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325B1 - 흡입기 - Google Patents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325B1
KR0173325B1 KR1019920703216A KR920703216A KR0173325B1 KR 0173325 B1 KR0173325 B1 KR 0173325B1 KR 1019920703216 A KR1019920703216 A KR 1019920703216A KR 920703216 A KR920703216 A KR 920703216A KR 0173325 B1 KR0173325 B1 KR 017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hamber
inhaler
walls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0176A (ko
Inventor
리차아드 칼버어트 존
스탠리 쿡 로버어트
앤소니 홉스 마이클
레이턴 앤-마리
토마스 심프킨 고오든
트런리 로이
웨스트 앤소니-더글라스
Original Assignee
테리 피이터 밀러
론-포올렌스 로오러 리미팃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리 피이터 밀러, 론-포올렌스 로오러 리미팃트 filed Critical 테리 피이터 밀러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91/000958 external-priority patent/WO1991019524A2/en
Publication of KR93070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0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3Conductive materials, e.g. antistatic coatings for spark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캡슐에서 가루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로서, 캡슐이 그것의 종축선이 체임버의 중간 평면에 있는 채로 위치되어 체임버의 정면(29)과 배면(30)벽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있게되는 체임버(24)를 포함하는데, 거기서 상기 정면 및 배면 벽 사이의 간격은 캡슐의 직경보다 크다 체임버의 직경은 캡슐의 길이보다 크다. 장치는 캡슐의 단부들을 관통시켜 리세스(25)에 안착시키는 개방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핀들(21)을 포함한다. 공기 인렛들(26), 체임버(24) 및 마우스피스(27)는 캡슐을 잘 비워지게 하고 분말 약제를 잘 분산되게 하는 와류 또는 소용돌이 공기흐름 운동을 발생하는 공간 관계에 있다. 체임버와 마우스피스 내벽들은 비정전성 물질로 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 흡입기의 횡단면도.
제3도는 캡슐이 개방 수단에 의해 개방될 위치에 있는 제2도의 선(3-3)에서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캡슐이 막 개방된 동작 주기 중 약간 뒤의 흡입기를 보여주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5도는 체임버안의 두 분리된 캡슐 부분들이 함유하고 있는 약제가 제거되도록 뒤집어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6도는 개방될 캡슐의 장전을 용이하게할 선택적으로 힌지된 뚜껑을 지니는 후방 케이싱을 보여주는 바닥 평면도.
제7도는 핀 관통형 흡입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8-8)에서 취한 제7도의 흡입기의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선(9-9)에서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세 번째 흡입기 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11-11)에서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선(12-12)에서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캡슐이 개방핀들에 의해 관통된 또 다른 흡입기 실시예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 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캡슐 수용 형상의 장치를 도시하는 제13도의 선(15-15)에서 취한 단면도.
제16도는 캡슐이 막 파열된 형태의 장치를 도시하는 제15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7도는 캡슐이 흡입 체임버로 막 방출되는 형태에 있는, 제13도의 선(17-17)에서 취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5도의 선(18-18)에서 취한 단면도.
제19도는 제16도의 선(19-19)에서 취한 단면도.
제20도는 제17도의 선(20-20)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는 캡슐 비움 체임버(3) (제2도)의 일벽을 형성하는 판넬(2)상의 마우스피스 노즐(1)을 도시한다.
체임버(3)의 반대쪽 벽은 캡슐(5)이 흡입기 속으로 삽입되어 개방될 준비가 되도록 제거가능한 후방 케이싱 판넬(4)에 의해 형성된다. 그 장치의 두 부분은 이후 설명될 차입(差笠) 시스텝(bayonet system)을 사용해 같이 고정된다.
마우스피스 노즐(1) 중심에 있는 공기 통로(6)와 정합되게, 큰 전기 전도성과(또는) 작은 정전 소산성 덕분에 정전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그리드(7)가 있는데, 그 그리드를 통해 흡입 공기는 통과하나 사용자의 호흡계에 못들어 가도록 캡슐 케이싱 조각은 통과하지 못한다.
제2도는 캡슐(5)의 단면이 평평한 오른쪽 체임버벽(판넬(2)과 스크린(7)에 의해 형성됨)과 평평한 왼쪽 체임버벽(후방 케이싱 판넬(4)에 의해 형성됨)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약간만 작아 캡슐 몸체(5a)와 캡슐 뚜껑(5b)이 모두 그것의 대칭축이 상기 오른쪽과 왼쪽 체임버벽들의 평면들에게 평행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는 있지 않게 방지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성을 보여준다.
물론 체임버(3)는 왼쪽과 오른쪽 벽들(4,7)뿐 아니라 제2도에 도시된 격벽(8)같은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들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제1도는 흡입기의 여러 공기 인렛 중의 하나인 공기 인렛(9)을 예시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선(3-3)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전술한 공기 인렛 구멍(9) 뿐 아니라 또 다른 두 개의 공기 인렛(10, 11)을 보여주는데, 그 기능은 이후 설명될 것이다.
또 제3도는 캡슐 뚜껑 부분(5b)을 궁형베플(baffle)(12)과 앤빌(anvil)(13) 사이에 유지한 채 구멍이 생길 위치에 있는 캡슐(5)을 도시한다. 달리 캡슐은 몸체 부분(5a)이 배플(12)과 앤빌(13)에서 압착되고 뚜껑 부분(5b)이 칼(14)에 의해 제거되게 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같은 방식으로 위치 될 수 있다(제4도).
이 위치에서 캡슐(5)은 체임버의 중간면, 즉 대칭축선에 수직하며, 판넬들(2,4) 중간쯤에 배치되는 평면에 그것의 종축선을 갖고 있다.
캡슐은 후방 케이싱 판넬(4)이 흡입기의 나머지 부분에서 제거된 채 제3도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제6도를 참조해 이후 설명될 선택적인 삽입 포트를 통해 삽입되어 이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제3도는 또한 마우스피스 판넬(2)과 일체로 성형된 캡슐 유지 앤빌(13)을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환형 배플(12)도 판넬(2)과 일체로 성형된다.
천공 칼(14)은 후방 케이싱 판넬(4)과 일체로 성형된 덕분에 궁형배플(12)에 대해 회전가능한데, 그 칼은 장전 형태에서 흡입형태로 흡입기가 동작하는 동안 시계방향으로 회전해 캡슐 부분들(5a, 5b)이 분리된 순간 캡슐 몸체 부분(5a)을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뚜껑 부분(5b)에서 멀어지게 한다.
천공 칼(14)의 뒤에는, 후방 케이싱 판넬(4)에 있는 캡슐 방출기(16)가 제5도에 도시되듯이 캡슐 뚜껑 부분(5b)을 배플(12)과 앤빌(13) 사이에서 방출하는 순간, 앤빌(13)과 협동해, 흡입 체임버(3)로 가야만 하는 앤빌(13)과 배플(12)에서 막 방출된 캡슐 부분이 통과할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 부재(15)가 있다. 이 안내 작용으로 방출된 캡슐 부분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안내 부재(15)가 형성되는 후벽(trniling wall)(19)이 배플(12)과 정밀하게 밀봉되, 대부분의 흡입 공기가 인렛 오리피스들(9,10)을 통해 체임버(3)로 일반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동안, 또 다른 공기 인렛 오리피스(11)가 궁형 배플(12)과 흡입기의 외벽(18) 사이의 궁형 통로(17)를 따라 깨끗한 공기 흐름에 있게 하여, 개방 동작의 결과로 쪼개져 있는 임의의 약제를 배플(12)과 앤빅(13) 사이의 공간에서 없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공기의 인렛(11)을 통한 깨끗한 공기 흐름이 존재함으로 인해 전체 흡입기에서 약제가 없어지는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여러 인렛들(9,10,11)은 체임버(3)에 소용돌이 형태의 공기 흐름을 발생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세 가지 주요 기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ⅰ) 장전된 흡입기 양단, 인렛(9 또는 10)과 흡입 마우스피스 사이의 압력 강하는 가능한 작아야 한다.
(ⅱ) 약제를 흡입 공기 흐름 속에 들어가게 하려면 캡슐안으로부터 약제를 가능한 정확하게 전달 해야할 필요가 있다.
(ⅲ) 마찬가지로 약제의 전달 효율이 캡슐에서 제거되는 약제 뿐 아니라 흡입 중 사용자의 호흡계에 실제로 도달하는 약제에도 달려있기 때문에 전체 장치를 비우는 정도를 가능한 크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
캡슐이 비워지기 위해 열린 후 회전 체임버(3)로 방출되는 곳에 흡입기가 그것의 두 주요 부분을 상대적으로 회전 위치시키게 되는 제5도에 도시된 최종 위치는 여러 공기 인렛들(9, 10, 11)이 모두 대응 인렛 캡들(9a, 10a, 11a) 각각을 사용해 장치의 내부와 통하는 곳이다. 다른 모든 위치에서의 공기 인렛들은 캡슐이 열릴 때까지 포트들이 정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닫힌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제6도는 후방 케이싱 판넬(4a)이 캡슐(5)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열려, 마우스피스(1)와 그것의 판넬(2)을 후방 케입싱 판넬(4)에서 분리시키지 않고도 장치를 장전될 수 있게 하는 힌지된 또는 밀어 맞춤 덮개(20)를 지니는 캡슐 삽입 포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부분들도 다 쓴 캡슐 몸체와 뚜껑 부분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장치를 소재할 수 있도록 동작 주기 끝에서 분리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장치의 두 부분을 같이 유지하는 전술한 차입 시스템은 후방 판넬 부분의 자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18)과 (제1도) 결합가능한 마우스피스 부재자락 외부에 있는 핀(17)을 포함한다. 이 슬롯은 대략 80°의 호를 이루며 후방 판넬 자락 주위에 뻗어 있는 그루브(19)로 열려, 후방 판넬 부분을 마우스피스 부분에 관련해 그들 두 부분을 축방향 분리 하지 않고도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방출된 분말 약제가 흡입기를 통하는 공기 통로 표면에 쌓일 수 있는 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체임버 부분(3)을 형성하는 판넬들(2,4)과 격벽(8)을 낮은 표면 저항을 지니는 중합체로 형성하여 정전 방지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임버(3)의 내벽을 형성하는 물질 1012오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8오옴) 보다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중합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를 모두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중합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소망된다면 체임버 형성 벽들에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내측 중합체 라이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중합체의 비정전 특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을 증가시킨다든지 표면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정전 소산 특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여러 부가적인 방법이 알려져 있다. 가능한 방법 중 하나는 보통 섬유형태인 탄소 또는 강철 충전제를 그러한 구성부분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중합체에 포함해 비정전 특성을 소정량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는 전기 전도성을 증가시키고(거나) 표면 저항을 감소시킨다. 달리, 성형 처리 이전에 성형 중합체에 칩 형태로 종종 혼합되는 비섬유성 화학 부가제를 사용해 성형된 생산품의 표면 저항을 낮출 수 있다. 프랑스의 아토켐(Atochem)사에 의해 제조된 제품 피박스(Pebax)는 그러한 부가제를 사용해 비 정전성 특성이 있게 만들어지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제품이다.
이 응용을 위한 또 다른 물질은 비 정전성 부가제를 함유하는 ICI에 의해 제조된 아트머(Atmer)범위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또 다른 가능한 방법은 성형된 구성 부분을 전기 전도성 층으로 피복되게해 표면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표면 저항은 1012오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108오옴보다 작으면 더욱 좋다.
더욱 특별히 임의의 실시예에 마우스피스는 그 같은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폴리머로 형성된 내벽을 적어도 갖을 수 있다.
이후 설명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1-6도의 실시예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낮은 표면 저항을 갖는 전술한 중합체 물질은 그 자체가 장치의 관련 부분이다. 장치 전체를 형성하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7도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캡슐은 그것의 뚜껑과 몸체 부분의 분리로 인해 열리지 않고, 압축 작용, 원심 작용 및 관통된 캡슐의 와류 체임버의 측벽과의 부딪힘이 결합되 내용물이 추출되도록 핀이 관통된다.
제7도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23)을 사용해 바깥쪽으로 편향되게 개별 버튼(22)에 의해 작동되는 두 개의 캡슐관통 핀(21)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이후 설명될 플러그(29)의 벽과 그리드(30)에 의해 형성된 평평한 단부 벽들을 잇는 주변 벽(24a)을 갖는 체임버(24)는 또한 그것의 주변벽에 벽(24a)의 팽출부(bulge)(25a)에 의해 형성되 캡슐이 비교적 평평한 체임버의 중간면에 있는 동안 그것을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25)를 갖는다.
체임버는 또한 제8, 9도에 도시된 마우스피스 노즐(27)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일반적으로 주 체임버의 중앙에 제7도의 용지 평면에 수직하게 뻗은 축선을 중심으로, 체임버의 와류동작을 확실히 발생하는 두 개의 공기 인렛(26)을 포함한다.
제7, 8, 9도에 도시된 흡입기의 동작은 상태적으로 직선적인 것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슐이 체임버(24)의 리세스(2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흡입기는 제8도의 오른쪽 몸체 부분(28)을 왼쪽 몸체부분(28')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열린다.
이 단계에서 푸쉬 버튼들은 두 개의 핀(21)이 체임버 벽의 캡슐 수용 팽출부(25a)에서 후퇴하도록 바깥쪽 위치로 편향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장치는 제8도의 몸체 부분들(28, 28')을 그 두 개의 반쪽 부분들이 조립된 형태로 같이 유지되도록 어떤 멈춤쇠 수단(도시 안됨)을 사용해 이음으로써 재 조립된다.
지금까지 캡슐은 닫혀 있으며, 조작자는 관통된 캡슐이나 뚜껑 부분이 그것의 몸체 부분과분리된 캡슐을 만질 필요가 없었다.
그런 후 조작자는 단순히 침들(21)이 리세스(25)에 있는 캡슐의 단부들을 파열시키도록 두 푸쉬 버튼(22)을 안으로 눌렀다가 다시 압축 스프링들(23)에 의해 그 푸쉬 버튼들 바깥쪽으로 편향되도록 그것들을 풀면된다. 그렇게 되면 캡슐은 리세스(25)내에서 자유로와져 흡입 시작시 실릴 준비가 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제8, 9도의 마우스피스(27)를 통해 흡입만 해도 인렛들(26)을 통해 체임버(24)안으로 필요한 와류 공기흐름이 발생되며, 이 같은 와류 작용으로 캡슐은 그것이 느슨하게 끼워맞춰져 있는 리세스(25)에서 분리되, 체임버(24)내의 전술한 소용돌이 와류 공기흐름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재빨리 회전되게 된다.
캡슐의 길이가 체임버(24)의 직경보다 짧다는 사실은 그것이 소용돌이형 공기 흐름에서 그것의 횡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동시에 그 길이가 상기 직경과 같게 되면 체임버(24)의 주변벽과 접촉, 분쇄된 약제를 충돌 작용에 의해 캡슐에서 제거되게 한다.
체임버(24)의 벽들과의 이 충돌 정도는 체임버(24)를 일반적으로 비대칭 또는 편심 형태가 되게 하는 리세스(25)의 존재에 의해 증가되며, 무작위적이고 급격하게 발생하는 충돌을 결과하여 회전하고 있는 캡슐 껍질을 원심적으로 더 잘 없어지게 한다.
흡입이 완료되면, 약제는 체임버(24)의 대향된 평평한 벽들 중 하나(나머지 하나는 밀폐 플러그(29)에 의해 형성됨)를 형성하는 공기 투과성 그리드(3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캡슐로부터, 사실상 채임버(24)로부터 거의 완전히 없어지게 된다.
그러면 흡입기는 다 쓴 캡슐을 제거하기 위해 즉시 열리거나 다음 흡입이 이루어진 이후에나 열릴 수 있다.
흡입기가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고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든 흡입기 실시예용으로 선택된 물질이 캡슐의 분말 약제에 대해 비교적 낮은 정전 유도력을 갖는 것이라면, 같은 환자가 사용하는 한 흡입기를 정규적으로 소제해야 할 필요가 없다(즉, 위생을 고려해).
제10, 11, 12도의 실시예에는 제7, 8, 9도와 많은 점에서 유사하나 캡슐을 여는 수단이 다른다.
제7, 8, 9도 장치의 구성 부분들과 동일하게 대응하는 제10, 11, 12도 장치의 구성 부분들을 같은 참조 번호로 지칭되며 다음 설명에서 한다 하더라도 간단하게만 설명될 것이다.
제10도에는 개방 위치에 있는 캡슐이 체임버의 직경에 맞춰지나 여전히 그것의 종축선을 체임버(24)의 중간 평면, 즉 제10도에 보여지듯 이 체임버의 평평한 전후방 벽들(제11도에 보여지는 좌우벽들)의 중간에 놓여 있는 평면에 갖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평평한 좌측 벽은 분리형 플러그(29)에 의해 형성되며 평평한 우측벽은 관통핀에 의해 관통되 개방된 캡슐 및 또는 임의의 조각들이 흡입도중 사용자의 호흡계에 들어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그리드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리드(30)는 전기 전도성을 갖거나 달리 비정전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사용된 물질은 전도성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인레스강 같은 금속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캡슐을 개방시키는 핀(31)은 안내못(33)과 단부가 이후 설명되듯이 래치 해제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작은 직경의 연장부(35)를 갖는 연장된 안내못(34)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의 푸쉬 버튼 조립체(32)에 수반된다.
마찬가지로 압축 스프링(36)이 두 핀(31)을 그들의 개별 안내 도관(37)에서 후퇴되는 외향 위치로 푸쉬 버튼(32)을 편향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캡슐을 제10도에 보여지는 그것의 개방 리세스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 방출기 미끄럼부(38)가 흡입기 몸체 중심에 장착되 작동 손잡이(39)(제11도)의 제어하에서 축방향으로 미끌어질 수 있다. 방출기가 제10도에서 보여지는 후퇴 위치에 유지되게 하기 위해, 구멍(41)에 결합하는 래치 핍(latch pip)(40)을 포함하는데, 그 핍은 푸쉬 버튼(32)용 안내핀(34)의 래치 해제 부분으로 기능하는 작은 직경의 연장부(35)에 의해 방출될 때까지 그곳에 남아 있는다. 래치가 일단 풀리면, 압축 스프링(42)이 방출기를 흡입기를 흡입기의 몸체를 따라 축방향으로 강제해 캡슐을 직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리세스로부터 주 체임버(24)로 방출하며, 이 때 방출기(32)의 이동 단부 위치는 그 방출기의 오목한 궁형 선표면(43)이 체임버(24)의 주변벽과 같은 높이로 맞춰지므로써 흡입에 따라 소용돌이형 공기 흐름이 뒤집어 지는 동안 캡슐을 개방 리셋스에 다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위치이다.
그러나, 그것은 본 실시예에서 와류 체임버의 주변벽에 비 정규성을 제공해 분말 약제가 충돌 작용에 의해 캡슐에서 방출되게 하는 기능을 하는 리세스(25)의 연부들과 부딪친다.
제10도는 방출기(38)의 작동 손잡이(39)를 제10도에 도시된 캡슐을 받아들이는 위치와 캡슐을 방출하는 위치(도시 안됨) 사이에서 이동하는데 필요한 정도로 움직이게 허용하는, 흡입기의 정면 케이싱(45)에 있는 슬롯(44) (제11도에도 보임)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11도의 단면은 슬롯(44)의 중심에서 취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제 제10, 11, 12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먼저 방출기(38)의 작동 손잡이(39)가 캡슐 개방 리세스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제10, 11도에 도시된 위치로 끌어 당겨진다.
캡슐을 캡슐 개방 리세스에 삽입되게 하기 위해 그 다음 정면 몸체부분(45)이 흡입기의 후방 몸체부분(46)에서 제거된다.
그 후 두 몸체 부분(45,46)은 체임버(24)가 밀폐되도록 다시 같이 고정되 캡슐 개방 동작을 할 준비가 된다.
물론 전술한 세 동작을 통해 푸쉬 버튼(32)이 압축 스프링(36) 덕분에 제10도에 도시된 연장 위치에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젠 두 핀(31)을 캡슐 단부들로 밀기 위해 푸쉬 버튼이 삽입되며, 그 삽입 양정의 단부에서 안내핀(34)의 래치 해제 연장부(35)는 래치 핍(40)과 접촉, 래치를 풀어 방출기(38)를 앞으로 밀리게 함으로써 캡슐을 압축 스프링(42)의 작용을 받아 방출되게 한다.
캡슐이 체임버(24)에 위치된 채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노즐(27)에 입술을 대고 흡입함으로써 체임버(24)에 와류 공기 흐름이 발생, 약제가 압축 흡입, 원심 약진 및 체임버(24)의 원주벽들(24a, 25a)과의 충돌을 세가지 겹친 작용에 의해 캡슐에서 방출되게 된다.
침들(31)에 의해 캡슐 단부들이 적절히 파열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푸쉬 버튼(32)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핀(34)의 래치 해제 연장부(35)가 래치 핍(40)을 그것의 구멍(41)으로부터 변위시키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방출기가 캡슐을 방출할 수 있도록 풀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캡슐이 관통 작업에 의해 완전히 열렸다는 것을 알려줄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지시기로서의 기능도 하는 방출기(38)의 작동 손잡이(39)가 제10, 1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변위되지 않는 사실에 의해 이를 알 수 있다. 이 지시기가 이동되어 캡슐의 방출을 알려야만 조작자는 흡입 단계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설명을 통해, 제7-9도와 제10-12도의 실시예들이 모두 새로운 캡슐을 삽입(덧붙여 마지막으로 사용된 캡슐 제거)하려면 전후망 몸체 부분들을 완전히 분리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장치로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10-12도에서, 몸체 부분(46)은 흡입 체임버의 단부가 캡슐 개방수단(31-34)에 근접하게 있는 한 아래로 연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핀 개방 장치의 양 실시예(제7-9도, 제10-12도)에서, 도시된 플러그(29)나 마우스피스(27) 및 그리드(30) 부분은 체임버(24)에 접근 가능하도록 제거되게 만들어져, 쓴 캡슐을 제거하는 것과 새로운 캡슐을 제7도의 캡슐 개방 리세스(25)나 캡슐이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제10도의 캡슐 개방 리세스에 삽입시킬 수 있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플러그(29)나 마우스피스 및 그리드 부분에는 그것을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이 제공되며, 그런 수단의 형태는 당업계의 전문가의 능력에 달려 있다. 그 가능한 방법들은 플러그(29)상의 나사 절삭부와 그것이 끼워지는 리세스, 또는 힌지(예, 얇은 필름 힌지)를 포함하며, 플러그(29)를 흡입기 몸체에 부착시킨다.
본 응용에 기술된 세 실시예 각각은 흡입기 안에서 개방되면서 와류 흡입 공기 흐름이 캡슐을 뒤집어 그 내용물을 방출되게 하는 체임버의 중간 평면에 주축선이 있게 배향되는 캡슐의 특성을 갖는다. 제1-6도의 실시예에서는 이 개방 작업이 캡슐 뚜껑으로부터의 물리적인 캡슐의 분리에 의지하면서 체임버의 일측, 흡입 중 발생되는 공기 흐름에 거의 접선 방향인 위치에 위치되고, ; 제1-7도의 실시예의 경우는, 개방 위치는 체임버내의 공기 흐름에 거의 접선방향이나 개방이 캡슐의 각 단부에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관통핀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10-12도의 실시예의 경우는, 캡슐은 체임버의 직경방향으로 위치되고, 개방은 마찬가지로 캡슐의 각 단부에서 작동하는 핀들의 횡방향(즉, 반경방향) 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7-9도 및 제10-12도의 실시예에서는 비록 캡슐이 그 각 단부가 관통됨으로써 열린다 할지라도 캡슐을 직접 관통해 분쇄된 내용물을 제거하는 공기 흐름이 분명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발달하면서 그러한 시스템이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하는 호흡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을 위한 흡입작업 동안 흡입기 양단에 너무 큰 압력차를 발한다는 것이 드러났는데, 캡슐 흡입 치료가 호흡 기관에 어떤 장애가 있는 사람을 위해 고안된 것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압력차를 최소로 유지하면서 흡입 동안 내용물 전체를 가능한 제거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약제를 캡슐 뿐 아니라 전체로서의 흡입 장치로부터 큰 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데, 그것은 (ⅰ) 캡슐 단부들을 체임버의 벽들과 무작위로 부딪히게 함으로써, (ⅱ) 뒤집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캡슐 또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캡슐 뚜껑과 몸체 부분의 대칭 축선을 체임버의 중간 평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확실히 유지되게 함으로써 최상의 가능 원심작용이 이루어지게 할 뿐 아니라 흡입 동작 동안 캡슐 내부의 최적의 유압 흡입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캡슐이 대칭축선이 체임버의 중간 평명에 평행한 것이 아닌 다른 식으로 배향되게 뒤집어 진다면, 흡입 정도가 감소되거나 적어도 강도에 있어 신뢰성 문제가 있게 된다. 본 응용에 개시된 흡입기의 특성은, 캡슐 내용물이 호흡기능이 손상된 사용자와 관련되 사용될 때 처럼 상대적으로 공기 흐름율이 낮을 때에도 공기 흐름에 효율적으로 실릴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가능한 체임버 형태가 있으나 형태가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원통형이 아닌 체임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래야만 리세스(25) 벽과의 충돌 가능성을 증가시켜 파열된 캡슐 껍질 및 캡슐 몸체 및 뚜껑 부분없이 캡슐의 내용물만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제7-9도와 제10-12도의 실시예의 경우, 체임버(24)의 축방향 거리(체임버의 전후방 평벽들 사이의 최소 간격)는 캡슐의 축방향 거리보다 작은 것이 좋다(캡슐이 경사질 가능성이 전혀 없을 만큼의 여백이면 충분함). 제1-6도의 실시예의 경우는 체임버의 축방향 길이가 같은 이유로 캡슐 부분(이는 몸체 부분보다 작다)의 축방향 길이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술되었던 대향벽들에 형성된 리세스들을 사용하는 흡입기들이 알려져 있는데, 거기서 캡슐은 캡슐이 열리는 동안 체임버의 중간 평면없이 유지되거나, 캡슐의 종축선이 흡입중 와류 공기흐름의 회전축선에 평행한 상태로 캡슐 개방 리세스에 삽입 되기까지 한다. 그러한 구조는 캡슐이 뒤집히면서 캡슐 개방 리세스에 꽂힐 가능성을 초래, 캡슐을 유지시키고, 흡입동안 캡슐을 없애는 작용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체임버의 전 후방 벽들을 그러한 함몰 부가없이 평평하게 함으로써 캡슐이 흡입중에 꼼짝 못하게 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도 대수롭지 않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또 다른 특성이 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방출기(38)가 캡슐 개방 리세스르 덮어버리는 오목한 선표면(43)을 지니므로써, 캡슐의 둥근 단부가 캡슐 개방 리세스의 날카로운 연부에 잡혀 흡입 중 꼼짝 못하게 될 가능성을 제거한다.
전술했듯이, 적어도 와류 체임버를 형성하는 (마우스피스도 형성하는게 바람직함) 벽들에 사용된 물질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든 흡입기 실시예에서 방출된 분말 약제를 마우스피스 노즐을 통해 바깥쪽으로 전달되기보다는 흡입기 몸체 표면에 달라붙게 할 수 있는 큰 정전 전하를 발생하지 않을 것인게 좋다.
제13도는 캡슐의 단부들이 핀들에 의해 뚫림으로써 열리게 되는 또 다른 흡입기 실시예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흡입기(60)는 흡입 체임버와 캡슐 개방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부분(63)에 (62)에서 힌지된 마우스피스(61)를 갖는다. 그 마우스피스를 흡입기 몸체로부터 분리시킬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차입핀(들)과 궁형슬롯을 사용해 풀거나 비트는 것이 그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캡슐 개방 수단은 회전 작용하며 열릴 캡슐을 수용할 리세스(69)(제15도)와 관통된 캡슐을 리세스(69)에서 방출할 빔 부재를 갖는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회전자 그 자체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디스크형 제어 휠(64)에 의해 구동된다. 제1 캡슐 수용 위치(제15도에 더욱 상세히 예시됨)에서 회전자 내의 캡슐 수용 리세스(69)는 몸체(63)의 캡슐 삽입 구멍(65)과 정합된다.
흡입 체임버는 몸체와 마우스피스(61) 사이의 접합점에 가까운 몸체(63)의 오른쪽 단부에 위치되며, 그 흡입 체임버로 통하는 공기 인렛 구멍들(66) 중 하나를 제14도에서 볼 수 있다.
제15도는 제13도의 선(15-15)에서 취한 단면도로 몸체의 돌출부(67)와 마우스피스의 대응 돌출부(68) 사이의 고정 결합에 의해 제 작동위치에 클립되는 마우스피스를 보여준다.
제15도는 또한 캡슐 삽입 구멍(65)과 정합된 캡슐 수용 리세스(69)에 위치되 있는 캡슐(5)을 보여준다.
캡슐(5)과 공축인 날카롭게 구부러진 단부 부분을 갖는 궁형 와이어 클립(70)이 그 와이어 클립을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게 잡고 있는 돌출부들(72)에 의해 회전자(71)의 단부에 고정된다.
캠(73)은 제18, 19도를 통해 더욱 분명해질 방식으로 와이어(70)와 협동, 와이어 클립의 구부러진 단부 부분을 축방향으로 리세스(69)에 지지되 있는 캡슐(5)로 구동시킴으로써 캡슐을 뚫는다.
물론 회전자(71) 각 단부에 하나씩 두 개의 그런 와이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6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 캡슐(5)을 그것의 축선이 캠(73)을 통과하게 만드는 회전자(71)를 도시한다.
제19도에 도시되듯이, 이 위치에서 와이어 클립(70)의 구부러진 부분(75)이 갖는 뾰족한 단부는 회전자(71)가 회전함에 따라 몸체(63)의 캠(73)의 작동에 의해 캡슐(5)의 단부로 압압되었다.
제18, 19도를 비교하면, 제18도의 캡슐 수용위치에서 와이어 클립(70)은 회전자에 반해 평평하지는 않으나 사실상 회전자 단부벽에 대해 나선형이며, 회전자가 회전하여 제19도 위치로 감에 따라 캠(73)이 와이어 클립(70)의 뒤를 눌르는 위치가 점차 클립 주위 구부러진 단부 부분(75)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8, 19도에서 전술한 캠 부분(73)의 설명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자(71)의 대향 단부에서 와이어 클립(70')에 작동하는 유사한 캠(73')이 도시되어 있다.
제17도는 제13도의 선(17-17)에서 취해진 단면도로서, 회전자(71)가 90° 더 회전한 후 캡슐(5)을 회전 체임버(77)로 방출하는 회전자(71) 내부의 밈부재(76)를 도시한다.
이 밈부재(76)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78)을 사용해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편향된다.
제17도는 또한 제1-6도, 제7-9도 및 제10-12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입 체임버(77)가 마우스피스(61)의 전기 전도성 그리드(79)에 의해 형성된 일반적으로 평평한 우벽과 회전자(71) 주변의 일부분의 관통 돌출할 수 있는 구멍을 갖는 왼쪽벽(80)에 의해 형성되나, 캡슐 밈부재(76)가 제17도에 도시된 반경방향 최외 위치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특히 평평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두 평평한 벽(80,79) 사이 및 그에 수직한 흡입 체임버의 크기는 캡슐(5)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으나 캡슐(5)의 횡방향 단변 직경보다 크다.
흡입 체임버(77)를 통한 공기흐름 형태는 일반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체임버(77)에 들어가는 인렛 구멍(81)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체임버(77)에 접선 방향으로 구멍으로 안내되는 제14도의 인렛 구멍(66)을 보여주는 제20도를 통해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다.
제20도는 또한 약제를 캡슐에서 충돌 방출시키기 위한 회전자(71)의 캡슐 밈부재(76)와 와류 체임버(77)의 양측에 있는 리세스들(85)를 보여준다.
제13-20도에 도시된 장치 작동시, 우선 작동 디스크(64)는 흡입 체임버(77)와 함께 이전 캡슐의 단점이 없이 제15도 위치로 회전된다.
이 체임버(77)의 무단 점화는 마우스피스(61)를 힌지(62)를 사용해 옆으로 스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캡슐(5)이 압축 스프링(78)의 작용에 반해 삽입 구멍(65)을 통해 리세스(69)로 압압되며, 그렇게 되면 디스크(64)가 먼저 캡슐(5)을 몸체(63)의 원통형 벽 뒤에 파지한 후 회전자(71)를 캡슐 뚜껑 부분에 캡슐 몸체 부분의 단부 돔들을 파열되게 했던 제16도의 형태에 있게 한다.
회전자를 제17도의 형태에 있게하기 위한 디스크(64)의 또 다른 회전은 장치가 흡입을 준비하는데 충분하다.
이 때, 마우스피스가 환자의 입에 삽입되고 환자가 흡입함으로써 인렛 포트들(66, 81)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를 흡입 체임버(77)에 와류시키고, 캡슐(5)을 횡축선을 중심으로 재빨리 회전시켜, 캡슐이 체임버(77)의 주변벽과 부딪힘에 따라 결합된 원심작용, 흡입작용 및 충돌작용에 의해 분쇄된 약제가 캡슐에서 방출되게 한다.
그런 후 장치의 재사용을 위해, 마우스피스가 옆으로 스윙되어 쓴 캡슐이 제거되며, 그 뒤를 따라 디스크(64)가 제17도의 위치에서 제15도의 위치로 90°더 회전되어 캡슐 수용 리세스(69)를 캡슐 삽입 구멍(69)과 정합되게 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는 체임버의 제1, 2벽들, 소위 캡슐이나 각 분리된 캡슐 부분이 그것의 대칭 축선을 체임버의 중간 평면에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같이 강제하는 대향벽들이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확실히 평평한 것이 아닌 다른 형태로 이들 벽을 만드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하지만 평평한 형태와 충분히 가까운 형태를 계속해서 유지해야, 소망된 캡슐 강제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벽들이 평평하지 않으면 이들 벽들 사이는 캡슐의 크기와 관련되는 최소 간격이다.
제1-6도의 실시예에서, 후방 케이싱 판넬(4)과 그리드(7)에 의해 형성되는 이들 제1, 2 대향벽들 사이의 간격은 캡슐 몸체 부분(5a)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고 캡슐 뚜껑 부분(5b)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다.
제7-9도와 제10-12도의 실시예에서 이들 제1, 2 대향벽 사이의 간격은 캡슐의 축방향 총길이 보다 작다. 이 바람직한 특성은, 그리드의 거침이 캡슐을 유지하여 와류 공기 흐름에서 자유로이 회전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을 보조하게 되는 기울어진 형태에서 캡슐이 꼼짝못하게 될 모든 가능성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보통 분말상태인 약제를 캡슐로부터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미 여러 형태의 흡입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중 어떤 것에는 약제가 흡입 중에 제거되도록 캡슐(보통 그 단부들)이 관통되고 어떤 것에서는 약제가 추출되도록 캡슐의 뚜껑 부분이 몸체 부분에서 제거된다.
약제의 추출은 보통 캡슐 위나 그곳을 관통해 지나가는 흡입된 공기 흐름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상기 유형의 흡입기 모두에서는 흡입기를 관통하는 공기 흐름을 소용돌이치게해 관통된 캡슐 또는 분리된 캡슐 뚜껑과 몸체 부분들을 공기 흐름에 뒤집어지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든 약제나 캡슐이나 분리된 캡슐 뚜껑과 몸체 부분에서 완전히 회수되지 않는다는 것이 공진된 모든 흡입기의 단점이며, 이는 종종 캡슐 부분들이나 전체로서의 캡슐이 박히게 되 흡입기 안 흡입 공기의 추출 효과를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캡슐 또는 캡슐 뚜껑 및 몸체 부분을 기계적인 강제력을 사용해 자유로이 뒤집어 지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이 제거되는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a) 사이에 체임버의 중간면을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제1, 2 대항 벽으로서, 그 평행 이격된 벽들 사이에는 캡슐이 그 종축선이 상기 제1, 2 벽에 일반적으로 평행하나 임의로 각 배향되게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대향벽들과 (b) 적어도 하나의 주변벽에 의해 형성되는 체임버 ; 공기가 상기 체임버로부터 흡입에 의해 관통 배기될 수 있는 배기 노즐 ; 그 배기 노즐에 관련해 정렬되 흡입동안 체임버에 상기 제1, 2 벽에 일반적으로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인렛 ; 및 밀폐된 체임버 밖에서 캡슐을 개방하도록 동작하며, 캡슐의 종축선이 상기 축선에 수직한 상태로 유지 수단에 유지되는 수단과 관련된, 흡입기 안에 있는 유지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흡입기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유지 수단은 제1, 2 벽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크고 상기 회전 축선에 평행하게 볼 때 상기 체임버의 최소 단면 크기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캡슐을 유지하게 되며, 캡슐을 그것의 대칭 축선이 실질적으로 상기 체임버의 중간 평면에 일치되게 유지하도록 형태가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수단이 제1, 2 벽사이의 상기 최소 간격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캡슐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 번째 면으로 (a)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제1, 2 대항벽으로서, 그 사이에 캡슐이 그것의 종축선이 상기 제1, 2 벽에 일반적으로 평행하나 임의로 각 배향되게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대향벽들과 (b)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벽에 의해 형성된 체임버 ; 공기가 상기 체임버로부터 흡입에 의해 관통 배기될 수 있는 배기 노즐 ; 그 배기 노즐에 관련해 정렬되 흡입동안 체임버내에 상기 제1, 2 벽에 일반적으로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인렛 ; 및 캡슐을 개방하며, 캡슐의 종축선이 상기 축선에 수직한 상태로 리세스에 유지되는 수단과 관련된, 흡입기안에 있는 리세스로 이루어지는 흡입기를 제공하는 데,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제1, 2 벽들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크고 상기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볼 때 상기 체임버의 최소 단면 크기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캡슐을 개방시키고 제1, 2 벽사이의 사이가 최소 간격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캡슐을 개방시키며 ; 상기 체임버는 비원형으로 흡입된 공기 흐름의 영향을 받아 캡슐을 그것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벽에 부딪히게 해 약제가 캡슐에서 방출된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세 번째 면으로 마우스피스로 이루어지는 흡입기; 와 개방되면 분말 약제가 용기 내부에서 방출되도록 흡입 공기흐름 안에서 요동 칠 수 있는 용기를 수용할 와류 체임버를 제공하는데, 그 체임버는 1012오옴보다 작은 저항을 갖는 표면을 지니는 비 정전성 부재로 된 벽들을 갖는다.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laims (23)

  1. (a) 중간쯤에 체임버의 중간 평면을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제1 (4)(29)(80), 제2 (7)(30)(79) 대향벽으로서, 그 사이에 캡슐(5)이 그것의 종축선이 일반적으로 상기 제1, 2 벽에 평행하나 임의로 각 배향되어 있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대향벽들과 (b) 적어도 하나의 주벽 벽을 형성되는 체임버 ; 공기가 상기 체임버로부터 흡입에 의해 관통 배기될 수 있는 배기 노즐(6)(27)(61) ; 그 배기 노즐과 관련해 정렬되 흡입동안 체임버에 상기 제1, 2 벽에 일반적으로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기흐름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인렛(9, 10)(26)(66,81) ; 및 밀폐된 체임버 외측에서 캡슐을 개방시키도록 작동하면서 유지수단에 유지되는 수단(13, 14)(21)(31)(74)과 관련된, 흡입기에 있는 유지수단(12, 13)(25)(38,82)(69,70)으로 이루어지고, 이 때 상기 유지수단이 상기 제1, 2 벽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크고 상기 회전 축선에 평행하게 본 상기 체임버의 최소 단면 크기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캡슐을 유지하게 되며, 제1, 2 벽사이의 상기 최소 간격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캡슐을 유지하도록 형태져있는 흡입기로서,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캡슐을 캡슐의 종축선이 흡입 공기가 회전하는 상기 축선에 수직하며, 상기 체임버의 중간 평면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개방 수단(13, 14)은 캡슐의 뚜껑부분(5a)을 캡슐의 몸체 부분(5b)에서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그 분리된 뚜껑 및 몸체 부분들을 흡입동안 체임버에서 뒤집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체임버의 상기 제1, 2 벽 사이 최소 공간은 상기 캡슐 뚜껑 부분(5a)의 축방향 길이보다, 그리고 상기 캡슐 몸체 부분(5b)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4. (a)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제1 (29)(80), 제2 (30)(79) 대향벽으로서, 그 사이에 캡슐(5)이 일반적으로 상기 제1, 2벽에 평행하나 임으로 각 배향되게 끼워 맞춰지는 상기 대향벽들과, (b)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벽으로 형성된 체임버 ; 공기가 상기 체임버에서 흡입에 의해 관통 배기될 수 있는 배기 노즐(27) ; 배기 노즐에 관련하여 정렬되 흡입 동안 체임버에 상기 제1, 2 벽에 일반적으로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인렛(26)(66, 81) ; 및 캡슐을 개방하여 캡슐의 종축선이 상기 수직한 상태로 리세스에 유지되는 수단(21)(31)(74)과 관련된, 흡입기안에 있는 리세스(25)(82)(69)로 이루어지고, 이 때,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제1, 2벽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크고 상기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볼 때 상기 체임버의 최소 단면 크기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캡슐을 열게 되고, 또 제1, 2 벽사이의 상기 최소 간격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캡슐을 열게 되는 흡입기로서, 상기 체임버는 비원형으로 (25에서)(28에서) 흡입된 공기흐름의 영향을 받아 캡슐이 그것의 횡축선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허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벽에 부딪힘으로써 캡슐에서 약제가 방출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개방 수단은 흡입중 회전 공기 흐름에서 캡슐이 회전하는 동안 캡슐의 내용물이 방출되도록 캡슐을 파열시키는 수단(21)(31)(74)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캡슐을 수용하여 파열시키기 위해 형태진 리세스(25)(82)(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개방 수단은 흡입중 회전 공기 흐름에서 캡슐이 회전하는 동안 캡슐의 내용물이 방출되도록 캡슐을 파열시키는 수단(21)(31)(74)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25)(82)(69)는 상기 캡슐을 파열시키기 위해 수용하도록 형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채임버의 상기 제1, 2 벽 사이의 최소 간격은 상기 개방 수단에 의해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리세스에 의해 유지되며, 흡입동안 상기 체임버안에 뒤집어질 캡슐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벽 사이의 최소 간격은 상기 캡슐 원통형 부분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6항 내지 제8항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유지 수단은 캡슐이 개방되는 동안 그 캡슐을 그것의 종축선이 일반적으로 채임버의 접선 방향에 있는 위치에 수용하며, 그에 따라 캡슐이 다른 소용돌이 흡입 공기 흐름에 의해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 추출을 위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5항 내지 제8항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유지 리세스는 일반적으로 상기 체임버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파열 수단은 종축선이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채 리세스에 수용된 캡슐을 단부들을 관통하는 수단(31)을 포함하며, 그렇게 관통된 캡슐을 상기 리세스로부터 채임버로 방출해 다음 흡입동안 뒤집어지게 하는 수단(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방출기는 그 방출기가 달성된 캡슐의 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벽에 원만하게 일치하는 캡슐 방출 단부면(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2. 제1항 내지 제8항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흡입이 요구될 때까지 상기 공기 인렛들을 밀폐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슐 개방 수단은 상기 공기 인렛들이 닫혀있는 동안에만 캡슐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3. 제1항 내지 제8항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노즐은 상기 채임버에 관련해 편심적이며, 그에 의해 캡슐이 상기 체임버의 또 다른 벽들과 무작위로 충돌하면서 흡입 공기 흐름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4. 제4항 내지 제8항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수단에 의해 파열된 캡슐을 수용하도록 체임버에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리세스(25)에 의해 상기 체임버가 비원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5.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개방 수단은 상기 체임버의 중간 평면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캡슐 수용 회전자(71)를 포함하고, 캡슐을 그것의 종축선이 상기 회전자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채 수용할 캡슐 리세스(69)와 상기 회전자에 수반되어 캡슐이 상기 채임버로 방출되면 캡슐 수용 위치와 캡슐 방출 위치 사이에서 회전자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캡슐을 파영시키게 구동되는 캡슐 파열핀들(7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파열 핀들은 상기 회전자의 양단부에 궁형 와이어(70, 70'(의 구부러진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 때 상기 궁형 와이어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회전자의 회전 축선 둘레를 연장하고 상기 구부러진 편형성 단부 부분들은 상기 캡슐 수용 리세스에 공축이며, 캡슐 과열 단부 부분들을 캡슐 수용 리세스의 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상기 궁형 부분들과 결합하는 고정 캠들(73, 7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는 1012오옴보다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비정전성 부재로 형성된 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8. 마우스피스(6)(27)(61) ; 분말 약제를 용기 내부에서 방출하기 위해 개방되면 흡입 공기 흐름에서 흔들릴 수 있는 용기(5)를 수용할 와류 체임버를 포함하는 흡입기로서, 상기 체임버가 1012오옴보다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비정전성 부재로 형성된 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1012오옴보다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된 내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1012오옴보다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각 상기 부재는 1012오옴보다 작은 표면 저항을 갖는 중합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물질의 표면 저항을 낮추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제들은 충전제인 금속 입자들 또는 카본 부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저항은 108오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KR1019920703216A 1990-06-14 1991-06-14 흡입기 KR0173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13261.4 1990-06-14
GB909013261A GB9013261D0 (en) 1990-06-14 1990-06-14 Inhalator
GB9106612.6 1991-03-28
GB919106612A GB9106612D0 (en) 1990-06-14 1991-03-28 Inhaler
PCT/GB1991/000958 WO1991019524A2 (en) 1990-06-14 1991-06-14 Inh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176A KR930700176A (ko) 1993-03-13
KR0173325B1 true KR0173325B1 (ko) 1999-02-18

Family

ID=1067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3216A KR0173325B1 (ko) 1990-06-14 1991-06-14 흡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0173325B1 (ko)
GB (2) GB9013261D0 (ko)
NO (1) NO302155B1 (ko)
ZA (1) ZA914487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106612D0 (en) 1991-05-15
ZA914487B (en) 1992-03-25
NO932380D0 (no) 1993-06-29
GB9013261D0 (en) 1990-08-08
NO302155B1 (no) 1998-02-02
KR930700176A (ko) 1993-03-13
NO932380L (no) 199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522A (en) Powder inhaler having capsule holding structure and anti-static walls
EP1283731B1 (en) Medicament dispensing system with a medicament container with same side airflow inlet and outlet
EP1894591B1 (en) Cartridge for an inhalation apparatus
EP1663359B8 (en) Dry powder inhaler
US7461653B2 (en) Single dose inhaler
AU652242B2 (en) Inhaler
JPH08322933A (ja) 吸入式投薬器
DK153867B (da) Inhalator til brug ved administration af medikamenter
JPH0579343B2 (ko)
NL8020393A (ko)
JP4897220B2 (ja) 活性物質が充填された使い捨てカプセルを収容するカプセルチャンバを有する粉末吸入器
KR0173325B1 (ko) 흡입기
JP3220455B2 (ja) 新規吸入器
KR810002091B1 (ko) 분말약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