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58B1 -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058B1
KR0173058B1 KR1019950016142A KR19950016142A KR0173058B1 KR 0173058 B1 KR0173058 B1 KR 0173058B1 KR 1019950016142 A KR1019950016142 A KR 1019950016142A KR 19950016142 A KR19950016142 A KR 19950016142A KR 0173058 B1 KR0173058 B1 KR 017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larm
fault
diagnos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509A (ko
Inventor
박현
주성순
이용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1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58B1/ko
Publication of KR97000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이 운용될 때 발생되는 시스템 메시지인 경보(Alarm), 장애(Fault), 상태(Status) 메시지를 이용하여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시스템장애를 진단하는 시스템장애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의 부분 부분을 정확히 표현하는 각각의 시스템 메시지를 장애 진단(FD)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운용자가 시스템 상황을 좀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 담당자나 시스템 분석가들의 전문적인 지식에 따라 지식 습득, 지식 베이스 모듈, 추론 엔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진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교환기 프로그램내에 내장하는 제1 단계; 시스템 메시지가 도착되면 운용중(ON-LINE) 상기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진단을 수행한 후에 도착된 시스템 메시지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제2 단계(201 내지 203); 분석된 메시지를 바탕으로 진단시 조건의 자료가 될 수 있는 사실(fact)로 구성하는 사실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204); 및 사실화되어 임시 메모리(working memory)에 저장된 사실(facts)을 바탕으로 진단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제4 단계(205)를 포함하여 시스템의 상황을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개발 기간중 시스템 관리나 개발 후 현장에서 운용자가 시스템을 운용할시 시스템의 장애를 신속히 파악, 조치할 수 있어 운용의 효율성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3도는 제2도의 메시지 분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
제4도는 제2도의 사실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
제5도는 제2도의 진단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이 운용될 때 발생되는 시스템 메시지인 경보(Alarm), 장애(Fault), 상태(Status) 메시지를 이용하여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시스템 장애를 진단하는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합정보통신망(ISDN) 교환 시스템은 분산 구조로 되어 있다. 각 서브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블럭 및 하드웨어에서는 지속적인 자동 시험, 동작 또는 호 처리시 자동 시험, 주기적인 자동 시험, 요구에 의한 자동 시험, 수동 시험, 하드웨어 인터럽트(interrupt) 등의 많은 시험을 통하여 그 결과를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도에 따라 경보(운용자의 조치가 시급히 필요한 장애로써 여러 오류 및 장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일정 기간내에 기준치를 초가하거나 서비스에 제외된 장비 또는 회로의 수가 서비스 제한치를 초가하였을 경우), 장애(서비스 제외 상태에 있거나 사용 불가한 상태에 있는 장비 및 자원의 경우), 상태(시스템이 운용중인 상태에서 장애등의 원인으로 장치별 서비스 상태 정보가 변경되거나 일정한 주기로 필요한 장치별 상태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필요한 정보가 일정량 취합된 경우 출력하는 방법등) 메시지로 출력한다.
이러한 메시지들중 경보, 장애 메시지 전체와 일부 상태 메시지는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CS : Central Control Subsystem)내의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에 실장되는 장애 관리(FLM : Fault Managemet) 블럭에 집중되어 관리된다.
종래의 장애 진단 방법은 장애 관리 블럭이 경보, 장애, 상태 메시지를 분석하여 하드웨어 경보인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구성하여 출력하고, 소프트웨어 경보인 경우에는 담당 소프트웨어 블럭에서 작성되어 전달된 경보에 대한 간단한 정보 내용을 구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장애(Fault), 상태(Status) 메시지인 경우에는 위치 정보 및 소프트웨어 경보와 같은 방식으로 정보 내용을 구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장애 진단 방법에서는 하나의 메시지에 대하여 다른 메시지와 상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출력을 구성하여 운용자에게 출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장애 진단 방법에서는 실제 시스템을 운용하는 운용자가 각 메시지가 출력 될때마다 그 메시지에 대한 사실만을 인지하여 단편적으로만 해석하기 때문에 현재의 시스템 상황과 앞으로의 시스템 상황을 정확하고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출력된 각각의 독립된 메시지만으로 그와 관련된 시스템 상황을 판단하고 진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스템의 부분을 정확히 표현하는 각각의 시스템 메시지를 장애 진단(FD : Fault Diagnosi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운용자가 시스템 상황을 좀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에 있어서, 지식 습득, 지식 베이스 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는 진단 프로그램을 상기 교환 시스템에 내장하는 제1 단계; 각종 경보 및 장애 상태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운용중(ON-LINE)에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시스템 메시지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분석한 메시지에 대하여 장애 진단 조건의 자료가 되는 사실(fact)로 구성하기 위한 사실화를 실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의 사실화 실행후 저장된 임시 메모리(working memory)의 사실(facts)들과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된 지식베이스 정보와의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을 수행하면서 시스템 장애 진단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 시스템은 실시간을 요하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이 복잡, 방대하기 때문에 운용을 위해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여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의 분석을 위하여 개발 담당자나 시스템 분석가들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식 습득, 지식 베이스 모듈, 추론 엔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진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교환기 프로그램내에 내장하여(embedded) 시스템장애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운용중에는 이미 개발 담당자나 교환기 개발에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지식 습득이 이루어져 형식화된 지식으로 구성된 지식베이스가 구축된 상태이다. 이것은 교환기 소프트웨어의 일정한 공통 파일 형태가 될 것이며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생성 규칙인 a이면 b이다 라는 룰(rules)을 기반으로한 a, b등과 같은 사실들(facts)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장애진단 블럭은 일단 시스템 메시지가 도착하면 각 메시지 형태를 분석하고 새로운 사실들(facts)로 제작한다. 이러한 사실은 룰과 사실들을 등록하거나 삭제하고, 결과를 추론 엔진(inference engine)을 수행시킴으로써 현재의 사실을 등록하거나 삭제하고, 결과를 산출하기로 한다. 이러한 결과 메시지는 내부적으로 출력되는 형식을 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하여 운용자의 요구가 있을시 즉시 출력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장애 관리 블럭은 경보와 장애, 상태 메시지를 받아서 관리하고 출력한다. 훰웨어(firmware)인 장애 정합(FI: Fault Interface)은 실제 하드웨어의 이상 상태를 인지하여 각 서브시스템의 유지보수 프로세서(CCMP, INMP, ASMP)에 실장된 유지보수 정합블럭(CCMI, INMI, ASM)에 전달한다. 전달된 정보는 상위의 유지보수 블럭인 장애 관리 블럭에 전달된다. 소프트웨어 경보 및 장애, 상태 정보는 각 서브시스템의 응용 블럭에서 자체 시험을 통하여 역시 상위의 장애 관리 블럭에 보고된다. 장애 관리 블럭은 이러한 각종 메시지를 장애 진단(FD:Fault Diagnosis) 블럭에 보고한다. 장애 진단 블럭은 이 메시지를 이용하여 진단을 실시한뒤 사용자(PC:Personal Computer)로 부터 진단 결과 메시지 요구가 있을시 창제어 블럭(WM:Window Manager)를 통하여 전달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흐름도이다.
장애 진단이 시작되면 각종 경보, 장애, 상태등의 시스템 메시지가 계속적으로 도착(201)된다. 운용중(ON-LINE) 계속적으로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진단(202)이 이루어지는데 일단, 도착된 메시지에 대하여 분석(203)이 이루어지고 이 메시지를 바탕으로 진단시 조건의 자료가 될 수 있는 사실(fact)로 구성하기 위하여 사실화(204)가 수행된다. 여기서, 사실화는 교환기의 실제 정보를 사실(fact)이라는 지식 표현으로 변형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사실화되어 임시 메모리(working memory)에 사실들(facts)이 저장되면 이 정보를 바탕으로 진단 처리(205)가 이루어진다.
장애 진단 블럭은 계속적으로 진단을 수행하여, 결과 메시지는 구성하지만 실제 운용자로부터 진단 결과 메시지 출력 요구(206)가 있는 경우만 출력한다. 출력 요구가 있을시, 장애 진단 블럭은 운용자 명령어를 분석하여(207) 장애 진단 결과를 전용으로 출력시키는 진단 창(window)의 개시(open)를 그래픽 출력 블럭에 요구(208)한다. 창 개시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써 진단 결과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구가 그래픽 출력 블럭으로부터 오면(209), 장애 진단 블럭은 구성된 결과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출력(210)한다.
운용자는 더이상 진단 메시지 출력이 필요 없을시 장애 진단 블럭에 메시지 출력 정지를 요구(211)한다. 장애 진단 블럭은 이 요구를 받은 즉시 진단 메시지 출력을 위한 창(window)의 폐쇄(closed)를 그래픽 출력 블럭으로 요구(212)한다.
제3도는 제2도의 메시지 분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메시지 분석이 시작되어 각종 메시지의 헤드(head)에 해당되는 첫 부분에서 메시지 종류를 나타내는 A(Alarm), F(Fault), S(Status)와 식별 번호를 추출(301)한다. 이후 메시지에서 추출되는 정보는 사실화를 위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도착된 메시지의 종류를 분석하여(302), 경보인 경우에는 그 경보의 등급(Critical, Major, Minor)을 추출하고(303), 도착된 경보가 경보 발생의 메시지인지, 경보 해제의 메시지인지를 인지하여 데이타화(304)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경보는 서로 다르므로 종류를 구분하여(305) 소프트웨어 경보인 경우에는 위치 내용을 추출하고(306), 또, 각종 소프트웨어 응용 블럭에서 부가된 정보를 추출(307)한다. 하드웨어 경보인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추출(308)한다. 장애, 상태 메시지인 경우에는 발생 위치 내용을 추출(309)하고 역시 소프트웨어 응용 블럭에서 부가된 정보를 추출(310)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정보는 임시 메시지 파일(file)에 저장된다(311).
제4도는 제2도의 사실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사실화가 시작되면 도착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임시적으로 저장된 메시지 파일(file)을 검색(401)하여 메시지 종류를 분석한뒤(402), 경보인 경우에는 지식 표현을 위하여 이 경보 메시지와 관련이 있는 장애, 상태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조사(403)하고, 장애 메시지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 상태 메시지와의 연관성을 조사(404)하고, 역시 상태 메시지인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경보, 장애 메시지와의 연관성을 조사(405)한다. 상기 각 조사 과정 수행 후, 사실화를 위하여 메시지 번호와 관련 메시지를 논리곱하고(406), 그리고 번호와 위치, 정보를 논리합(407)하여 사실화가 이루어지면 룰을 적용한 추론을 수행하기 위하여 임시 기억 장소(working memory)에 저장(408)한다.
제5도는 제2도의 진단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장애 진단 처리가 시작되면 룰들의 적용을 위하여 임시 메모리 검색을 수행(501)한다. 이후 임시 메모리에 있는 사실들과 룰들의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502)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현재 매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여(504) 매칭이 실패하였으면 재시도하고(503) 매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면 결과를 계속적인 진단처리를 위하여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505) 출력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출력이 필요하면 결과 메시지를 구성하고(507) 출력이 필요하지 않으면 진단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예를 들어, 녹음안내 보도불량 및 보도탈장 등이 있음)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가입자 보드 블록 등이 있음) 장애에 관련된 단편적인 시스템 장애 메시지를 입력으로 진단 프로그램은 이러한 정보를 시스템 설계자나 하드웨어 설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시스템 운용자의 경험 지식을 통해 얻은 지식베이스를 통해 시스템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교환기 프로그램 로딩중인 상태 및 프로세서 절체 중인 상태 등이 있음)뿐만 아니라, 장애 확산에 대한 예측정보(예를 들어, 중요 프로세서가 다운(down)될 것에 관한 정보 등이 있음) 등을 운용자에게 알려 주어 운용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운용되는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 시스템에 중요한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 시스템 가입자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의 상황을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개발 기간중 시스템 관리나 개발 후 현장에서 운용자가 시스템을 운용할시 시스템의 장애를 신속히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의 효율성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단 메시지는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 시스템이 지금 가입자에게 서비스가 가중되는 경우 진단 결과가 출력될 때,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이 진단 결과 메시지 출력 허용 및 불용을 선택하게 하므로써,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에 있어서, 지식 습득, 지식 베이스 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는 진단 프로그램을 상기 교환 시스템에 내장하는 제1 단계; 각종 경보 및 장애 상태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운용중(ON-LINE)에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시스템 메시지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분석한 메시지에 대하여 장애 진단 조건의 자료가 되는 사실(fact)로 구성하기 위한 사실화를 실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의 사실화 실행후 저장된 임시 메모리(working memory)의 사실(facts)들과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된 지식베이스 정보와의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을 수행하면서 시스템 장애 진단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진단 결과 메시지 출력 요구가 있으면 장애 진단 블럭은 운용자 명령어를 분석하여 장애 진단 결과를 전용으로 출력시키는 진단 창(window)의 개시(open)를 그래픽 출력 블럭에 요구하는 제6 단계; 창 개시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써 진단 결과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구가 상기 그래픽 출력 블럭으로부터 오면, 상기 장애 진단 블럭은 구성된 결과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제7 단계; 및 운용자는 더이상 진단 메시지 출력이 필요 없을시 상기 장애 진단 블럭에 메시지 출력 정지를 요구하면, 상기 장애 진단 블럭은 진단 메시지 출력을 위한 창(window)의 폐쇄(closed)를 상기 그래픽 출력 블럭으로 요구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각종 메시지의 헤드(head)에서 메시지 종류를 나타내는 A(Alarm), F(Fault), S(Status)와 식별 번호를 추출한 후에 도착된 메시지의 종류를 분석하는 제9 단계; 상기 제9 단계에서 분석한 메지시가 경도 메시지이면, 경보의 등급(Critical, Major, Minor)을 추출하고, 도착된 경보가 경보 발생의 메시지인지 경보 해제의 메시지인지를 인지하여 데이타화한 후에 경보의 종류를 구분하는 제10 단계; 상기 제10 단계에서 구분한 경보가 소프트웨어 경보이면, 위치 내용을 추출하고, 각종 소프트웨어 응용 블럭에서 부가된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메시지 파일(file)에 저장하는 제11 단계; 상기 제11 단계에서 구분한 경보가 하드웨어 경보이면,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임시 메시지 파일(file)에 저장하는 제12 단계; 및 상기 제9 단계에서 분석한 메시지가 장애, 상태 메시지인 경우에는 발생 위치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각종 소프트웨어 응용 블럭에서 부가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임시 메시지 파일(file)에 저장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임시적으로 저장된 메시지 파일(file)을 검색하여 메시지 종류를 분석하는 제14 단계; 상기 제14 단계에서 분석한 메시지가 경보 메시지이면, 지식 표현을 위하여 이 경보 메시지와 관련이 있는 장애, 상태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하고, 장애 메시지가 존재하면, 경보, 상태 메시지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상태 메시지와 연관성이 있으면, 경보, 장애 메시지와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제15 단계; 및 상기 제15 단계에서의 조사 과정들을 각각 수행 후, 사실화를 위하여 메시지 번호와 관련 메시지를 논리곱하고, 번호와 위치, 정보를 논리합하여 상기 임시 메모리(working memory)에 저장하는 제16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룰(rule)들의 적용을 위하여 상기 임시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임시 메모리에 있는 사실들과 상기 룰들의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을 수행한 후에, 매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제17 단계; 상기 제17 단계에서 매칭이 실패하였으면, 상기 패턴 매칭을 재시도하는 제18 단계; 및 상기 제17 단계에서 매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면, 결과를 계속적인 진단 처리를 위하여 상기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출력이 필요하면 결과 메시지를 구성하는 제19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장애 진단 방법.
KR1019950016142A 1995-06-17 1995-06-17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 KR017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142A KR0173058B1 (ko) 1995-06-17 1995-06-17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142A KR0173058B1 (ko) 1995-06-17 1995-06-17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09A KR970004509A (ko) 1997-01-29
KR0173058B1 true KR0173058B1 (ko) 1999-03-30

Family

ID=1941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142A KR0173058B1 (ko) 1995-06-17 1995-06-17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202B1 (ko) * 1997-08-21 2006-03-17 디지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구내 정보 통신 망을 이용한 장애 통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21B1 (ko) * 2004-11-16 2006-12-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학습을 통한 지능형 ums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202B1 (ko) * 1997-08-21 2006-03-17 디지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구내 정보 통신 망을 이용한 장애 통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09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2453A (en) Autonomous expert system for directly maintaining remote telephone switching systems
CA2272609A1 (en) Software fault management system
JPH0124313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問題解決方法
CN111290913A (zh) 一种基于运维数据预测的故障定位可视化系统和方法
CN112783682B (zh) 一种基于云手机服务的异常自动修复方法
CN113965397A (zh) 信创网络安全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625428A (zh) 监控Java应用程序运行状态的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07483108B (zh) 一种基于sdh设备的光纤告警分析方法、装置及系统
KR0173058B1 (ko)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장애 진단 방법
US6807416B2 (en) Trouble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537590A (zh) 一种数据异常预测方法及系统
KR0175595B1 (ko) 비동기식전송방식(atm) 장치에서 단순망관리규약(snmp)을 사용한 원격지에서의 장애관리방법
CN114896096A (zh) 基于图像识别算法的数据中心设备故障预测系统及方法
JP2001339335A (ja) ネットワーク運用管理システム及び装置故障確率管理方法
US61732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switching system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506248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링크를 진단하는 방법
KR0183138B1 (ko) 종합정보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장애 진단을 위한 장애 정보 전처리 방법
KR20000051749A (ko)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의 장애 보고에 따른 자동 분석기 및 문제 해결 방법
JP2007052756A (ja) ワイヤレスデバイスの不具合診断に適用する学習型診断データベース
CN111861021A (zh) 业务风险预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88998A (ja) 通信プロトコル障害解析装置
CN116545961B (zh) 一种网络交换机集群智能检测方法及系统
KR20040050973A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6204386B (zh) 应用服务关系自动识别及监控方法、系统、介质和设备
JPH0734562B2 (ja) プロトコル故障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