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502B1 -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 Google Patents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502B1
KR0179502B1 KR1019950054000A KR19950054000A KR0179502B1 KR 0179502 B1 KR0179502 B1 KR 0179502B1 KR 1019950054000 A KR1019950054000 A KR 1019950054000A KR 19950054000 A KR19950054000 A KR 19950054000A KR 0179502 B1 KR0179502 B1 KR 017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receiving
data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246A (ko
Inventor
이형섭
김홍주
이종현
이호재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5005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502B1/ko
Publication of KR97005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DXC(Digital Cross-Connect)에 적용되어 시간-공간-시간(Time-Space-Time) 스위치구조를 가지는 DXC의 STM-16 접속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 동기식 전송망 노드(DXC, 분기결합장치, 단국장치)와 STM-16(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16) 광신호로 접속되어 중계/다중 구간 섹션 오버헤드의 종단 및 AU(Administrative Unit) 신호에 대한 시간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 회로에 관한 것으로, 수신되는 광 신호를 역다중화 하여 AU(Administrative Unit) 신호를 해석/발생하며 그 신호들을 수용하여 타임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 후, 외부로 백보드 신호를 송신하는 전단 시간 스위치 수단; 및 외부로부터 백보드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타를 정렬하고 시간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여 AU 신호 사용/미사용을 결정한 후, 다중화하여 외부로 광신호를 송신하는 후단 시간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스위치 접속 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백보드 신호 수신 기능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백보드 신호 송신 기능 블록도.
제4도는 제1도의 8KHz 펄스 및 38.88MHz 클럭 발생 기능 블록도.
제5도는 제1도의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 블록도.
제6도는 제1도의 고속 역다중 기능 블록도.
제7도는 제1도의 고속 다중 기능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광/전변환 및 STM-16 데이터/클럭 추출 기능블록
100 : 고속 역다중 기능 블록
150 :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
200 :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블록
250 : 시스템 타이밍 발생 기능블록 300 : 전단 시간 스위치 기능블록
350 : 8KHz 펄스 및 38.88MHz 클럭 발생 기능블록
400 : 백보드 신호 송신 기능블록 450 : 백보드 신호 수신 기능블록
500 : 77.76MHz 클럭추출용 PLL 기능블록
550 : 데이터 정렬 기능블록 600 : 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블록
650 : AU 신호사용/미사용 결정 기능블록
700 : STM-16 SOH 송신 종단 기능블록
750 : 고속 다중 기능블록 800 : 전/광 변환 기능블록
850 : 마이크로프로세서 접속 기능블록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디지털 교차연결(DXC; Digital Cross-Connect)에 적용되어 시간-공간-시간(Time-Space-Time) 스위치 구조를 가지는 DXC의 STM-16 접속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 동기식 전송망 노드(DXC, 분기결합장치, 단국장치)와 STM-16(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16) 광신호로 접속되어 중계/다중 구간 오버헤드의 종단 및 AU(Administrative Unit) 신호에 대한 시간 스위칭기능을 수행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 회로에 관한 것이다.
SDH는 기본적으로 광케이블을 전송매체로 사용하고, DXC의 경우 DXC의 기본적인 역할인 분배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STM-N(N=1,4,16) 광신호를 수용하며, 이것은 시스템의 규모가 커지게 되는 기본적인 요인이 된다. 또한 분배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구조에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수개의 공간 스위치 및 시간 스위치 기능이 연동되어 전체의 분배 기능을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SDH DXC는 현재 범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전송노드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STM-16 신호의 형성/해체 및 DXC의 시간-공간-시간(T-S-T) 스위치 구조에서 전/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을 단일 유니트에 실장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시간 스위치 접속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되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AU(Administrative Unit) 신호를 해석/발생하며, 그 신호들을 수용하여 타임 스위칭기능을 수행한 후, 외부로 백보드 신호를 송신하는 전단스위칭수단; 및 외부로부터 백보드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정렬하고, 시간 스위칭기능을 수행하여 AU 신호 사용/미사용을 결정한 후,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후단스위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스위치 접속 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백보드 신호 수신 기능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백보드 신호 송신 기능 블록도, 제4도는 제1도의 8KHz 펄스 및 38.88MHz 클럭 발생 기능 블록도, 제5도는 제1도의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 블록도, 제6도는 제1도의 고속 역다중 기능 블록도, 제7도는 제1도의 고속 다중 기능 블록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STM-16 수신 광신호의 역다중 방향으로 제1도의 SDH DXC의 STM-16 입/출력부(I/O) 기능 블록도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광/전 변환, STM-16 데이터 및 클럭 추출 기능블록(50)은 대국에서 장거리용 STM-16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주로 하며, 부가적으로 STM-16 데이터의 추출 및 해당 클럭을 추출해 낸다.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와 신호는 2.5Gbps 수신데이터와 2.5GHz 수신클럭으로서, 고속 역다중 기능블록(100)으로 공급된다.
상기 고속 역다중 기능블록(100)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6 역다중 기능블록(110)과 1:3 역다중 기능블록(120)으로 구성된다.
1:16 역다중 기능블록(110)은 2.5Gbps 수신 데이터를 2.5GHz 수신클럭으로 리타이밍하여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정렬하고, 2.5GHz 수신클럭을 16분주하여 155MHz 수신클럭을 발생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병렬화하여 16개의 155Mbps 수신데이터와 155MHz 수신클럭을 생성하여 1:3 역다중 기능블록(120)으로 공급해준다.
그리고, 상기 1:3 역다중 기능블록(120)은 16개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155Mbps 수신데이터들을 155MHz 수신클럭으로 리타이밍한 다음, 각 직렬 155Mbps 신호들을 155MHz 수신클럭을 3분주하여 만들어진 51.84MHz 내부 클럭으로 비트 단위로 3개의 51.84Mbps 직렬 신호들로 역다중화하여 총 48개의 직렬 51.84Mbps 수신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이에 따른 51.84MHz 수신클럭을 발생하게 된다.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150)은 고속 역다중 기능블록(100)으로부터 공급되는 51.85MHz 수신클럭과 48개의 51.84Mbps 직렬 신호들을 이용하여 병렬 리프레이밍 기법을 기본으로 STM-16 신호의 프레임 신호 바이트인 48개의 A1A2(1111011000101000) 바이트들을 검출한 후, 디스크램블링한다.
이후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150)은 중계 구간 및 다중구간에 해당되는 오버헤드들을 처리하여 해당 정보 또는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유지보수 신호에 대한 조치를 CPU 접속_1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 접속 기능블록(850)으로 보고하고, 관련 제어를 받게 된다.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은 48개의 직렬 AU3 신호로서, 48개의 수신데이터(RXDATA), 이에 따르는 51.84MHz 클럭인 수신클럭(RXCLK), 그리고 프레임 펄스 기준인 수신프레임기준클럭(RX8K) 신호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블록(200)은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150)으로부터 수신프레임기준클럭(RX8K), 수신클럭(RXCLK), 그리고 48개의 수신데이터(RXDATA)를 수신하여 수신프레임기준클럭(RX8K)을 기준으로 각 수신데이터(RXDATA)의 포인터 위치를 찾아 포인터 값을 해석하고, 포인터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시스템 타이밍 발생 기능블록(250)으로부터 공급되는 시스템 8K_1~4와 시스템 77.76MHz_1~4를 기준으로 새로운 포인터 값을 삽입하고 12개의 수신데이터(RXDATA) 신호들을 바이트 단위로 병렬화하여 다중화한 형태를 가지는 4개의 TXHBUS, 이에 따르는 77.76MHz 클럭인 TXHBUS_78M 및 TXHBUS 신호의 기준의 되는 8MHz 신호인 TA1_8K 신호와 SDH 동기전송망의 SHR(Self Healing Ring) 중 BLS(Bidirectional Line Switched) 링 구성시 망 복구를 위해 적용하기 위한 4개의 TBLS_HBUS(TXHBUS와 동일한 정보를 갖고 있음)를 출력한다. 또한,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블록(200)은 CPU 접속_2~5를 통해 각 수신데이터(RXDATA)의 포인터와 관련된 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 접속 기능블록(250)으로 보고한다.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블록도(200)의 세부내용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622.08Mbps 에 해당되는 12개의 수신데이터(RXDATA)를 수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전단 시간 스위치 기능블록(300)은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블록(200)으로부터 TA1_8K, TXHBUS_78M, 그리고 4개의 TXHBUS 신호들을 수신하여 타임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블록이다. 여기서는 시스템의 충돌 없는(non-blocking) 스위칭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CPU 접속_6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4개의 TXHBUS를 8개의 출력 TXHBUS로 분산 수용하여 시간 스위칭을 수행하고, 또한 DXC가 BLS 링의 하나의 노드로서 동작할 때 루프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 8개의 TXHBUS를 복사하여 출력함으로써, 총 16개의 TXHBUS와 8KHz 기준 펄스인 PRE_8K, 그리고 해당 77.76MHz 클럭인 PRE_78M 신호들을 출력하게 된다.
8KHz 펄스 및 38.88MHz 클럭 발생 기능블록(350)은 제4도에 세부 기능블록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단 시간 스위치 기능블록(300)에서 형성된 TXHBUS들이 여타의 유니트에 접속되었을 때 기준 점을 제공해 주고, 또한, 해당 TXHBUS 신호를 리타이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일 PRE_8K와 PRE_78M, 그리고 시스템 타이밍 기능블록(250)에서 공급되는 38.88MHz 클럭인 T28M을 입력받아 PRE_8K 신호의 경우 PRE_78M으로 리타이밍한 후, 4개의 TXHBUS_8K를 발생하고, T38M과 PRE_78M의 경우는 클럭 드라이버(clock driver)를 이용하여 각각 9개의 TXHBUS_38M과 8개의 T78M 클럭들을 발생하여 출력한다.
백보드 신호 송신 기능블록(40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S용 HBUS신호 송신 기능블록(410)과 정상 상태의 HBUS 신호 송신 기능블록(4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TTL 신호를 백보드로 전송하기 위해 BTL(Backplane Transceiver Logic)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BLS용 HBUS 신호 송신 기능블록(410)은 AU 포인터 해석/발생 기능블록(200)에서 출력된 TA1_8K, TXHBUS_78M, 그리고 4개의 TBLS_HBUS와, 8KHz 펄스 및 38.88MHz 클럭 발생 기능블록(350)에서 출력된 THBUS_38M을 입력받아 TXHBUS_78M으로 TA1_8K, THBUS_38M 그리고 4개의 TBLS_HBUS를 리타이밍하여 BTL 신호 레벨을 가진 T8K_9, TH38M_9, 그리고 THBUS_17~20을 출력하고, 정상 상태의 HBUS 신호 송신 기능블록(420)에서는 4개의 THBUS_8K, 8개의 THBUS_38M 그리고 16개의 TXHBUS를 입력받아 8개의 T78M 신호들로 리타이밍하여 8개의 T8K_1~8, 8개의 TH38M_1~8과 16개의 THBUS_1~16 BTL 신호를 백보드로 출력한다.
신호의 다중 방향으로 보면 백보드 신호 수신 기능블록(450)은 제2도에 도시도어 있는 바와 같이 BLS용 HBUS 신호 수신 기능블록(451)과 정상 상태의 HBUS 신호 수신 기능블록(45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백보드로부터 공급되는 R8K_1~9, R38M_1~9, 그리고 RHBUS_1~20 BTL 신호들을 수신하여 TTL 신호로 변환하여 9개의 RHBUS_38M, 8개의 RA1_8K, 16개의 RXHBUS, RBLS_8K, 그리고 4개의 RBLS_HBUS 신호를 출력한다.
77.76MHz 클럭 추출용 PLL 기능블록(500)은 38.88MHz의 주파수를 가진 RHBUS_38M을 수신하여 8KHz 기준 펄스 및 수신 HBUS들을 리타이밍하기 위해 77.76MHz인 16개의 ALN_78M과 4개의 RBLS_78M을 발생한다.
데이터 정렬 기능블록(550)은 수신되는 R8K와 RHBUS의 위상들이 비트 단위 정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이를 수용하기 위해 시스템 타이밍 발생 기능블록(250)으로부터 공급되는 시스템 8K_5~6과 시스템 77.76MHz_5~6을 이용하여 백보드 신호 수신 기능블록(450)으로부터 제공되는 16개의 RXHBUS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PA_78M, PA_8K, 그리고 16개 RXHBUS를 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블록(600)으로 출력한다.
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블록(600)은 CPU 접속_7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정렬 기능블록(550)으로부터 입력되는 16개의 RXHBUS 중 운용 중인 8개 RXHBUS에 대한 시간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 뒤, 4개의 RXHBUS, RA1_8K, RXHBUS_78M 신호들을 AU 포인터 사용/미사용 기능블록(650)으로 출력한다.
AU 신호 사용/미사용 결정 기능블록(650)은 후단 시간스위치 기능블록(600)으로부터 4개의 PXHBUS, RA1_8K, RXHBUS_78M을 입력받고, 77.76MHz 클럭 추출용 PLL기능블록(500)으로부터 4개의 RBLS_78M을 입력받고, 백보드 신호 수신 기능블록(450)으로부터 RBLS_8K, 그리고 4개의 RBLS_HBUS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4개의 RXHBUS, RS1_8K, RXHBUS_78M들은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적용되는 신호이고, 4개의 RBLS_78M, RBLS_8K들은 시스템이 BLS 링에 포함되어 있을 때 루프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이다. AU 신호 사용/미사용 결정기능블록(650)은 각 HBUS에 다중화되어 있는 AU 신호들에 해당되는 경로 오버헤드에 AU 신호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삽입하여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700)에서 제공되는 AU 송신 8KHz와 AU 송신 51.84MHz 클럭을 입력받아 4개의 RXHBUS에 다중화되어 있는 48개의 AU 신호들을 직렬 51.84MHz 신호(TXDATA)로 변환하여 T8K, TXCLK와 함께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700)으로 출력한다.
STM-16 SOH 수신 종단 기능블록(700)에서는 TX8K, TXCLK, 48개의 TXDATA를 입력받아 STM-16 신호의 중계/다중구간 오버헤드를 삽입하고, 스크램블링을 수행하여, 프레이밍 바이트들을 삽입한 후, 고속 다중 기능블록(750)에서 제공되는 시스템 51.48MHz 클럭을 이용하여 48개 51.84Mbps 송신데이터와 51.84MHz 송신클럭을 고속다중기능블록(750)으로 출력한다.
고속다중기능블록(750)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1 다중 기능블록(751)과 16:1 다중 기능블록(752)으로 구성된다. 3:1 다중 기능블록(751)은 48개 51.84Mbps 송신데이터와 51.84MHz 송신클럭을 입력받아 10:1 다중 기능블록(752)에서 공급되는 155MHz 송신클럭을 이용해 3:1로 비트 단위로 다중화한 후, 16개 155Mbps 송신데이터를 출력하며, 16:1 다중 기능블록(752)에서는 16개 입력데이터를 시스템 타이밍 발생 기능블록(250)에서 공급되는 2.5G 송신클럭을 이용해 16:1 다중화한 후, 2.5Gbps 송신데이터를 전/광 변환 기능블록(800)으로 출력한다.
전/광 변환 기능블록(800)에서는 입력되는 전기 2.5Gbps 송신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STM-16 송신 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STM-16급 광신호와 전기적 신호간의 광/전 및 전/광 변환기능, 고속신호의 다중/역다중 기능, STM-16 신호를 통해 송수신되는 중계/다중구간 오버헤드(SOH; Section Overhead) 처리기능, 고속신호 분배부에서 수용될 AU3 및 AU4 신호관련 포인터 처리기능, 분배부 기능의 일부인 전/후단 타임스위칭 기능, DXC가 타노드의 분기/결합 기능들과, 2광섬유(fiber) 또는 4광섬유(fiber) MS 공류 링(shared Ring) 형성시 발생 가능한 중계 전송구간의 장애(예를 들어, 광섬유의 절단 등)에 대비한 BLS(Bidirectional Line Switching)기능, 고속 스위치부와의 접속 규격 신호인 HBUS(77.76Mb/s 병렬 데이터)신호 접속 기능과 다중방향의 HBUS 신호들의 개별신호간의 시간지연을 보상해주기 위한 HBUS 정렬기능, STM-16 신호처리 유니트의 상태감시 및 제어 그리고 스위치 매트릭스(matrix)의 재구성 혹은 구성을 위한 CPU 인터페이스 기능, 그리고 송신 STM-16 신호를 형성할 송신 타이밍 발생 기능 및 각 기능들을 처리하기 위해 수용되는 주문형 반도체(ASIC) 칩들의 CPU 인터페이스 기능들이 수용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수신되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AU(Administrative Unit) 신호를 해석/발생하며, 그 신호들을 수용하여 타임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 후, 외부로 백보드 신호를 송신하는 전단스위칭수단; 및 외부로부터 백보드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정렬하고, 시간 스위칭기능을 수행하여 AU 신호 사용/미사용을 결정한 후,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후단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스위칭수단으로부터 각종 해당 정보 또는 비정상 상태를 보고 받아 외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접속수단; 및 소정 입력클럭과 입력펄스를 공급받아 각종 시스템 클럭을 발생하는 시스템 타이밍 발생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스위칭수단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및 해당 클럭을 추출하여 제1수신데이터와 제1수신클럭을 출력하는 광/전 변환수단; 상기 제1수신데이터를 상기 제1수신클럭으로 리타이밍하여 비트 단위로 병렬화한 제2수신데이터와 상기 제1수신클럭을 분주하여 생성된 제2수신클럭을 출력하는 고속역다중화수단; 상기 고속역다중화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수신클럭과 제2수신데이터 직렬 신호들을 이용하여 프레임신호 바이트들을 검출하고, 디스크램블링한 후, 중계구간 및 다중구간에 해당되는 오버헤드들을 처리하여 해당 정보 또는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유지보수 신호에 대한 조치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접속수단으로 보고하고, 관련 제어를 받으며, AU3 신호(RXDATA)와 클럭신호(RXCLK)와 프레임 펄스 기준신호(RX8K)를 출력하는 수신종단수단; 상기 프레임 펄스 기준신호(RX8K)를 기준으로 상기 각 AU3 신호(RXDATA)의 포인터 위치를 찾아 포인터 값을 해석하여 버퍼링한 후, 상기 시스템 타이밍 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시스템 클럭을 기준으로 새로운 포인터 값을 삽입하고, 수신데이터(RXDATA) 신호들을 바이트 단위로 병렬화한 후, 다중화된 형태를 가지는 송신버스신호(TXHBUS), 이에 따르는 소정 클럭 및 송신버스신호의 기준신호와 송신버스신호와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송신 BLS 버스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터 해석 및 발생수단; 상기 포인터 해석 및 발생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접속수단의 제어를 받아 송신버스신호를 스위칭하고, 루프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송신버스신호를 복사하여 출력하는 전단시간스위칭수단; 상기 전단시간스위칭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와, 상기 시스템 타이밍 발생수단에서 제공되는 클럭을 수신하여 리타이밍 및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수단; 및 상기 포인터 해석/발생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수단과 상기 전단시간스위칭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백보드로 출력하는 백보드 신호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역다중화수단은, 상기 제1수신데이터를 상기 제1수신클럭으로 리타이밍하여 비트 단위로 병렬화한 수신데이터와 상기 제1수신클럭을 분주하는 제1역다중화수단; 및 상기 제1역다중화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신데이터들을 상기 입력되는 수신클럭으로 리타이밍한 다음, 각 수신데이터들을 상기 수신클럭을 분주하여 만들어진 내부 클럭을 이용 비트 단위로 역다중화하여 제2수신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이에 따른 제2수신클럭을 발생하는 제2역다중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보드 신호 송신수단은, 상기 포인터 해석/발생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들과 상기 클럭 발생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리타이밍하여 BTL 신호 레벨을 가진 신호들을 출력하는 BLS용 HBUS 신호 송신수단; 및 상기 전단시간스위칭수단과 상기 클럭발생수단으로부터 신호들을 입력받아 리타이밍하여 BTL 신호를 백보드로 출력하는 정상상태의 HBUS 신호 송신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스위칭수단은, 백보드로부터 공급되는 BTL 신호들을 TTL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백보드 신호 수신수단; 상기 백보드 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준 펄스 및 수신데이터들을 리타이밍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추출용 위상고정루프수단; 상기 백보드 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클럭추출용 위상고정루프수단과 상기 시스템 타이밍 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수신데이터들을 정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정렬수단;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상기 데이터 정렬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시간 스위칭하는 후단 시간 스위칭수단; 상기 후단 시간 스위칭수단과 상기 백보드 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클럭추출용 위상고정루프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데이터에 다중되어 있는 AU 신호들에 해당되는 경로 오버헤드에 AU 신호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삽입하여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준클럭 및 송신클럭과 함께 출력하는 AU 신호 사용/미사용 결정수단; 상기 AU 신호 사용/미사용 결정수단으로부터 신호들을 입력받아 STM-16 신호의 중계/다중구간 오버헤드를 삽입하고, 프레이밍 바이트들을 삽입한 후,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송신데이터와 송신클럭을 출력하는 송신 종단수단; 상기 시스템 타이밍 발생수단과 상기 송신 종단수단에 연결되어 송신데이터를 다중화하는 고속다중화수단; 및 상기 고속다중화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송신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광 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다중화수단은, 송신데이터와 송신클럭을 입력받아 155MHz 송신클럭을 이용해 비트 단위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제1다중화수단; 및 상기 제1다중화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타이밍 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송신클럭을 이용해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제2다중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KR1019950054000A 1995-12-22 1995-12-22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KR017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00A KR0179502B1 (ko) 1995-12-22 1995-12-22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00A KR0179502B1 (ko) 1995-12-22 1995-12-22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246A KR970058246A (ko) 1997-07-31
KR0179502B1 true KR0179502B1 (ko) 1999-05-15

Family

ID=1944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000A KR0179502B1 (ko) 1995-12-22 1995-12-22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5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246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0456A (en) Synchronous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transmission systems
US7269130B2 (en) Redundant add/drop multiplexor
US20020097745A1 (en) Service unit for a hub having multiple star interconnect configurations
US7130276B2 (en) Hybrid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data transport
KR101240326B1 (ko) 시분할 멀티플렉스 신호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분할 및 재조립(sar)기능을 구비한 확장가능 네트워크 소자
US20010053161A1 (en)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apparatus
US6041062A (en) High-speed synchronous multiplexing apparatus
US6400291B1 (en) Multiple time domain serial-to-parallel converter
US7145922B2 (en) Composite add/drop multiplexor with crisscross loop back
US7161965B2 (en) Add/drop multiplexor with aggregate serializer/deserializers
KR0179502B1 (ko) 시간 스위치 접속회로
US81601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 transceiver and a downstream device in an optical transmission network
US7110424B2 (en) Bi-directional serializer/deserializer with discretionary loop-back
KR0168908B1 (ko) 에스디에이치 디엑스씨용 에스티엠-4 신호 접속회로
EP15852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clock and synchronization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KR0157151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기에서 고속 중계선 정합 장치
KR100256698B1 (ko) 광전송 시스템의 종속신호 접속 장치
KR100360011B1 (ko) 2.5Gbps 광전송용 트랜시버 장치
KR100216515B1 (ko)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 및 그 신호구성 방법
KR0179505B1 (ko) 저속 스위칭을 위한 티유 신호의 프레임 정렬기
KR100263383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KR100198431B1 (ko) 10gbps 광전송 시스템의 고속부와 종속부간의 신호 연결 장치
JPH05336058A (ja) 新同期伝送装置のビット多重方式
KR960012975B1 (ko)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의 가입자액세스망 내에서 방송형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계층의 방송형 광송, 수신장치
KR100255809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pstn망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