which has plate means for pressing on the bag. The flexible structure consists of four links hi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 box-like configuration. The outer end of each outer link is hinged to the frame of the device. The flexible structure is supported on the frame of the device in the normally stationary position and is deflected by the biasing means to return to the stationary position after movement. With this arrangement, the initial contact of the bag with the plate means moves the flexible structure from its stop position. The biasing means generally act to press the pockets against the spokes on the wheel in the approaching position, and then return the flexible structure to the rest position.

진공 수집 수단은 각 바퀴의 회전에 대하여 한 부분의 아래에 배치되는 또다른 부분을 가진다. 진공 수집 수단의 또다른 부분은, 하나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바퀴살들의 경로 상부로 연장하고 다른 하나는 하부로 연장하는 한쌍의 고정된 수직 파이프 구역들로 구성된다. 공기는 고정된 위치를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들을 가로지르는 위로 향한 공기 기둥을 만들도록 동일한 유동 속도로 하부 파이프 구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부 파이프 구역으로 흡입된다.The vacuum collecting means has another part disposed below one par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each wheel. Another part of the vacuum collecting means consists of a pair of fixed vertical pipe sections, one extending above the path of the spokes in the fixed position and the other extending downward. Air is drawn out of the lower pipe section and drawn into the upper pipe section at the same flow rate to create an upwardly air column across the wheels moving past the fixed posi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내지 제4b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참조하면, 한쌍의 동일한 바퀴(11,12)들은 동일한 수평면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바퀴(11,12)들은 외주부 주위에 동일 간격으로 떨어져 지지되는 일련의 바퀴살(13)들을 가진다. 각각의 바퀴살(13)은 각각의 수평아암(14)의 외부단부에 고정되고, 아암(14)의 내부단부는 바퀴의 외주부에 부착된다. 바퀴(11,12)들의 회전축선들 사이의 간격은 제1도의 도면부호(15)로 지시된 한 위치에 있는, 바퀴(11)상에 있는 바퀴살들의 경로가 바퀴(12) 상에 있는 바퀴살의 경로에 접근하여 통과하는 만큼이다. 전기모터(도시 안됨)는 제1기어박스(17)의 입력축(16)에 연결되고, 벨트(18)를 통하여 제2기어박스(19)에 연결된다. 풀리(20)는 벨트(21)를 구동하기 위하여 기어박스(17)의 출력축 상에 설치되고, 벨트(21)는 또한 바퀴(11)와 함께 회전하도록 바퀴(11)에 고정된 풀리(22) 주위로 연장한다. 바퀴(12)는 바퀴(12)용 구동설비 뿐만 아니라 바로 위에서 바퀴(11,12)들이 회전하는 장치의 하부프레임(23)을 보다 낫게 도시하도록 제1도에서 제거되었다. 도시된 장치는 바퀴(11)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바퀴(12)는 반시계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시키고, 2개의 바퀴들 상에 있는 바퀴살들은 (15)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분리 이동한다.Referr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b, a pair of identical wheels 11 and 12 are arrang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Each of the wheels 11 and 12 has a series of wheels 13 supported apart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Each wheel 13 is fixed to the outer end of each horizontal arm 14 and the inner end of the arm 14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heel. The spacing between the axes of rotation of the wheels 11, 12 is the path of the wheels on the wheels 12 where the paths of the wheels on the wheels 11 are at a posi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5 of FIG. 1. As much as accessing and passing through. An electric moto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16 of the first gearbox 17 and to the second gearbox 19 via the belt 18. The pulley 20 is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gearbox 17 to drive the belt 21, the belt 21 also being pulley 22 fixed to the wheel 11 to rotate with the wheel 11. Extend around. The wheel 12 has been removed in FIG. 1 to better show the drive frame for the wheel 12 as well as the lower frame 23 of the device in which the wheels 11 and 12 rotate directly above. The device shown rotates the wheel 11 clockwise and the wheel 12 counterclockwise at the same angular speed, and the spokes on the two wheels move separately after passing the position of 15. .

바퀴살들의 각각은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바퀴(11) 또는 바퀴(12) 중 어느 하나의 외주부에 부착된다. 그러나, 바퀴살들은 외주부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빗면을 가진다. 제5도의 측면도에서, 바퀴살(13)이 특정 바퀴의 회전평면에 대하여 대략 75°의 각으로 연장하도록 바퀴(11,12)들 중 하나의 외주부(28)에 부착된 것이 도시되었다 : 비록 그 각의 크기가 임계각이 아닐지라도, 모든 바퀴살(13)들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될 것이다. 제6도의 끝면도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살(13)의 단부에 있는 점(29)은 실제적으로 가장자리(30)이다. 제6도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퀴살은 또한 특정 바퀴의 중앙을 향하여 이것의 외부단부가 연장하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Each of the spokes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either the wheel 11 or the wheel 12 so as to extend vertically. However, the spokes have a slant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uter circumference. In the side view of FIG. 5, the spokes 13 are shown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28 of one of the wheels 11, 12 so as to exten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75 °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rotation of the particular wheel: Although the size of is not the critical angle, all the spokes 13 will be installed at the same angle. As shown in more detail in the end view of FIG. 6, the point 29 at the end of the spokes 13 is actually the edge 30. As also shown in FIG. 6, each spoke is also inclin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its outer end extending towards the center of the particular wheel.

슈트(chute,33)는 이것의 하부단부가 (15)의 위치로 접근하여 끝나도록 하는 각도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슈트(33)의 상부단부는 콘베어 벨트(도시안됨) 아래에 위치되어 진다. 슈트(33) 상의 각도는 물체로 채워진 플라스틱 주머니가 (15)의 위치를 지나 움직이는 일련의 2중 바퀴살들 상으로 슈트(33)를 따라 아래로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충분히 가파르다. 한쌍의 톱니 달린 바퀴(35)들은 축선(36)에서 분리된 관계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그 축선의 각 단부는 한쌍의 동일한 비임(37)들의 각 단부에 연결된다. 한쌍의 바퀴(35)들은 통상 8inch 정도 떨어져 있다. 각 빔(37)의 외부단부는 축선(38)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축선은 본 발명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다.The chute 33 is fixed to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an angle such that its lower end approaches and ends at the position of 15. The upper end of the chute 33 is located under the conveyor belt (not shown). The angle on the chute 33 is sufficiently steep so that the object-filled plastic pouch slides freely along the chute 33 onto a series of dual wheels moving past the position of 15. The pair of toothed wheels 35 rotate freely in a separate relationship from the axis 36, with each end of the axis being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pair of identical beams 37. The pair of wheels 35 are typically about 8 inches apart. The outer end of each beam 37 is pivotally connected to an axis 38, which is fixed to the frame of the device of the invention.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2)는 장치 하부프레임(23)의 상부로부터 연장하는 고정된 축선(41)상에서 회전하도록 제1베어링(40)상에서 지지되고, 바퀴(11)도 이와 유사하게 지지된다. 베어링(40) 바로 위에서, 축선은 (15)의 위치를 향하여 약간 휘어진다. 그 굽힘부분 위에서, 축선(41)상의 제2베어링(43)이 꺽인 원추형 받침접시(45)를 지지한다. 바퀴(12)의 상부면상에서 설치된 말뚝(46)은 받침접시(45)의 하부면에 있는 틈안으로 연장한다. 말뚝(46)은 회전의 각도-편심면에서 바퀴(12)와 받침 접시(45)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유사한 받침접시(49)가 바퀴(11)와 함께 회전한다. 한 쌍의 받침접시(45,49)들의 목적은 (15)의 위치를 지나서 움직이는 2개의 일련의 바퀴살들 상에 쓰레기 주머니들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고, 주머니는 2개의 받침접시들의 꺽인 원추형 가장자리와 각 받침접시 상에 있는 환형의 부리(50) 상에 머문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wheel 12 is supported on the first bearing 40 to rotate on a fixed axis 41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device underframe 23, and the wheel ( 11 is similarly supported. Just above the bearing 40, the axis is slightly curved towards the position of 15. On the bent portion, the second bearing 43 on the axis 41 supports the curved cone plate 45. The pile 46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12 extends into a gap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5. The pile 46 allows the wheel 12 and the backing plate 45 to rotate together at an angle-eccentric surface of rotation. A similar saucer 49 rotates with the wheels 11. The purpose of the pair of saucers 45, 49 is to place the rubbish bags on the two series of spokes moving past the position of (15), the pockets having the curved conical edges of each of the two saucers and each bearing. Stay on the annular beak 50 on the dish.

하부프레임(23)의 일부분은 경사진 경사로(52)를 형성하고, 경사로는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25°의 각도를 가진다. 경사로(52)의 상부 단부는 제1도 내지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1,12)들의 일부분 아래에서 연장하고, 경사로의 하부단부는 콘베어 벨트 조립체(53)와 접한다.A portion of the lower frame 23 forms an inclined ramp 52 which has an angle of approximately 25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upper end of the ramp 52 extends below a portion of the wheels 11 and 12 as shown in FIGS. 1 to 4 b, and the lower end of the ramp contacts the conveyor belt assembly 53.

제4a도 및 제4b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장치(60)는 바퀴(12)의 외주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동일한 장치가 바퀴(11)의 외주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장치(60)는 기어박스(64)를 통하여 제1수직축(63)을 구동하는 모터(62)에 의하여 형성된다. 기어박스(64)는 연결된 하부 지지부(66)를 통하여 경사로(52)에 고정된 수직의 지주(65) 상에서 지지된다. 제1축(63)의 하부부분은 그 축의 대칭 축선과 일렬로 수직으로 연장한 일련의 기어 치형부를 가진다. 하부지지부(66) 상에서 회전을 위하여 지지되는 제2축(68)은 축(63)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축(63)의 기어 치형부와 맞물리는 일련의 보상 기어 치형부를 가진다. 축(63,68)들의 맞물리는 기어 치형부 때문에, 축(63)의 시계방향 회전은 축(68)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일으킨다. 축(63,68)들의 각 기어치형부는 한쌍의 하우징(70,71)들의 각각에 놓이고, 2개의 하우징들 사이의 간격은 협소한 한쌍의 수직 슬릿을 형성한다. 스트레이너 조립체(60)와 관련된 것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고 제3도, 제4a도 및 제4b도의 아우트 라인에 있는 것과 같이 흡입파이프(73)이다. 흡입파이프(73)는 하나의 각도로 연장하고, 이것의 한쪽 단부는 하우징(70,71)들 사이에 연장한 수직 슬릿들 중 하나와 인접하여 위치된다.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S. 4A and 4B, the strainer device 60 is locat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heel 12, and the same device is locat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heel 11. The device 60 is formed by a motor 62 which drives the first vertical shaft 63 via the gearbox 64. The gearbox 64 is supported on a vertical strut 65 fixed to the ramp 52 via a connected lower support 66.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haft 63 has a series of gear teeth extending vertically in line with the axis of symmetry of the axis. The second shaft 68, which is supported for rotation on the lower support 66,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haft 63 and has a series of compensating gear teeth that engage with the gear teeth of the shaft 63. Because of the interlocking gear teeth of the shafts 63, 68,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shaft 63 causes a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haft 68. Each gear tooth of the shafts 63, 68 lies in each of the pair of housings 70, 71,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wo housings forms a narrow pair of vertical slits. Associated with strainer assembly 60 is suction pipe 73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n the outline lines of FIGS. 3, 4a, and 4b. The suction pipe 73 extends at one angle, one end of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one of the vertical slits extending between the housings 70, 71.

한쌍의 하부 안내바아(75,76)들은 경사로(52)로부터 하우징(71)의 상부로 바퀴살(13)들의 경로에 인접하여 연장하고, 안내바아(75)의 하부 단부는 안내바아(76)의 하부단부보다 바퀴(12)에 인접한 위치에서 경사로(52)에 고정된다. 상부 안내바아(78)는 하우징(70) 상에 있는 부착점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상에 있는 부착점(도시안됨)으로 상방으로 연장한다.The pair of lower guide bars 75, 76 extend adjacent the path of the spokes 13 from the ramp 52 to the top of the housing 71,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bar 75 extends from the guide bar 76. It is fixed to the ramp 52 at a position closer to the wheel 12 than the lower end. The upper guide bar 78 extends upwardly from an attachment point on the housing 70 to an attachment point (not shown) on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캠바아(80)는 (15)의 위치와 스트레이너 조립체(60)사이의 위치에 있는 바퀴살(13)의 경로에 인접하여 연장한다. 캠바아(80)의 한쪽 단부는 경사로(52)에 고정되고, 그 캠바아의 다른쪽 단부는 수직 지주(81)의 하부 단부에 의하여 경사로(52)에 고정되는 수직 지주(81)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82)은 지주(83)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으로부터 지지된다. 상기 판(82)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하부면이 환형부리(50)의 약간 위에 놓이도록 설치된다.The cam bar 80 extends adjacent to the path of the spokes 13 at a position between the position of 15 and the strainer assembly 60. One end of the cambar 80 is fixed to the ramp 52 and the other end of the cambar is on top of the vertical strut 81 fixed to the ramp 52 by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trut 81. It is fixed. As shown in Figures 4a and 4b, the vertical plate 82 is supported from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a strut 83. The plate 82 has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installed such that the lower surface thereof lies slightly above the annular beak 50.

한쌍의 바아(85)들은 이것들의 하부단부들이 바퀴살(13)들로부터 분리된 관계를 취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으로부터 하나의 각으로 하방으로 연장한다. 제1도의 평면도는 바아(85)들이 전체 장치에 대한 관계를 취하는 위치를 도시한다.The pair of bars 85 extend downward one angle from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o that their lower ends take a separate relationship from the spokes 13. The top view of FIG. 1 shows where bars 85 take a relationship to the overall apparatus.

본 장치의 제1실시예는 다음의 방법으로 작동한다. 충만된 주머니는 3내지 10RPM 사이의 각속도(바람직하게는 8RPM)로 서로 회전하는 바퀴(11,12)들을 사용하여 슈트(33) 아래로 떨어진다. 한쌍의 톱니 달린 바퀴(35)들은 플라스틱 주머니가 바퀴(35) 아래로 미끄러지는 동안에 회전하고, 주머니가 (15)의 위치에서 2개의 일련의 바퀴살(13) 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주머니 상에 안착을 종료한다. 바퀴(35)들의 중량은 플라스틱 주머니를 바퀴살(13) 위로 보다 확고하게 누르도록 작용하고, 바퀴(35)들은 또한 주머니가 바퀴살들 위에 놓이도록 돕는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바퀴(35)들 없이 만족하게 작용하도록 도시되었을지라도, 이것들의 존재는 작동을 개선시킨다. 병렬의 바퀴살(13)들이 이탈함으로서, 각 바퀴살의 선 가장자리(30)는 그 가장자리 상에 실린 주머니 표면 안으로 파고든다. 작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퀴(11,12)들의 각각은 대략 182.9cm(6ft)의 지름을 가지고, 대략 10.16cm(4inch)정도 떨어져 있으며, 2개의 바퀴(11,12)들은 (15)의 위치에 있는 각 바퀴들의 바퀴살(13)들이 대략 10.16cm 정도 떨어진 간격 거리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과 함께, 바퀴살들의 이탈에 의하여 주머니 표면에 만들어진 찢김선이 주머니 표면에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15)의 위치에서 2개의 바퀴들에 있는 바퀴살(13)들의 이탈하는 거리가 장치의 효과적인 기능을 위한 중요한 척도가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거리가 너무 작다면, 주머니는 효과적인 침투없이 바퀴살에 걸리고, 그 거리가 너무 크다면, 주머니 표면에 만들어진 찢김선은 이 선들 사이의 웨브들이 그 표면에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파열될 수 있도록 충분히 접근하지 않는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apparatus works in the following manner. The filled pouch falls below the chute 33 using wheels 11 and 12 that rotate each other at an angular speed (preferably 8 RPM) between 3 and 10 RPM. The pair of toothed wheels 35 rotate while the plastic pouch slides under the wheel 35 and rests on the pouch while the pouch moves on two series of spokes 13 at the position of (15). Quit. The weight of the wheels 35 acts to push the plastic pouch more firmly over the spokes 13, and the wheels 35 also help the pouch to rest on the spokes. Although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to work satisfactorily without the wheels 35, their presence improves operation. As the parallel spokes 13 break away, the line edge 30 of each spoke digs into the pocket surface carried on that edge. In a working device, each of the wheels 11, 12 has a diameter of approximately 182.9 cm (6 ft), approximately 10.16 cm (4 inches) apart, and the two wheels 11, 12 are positioned at (15). The spokes 13 of each of the wheels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10.16 cm apart. With this configur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aring lines made on the surface of the pocket by detachment of the spokes are connected to form a hole in the surface of the pocket. It was found that the disengagement distance of the spokes 13 on the two wheels at the position of (15) became an important measure for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device. If the distance is too small, the pocket will get caught in the wheel without effective penetration, and if the distance is too large, the tear lines made on the surface of the pocket will be sufficient to rupture the web between these lines to form a hole in the surface. Do not approach.

구멍이 주머니의 하부표면에 만들어지게 됨으로써, 주머니의 상부 부분은 한쌍의 바아(85)들과 밀착한다. 주머니의 상부부분의 움직임이 뒤로 후퇴하는 반면에, 하부부분은 바퀴살 상에서 계속 움직이고, 이에 따라서 주머니는 개방된 하부면이 주머니의 상부부분보다 앞에서 움직이도록 회전된다. 바아(85)들은 이러한 주머니 회전을 허용하도록 바퀴살(13)들의 충분한 상부에 위치되어진다. 개방된 주머니 안에 있는 대부분의 재생물체는 주머니의 개방된 하부면을 통하여 경사로 위로 떨어지고, 그리고 나서 재생물체들을 분류지역으로 운반하는 콘베어 벨트 조립체(53) 상으로 미끄러진다. 바퀴 부리부(50) 상에 머무는 물체들은 이들 부리부 위에 놓이는 판(82)들중 하나와 접촉하고, 각각의 판(82)은 경사로(52) 상으로 그러한 물체들을 밀도록 작용한다. 깡통과 같은 강성물체들은 때때로 바퀴살(13)들 상으로 끼이게 된다. 캠바아(80)는 바퀴살들 밖으로 그러한 물체들을 밀어낸다.A hole is made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ag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ba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bars 85. While the movemen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cket retreats backwards, the lower portion continues to move on the spokes, so that the pocket is rotated so that the open lower surface moves ahea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cket. Bars 85 are positioned on top of enough of the spokes 13 to allow this pocket rotation. Most of the recyclate in the open pouch falls over the ramp through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pouch and then slides onto the conveyor belt assembly 53 which carries the recyclate to the sorting area. Objects that remain on wheel beak 50 contact one of the plates 82 overlying these beaks, and each plate 82 acts to push such objects onto ramp 52. Rigid objects such as cans sometimes get stuck on the spokes (13). Cambar 80 pushes such objects out of the spokes.

비록 각 바아에 있는 대부분의 물체들이 선행공정에 의하여 제거 될지라도, 약간의 물체들은 보통 주머니의 모서리에 남는다. 이 장치와 관련된 스트레이너 조립체(60) 및 안내바아들은 이들 물체들을 회수하도록 사용된다. 개방된 플라스틱 주머니(87)는 하부 안내바아(75,76)들을 가로지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퀴살(13)들에 의하여 하부 안내바아(75,76)들과 상우 안내바아(78) 사이에서 끌리게 된다. 그러고나서, 주머니는 하우징(75,71)들 사이의 수직 틈부 안으로, 및 축(70,71)들 상에 있는 한 쌍의 결합기어들의 경로 안으로 들어간다. 결합기어들이 주머니를 한번 맞물면, 이들 기어들은 이것들의 결합면을 가로질러 주머니를 당기도록 진행된다. 주머니 안에 남아있는 어떤 물체들은 너무커서 하우징(70,71)들 사이에 있는 수직의 틈부로 들어갈 수 없으며, 이러한 물체들은 주머니를 거쳐서 경사로(52) 상으로 밀려진다. 주머니(87)의 찌꺼기들이 스트레이너 조립체(60)의 다른 측부 밖으로 움직임으로써, 이들 찌꺼기들은 이것들을 쓰레기통(도시안됨)으로 이송하는 흡입파이프(73)에 의하여 수집된다.Although most of the objects in each bar are removed by the preceding process, some objects usually remain at the edges of the bag. Strainer assembly 60 and guide bars associated with the device are used to retrieve these objects. The open plastic bag 87 is attracted between the lower guide bars 75, 76 and the upper right guide bar 78 by one or more spokes 13 across the lower guide bars 75, 76. . The pocket then enters into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housings 75 and 71 and into the path of the pair of coupling gears on the axes 70 and 71. Once the engagement gears engage the pockets, these gears proceed to pull the pockets across their engagement surfaces. Some objects remaining in the pocket are too large to enter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housings 70, 71, and these objects are pushed onto the ramp 52 via the pocket. As the debris of the pouch 87 moves out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iner assembly 60, these debris are collected by the suction pipe 73 which transports them to the trash can (not shown).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한쌍의 체인(90 및 91)들은 안내트랙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 경로를 통하여 각각 연장하고, 이들 안내트랙들은 도면부호(92,93)로서 지시된다. 각각의 안내트랙(92,93)들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트랙 구역과 하부트랙 구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슈트(95)는 제1실시예의 슈트(33)와 일치하는 기능을 가지고, 한쌍의 톱니 달린 바퀴(96)들은 제1실시예에 있는 한쌍의 바퀴(35)들과 일치하는 기능을 가진다. 체인(90)은 스프라켓(97,98) 주위로 연장하고, 체인(91)은 스프라켓(99,100)주위로 연장한다. 체인(90,91)들은 체인들 상에 설치된 일련의 바퀴살(102)들을 가진다. 제1실시예와 달리, 바퀴살(102)들의 각각은 수직으로 연장하고, 점으로된 뾰족한 상부단부를 가진다. 안내트랙(92,93)들을 통한 바퀴살(102)들의 움직임이 꾸준하도록, 각각의 바퀴살은 바퀴살에 설치된 한쌍의 캐리어 바퀴(103)들을 가지고, 각 바퀴(103)의 회전축선은 바퀴살의 세로 축선과 일렬로 연장한다. 각 쌍의 캐리어 바퀴들 중 한쪽 바퀴(103)는 안내트랙(92,93)들 중 어느 하나의 상부트랙 구역에 올라타고, 다른쪽 바퀴(103)는 하부트랙 구역에 올라탄다. 흡입 파이프(104)는 스프라켓(98,100)들의 중앙부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하고, 흡입 파이프(104)의 하부단부는 바퀴살(102)들의 상부단부를 통하여 연장하는 평면 약간 위에서 종료한다. 콘베어 시스템(105)은 안내트랙에서 움직이는 바퀴살들에 의하여 파지된 주머니에서 떨어진 물체를 수집하기 위하여 안내트랙(92,93)들 사이에 있는 지역 아래에서 연장된다.7 to 9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chains 90 and 91 extend through paths partially formed by guide tracks, respectively, and these guide tracks ar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92 and 93. Each of the guide tracks 92 and 93 comprises an upper track section and a lower track section as shown in FIG. The chute 95 has the function of matching the chute 33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air of toothed wheels 96 have the function of matching the pair of wheels 35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hain 90 extends around the sprockets 97 and 98, and the chain 91 extends around the sprockets 99 and 100. The chains 90, 91 have a series of spokes 102 installed on the chain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each of the spokes 102 extends vertically and has a pointed upper end in dots. In order for the movement of the spokes 102 through the guide tracks 92 and 93 to be steady, each spoke has a pair of carrier wheels 103 installed on the spokes, the axis of rotation of each of the wheels 103 being in line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pokes. Extend in line. One wheel 103 of each pair of carrier wheels rides on the upper track zone of either of the guide tracks 92, 93, and the other wheels 103 ride on the bottom track zone. The suction pipe 104 extends vertically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s of the sprockets 98,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ipe 104 terminates slightly above the plane extend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pokes 102. The conveyor system 105 extends below the area between the guide tracks 92 and 93 to collect objects away from the pockets held by the wheels moving in the guide tracks.

본 장치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장치와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충만된 쓰레기 주머니가 슈트(95) 위로 배치되고, (107)의 위치를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102) 위로 미끄러진다. 병렬의 바퀴살(102)들은 직선상에서 이탈하고, 인접한 주머니 표면에 구멍을 만든다. 그리고 나서, 짧은 거리 때문에, 병렬의 바퀴살(102)들은 바퀴살들 사이에서 비워진 주머니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경로와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병렬의 바퀴살(102)들은 이것들 각각이 스프라켓(98,100)들 주위를 통과함으로써 다시 모아지고, 비워진 주머니 상에 있는 바퀴살들의 유지는 이에 따라서 느슨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주머니는 흡입 파이프(104) 아래를 통과하고, 흡입 파이프는 바퀴살들 밖으로 비워진 주머니들을 당기고, 쓰레기통(도시안됨) 안으로 주머니를 넣는다. 제10도에 도시된 것은 제1실시예를 위한 대안적인 스트레이너 장치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워엄기어(121) 안에 있는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기어박스(121) 안에 있는 워엄휠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 부재(122) 안에 있는 베어링 상에 설치되고, 제1롤러(124)의 수평축(123)에 연결된다. 제1롤러(124)는 강재 원통이고, 약 2.54cm(1inch) 두께의 연한 우레탄 원통 타이어(125)로 둘러 싸인다. 제2롤러(128)의 수평축(127)은 프레임 부재(122) 안에 있는 베어링 상에서 지지된다. 제1롤러(124)와 유사한 제2롤러(128)도 강재 원통이고 약 2.54cm(1inch) 두께의 연한 우레탄 원통 타이어(129)로 둘러싸인다. 수평축(123,127)들은 타이어(125)가 타이어(129)에 대향하여 계속적으로 누르도록 간격을 가지고 프레임 부재(122)에 설치된다 : 이러한 접촉은 제2롤러(128)를 제1롤러(124)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지만, 방향은 반대이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perates in a similar manner to the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ull bag of rubbish is disposed over chute 95 and slides over the spokes 102 moving past the position of 107. The parallel spokes 102 deviate in a straight line and make a hole in the adjacent pocket surface. Then, because of the short distance, the parallel spokes 102 move in parallel with the path keeping the emptied pockets taut between the spokes. The parallel spokes 102 are then reassembled by passing each of them around the sprockets 98, 100, and the retention of the spokes on the empty pocket becomes loose accordingly. The pouch then passes under the suction pipe 104, which pulls the pouch emptied out of the wheels and puts the pouch into the trash (not shown). Shown in FIG. 10 shows an alternative strainer device for the first embodiment. This device includes a motor that drives the worm in the worm gear 121. The worm wheel in the gearbox 121 is installed on a bearing in the frame member 122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xis 123 of the first roller 124. The first roller 124 is a steel cylinder and is surrounded by a light urethane cylindrical tire 125 about 2.54 cm (1 inch) thick. The horizontal axis 127 of the second roller 128 is supported on a bearing in the frame member 122. The second roller 128, similar to the first roller 124, is also a steel cylinder and is surrounded by a light urethane cylindrical tire 129 about 2.54 cm (1 inch) thick. The horizontal shafts 123 and 127 are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122 at intervals such that the tire 125 continuously presses against the tire 129: this contact causes the second roller 128 to contact the first roller 124. Rotate at the same angular velocity, but in the opposite direction.

대안적인 스트레이너 장치는 캠판(132)의 작용면이 타이어(125)에 인접하도록 축(127)상에 설치된 캠판(132)을 추가로 포함한다. 캠판(132)은 최대 반경이 최소 반경보다 약 0.3175cm 정도 큰 편심을 가지고, 최대 반경은 캠판(132)상에 있는 최소 반경으로부터 180°벗어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 부재(134) 상에 있는 베어링에 설치되는 것은 한쌍의 바아(136)들에 고정되는 선회축(135)이다. 제2롤러(128) 위에서 연장하는 바아(136)들은 아치형판(137)에 일체로 연결되고, 아치형판(137)은 타이어(125,129)들 사이의 접촉선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수평홈부(128)의 상부 부리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금속판(140)은 수평홈부(138)의 하부 부리부를 형성한다. 캠휠(142)은 바아(136)들 중 하나에 설치되고 자유롭게 회전한다. 캠휠(142)은 캠판(132)을 올라타도록 위치된다. 축(127) 및 캠판(132)이 회전함으로써 캠휠(142) 및 아치형판(137)은 왕복 수직 운동을 통하여 움직인다. 캠판(132)의 회전은 홈부(138)의 상부 및 하부 부리부 사이의 거리를 최소 0.3175cm(1/4inch)의 값과 최대 0.9525cm(3/8inch)의 값 사이에서 변하게 한다. 대안적인 스트레이너 장치는, 수평홈부(138)가 바퀴살(13)의 상부단부에 의하여 그려진 궤적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연장하도록, 그리고 홈부(138)의 한 단부와 롤러(124,128)들의 한 단부가 그 궤적에 인접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상에 설치된다. 아치형판(137)에 고정되는 것은, 바퀴살(137)들의 상부 단부로부터 아치형판(137)의 모든 수직 위치들을 향하여 작은 거리를 유지하는 쐐기형판(144)이다. 2개의 지지부재(145)들은 이것들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도록 판(137,144)들 사이로 연장한다.An alternative strainer device further includes a cam plate 132 mounted on the shaft 127 such that the working surface of the cam plate 132 is adjacent to the tire 125. The cam plate 132 has an eccentricity in which the maximum radius is about 0.3175 cm larger than the minimum radius, and the maximum radius is 180 ° away from the minimum radius on the cam plate 132. Installed in the bearing on the frame member 134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e pivot axis 135 which is fixed to the pair of bars 136. The bars 136 extending above the second roller 128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arcuate plate 137, and the arcuate plate 137 of the horizontal groove 128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contact line between the tires 125 and 129. To form the upper beak. The metal plate 140 fixed to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ms the lower beak of the horizontal groove 138. The camwheel 142 is installed on one of the bars 136 and rotates freely. The cam wheel 142 is positioned to ride the cam plate 132. As the shaft 127 and the cam plate 132 rotate, the camwheel 142 and the arcuate plate 137 move through reciprocating vertical movement. Rotation of the cam plate 132 cause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ak portions of the groove portion 138 to vary between a value of at least 0.3175 cm (1/4 inch) and at most 0.9525 cm (3/8 inch). An alternative strainer device is provided such that the horizontal groove 138 extends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trajectory drawn by the upper end of the spokes 13, and one end of the groove 138 and one end of the rollers 124, 128.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o as to be adjacent to. Secured to the arcuate plate 137 is a wedge plate 144 that maintains a small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spokes 137 toward all vertical positions of the arcuate plate 137. The two support members 145 extend between the plates 137 and 144 to maintain their relative positions.

하나의 바퀴살(13)에 걸린 플라스틱 주머니는 홈부(138)을 통하여 당겨지고, 한쌍의 타이어(125,129)들에 의하여 거의 즉시 포획된다. 바퀴살(13)에 대한 판(144)의 접근은 주머니 안에 남아있는 어떠한 물체도 바퀴살들 위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판(144)은 주머니 안에 있는 물체를 상기 판(137)에 대향하여 던져지는 것을 중단시키는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그러므로 유리병과 같은 물품의 깨짐을 방지한다. 판(144)의 바닥면은 홈부(138) 약간 위에서 평면으로 연장하고, 주머니 안에 있는 물체 상에서 판(144)의 접촉은 이것들의 경로가 홈부(138) 안으로 향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홈부(138)의 작은 치수는 주머니 안에 있는 재생물품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타이어(125,129)들이 이 물체들로부터 멀리 주머니를 벗기는 것을 허용한다. 때때로, 평평한 깡통 또는 유사한 얇은 물품들은 홈부(138)에 순간적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홈부(138)의 왕복운동이 이러한 끼워진 물품을 빼내는 것을 알게 된다.The plastic pouch caught on one wheel 13 is pulled through the groove 138 and captured almost immediately by a pair of tires 125, 129. The access of the plate 144 to the spokes 13 prevents any object remaining in the pocket from moving on the spokes. The plate 144 acts as a barrier to stop objects in the bag from being thrown against the plate 137 and thus prevents the breakage of articles such as glass bottles.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44 extends in a plane slightly above the groove 138 and the contact of the plate 144 on the object in the bag is arranged such that their path does not point into the groove 138. The small dimension of the groove 138 acts as a barrier to the remanufactured article in the bag and allows the tires 125 and 129 to take the bag away from these objects. Occasionally, flat cans or similar thin articles are instantaneously fitted into the grooves 138, where the reciprocation of the grooves 138 is found to pull out the sandwiched items.

제11도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부터 주머니 찌꺼기의 제거를 위한 대안적인 흡입구조이다. 대안적인 흡입구조는 주 흡입파이프수단(150) 및 보조 흡입파이프수단(151)을 가진다. 주 흡입파이프수단(150)은, 약 129.032cm2(20inch2)의 면적을 가지고 스트레이너 장치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파이프(153)를 포함한다. 파이프(153)는 한쪽 측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홈부를 가지고, 바퀴살(18)들의 경로가 그 홈부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파이프(153)로부터 바퀴살(13)들의 경로에서 대략 121.92cm(4feet) 아래에 위치되는 것은 보조 흡입 파이프수단(151)이다. 이 보조 파이프 수단은 각각 77.4192cm2의 면적을 가진 한쌍의 원형파이프(155,156)들을 포함한다. 파이프(155)는 이것의 하부 개방단부가 바퀴살(13)들의 상부단부 바로 위에 놓여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파이프(156)는 이것의 상부 개방단부가 바퀴살(13)들의 하부단부 바로 아래에 놓여 수직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53,155)들은 주머니 찌거기 수집통(158)으로 들어가는 공통의 흡입파이프(157)안으로 이송한다. 통(158)의 상부에는 팬(159)이 있으면, 팬은 파이프(157)에서 흡입을 만들고, 또한 파이프(156)를 통한 대응하는 배출공기흐름을 만든다. 파이프(155,156)들 사이의 강력한 합성 공기흐름은 바퀴살(13)들 외부에 남아있는 어떠한 플라스틱 찌꺼기들을 당기기에도 충분하다.Shown in FIG. 11 is an alternative suction structure for the removal of bag debris from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 alternative suction structure has a primary suction pipe means 150 and an auxiliary suction pipe means 151. Note intake pipe means (150), has an area of about 129.032cm 2 (20inch 2) comprises a rectangular pipe 153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rom the strainer apparatus. The pipe 153 has a rectangular groove portion formed at one side, and is arranged such that the path of the spokes 18 passes through the groove portion. It is the auxiliary suction pipe means 151 located approximately 121.92 cm (4 feet) below the path of the spokes 13 from the pipe 153. This auxiliary pipe means comprises a pair of circular pipes 155 and 156 each having an area of 77.4192 cm 2 . The pipe 155 is arranged such that its lower open end lies directly above the upper end of the spokes 13 and extends vertically, and the pipe 156 has its upper open end placed directly below the lower end of the spokes 13. It is arranged to extend vert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pipes 153 and 155 feed into a common suction pipe 157 that enters the bag residues 158. As shown in FIG. If there is a fan 159 at the top of the keg 158, the fan makes suction in pipe 157 and also creates a corresponding exhaust air flow through pipe 156. The strong synthetic airflow between the pipes 155, 156 is sufficient to pull any plastic residues remaining outside the spokes 13.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대안적인 주머니 이송장치를 도시한다. 충만된 주머니들은 한쌍의 경사측부부재(162)에 연결된 수평 플로어(161)를 가지는 구유(160) 안으로 쌓여진다. 연속적인 구동체인에 연결된 일련의 밀개(165,pushdofs)들이 플로어(161)에 있는 종방향의 홈부(164)를 통하여 연장한다. 구유(160)의 제1단부는 2세트의 바퀴살들이 가장 인접해 있는 초기에 논의된 (15)의 위치에 인접하여 끝난다. (15)의 위치 위에, 주머니 누름기구(17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에 설치된다. 제13도의 측면도에 도시된 기구(170)는 4개의 연결바아(171,172,173 및 174)들 뿐만 아니라 논의될 2개의 경사부재(175,176)들을 포함한다. 바아(171)의 한 단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에 (180)의 위치에서 경첩 연결된다. 정지시에, 바아(171)는 이것의 한쪽 단부로부터 수평에 대하여 약 60°의 각도로 아래로 연장한다. 바아(171)의 다른쪽 단부는 바아(172)의 한쪽 단부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정지시에, 바아(172)는 이것의 한 단부로부터 수평에 대하여 약 20°의 각도로 연장한 제1부분을 가지고, 제1부분으로부터 수평에 대하여 약 40°의 각도로 위로 연장한 일체의 제2부분을 가진다. 바아(172)의 다른쪽 단부는 짧은 바아(173)의 한 단부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바아(173)는 수평에 대하여 약 50°의 각도로 위로 연장한다. 바아(173)의 다른쪽 단부는 정지시에 바아(174)의 한 단부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바아(174)는 수평으로 연장한다. 바아(174)의 다른 단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으로 (181)의 위치에서 경첩 연결되는데, 이 프레임은 또한 평판(183)을 가지며, 평판은 아래로부터 지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평판의 수평정지 위치에서 바아(174)를 유지한다. 제13도에 도시한 치수 a, b, c, d 및 e는 각각 33.02cm(13inch), 45.72cm(18inch), 55.88cm(22inch), 22.88(9inch), 및 66.04cm(26inch)이다. 제13도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중스프링(184)들은 프레임 평판(183)으로부터 바아(171)로 세로로 나란히 연장하는데, 이 스프링들은 주머니 누름 기구(170)가 제13도에 도시된 정지위치에 있을 때 단지 약간의 하중을 전달한다.12, 13 and 14 show alternative bag conveying devices. The filled sacks are stacked into a trough 160 having a horizontal floor 161 connected to a pair of inclined side members 162. A series of pushers 165 connected to the continuous drive chain extend through the longitudinal grooves 164 in the floor 161. The first end of the trough 160 ends adjacent to the previously discussed position of 15 where the two sets of spokes are most adjacent. Above the position of 15, the bag pressing mechanism 170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instrument 170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13 includes four connecting bars 171, 172, 173 and 174 as well as two inclined members 175, 176 to be discussed. One end of the bar 171 is hinged at the position of 180 to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rest, the bar 171 extends down from one end thereof at an angle of about 60 ° to the horizontal. The other end of bar 171 is pivotally connected to one end of bar 172. At rest, the bar 172 has a first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thereof at an angle of about 20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an integral part extending up at an angle of about 40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om the first portion. It has two parts. The other end of bar 172 is pivotally connected to one end of short bar 173, and bar 173 extends upward at an angle of about 50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The other end of bar 173 is pivotally connected to one end of bar 174 at rest, and bar 174 extends horizontally. The other end of the bar 174 is hinged to the fra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the position of 181, which frame also has a plate 183, the plate being horizontal to the plate by providing support from below. Hold bar 174 in the rest position. The dimensions a, b, c, d and e shown in FIG. 13 are 33.02 cm (13 inches), 45.72 cm (18 inches), 55.88 cm (22 inches), 22.88 (9 inches), and 66.04 cm (26 inches), respectively. As also shown in FIG. 13, a pair of heavy springs 184 extend vertically side by side from the frame plate 183 to the bar 171, which springs show the pocket pressing mechanism 170 shown in FIG. 13. When in stop position, only a slight load is transmitted.

바아(172)의 제2부분에 고정된 내부 경사부재(175)는 한쌍의 둘레플랜지(186)를 가지는 판(185)이다. 각각의 둘레 플랜지(186)는 바아(172)와 평행한 한쌍의 판(185) 가장자리 중 하나를 따라서 끝부분을 이룬다. 한 쌍의 귀부분(187)들에 의하여 바아(172)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외부경사부재(176)는 한쌍의 판(188)들로부터 형성되고, 판(188)은 둘레 플랜지(189)를 각각 지지하고 U-자형 부재(190)에 의하여 연결된다. 강성 요소(191)는 또한 각각의 판(188)들로부터 둘레 플랜지(189)와 평행하게 연장한다. 외부경사부재(176)의 정지 위치에서, 판(188)들은 내부 경사부재(175)의 판(185)상에서 정지한다. 내부 경사부재(175)는 외부 경사부재(176) 상에서 눌리게 되는 것들 보다 작은 크기의 주머니들을 누르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The inner inclined member 175 fix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bar 172 is a plate 185 having a pair of peripheral flanges 186. Each circumferential flange 186 ends along one of the pair of plate 185 edges parallel to the bar 172. An outer sloping member 176 pivotably connected to the bar 172 by a pair of ear portions 187 is formed from a pair of plates 188, which plate 188 defines a circumferential flange 189. Each supporting and connected by a U-shaped member 190. Rigid element 191 also extends from each plate 188 in parallel with circumferential flange 189. In the rest position of the outer inclined member 176, the plates 188 stop on the plate 185 of the inner inclined member 175. The inner inclined member 175 is sized to press pockets of smaller size than those pressed on the outer inclined member 176.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대안적인 주머니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한다. 일련의 충만된 주머니들은 구유(160) 안으로 쌓여지고, 밀개(165)는 주머니들을 구유(160)의 제1단부를 향하여 밀어낸다. 처음에는 일렬로 있는 주머니가 바퀴(11,12)들 상에 있는 바퀴살(13)들에 의하여 잡아 채여지고, 주머니 누름기구(170)를 향하여 밀려진다. 큰 주머니들은 외부 경사부재(176)의 둘레 플랜지(189) 및 강성 요소(191)들을 접촉하고, 안내접촉을 유지하는 동안 이 부재를 위로 향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작은 주머니들은 초기에 내부 경사부재(175)의 둘레 플랜지(186)와 접촉한다. 주머니가 둘레 플랜지(186)들을 향하여 누르기 시작함으로써, 바아(171,172, 및 173)들은 제13도에 도시된 좌측으로 움직여서 스프링(184)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나서, 바아(172,173, 및 174)들은 주머니가 (15)의 위치에 있는 바퀴살(13)들에 의하여 잡히고 주머니 누름기구(170) 아래에서 당겨짐으로써 위로 향하여 움직이기 시작한다. 내부 경사부재(175)(큰 주머니의 경우에 외부 경사부재(176))는 주머니 상에서 아래로 향하여 누르고, 병렬의 바퀴살(13)들은 주머니를 개방하도록 찢는다. 그리고 나서, 주머니 누름기구(170)는 다음의 충만된 주머니 상에서 누름 기구의 작용을 시작할 시점에 임박하여 정지위치로 복귀한다.The alternative bag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S. 12, 13 and 14 operates in the following manner. A series of filled pouches are stacked into the trough 160, and the seal 165 pushes the pouches towards the first end of the trough 160. Initially, the lined pockets are grabbed by the spokes 13 on the wheels 11 and 12 and pushed towards the pocket presser 170. Large pockets contact the circumferential flange 189 and the rigid element 191 of the outer inclined member 176 and allow the member to rotate upward while maintaining guide contact. The small pockets initially contact the circumferential flange 186 of the inner bevel member 175. As the pouch begins to press against the peripheral flanges 186, the bars 171, 172, and 173 move to the left shown in FIG. 13 to extend the spring 184. The bars 172, 173, and 174 then begin to move upwards as the pocket is picked up by the spokes 13 at the position of 15 and pulled under the pocket presser 170. The inner inclined member 175 (outer inclined member 176 in the case of a large pocket) is pressed downwards on the pocket, and the parallel spokes 13 tear to open the pocket. Then, the bag pressing mechanism 170 returns to the stop position imminently at the time when the action of the pressing mechanism is started on the next filled bag.

제15도는 제10도 내지 제14도의 대안적인 구조설비의 제1실시예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한다. 제1실시예에 대하여 어떠한 추가적인 작은 수정들이 또한 도시되었다. 제4a도에 도시된 안내바아(75,76 및 78)들은 캠바아(80) 및 수직 지주(81)를 가짐으로써 제거되었다. 제15도는 한쌍의 고정 강재링(195)들의 추가를 도시한다. 각각의 링은 각 바퀴(11,12)들의 외부에 놓여 바퀴들 상에 있는 바퀴살(13)들을 인접한다. 각각의 링(195)은 강성의 아치형 강재 커텐(196)의 상부 가장자리에 용접된 링의 하부 가장자리를 가짐에 의하여 그 위치가 유지되고, 강재 커텐은 경사로(52)에 용접된다. 링(195)은, 링의 상부 가장자리가 스트레이너 장치의 판(144)을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13)들의 상부 단부의 경로를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무거운 고무매트(197)는 (15)의 위치 아래로부터 경사로(52)로 연장하고, 매트(197)의 각 측부는 각 커텐(196)의 한 단부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설비는 개방된 주머니들에서 떨어지는 물체가 바퀴(11,12)들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4a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로부터 또다른 변형은 무거운 고무 플랩(198)으로써 판(82)을 대체하는 것이다.FIG. 15 shows the relative position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lternative rescue arrangements of FIGS. 10-14. Any further small modifications are also shown for the first embodiment. The guide bars 75, 76 and 78 shown in FIG. 4A have been removed by having cam bars 80 and vertical struts 81. 15 shows the addition of a pair of fixed steel rings 195. Each ring lies outside of each wheel 11, 12 to adjoin the spokes 13 on the wheels. Each ring 195 is held in position by having a lower edge of the ring welded to the upper edge of the rigid arcuate steel curtain 196, and the steel curtain is welded to the ramp 52. The ring 195 is arranged such that the upper edge of the ring extends adjacent the path of the upper end of the spokes 13 moving past the plate 144 of the strainer device. The heavy rubber mat 197 extends from below the position of 15 to the ramp 52 and each side of the mat 197 partially extends over one end of each curtain 196. This arrangement prevents objects falling from open pockets from being caught on the wheels 11, 12. Another variant from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A is to replace the plate 82 with a heavy rubber flap 198.

제10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된 대안적인 구조설비의 사용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향상된 작동속도가 달성되어진다.Through the use of the alternative rescue equipment shown in FIGS. 10 to 15, an improved operating speed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chieved.

Claims (28)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개방과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장치로서, a) 제1회전평면에서 움직이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적합한 한쪽과, 제2회전평면에서 움직이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적합한 다른쪽의 두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그리고 상기 두 개가 상기 제1 및 제2회전평면들이 동일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두 개의 서로에 대하여 접선 분리 관계로 연장하는 곳에서 하나의 접근위치가 존재하도록 하는 한쌍의 바퀴들과; b) 상기 각 바퀴의 회전평면이 동일 측부상에서 그 회전평면에 대하여 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바퀴들 각각의 외주부 상에서 분리된 관계로 설치된 일련의 바퀴살들과; c) 상기 두 개의 바퀴들 상에 있는 바퀴살들의 결과적인 이탈이 주머니의 제1표면에 찢김선을 만들게 작용하도록, 상기 바퀴살들이 주머니의 제1표면을 침투하게 되는 접근 위치를 지나서 이동하는 상기 바퀴살들 상으로 주머니를 누르기 위한 수단과; d) 각 바퀴의 외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과; 그리고 e) 각 바퀴의 외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진공수집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바퀴들의 접선 분리 관계 및 동일한 바퀴상에서 인접한 바퀴살들 사이의 간격은, 2개의 바퀴상에 있는 바퀴살들이 접근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주머니의 제1표면에 형성된 상기 찢김선들이 주머니의 내용물 전부 또는 일부가 통하여 떨어지기 적합한 하나의 연속적인 구멍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만큼 충분히 접근할 정도이고, 상기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은 당김(starining) 및 요동(oscillating)의 결합작용을 통하여 주머니 안에 남아있는 어떠한 내용물도 비우기에 적합하고, 상기 진공수집수단은 비워진 주머니를 수집하기에 적합하게 된 장치.Apparatus for opening the filled plastic bag and removing the filled contents, comprising: a) one side adapted to move clockwise and rotate in the first rotational plane and the other adapted to rotate counterclockwise in the second rotational plane; One approach, where the two rotate at the same angular velocity, and the two cause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planes to be coplanar and extend in tangential separation with respect to the two A pair of wheels to allow the position to exist; b) a series of spokes installed in a separate relationship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wheels such that the plane of rotation of each wheel extends on the same side main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rotation; c) the spokes moving past an access position where the spokes penetrate the first surface of the pocket, such that the resulting departure of the spokes on the two wheels acts to create a tear line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ocket Means for pressing the pouch onto; d) oscillatory strainer means disposed adjacent the outer periphery of each wheel; And e) a vacuum collecting mean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each wheel, wherein the tangential separation relationship of the wheels and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wheels on the same wheel are away from the access position of the wheels on the two wheels. And the tear line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bag are sufficiently close enough to be connected so as to form one continuous hole suitable for all or a portion of the bag's contents to fall through, and the oscillating strainer means being starining and Apparatus adapted to empty any contents remaining in the bag through the coupling action of oscillating, and wherein the vacuum collecting means is adapted to collect the empty b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은 각각의 롤러 회전축선이 서로 평행하고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각각 설치된 한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롤러들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의 원통표면이 당김선을 따라서 결합하도록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당김선은 롤러들의 한쪽 단부를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 상에 걸린 주머니가 당김선 안으로 당겨지도록 위치되며, 상기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은 또한 상기 한쌍의 롤러들 앞에서 연장하고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가지는 요동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당김선으로 들어가는 주머니들이 홈부를 통하여 당겨지도록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당김선의 앞에 놓여진 장벽에 있는 요동성 홈부의 한쪽 부리부를 형성하며, 주머니 안에 있는 어떠한 내용물도 상기 홈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상기 제2부분이 상기 홈부에 들어가는 주머니들에 대향하여 움직이기 위한 요동성 안내부를 형성하는 장치.The 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scillatory strainer means comprises a pair of rollers each installed such that each roller axis of rotation extends parallel and horizontally to each other, the two roller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roller is pulled. Apart from each other to engage along, the pull lines are positioned so that the pockets caught on the wheels moving past one end of the rollers are pulled into the pull lines, the oscillating strainer means also extending in front of the pair of rollers and forming a first portion. And a oscillating member having a second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forms one beak of the oscillating groove portion in the barrier placed in front of the pulling line so that the sacks entering the pull line are pulled through the groove portion. No contents that enter the groove Apparatus for forming the second portion helps to guide the yodongseong to move opposite to the pockets into the grooves that portion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성 부재 및 상기 한쌍의 롤러들이 동일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장치.3.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oscillating member and said pair of rollers are driven by the same drive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집수단의 일부분 이상이 요동성 스트레이너 수단에 바로 인접하여 각 바퀴의 회전에 대하여 그 스트레이너 수단의 아래에 있도록 위치되는 장치.2.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said vacuum collecting means is positioned to b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oscillatory strainer means and beneath said strainer mean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each whe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집수단의 일부분 이상이 한쌍의 롤러들에 인접하여 각 바퀴의 회전에 대하여 이들 롤러들의 아래에 있도록 위치되는 장치.3.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said vacuum collecting means is positioned adjacent to a pair of rollers and below these roll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each w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퀴의 외주부에 인접하여 정지링이 놓이고, 각각의 링은 바퀴 상에 있는 상기 바퀴살들에 의하여 형성된 원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가지며, 바퀴 상에 있는 상기 바퀴살들은 상기 각 링에 인접한 링의 내부에서 움직이며, 상기 링은 상기 스트레이너 수단에 인접하여 연장한 링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가 스트레이너 수단을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들의 상부 단부를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장치에 설치되는 장치.2. The wheel of claim 1 wherein a stop ring is placed adjacent the outer periphery of each wheel, each ring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le formed by the wheels on the wheels. Are moved in an interior of a ring adjacent to each ring, the ring being installed in the apparatus such that the upper edge of the portion of the ring extending adjacent to the strainer means extends adjacent the upper end of the spokes moving past the strainer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누름수단은 편향된 유연성 구조의 다수의 링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들 중 하나는 주머니 상에서 누르기 위한 판수단을 가지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ag press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links of deflected flexible structure, one of the links having plate means for pressing on the ba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구조는 상자형 구성으로 서로 직렬로 경첩 연결된 4개의 링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외부 링크의 외부 단부는 장치의 프레임에 경첩 연결되고, 상기 유연성 구조는 정지위치에서 장치의 프레임상에서 수직하여 지지되고 움직임후에 그 정지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수단에 의하여 편향되며, 주머니는 처음에 상기 판수단과 접촉하고 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유연성 구조를 움직이며, 상기 편향수단은 접근위치에 있는 바퀴 상의 상기 바퀴살들에 대향하여 상기 주머니를 누르도록 작용하고 나서 정지위치로 상기 유연성 구조를 복귀시키는 장치.8. The flexible structure of claim 7, wherein the flexible structure comprises four links hi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 box-like configuration, the outer end of each outer link being hinged to the frame of the device, the flexible structure being in a stationary position. Deflected by the biasing means to be vertically supported on the frame of and to return to its stop position after movement, the pocket initially contacting the plate means and moving the flexible structure from the stop position, the deflection means being in the approach position Acting to press the pocket against the spokes on the wheel and then return the flexible structure to the rest position.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집수단은 각 바퀴의 회전에 대하여 한 부분의 아래에 배치되는 다른 부분을 가지고, 상기 진공수집수단의 상기 다른 부분은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바퀴살의 경로 상부로 연장하는 하나와 그리고 하부로 연장하는 하나로 된 한쌍의 고정된 수직 파이프 구역을 포함하고, 고정된 위치를 지나서 움직이는 바퀴살들을 가로기르는 위로 향한 공기 기둥을 만들도록 동일한 유동 속도로 하부 파이프 구력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고 상부 파이프 구역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장치.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vacuum collecting means has another part disposed below one par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each wheel, wherein the other part of the vacuum collecting means has a path of the wheel in a fixed position. Air from the lower pipe thrust at the same flow rate to create an upwardly air column traversing the spokes moving across the fixed position, including a pair of fixed vertical pipe sections extending one upward and one downward; Device that exhausts and sucks air in the upper pipe section. 충만된 플라스틱 주머니의 개방과 채워진 내용물의 제거를 위한 장치로서, (a) 제1회전평면에서 움직이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적합한 하나의 루프와, 제2회전평면에서 움직이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적합한 다른 루프호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루프가 상기 제1회전평면 및 제2회전평면들이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하며 상기 2개의 루프 서로에 대하여 접선 분리 관계로 연장하는 곳에서 하나 이상의 접근위치가 존재하도록 하는 한쌍의 무한루프들과; (b) 상기 각 루프의 회전평면이 동일 측부상에서 그 회전평면에 대하여 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루프들 각각의 외주부 상에서 분리된 관계로 설치된 일련의 바퀴살들과; (c) 상기 바퀴살들이 특별한 접근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2개의 루프 상에 있는 바퀴살들의 결과적인 이탈이 바퀴살 상에 올려진 주머니 표면에 찢김선에 만들게 작용하도록, 접근위치들 중 하나를 지나서 움직이는 이 바퀴살들 상에 주머니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과; (d) 상기 특별한 접근위치로 채워진 주머니를 운반하기 위한 수단과; (e) 상기 특별한 접근위치를 지나서 움직이는 이러한 바퀴살들을 향하여 상기 주머니를 누르기 위한 수단과; (f) 내용물들이 상기 주머니로부터 떨어진 후에, 상기 주머니의 내용물들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g) 내용물들이 상기 주머니로부터 떨어진 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퀴살들로부터 상기 주머니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루프들의 접선 분리 관계 및 동일한 루프상에서의 인접한 바퀴살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2개의 루프상에 있는 바퀴살들이 상기 특별한 접근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주머니의 표면에 형성된 찢김선들이 주머니의 내용물 전부 또는 일부가 통하여 떨어지기 적합한 하나의 연속적인 구멍을 형성하도록 연결될만큼 충분히 접근할 정도인 장치.Apparatus for opening the filled plastic bag and removing the filled contents, comprising: (a) one loop suitable for moving clockwise and rotating in the first rotational plane and rotating counterclockwise in the second rotational plane; Other suitable loop arcs, wherein the two loops ar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planes are coplanar and at least one approach position exists where the two loops exte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 pair of infinite loops; (b) a series of wheels installed in a separate relationship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loops such that the plane of rotation of each loop extends mainly on a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rotation on the same side; (c) teeth moving past one of the access positions such that as the spokes move away from a particular approach position, the resulting departure of the spokes on the two loops acts on the tear line on the pocket surface on the wheel. Means for positioning a pouch on the spokes; (d) means for carrying a bag filled with said special access position; (e) means for pressing the pouch against these spokes moving over the particular access position; (f) means for collecting the contents of the bag after the contents have been removed from the bag; And (g) means for removing the pocket from one or more spokes after the contents have been removed from the pocket, wherein the tangential separation relationship of the loops and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spokes on the same loop, As the spokes on the two loops move away from the particular access position, the tear lin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g may be sufficiently accessible to connect to form one continuous hole suitable for all or part of the bag's contents to fall through. Device that is degre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은 상기 주머니들이 그 면 상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지는 각도로 배치되는 슈트이고, 상기 슈트의 하부 단부가 상기 특별한 접근위치에서 끝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vehicle is a chute disposed at an angle at which the pockets slide freely on its face, the lower end of the chute ending at the particular approach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내용물 수집수단이 경사로 및 콘베이어 벨트이고, 상기 경사로는 상기 주머니로부터 떨어진 상기 주머니의 내용물들을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무한 루프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콘베어 벨튼든 상기 경사로를 벗어나는 물체들을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로의 기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장치.11. The bag of claim 10 wherein said bag contents collection means are ramps and conveyor belts, said ramps being disposed below said endless loops to collect the contents of said bag away from said bag, wherein said conveyor belts are departed from said ramps. And arranged to extend across the base of the ramp to collect object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제거수단이 진공 흡인구조인 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said bag removing means is a vacuum suction structu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은 상기 주머니들이 그 면 상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지는 각도로 배치되는 슈트이고, 상기 슈트의 하부 단부가 상기 특별한 접근위치에서 끝나며, 상기 누름 수단은 선회 아암의 외부 단부상에서 지지되는 바퀴이고, 상기 아암의 내부단부가 장치의 프레임상에서 회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11. The conveying means of claim 10, wherein the conveying means is a chute arranged at an angle at which the pockets slide freely on its face, the lower end of the chute ends at the particular approach position, and the pressing means is supported on the outer end of the pivoting arm. And an inner end of the arm is installed for rotation on the frame of the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무한 루프는 바퀴의 림이고, 각 바퀴의 림이 다른 바퀴의 림에 대하여 접선 분리 관계로 연장하는 곳에서 오직 하나의 접근 위치가 존재하는 장치.12.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each endless loop is a rim of a wheel and there is only one access position where the rim of each wheel extends in tangential separation relative to the rim of another whee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무한 루프는 체인이고, 상기 한쌍의 체인들이 서로에 대하여 접선 분리 관계로 연장하는 곳에서 2개의 접근위치가 존재하며, 상기 접근위치 중 하나는 특별한 접근위치이며, 다른 접근 위치는 주머니 제거수단의 위치인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each infinite loop is a chain, and there are two access positions where the pair of chains extend in tangential sepa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e of the access positions being a special access position, Another access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bag removal mea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바퀴살들은 상기 바퀴살이 상기 루프가 부착점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빗면을 가지도록 상기 각 루프에 부착되는 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respective spokes are attached to each loop such that the spokes have a sla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op moves at the point of attachmen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바퀴살들이 특별한 루프의 내부를 향한 빗면을 또한 가지도록 상기 각 루프에 부착되는 장치.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respective spokes are attached to each loop so that they also have a slant towards the inside of the particular loop. 제10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바퀴살들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장치.19. A device according to any of claims 10, 17 and 18, wherein each of the spokes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제10항, 제17항,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원형 단면을 가지는 장치.19. An apparatus as claimed in any of claims 10, 17 and 18 having the respective circular cross s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바퀴살들이 주머니 표면을 접촉하기 위한 선 가장자리를 가지고, 각 바퀴살 상에 있는 상기 선 가장자리는 상기 바퀴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장치.The device of claim 10, wherein each of the spokes has a line edge for contacting the pocket surface, wherein the line edge on each wheel is arranged to exten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pok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를 위치시키는 수단이 꺽인 원추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요소들이고, 상기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는 요소의 회전축선이 제1각도에서 각 바퀴의 회전 축선과 상호 교차하도록 하는 각 바퀴에 대한 회전을 위하여 배치되고, 각 요소의 보다 큰 단부 주위로 평평한 환형링이 연장하며, 각 링의 외부 표면이 각 요소의 회전축선에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각 링의 외주 및 상기 각 바퀴의 상기 림이 상기 접근위치에서 서로 인접하여 움직이고, 상기 2개의 요소들 상에 있는 원추형 경사부가 상기 접근위치에 주머니를 위치시키도록 작용하는 장치.16. The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means for positioning the bag is a pair of elements having a curved cone shape, wherein each element of the elements is such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element crosses the axis of rotation of each wheel at a first angle. Arranged for rotation about the wheels, with a flat annular ring extending around the larger end of each element, the outer surface of each ring being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axis of rotation of each element, the outer periphery of said ring and said angle Wherein the rim of the wheel mov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pproaching position, and the conical incline on the two elements acts to position the pocket in the approaching position. 제2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강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강성부재는 장치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접근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움직이는 주머니들의 상부 부분의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강성부재가 상기 바퀴살들에 의하여 주머니 표면에 만들어진 구멍이 상기 주머니의 상기 상부 부분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각각의 주머니를 회전시키는 장치.23. The device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rigid members, the rigid members extending across the pa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ckets moving away from the frame of the device in the access position, the rigid members being the spokes. Rotating each pocket so that a hole made in the surface of the pocket extend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pocket. 제22항에 있어서, 한쌍의 판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판은 각각의 링으로부터 상기 링 상에서 전달되는 어떤 물체들을 밀어내기 위하여 각각의 링 표면 약간 위에서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장치.23. The apparatus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plates, each plate being arranged to extend at right angles slightly above each ring surface to push out any objects carried on the ring from each ring. 제22항에 있어서, 한쌍의 주머니 스트레이너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스트레이너 수단은 스트레이너 조립체와 일련의 안내레일들을 포함하며, 각 스트레이너 조립체는 각 바퀴의 외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바퀴의 림에 인접한 당김선을 형성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인접한 원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퀴들 중 한 바퀴의 상기 바퀴살들 상에 걸린 주머니는 상기 각각의 일련의 안내레일들에 의하여 상기 각 스트레이너 조립체의 상기 당김선으로 안내되고, 상기 스트레이너 조립체 각각의 상기 원통부재는 주머니 안에 남아있는 어떠한 물체도 주머니로부터 당기기에 적합하게 된 장치.23. The apparatus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pocket strainer means, each strainer means comprising a strainer assembly and a series of guide rails, each strainer assembly disposed adjacent to an outer periphery of each wheel and And a pair of adjacent cylindrical members that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form a pull line adjacent to the rim, wherein the pockets on the wheels of one of the wheels are secured by the respective series of guide rails. And a cylindrical member of each strainer assembly adapted to pull any object remaining in the bag from the bag.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인접한 원통부재가 한쌍의 원통기어이고, 상기 당김선이 상기 한쌍의 기어들 상에 있는 치형부들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선인 장치.27. The apparatus of claim 25, wherein the pair of adjacent cylindrical members is a pair of cylindrical gears, and the pull line is a joining line formed by engagement of teeth on the pair of gears.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스트레이너 수단에 의한 주머니의 당김 후에, 각각의 주머니들을 수집하도록 위치되는 진공 흡입 구조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27. The apparatus of claim 25, further comprising a vacuum suction structure positioned to collect respective bags after the bag is pulled by the bag strainer mean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체인들은 각각의 제1바퀴 및 제2바퀴 주위로 연장하며, 상기 특별한 접근위치는 한쌍의 제2바퀴들 사이에 있으며, 상기 각각의 체인들은 상기 제1바퀴로부터 상기 제2바퀴로 이동할 때 각각의 고정된 트랙을 통하여 움직이고, 상기 트랙들은 상기 체인들이 상기 제1바퀴 또는 제2바퀴 중 어느 하나 주위를 움직일 때 보다 상기 트랙들을 움직일 때 더 큰 간격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each of the chains extends arou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heels, wherein the particular approach position is between a pair of second wheels, each of the chains from the first wheel. Move through each fixed track when moving to the second wheel, the tracks having a greater spacing distance when moving the tracks than when the chains move around either the first wheel or the second wheel Device deployed.
KR1019910002617A 1990-02-20 1991-02-19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KR01819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010,489 1990-02-20
CA002010489A CA2010489C (en) 1990-02-20 1990-02-20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CA2023501 1990-08-17
CA2,023,501 1990-08-17
CA002023501A CA2023501C (en) 1990-08-17 1990-08-17 Modified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331A KR910021331A (en) 1991-12-20
KR0181962B1 true KR0181962B1 (en) 1999-04-15

Family

ID=2567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617A KR0181962B1 (en) 1990-02-20 1991-02-19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443999B1 (en)
JP (1) JPH0780494B2 (en)
KR (1) KR0181962B1 (en)
AT (1) ATE105806T1 (en)
AU (1) AU645289B2 (en)
DE (1) DE69101989T2 (en)
DK (2) DK0443999T3 (en)
ES (1) ES2052356T3 (en)
FI (1) FI92671C (en)
IE (1) IE65800B1 (en)
NZ (1) NZ237153A (en)
TW (1) TW199133B (en)
WO (1) WO199300398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56B1 (en) * 2008-05-16 2011-02-07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Apparatus for opening a cap for cylindrical and elongated 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39412A (en) * 1991-08-15 1995-06-27 Crumb Craft Nz Ltd Removing bags from bagged articles such as bread; the bagged article is fed to a machine which cuts the bag and separates the article from the bag
WO1994018109A1 (en) * 1993-02-01 1994-08-18 Tuta Laboratories (Aust) Pty Ltd Device for opening blood bags
DE4413254A1 (en) * 1994-04-16 1995-10-19 Johannes Bauer Maschinen Und A Procedure for opening filled bag
NL9401966A (en) 1994-11-24 1995-09-01 Busschers Metaalbedrijf Bv Device for opening bags.
EP0864499A1 (en) * 1997-03-14 1998-09-16 Compagnie Générale d'Entreprises Automobiles C.G.E.A. Process to open bags
CN102673817B (en) * 2012-04-29 2013-09-04 上海工程技术大学 Closing and sealing device of plastic object bags
WO2019087117A1 (en) * 2017-11-01 2019-05-09 Gea Avapac Limited Apparatus for opening a package of powdered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3361A (en) * 1954-06-28 1957-08-20 Nat Dairy Prod Corp Apparatus for emptying containers of liquid
DE2554659A1 (en) * 1975-12-05 1977-06-16 Luco Technic Gmbh Machine for emptying paper and similar bags - has shredding and baling station for empty bags
US4478118A (en) * 1982-02-25 1984-10-23 Marion Laboratories, Inc. Method for recovering the contents of filled pharmaceutical capsules
JPS5910008U (en) * 1982-07-12 1984-01-21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Surface protrusion detection device for insulated wires
JPS60190605U (en) * 1984-05-28 1985-12-17 株式会社 東京製粉機製作所 bag opening machine
JPS6133921A (en) * 1984-07-13 1986-02-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eparator for paper
GB8509670D0 (en) * 1985-04-16 1985-05-22 Tuskprime Ltd Bag slitting & emptying machine
US4653973A (en) * 1985-08-05 1987-03-31 Fred Scholz De-packaging apparatus
SE451450B (en) * 1986-07-28 1987-10-12 Tomas Borglund SET AND DEVICE FOR EMPTYING OF PACKAGING, SEPARATELY CHECK
JPS6364612U (en) * 1986-10-16 1988-04-28
DE3902454C2 (en) * 1988-01-29 1995-06-29 Kirin Brewery Device for separating and removing a packaging material envelope
US4798508A (en) * 1988-03-25 1989-01-17 The Dow Chemical Company Machine and method for opening a filled bag, emptying the bag, and disposing of the empty bag
US5002451A (en) * 1989-12-26 1991-03-26 Ford New Holland, Inc. Waste material debagging apparatus
US5016397A (en) * 1990-03-23 1991-05-21 Daryle Higginbotham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wrappers from coin ro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56B1 (en) * 2008-05-16 2011-02-07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Apparatus for opening a cap for cylindrical and elongated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37153A (en) 1993-03-26
FI910806A (en) 1991-08-21
DK171175B1 (en) 1996-07-15
ATE105806T1 (en) 1994-06-15
EP0443999A1 (en) 1991-08-28
WO1993003988A1 (en) 1993-03-04
DK27691A (en) 1991-08-21
FI92671B (en) 1994-09-15
IE910555A1 (en) 1991-09-11
DK0443999T3 (en) 1994-08-08
DE69101989T2 (en) 1994-09-01
TW199133B (en) 1993-02-01
DE69101989D1 (en) 1994-06-23
DK27691D0 (en) 1991-02-18
FI92671C (en) 1994-12-27
KR910021331A (en) 1991-12-20
FI910806A0 (en) 1991-02-19
ES2052356T3 (en) 1994-07-01
IE65800B1 (en) 1995-11-15
JPH0780494B2 (en) 1995-08-30
AU7117791A (en) 1991-08-22
EP0443999B1 (en) 1994-05-18
JPH04215930A (en) 1992-08-06
AU645289B2 (en) 199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016B (en)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bags
US5638959A (en) Rotary materials separator
US4067506A (en) Machine for tearing waste bags and separating out plastic film bag material
KR0181962B1 (en)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EP0028639B1 (en) Method for separation of material of heterogeneous character
JPH0655302B2 (en) Sorting equipment for sorting valuable substances from household waste, commercial waste, bulky waste, dry waste, and / or problematic substances and dangerous substances
JP2756775B2 (en) Garbage bag opening device
US5564881A (en) Bar cleaner for trash bag breaker
US3786870A (en) Debris removing apparatus
WO1998022351A2 (en) Pivoting passive overhead bag opener
US4274787A (en) Bag opening and emptying apparatus
CA2023501C (en) Modified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JP3801932B2 (en) Sorting machine
US4278383A (en) Bag opening and emptying apparatus
US4399029A (en) Apparatus for the concentration and sorting of solid waste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shapes, their sizes and their flexibility
CA2010489C (en)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US4763793A (en) Installation for sorting articles by weight and shape
GB2092980A (en) Bag opening machine
US2792099A (en) Log feeding apparatus
JP2621966B2 (en) Collection waste separation equipment
GB2099390A (en) A bag opening and emptying machine
JPH101122A (en) Bag removing machine
CA2167772A1 (en) Deflectable overhead bar refuse bag opener
JPH10511910A (en) Equipment for processing mixtures of recyclable materials
JP7496081B2 (en) Film-like material sorting machine, sorting system, and film-like material sor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