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781B1 -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781B1
KR0175781B1 KR1019960044282A KR19960044282A KR0175781B1 KR 0175781 B1 KR0175781 B1 KR 0175781B1 KR 1019960044282 A KR1019960044282 A KR 1019960044282A KR 19960044282 A KR19960044282 A KR 19960044282A KR 0175781 B1 KR0175781 B1 KR 017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st
preamplifier
test mode
acoustic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961A (ko
Inventor
김종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4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7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acou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원의 정확한 위치(음원의 종류, 음원의 이동속도)를 탐지하는 음향탐지기(Towed Array Sonar System)의 정상동작상태를 테스트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함상으로부터 예인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메인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테스트모드인가를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에서 감지하여 테스트신호입력단에 테스트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하면 테스트신호입력단은 인가된 신호에 의해 전치증폭기에 테스트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전치증폭기는 인가된 신호를 전압분배부를 이용하여 일정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시킨 후 증폭기에 인가하므로써 음향탐지기의 전치증폭기가 정상동작을 하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운용상태에서는 신호를 60dB로 감쇄시키는 전압분배부의 앞단에서 스위치를 오프시켜 놓음으로써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와 전치증폭기 사이에서 유입되는 잡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본 발명은 음향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원의 정확한 위치(음원의 종류, 음원의 이동속도)를 탐지하는 음향탐지기(Towed Array Sonar System)의 정상동작상태를 테스트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음향원의 정확한 위치 등을 탐지하는 음향탐지기가 수중음파를 감지하는 방식은 음향에너지를 방사하여 그 음향에너지가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수신하는 능동소나(Sonar)방식과, 다른 음원으로부터 방사하는 음향에너지만을 수신하는 수동소나방식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음향탐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로서, 수중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음향센서부(300)와; 상기 음향센서부(300)에 연결되는 예인케이블(200)과; 상기 예인케이블(200)에 의해 음향센서부(300)에 접속되며 음향센서부(300)를 제어하여 수중의 음향원을 감지하는 함상(1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함상(100)은 음향센서부(300)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20)와,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 데이터를 분류, 검색, 처리하는 자료처리부(1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향센서부(300)는 초기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격리모듈(Vibration Isolation Module:300)과,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모듈(320)과, 음향신호를 감지하는 음향모듈(330)과, 최종적으로 진동을 감쇄시키는 꼬리로프조립체(3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향센서부(300)를 이루고 있는 음향모듈(Accostic module:330)은 수중의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면서 신호를 타고 흐르는 해수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모듈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중청음기(Hydrophone:331)와, 미세신호를 증폭하는 전치증폭기(Pre-Amp:332)와, 전치증폭기(332)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보상회로(Input Protector:333)와, 음향센서부(3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롤센서(Roll Sensor:335,335a)와, 해수로 인한 잡음을 보상하는 해수잡음보상회로(Sea Noise Correction Amp:334)와, 음향센서부(300)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심센서(337)와, 음향센서부(300)의 방위를 측정하는 방위센서(338)와, 음향센서부(300)의 이상유무를 시험하는 시험제어기(336)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의 구성을 한 음향센서부(3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중음향은 해수 입자의 기계적인 소밀 작용에 의해 전파되며 이 진동이 주파수의 제곱과 진폭과의 곱에 정비례하는 크기로 수중청음기(331)에 체적변화를 일으키고, 이로써 수중청음기(331)는 수중음향에 반응하여 그 음파와 등가인 전기파형률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에너지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의 전기적 에너지 신호는 전류와 전압의 형태로 표현되는데 수중청음기(331)의 출력단 전치증폭기(332)와의 감도를 고려하여 임피던스 매칭(matching)시키면 수중청음기(331)의 신호를 멀리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신호는 해수잡음보상회로(334)를 통과하면서 저주파영역에 존재하는 해수내의 잡음신호는 차단되고 감쇄된 고주파 성분신호는 보상되어 신호전송모듈(320)에 전달된다.
또한 음향모듈(330)의 수심센서(337)와 방위센서(338)는 음향센서부(300)의 예인 방위와 수심 정보를 각각 측정하여 상기 신호전송모듈(320)에 전달한다.
상기의 처리과정을 거쳐 신호전송모듈(320)에 전송된 신호는 순차적으로 멀티플렉싱되어진 후 샘플링 및 양자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화되어 진동격리모듈(310)을 거쳐 함상(100)으로 전달되므로서 수중에 존재하는 음향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오동작을 하게 되면 함상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어 군사작전 등에서는 효과적인 방어전술을 수립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함상에서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를 주기적으로 테스트를 하기 위하여 별도의 동작 테스트장치를 음향탐지기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3도는 종래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로써, 함상(도시않됨)에서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컨트롤러(400)와,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에 접속되며 메인컨트롤러(400)에서 인가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테스트컨트롤러(410)와, 상기 테스트컨트롤러(410)에 접속되는 전치증폭기(420a,420b,420c)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테스트컨트롤러(410)는 메인컨트롤러(4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전송하는 차동신호입력부(412)와, 상기 차동신호입력부(412)에 접속되어 설정된 신호와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414)와, 상기 차동신호입력부(412)와 비교기(414)에 접속되어 비교기(41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온·오프동작을 하는 아날로그스위치(4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장치는 메인컨트롤러(500)에서 펄스신호가 발생되면 테스트컨트롤러(410)의 차동신호입력부(412)에 인가된다. 상기 차동신호입력부(412)는 인가된 신호를 비교기(414)와 아날로그스위치(416)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비교기(414)는 인가된 신호를 설정된 신호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414)는 인가된 신호가 설정된 신호에 해당되면 1V의 신호를 아날로그스위치(416)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아날로그스위치(416)는 비교기(414)로부터 인가되는 1V의 신호에 의해 온절환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스위치(416)가 온절환되면 차동신호입력부(4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아날로그스위치(416)를 통해 전치증폭기(420a)에 인가된다. 상기 전치증폭기(420a)에 인가된 신호는 센서(422)를 통해 신호변환되어 증폭기(OP AMP.)에 인가되므로서 테스트가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동작시험장치는 테스트컨트롤러(410)에서 전치증폭기(420a)까지의 거리가 최대 120m가 되므로 일반 운용상태에서는 테스트컨트롤러(410)의 출력에서 전치증폭기(420a)까지의 회선에서 유입되는 잡음이 센서에서 변환되는 신호에 더해져 증폭기에서 증폭하게 되므로 잡음특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각 전치증폭기에 일정한 테스트신호가 일정하게 인가되도록 하여 원활한 테스트가 이뤄지도록 하고, 테스트동작시 외부회선으로부터 유입되는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음향탐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음향탐지기를 이루고 있는 음향모듈과 진동격리 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회로도이고,
제3도는 종래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메인컨트롤러 600 :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
700 : 테스트신호입력단 710 : 스위칭부
720 : 비교기 800a,800b,800c : 전치증폭기
810 : 센서 820 : 전압분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일정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접속되며 메인컨트롤러에서 펄스신호가 인가되면 테스트모드임을 인식하여 해당 테스트모드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와, 상기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에 접속되며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로부터 테스트모드에 해당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테스트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신호입력단과, 상기 테스트신호입력단에 접속되며 테스트신호가 인가되면 음향탐지기능을 수행하는 전치증폭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테스트신호입력단은 테스트신호발생부에 접속되며 테스트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테스트신호발생부와 비교기에 접속되며 비교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동작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치증폭기는 저항(R1)과 저항(R2)로 이루어져 인가되는 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전압분배부와, 상기 전압분배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항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되는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이다.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장치는 일정한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컨트롤러(500)와, 상기 메인컨트롤러(500)에 접속되며 테스트모드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600)와, 상기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600)에 접속되며 온·오프되는 스위칭부(710)와 비교기(720)로 이루어지는 테스트신호입력단(700)과, 상기 테스트신호입력단(700)에 접속되며 저항(R1)과 저항(R2)으로 이루어진 전압분배부(820), 전압분배부(820)에 접속되는 센서(810), 센서에 접속되는 증폭기(OP AMP.)로 구성되는 전치증폭기(800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는, 메인컨트롤러(500)에서 테스트를 하기 위한 설정된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면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600)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테스트모드에 해당하는 테스트모드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600)에서 테스트모드신호가 발생되어 테스트신호입력단(700)에 인가되면 테스트신호입력단(700)의 비교기(720)에서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720)는 인가된 신호와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를 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1V의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비교하여 접속된 스위칭부(710)에 5V의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스위칭부(710)는 비교기로부터 인가되는 5V의 하이신호가 인가되면 즉시 온상태로 절환하게 되며, 상기 스위칭부(710)가 온절환되면 전치증폭기(800a)에 테스트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전치증폭기(800a)의 전압분배부(820)는 인가된 신호의 레벨을 60dB정도 감쇄시켜 센서(810)에 인가하고, 상기 센서(810)는 전압분배부(8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테스트신호를 증폭기(OP AMP.)에 인가하므로써 음향탐지기의 각 전치증폭기(800a)가 정상동작을 하는지를 테스트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함상으로부터 예인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메인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테스트모드인가를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에서 감지하여 테스트신호입력단에 테스트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하면 테스트신호입력단은 인가된 신호에 의해 전치증폭기에 테스트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전치증폭기는 인가된 신호를 전압분배부를 이용하여 일정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시킨 후 증폭기에 인가하므로써 음향탐지기의 전치증폭기가 정상동작을 하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운용상태에서는 신호를 60dB로 감쇄시키는 전압분배부의 앞단에서 스위치를 오프시켜 놓음으로써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와 전치증폭기 사이에서 유입되는 잡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Claims (6)

  1. 음향탐지기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일정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접속되며 메인컨트롤러에서 펄스신호가 인가되면 테스트모드임을 인식하여 해당 테스트모드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와, 상기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에 접속되며 테스트모드신호발생부로부터 테스트모드에 해당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테스트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신호입력단과, 상기 테스트신호입력단에 접속되며 테스트신호가 인가되면 음향탐지기능을 수행하는 전치증폭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신호입력단은 테스트신호발생부에 접속되며 테스트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테스트신호발생부와 비교기에 접속되며 비교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동작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1V의 신호가 인가되면 5V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증폭기는 인가되는 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전압분배부와, 상기 전압분배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항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되는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부는 저항(R1)과 저항(R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부는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을 60dB로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KR1019960044282A 1996-10-07 1996-10-07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KR017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282A KR0175781B1 (ko) 1996-10-07 1996-10-07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282A KR0175781B1 (ko) 1996-10-07 1996-10-07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961A KR19980025961A (ko) 1998-07-15
KR0175781B1 true KR0175781B1 (ko) 1999-04-01

Family

ID=1947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282A KR0175781B1 (ko) 1996-10-07 1996-10-07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72B1 (ko) 2004-06-09 2006-03-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댐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961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4747B2 (ko)
KR0175781B1 (ko)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동작시험 장치
KR0175771B1 (ko) 서브 먹스부를 갖는 선배열 수동 예인형 수중 음향탐지기 음향센서부
KR0156080B1 (ko) 수동예인형 음향 탐지기의 센서부
KR0175777B1 (ko) 수동예인형 선배열 음향탐지기의 잡음제거용 전치증폭기
KR0156079B1 (ko)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의 센서부
KR0175762B1 (ko) 선배열 예인형 수중 음향탐지기의 보조센서 모듈
KR0180182B1 (ko) 리니어 레귤레이터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조합한 전원장치를 구비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
KR101246732B1 (ko) 수중 초음파 카메라 오작동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0175770B1 (ko) 차동증폭방식의 대역필터 및 차동증폭방식의 신호증폭기를 사용하는 선배열 예인형 음향탐지기
KR0175784B1 (ko) 수동예인형 선배열 음향탐지기의 잡음제거용 전치증폭기
KR0175783B1 (ko) 이득제어기능을 갖는 전치증폭기를 구비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
KR0175796B1 (ko) 전원공급상태가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수동예인형 음향탐지기
KR0126906Y1 (ko) 선배열 음파 탐지기 센서부의 가속센서 인터페이스 회로
KR0135562Y1 (ko) 음향 탐지기의 센서부
KR0126899Y1 (ko) 음향 대항 체계 신호전송모듈의 이득증폭회로
KR0126909Y1 (ko) 선배열 음파 탐지기 센서부의 방위센서 감지신호 수신장치
KR19980025956A (ko) 수동예인형 선배열 음향탐지기의 음향센서에 구비되는 전원장치
KR19980025957A (ko) 다스를 이용한 신호전송시스템을 갖는 수중예인형 음향탐지기
KR19990054181A (ko) 음파탐지기의 음향센서부
KR200177992Y1 (ko) 경사계를 이용한 롤값 측정회로
KR19980025958A (ko) 선배열 수중 음향탐지기의 신호전송시스템
KR0159081B1 (ko) 경사계를 이용한 롤값 측정방법
KR0174073B1 (ko) 이미지 어레이 구동 시스템
KR0127321Y1 (ko) 음향대항체계 신호전송모듈의 잡음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