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803B1 -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803B1
KR0175803B1 KR1019950022721A KR19950022721A KR0175803B1 KR 0175803 B1 KR0175803 B1 KR 0175803B1 KR 1019950022721 A KR1019950022721 A KR 1019950022721A KR 19950022721 A KR19950022721 A KR 19950022721A KR 0175803 B1 KR0175803 B1 KR 0175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trol signal
transistor
power supply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576A (ko
Inventor
황기봉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803B1/ko
Publication of KR97000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되는 고압의 변동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과 전원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여 모니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의 오동장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플라이백 트랜지스포머(FBT)에서 출력하는 고압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이상전원인지를 감지하는 고압감지부(10)와, 고압감지부(10)의 출력신호에 의해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20)와, 제어신호 발생부(2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를 동작시켜 상기 전원공급부(SMPS)에서 플레이백 트랜스포머(FBT)에 인가하는 전원(B+)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릴레이 구동부(30)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2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리셋단자에 인가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압감지부 20 : 제어신호발생부
30 : 릴레이구동부 40 :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
R11,R12,R21-R24,R41,R43 : 저항 COM11 : 비교기
Q21,Q31,Q41 : 트랜지스터 C21,C41 : 콘덴서
ZD31 : 제너다이오드 RY : 릴레이
SMPS : 전원공급부 MIC :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발명은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되는 고압의 변동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과 전원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여 모니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공급부(1)에서 출력되는 전원(B+)에 의해 구동되어 고압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2)와, 상기 전원공급부(1)에서 출력되는 전원(Vc)에 의해 동작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에서 출력되는 전원(B+)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2)에 인가되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2)가 구동되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2)에서 고압이 출력되며, 그 출력된 고압에 의해 전자빔이 음극선관에 편향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1)에서 출력되는 전원(Vc) 및 수평동기신호(SYN)는 마이크로프로세서(3)에 인가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가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니터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2)에서 출력되는 고압이 노이즈에 의해 갑자기 높아지면, 그 높아진 고압이 그대로 음극선관에 인가되어 음극선관이 손상되고, 또한, 노이즈가 삽입된 수평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가 오동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이 이상전원이면, 릴레이가 구동되어 전원발생부에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인가되는 전원의 출력이 정지되고,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모니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각각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되어 구동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출력하는 고압을 기준접압과 비교하여 이상전원인지를 감지하는 고압감지부와, 이 고압감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릴레이를 구동시키키 위한 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를 동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인가하는 전원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리셋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를 제공함으로서 달설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서 출력하는 고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이상전원인지를 감지하는 고압감지부(10)와, 이 고압감지부(10)의 출력신호에 의해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20)와, 이 제어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를 동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SMPS)에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 인가하는 전원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릴레이구동부(30)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리셋단자에 인가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압감지부(10)는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서 출력되는 고압을 분배시키는 저항(R11)(R12)과, 이 저항(R11)(R12)의 출력전압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는 비교기(COM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발생부(20)는 상기 고압감지부(10)의 출력신호를 바이어스 시키는 저항(R21)과, 입력전원(Vcc)을 바이어스 시키는 저항(R22)과, 이 저항(R21)과 저항(R22)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21)와, 상기 입력전원(Vcc)을 분배시키는 저항(R23)(R24)과,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저항(R23)(R24)의 분배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고 그 충전 또는 방전전압을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콘덴서(C21)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릴레이구동부(30)는 상기 제어신호발생부(20)의 제어신호를 통과시키는 제너다이오드(ZD31)와, 이 제너다이오드(ZD3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31)와, 이 트랜지스터(Q3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스위칭하여 전원공급부(10)의 전원(B+)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릴레이(RY)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40)는 상기 제어신호발생부(20)의 제어신호를 바이어스 시키는 저항(R41)과, 이 저항(R41)의 출력신호에 의거해 스위칭 하는 트랜지스터(Q41)와, 이 트랜지스터(Q4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입력전원(Vc)을 분배시키는 저항(R42)(R43)과, 이 트랜지스터(Q4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저항(R42)(R43)의 분배전압을 충전시키고 그 충전된 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MIC)에 인가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덴서(C41)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에 있어서, 우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서 출력되는 고압은 고압감지부(10)의 저항(R11)(R12)에 의해 분배되고, 그 저항(R11)(R12)의 분배전압은 비교기(COM11)에 인가되어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게 된다.
그때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서 출력되는 고압이 정상전원인 경우 저항(R11)(R12)의 분배전압이 기준접압(Vref)보다 작게되어 상기 비교기(COM11)에서는 고전위 상태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COM11)의 고전위 상태의 출력신호는 제어신호 발생부(20)의 저항(R21)을 통해 트랜지스터(Q2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1)가 턴 온 상태로 스위칭 된다.
그때, 입력전원(Vcc)은 저항(R23)(R24)에 의해 분배되고, 그 분배된 전압은 콘덴서(C21)에 충전되며, 그 콘덴서(C21)의 충전전압은 고전위 상태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고전위 상태의 제어신호는 릴레이구동부(30)의 제너다이오드(ZD31)에 인가되면, 그 제너다이오드(ZD31)가 턴 오프상태로 스위칭 되며, 제너다이오드(ZD3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트랜지스터(Q31)가 턴 오프상태로 스위칭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1)가 턴 오프 상태로 스위칭 되므로, 릴레이(RY1)의 릴레이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릴레이(RY1)의 릴레이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로 스위칭 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10)에서 출력된는 전원(B+)은 그대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 인가되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가 정상 동작된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고전위 상태의 제어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40)의 저항(R41)을 통해 트랜지스터(Q41)에 인가되어 이 트랜지스터(Q41)가 턴 오프 상태로 스위칭 된다.
그리고, 저항(R42)(R43)에 의한 입력전원(Vc)의 분배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턴 오프 상태에 의해 콘덴서(C41)에 충전되고, 콘덴서(C41)의 충전전압은 고전위 상태로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리셋단자에 인가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MIC)가 정상 동작된다.
한편,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서 출력되는 고압이 이상전원인 경우 상기 저항(R11)(R12)의 분배전압이 기준전압(Vref)보다 크게되어 비교기(COM11)에서는 저전위 상태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COM11)의 저전위 상태의 출력신호는 제어신호발생부(20)의 저항(R21)을 통해 트랜지스터(Q2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1)가 턴 온 상태로 스위칭 된다.
그때, 상기 콘덴서(C21)의 충전전압은 트랜지스터(Q21)로 방전하게 되어 저전위 상태의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저전위 상태의 제어신호는 릴레이구동부(30)의 제너다이오드(ZD31)에 인가되어 제너다이오드(ZD31)가 턴 온 상태로 스위칭 되며, 제너다이오드(ZD3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트랜지스터(Q31)가 턴 온 상태로 스위칭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1)가 턴 온 상태로 스위칭되므로, 릴레리(RY)의 릴레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릴레이(RY)의 릴레이스위치가 턴 온 상태로 스위칭 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10)에서 출력되는 전원(B+)은 릴레이(RY)의 릴레이 스위치로 인가되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저전위 상태의 제어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40)의 저항(R41)을 통해 트랜지스터(Q4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1)가 턴 온 상태로 스위칭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턴 온 상태에 의해 콘덴서(C41)의 충전전압은 트랜지스터(Q41)로 방전하게 되므로, 저전위 상태의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리셋단자에 인가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이 이상전원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를 보호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오동작으로 인한 모니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공급부(SMPS)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각각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와 마이크로프로세서(MIC)에 인가되어 구동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분배시키는 저항(R11)(R12)과, 이 저항(R11)(R12)의 출력전압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는 비교기(COM11)로 이루어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서의 고압 출력을 감지하는 고압감지부(10); 이 고압감지부(10)의 출력신호를 바이어스 시키는 저항(R21)과, 입력전원(Vcc)을 바이어스 시키는 저항(R22)과, 이 저항(R21)과 저항(R22)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21)와, 상기 입력전원(Vcc)을 분배시키는 저항(R23)(R24)과,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저항(R23)(R24)의 분배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콘덴서(C21)로 이루어져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20)와; 이 제어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일정레벨로 통과시키는 제너다이오드(ZD31)와, 이 제너다이오드(ZD31)를 통해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31)와, 이 트랜지스터(Q31) 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접점 동작하여 릴레이(RY)로 이루어져 전원공급부(SMPS)에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 인가하는 전원(B+)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릴레이 구동부(30)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20)의 제어신호를 바이어스 시키는 저항(R41)과, 이 저항(R41)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41)와, 이 트랜지스터(Q4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입력전원(Vc)을 분배시키는 저항(R42)(R43)과, 이 트랜지스터(Q4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저항(R42)(R43)의 분배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하는 콘덴서(C41)로 이루어져 그 충전된 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리셋단자에 인가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MIC)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KR1019950022721A 1995-07-28 1995-07-28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KR017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21A KR0175803B1 (ko) 1995-07-28 1995-07-28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21A KR0175803B1 (ko) 1995-07-28 1995-07-28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76A KR970007576A (ko) 1997-02-21
KR0175803B1 true KR0175803B1 (ko) 1999-05-15

Family

ID=1942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721A KR0175803B1 (ko) 1995-07-28 1995-07-28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8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76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4543A (en) Pulse generator
JP3784838B2 (ja) スイッチ電源
KR100282497B1 (ko) Crt 보호 회로
JPS63503506A (ja) 故障防護装置
KR0175803B1 (ko) 모니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US7932628B2 (en) Control device with terminal 15—holding circuit
KR100202080B1 (ko) 저전압 보호회로
KR970011553B1 (ko) 구동기 회로
US6313548B1 (en) Power switching device
KR0149260B1 (ko) 전원 공급 회로
JP4934929B2 (ja) 電子閃光装置
KR960013950B1 (ko) 충전지의 정전류 방전장치
US20220360208A1 (en) Motor unit
US20060221526A1 (en) Protection circuit for a power supply unit, and power supply unit with a respective protection circuit
KR0128667Y1 (ko) 모니터의 엑스레이 차단회로
KR100302196B1 (ko) 소자회로
KR970004899Y1 (ko) 음극선관 고압방전회로
KR0123937Y1 (ko) 모니터의 초기화면 안정화회로
KR920004332Y1 (ko) 전원 출력단의 전압 보호회로
KR0134541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KR100489821B1 (ko) 백라이트 인버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JP2000295489A (ja) 高圧発生回路
KR0129496Y1 (ko) 모니터의 x-선 출력방지장치
KR930008136Y1 (ko) 부하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40004032Y1 (ko) 티브이의 수평편향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