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176B1 - 금형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176B1
KR0178176B1 KR1019950023908A KR19950023908A KR0178176B1 KR 0178176 B1 KR0178176 B1 KR 0178176B1 KR 1019950023908 A KR1019950023908 A KR 1019950023908A KR 19950023908 A KR19950023908 A KR 19950023908A KR 0178176 B1 KR0178176 B1 KR 017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e bar
movable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071A (ko
Inventor
강우현
Original Assignee
유환덕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환덕, 엘지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환덕
Priority to KR101995002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176B1/ko
Publication of KR97001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8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o-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금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금형을 유지하는 이동형판과 상하부 각각에 금형체결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금형 유지용 고정형판이 양측에 종설되어 있으며, 일단은 상기 이동형판을 삽통하고 타단은 상기 고정형판으로 삽입되어 상기 금형체결 실린더의 피스톤과 결합되는 복수의 타이바가 상하 평행하게 횡설되어 있으며, 타이바의 일정한 외주면상에 부착되어 타이바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바 지지커버가 고정형판에 부착되고 상기 타이바 지지커버상에 지지용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형판의 상하 단부에는 이동형판을 잡아당기기 위한 부스터실린더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에 의해 이동형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형판의 상하부 각각에는 하프너트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고 금형체결력을 지탱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이 착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하프너트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기 위해 내부가 타이바에 의해 관통되며 일단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스프로킷의 측면이 하프너트에 당접되고 여분의 외주면이 이동형판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형두께 조정나사이며, 상기 이동형판이 금형체결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로킷의 또 다른 측면에 당접되며, 상기 하프너트는 상기 타이바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체결장치.

Description

금형 체결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금형 체결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체결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타이바 13 : 금형체결 실린더
14 : 고정형판 17 : 이동형판
18 : 부스터실린더 20 : 스프로킷
21 : 형두께 조정나사 24 : 지지용 볼트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금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형 체결장치의 금형 두께 조정장치를 단순화시켜 작동주기가 단축되고 사출성형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기계중량을 줄임으로써 설치공간의 효율성, 작동유의 절감 및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뿐만 아니라 양호한 형체결력을 갖는 사출성형기의 금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에서 이용되고 있는 하이드로릭 미캐니컬(Hydraulic Mechanical) 결합방식 금형 체결장치에 있어서 금형의 폐쇄시에 고정형판과 이동형판의 금형 체결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대형 실린더와 형체램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릭 미캐니컬 결합방식 사출성형기는 대형 실린더를 높은 가공비로 제작해야 되고, 설치시에 장치의 전장이 길어지며, 대형 실린더의 작동유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운전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라는 제품에 따라 금형의 두께를 조정하는 형두께 조정수단이 형체실린더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형체실린더의 전장이 길어져서 그것의 가공을 곤란하게 하며, 이로인해 형체장치의 사출부를 위한 공간을 협소하게 함으로로써 중대형의 형체장치에서는 그 적용이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종래의 하이드로릭 미캐니컬 결합방식 금형 체결장치 중에서 부스터램식 금형 체결장치를 도면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부스터램식 금형 체결장치는 좌우 단부에 이동형판(6)과 고정형판(2)이 각각 종설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형판(6)과 고정형판(2) 사이에 상하 한쌍의 타이바(1)가 횡설되어 있고, 상기 타이바(1)의 일단이 각각 상하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형판(2)은 일측에 고정금형(3)과 상하단에 각각 부스터실린더(5)가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이동금형(7)을 갖고 상기 타이바(1)의 일단이 횡적으로 삽통되어 있는 상기 이동형판(6)은 타이바(1)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부스터 실린더(5)에 의해 왕복동작하고, 상기 타이바(1)의 선단측 나사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위해 하프너트 실린더(8,9)와 연결되어 이동형판(6)에 부착되는 하프너트(1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도시된 제1도는 종래의 하이드로릭 미캐니컬 결합방식 금형 체결장치로서 금형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스터실린더(5)를 작동시켜, 이동형판(6)을 고정형판(2)쪽으로 이동시키면 고정금형(3)과 이동금형(7)이 서로 밀착되어 금형이 맞추어지며, 그후에 하프너트(10)를 이동형판(6)에 밀착시키고 하프너트 실린더(8,9)를 작동시켜 하프너트(10)의 나사부가 타이바(1)의 나사부를 맞물리게하여 서로 결합 고정되게 한 후에 실린더(2a)에 고압유를 충진하면 타이바(1)가 이동형판(6), 즉, 이동금형(7)을 잡아당겨 금형체결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압력을 가지고 금형을 견고하게 체부한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종래의 사출성형기의 금형 체결장치는 금형체결력을 유지하기위해 타이바(1)의 안내에 의해 고정형판(2)쪽으로 이동형판(6)을 잡아당길 수 있는 다수개의 실린더(2a)를 고정형판(2)에 설치하여야 하기때문에 가공을 복잡하게 하며, 가공비용을 높게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많은 작동유의 소모를 발생시켜 운전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금형 체결장치의 단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의 금형 체결장치의 전장을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사이클을 단축시켜 작동유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에너지의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작동유를 이용하여 보다 고압의 금형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금형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금형(15)을 유지하는 이동형판(17)과 상하부 각각에 금형체결 실린더(13)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금형(16) 유지용 고정형판(14)이 양측에 종설되어 있으며, 일단은 상기 이동형판(17)을 삽통하고 타단은 상기 고정형판(14)으로 삽입되어 상기 금형체결 실린더(13)의 피스톤과 결합되는 복수의 타이바(11)가 상하 평행하게 횡설되어 있으며, 타이바(11)의 일정한 외주면상에 부착되어 타이바(1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바 지지커버(23)가 고정형판(14)에 부착되고 상기 타이바 지지커버(23)상에 지지용 볼트(24)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형판(14)의 상하단부에는 이동형판(17)을 잡아당기기 위한 부스터실린더(18)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에 의해 이동형판(17)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형판(17)의 상하부 각각에는 하프너트(19)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고 금형체결력을 지탱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이 착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형판(17)의 상하부 각각에 착설되어 있는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하프너트(19)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기 위해 내부가 타이바(11)에 의해 관통되며 일단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스프로킷(20)의 측면이 하프너트(19)에 당접되고 여분의 외주면이 이동형판(17)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형두께 조정나사(21)이며, 상기 이동형판(17)이 금형체결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로킷(20)의 또 다른 측면에 당접되며, 상기 하프너트(19)는 상기 타이바(11)와 나사결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그 작동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프너트(19)를 타이바(11)에 나사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스터실린더(18)를 작동시켜, 이동형판(17)을 고정형판(14)쪽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면 고정금형(16)과 이동금형(15)이 서로 밀착되어 금형이 맞추어져서 폐쇄되며, 그 후에 고정형판(16)의 상하부 각각에 착설되어 있는 금형체결 실린더(13)의 내부가 피스톤에 의해 두 부분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포트(B)를 통해 고압유를 실린더(13)의 한쪽 내부로 충진시키면 승압되어 그 반력이 피스톤에 가해짐으로써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는 타이바(11)를 이동형판(17)쪽으로 평행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스프로킷(20)을 회전시키면서 형두께 조정나사(21)를 이용하여 하프너트(19)의 나사부와 타이바(11)의 나사부가 맞물리는 위치가 있게 되고 이렇게함으로써 형두께에 따른 이동형판(17)의 금형 체결위치가 조정되며, 이때 형두께 조정나사(21)의 회전시에 타이바(11)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이 고정형판(14)과 부착되고 내주면이 타이바(11)의 일정한 외주면상에 부착되는 타이바 지지용 커버(23)상에는 지지용 볼트(24)가 부착된다. 이렇게 금형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하프너트 실린더를 작동시켜 하프너트(19)의 나사부와 타이바(11)의 나사부가 서로 맞물리게하여 나사결합 고정되게한 후에, 상기 타이바(11)의 일단이 실린더의 피스톤 역할을 위해 고정형판(14)의 상부에 삽입되어 형성된 금형체결 실린더(13)의 포트(A)를 통해 금형체결 실린더(13)의 다른쪽 내부로 고압유를 충진하면 금형체결 실린더(13)내부가 승압되어 타이바(11)가 이동형판(17), 즉, 이동금형(15)을 잡아당겨 금형체결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압력을 가지고 금형을 견고하게 체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하프너트(19)는 설치상황에 따라 계지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런 상태, 즉, 금형체결 실린더(13)가 고압으로 승압되어 전압력을 가진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별도의 가열 실린더로부터 원료를 주입 받아 제품을 성형한 후에 이동형판(17)에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제품을 취출하는 것으로 금형작업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은 금형체결 실린더의 전장을 짧게 하고 분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하이드로릭 미캐니컬 결합방식 금형 체결장치가 모든 형개폐 스트로크를 형체실린더에 설치함으로써 금형 체결장치의 전장을 길게하는 폐단을 해소시키고, 또한 이동형판을 고속으로 이동시키는 부스터 램을 분리 설치함으로써 금형 체결장치의 전장을 축소시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체결 실린더(13)의 승압 용량에 따른 최소한의 길이만 보장하면 금형장치의 전장을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으며, 대형의 형체 실린더의 제작이 필요없게 되어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의 형체 실린더만으로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된 청구범위는 단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이며, 본 청구범위 이외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수단을 이용한 다양한 발명의 수정 또는 변경이 있을 수 있으나 그것 역시 발명의 개념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사출성형기의 금형체결을 위하여, 이동금형(15)을 유지하는 이동형판(17)과 상하부 각각에 금형체결실린더(13)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금형 유지용 고정형판(14)이 양측에 종설되어 있으며, 일단은 상기 이동형판(17)을 삽통하고 타단은 상기 고정형판(14)으로 삽입되어 상기 금형체결실린더(13)의 피스톤과 결합되는 복수의 타이바(11)가 상하 평행하게 횡설되어 있으며, 타이바(11)의 일정한 외주면상에 부착되어 타이바(1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바 지지커버(23)상에 지지용 볼트(24)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형판(14)의 상하 단부에는 이동형판(17)을 잡아당기기 위한 부스터실린더(18)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에 의해 이동형판(17)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바(11)와 서로 나사 결합되는 하프너트(19) 또는 계지블록이 상기 이동형판(17)의 일측 상하부 각각에 당접되어 구성되는 금형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프너트(19)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기 위해 내부가 타이바(11)에 의해 관통되며 일단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스프로킷(20)의 측면이 하프너트(19)에 당접되고 여분의 외주면이 이동형판(17)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형두께 조정나사(21)이며, 상기 이동형판(17)이 금형체결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로킷(20)의 또 다른 측면에 당접되며, 상기 하프너트(19)는 상기 타이바(11)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체결장치.
KR1019950023908A 1995-08-02 1995-08-02 금형 체결장치 KR017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908A KR0178176B1 (ko) 1995-08-02 1995-08-02 금형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908A KR0178176B1 (ko) 1995-08-02 1995-08-02 금형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071A KR970010071A (ko) 1997-03-27
KR0178176B1 true KR0178176B1 (ko) 1999-05-15

Family

ID=1942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908A KR0178176B1 (ko) 1995-08-02 1995-08-02 금형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881B1 (ko) * 2000-07-04 2002-08-03 주식회사 바이오폴 실링용 폴리우레탄 겔 조성물
KR100723239B1 (ko) * 2005-10-28 2007-05-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형체장치
KR102135823B1 (ko) 2019-03-26 2020-08-26 고동근 금속을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071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9283A (en) Closing, locking and prestressing device for casting molds
KR100873335B1 (ko)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US5133655A (en) Friction clamp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KR0178176B1 (ko) 금형 체결장치
KR950015722A (ko) 반도체 패키지 몰딩장치
US3413682A (en) Injection moulding apparatuses with rotating platform
JPH02164502A (ja) プレス
KR0178173B1 (ko) 금형체결장치
KR0178175B1 (ko) 금형 체결장치
KR0178174B1 (ko) 금형체결장치
JP3067123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型締装置
US5742991A (en) Method for pre-stressing bolts for connections, and a device for executing it
KR0178172B1 (ko) 금형 체결장치
KR100696026B1 (ko) 사출 성형기의 복합식 형체 장치
JPH06182837A (ja) クランプ機構及び射出成型機
US4412800A (en) Mold assembly for compressing refractory material and including a quick change mold box
US4240781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dual tonnage traversing cylinder
KR0171478B1 (ko)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KR950005719B1 (ko) 사출성형기의 복식형체 실린더
JPH08238557A (ja) 成形装置の型締装置
KR950005720B1 (ko) 사출성형기의 금형 가압장치
KR0134304Y1 (ko) 사출 성형기의 형체결장치
KR100195337B1 (ko) 금형 체결장치
JPH05329693A (ja) プレス機械
US4312828A (en) Method for opening die s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