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302B1 -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302B1
KR0171302B1 KR1019960006325A KR19960006325A KR0171302B1 KR 0171302 B1 KR0171302 B1 KR 0171302B1 KR 1019960006325 A KR1019960006325 A KR 1019960006325A KR 19960006325 A KR19960006325 A KR 19960006325A KR 0171302 B1 KR0171302 B1 KR 017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hand cell
terminal
spring
charg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247A (ko
Inventor
정세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302B1/ko
Publication of KR97006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시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셀을 눕히거나 세워서 충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기 몸체에 상기 핸드셀을 세워서 충전할 때 접촉되는 제1 스프링 단자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제2 스프링 단자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하도록 충전기 몸체에 지지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a)는 무선전화기를 충전기에 세운상태로 충전하는 것을 보인 것이고,
(b)는 무선전화기를 충전기에 눕힌 상태에서 충전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를 설치한 것을 보인 구성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핸드셀 12 : 안착홈
13 : 충전기 몸체 14 : 제1 스프링 단자
15 : 제2 스프링 단자 16 : 터미널 단자
17 : 지지대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시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 충전장치의 구성을 제1도에 도시한 바에 의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셀(1)과, 상기 핸드셀(1)이 세우거나 눕혀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 안착홈(2)을 포함하는 충전기 몸체(3)와, 상기 안착홈(2)의 바닥면에 형성한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4)(5)와, 상기 핸드셀(1)의 일단에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4)(5)와 접촉하여 핸드셀(1)이 충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터미널 단자(6)로 구성되었다.
상기 충전기 몸체(3)는 핸드셀(1)을 눕히거나 세운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충전기 몸체(3)의 일단부에 안착부(2)가 형성되어 핸드셀(1)을 눕히거나 세운상태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었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4)(5)는 안착홈(2)의 바닥면에 설치된 PCB상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4)(5)의 일단과 타일단이 서로 다른 극을 갖고 있었다.
상기 터미널 단자(6)는 핸드셀(1)의 일단에 설치되었으며, 핸드셀(1)을 세운상태에서는 터미널 단자(6)가 제1 스프링 단자(4)에 접속되고, 상기 핸드셀(1)을 눕힌상태에서는 터미널 단자(6)가 제2 스프링 단자(5)에 접속되어 상기 터미널 단자(6)를 통하여 핸드셀(1)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핸드셀을 세운상태에서 충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충전기 몸체(3)에 형성된 안착홈(2)에 상기 핸드셀(1)을 세워서 안착시키면 상기 핸드셀(1)의 일단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6)가 제1 스프링 단자(4)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서 접속되어 상기 핸드셀(1)이 충전되었다.
상기 핸드셀(1)을 눕힌 상태에서 충전시킬 때에는 상기 핸드셀(1)을 눕힌상태로 충전기 몸체(3)의 안착홈(2)에 안착시키면 상기 핸드셀(1)의 터미널 단자(6)가 제2 스프링 단자(5)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핸드셀(1)이 충전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전화기용 충전기는 핸드셀을 세우거나 눕혀서 충전하는 방식으로 설계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설계하지만, 다변화하는 형상변형에 의하여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가 서로 접속될 우려가 있을 때에도 상기 스프링 단자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없기 때문에 충전을 목적으로 핸드셀을 세웠을 때 제1 스프링 단자가 핸드셀에 의하여 눌리면서 제2 스프링 단자의 일단에 접촉되어 쇼트가 일어나게 되어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셀을 세워서 충전하고자 할 때에 제1 스프링 단자와 제2 스프링 단자사이에 발생되는 쇼트를 방지하여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충전기 몸체에 상기 핸드셀을 세워서 충전할 때 접촉되는 제1 스프링 단자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제2 스프링 단자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하도록 충전기 몸체에 형성한 지지대로 구성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용 충전기 쇼트방지장치와 그 주변부의 구성을 제2도에 도시한 바에 의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셀(11)과, 상기 핸드셀(11)이 세우거나 눕혀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 안착홈(12)을 포함하는 충전기 몸체(13)와, 상기 안착홈(12)의 바닥면에 형성한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14)(15)와, 상기 핸드셀(11)의 일단에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14)(15)와 접촉되어 핸드셀(11)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터미널 단자(16)로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몸체(13)에 상기 핸드셀(11)을 세워서 충전할 때 접촉되는 제1 스프링 단자(14)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제2 스프링 단자(15)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하도록 충전기 몸체(13)에 형성한 지지대(17)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17)는 충전기 몸체(13)의 안착홈(12)바닥면에 사출성형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핸드셀(11)을 세웠을 때 충전을 위해 접촉되는 상기 제1 스프링(14)이 눌리지 않도록 하여 충전기 몸체(13)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핸드셀을 세워서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핸드셀(11)을 충전기 몸체(13)에 형성된 안착홈(12)에 세운상태로 안착시키면, 상기 핸드셀(11)의 일단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16)가 상기 제1 스프링 단자(14)와 접속되어 핸드셀(11)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된다.
이때 상기 핸드셀(11)에 접속되는 제1 스프링(14)이 아래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충전기 몸체(13)에 형성된 지지대(17)가 상기 제1 스프링(14)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2 스프링(15)과 접속되어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를 방지함으로서 부품의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핸드셀을 눕히거나 세워서 충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기 몸체에 상기 핸드셀을 세워서 충전할 때 접촉되는 제1 스프링 단자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제2 스프링 단자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하도록 충전기 몸체에 지지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충전기 쇼트방지장치.
KR1019960006325A 1996-03-11 1996-03-11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KR017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25A KR0171302B1 (ko) 1996-03-11 1996-03-11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25A KR0171302B1 (ko) 1996-03-11 1996-03-11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47A KR970068247A (ko) 1997-10-13
KR0171302B1 true KR0171302B1 (ko) 1999-03-30

Family

ID=1945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325A KR0171302B1 (ko) 1996-03-11 1996-03-11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3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47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0621U (ja) 切換可能型電池充電器
KR930700983A (ko) 일체형 행-업 및 배터리 충전장치
CA2547684A1 (en) Electrical apparatus
WO1997048162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harging batteries of different types
CA2224355A1 (en) Electrical testing device
KR920020805A (ko)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는 에너지 사용 장치
ZA200305090B (en) Back-up battery for a cellular telephone.
ATE134278T1 (de) Wiederaufladbare stromversorgungseinheit
ATE123916T1 (de) Elektrogerät.
KR0171302B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쇼트방지장치
EP0998004A4 (en) OVERLOAD PREVENTION METHOD, CHARGER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TIMER
TW341734B (en) Charger for wireless microphone
US5218287A (en) Lead battery assembly adapted to be charged by a charger for a nickel-cadmium battery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A2034620A1 (en) Charge device capable of lengthening a lifetime of a storage cell
KR100365799B1 (ko) 휴대폰용 충전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JP2009165240A (ja) 充電台
JPH05268307A (ja) 充電式端末装置及びその端子組み立て体
JPH11262192A (ja) 充電器
KR0138941Y1 (ko) 루핑박스를 갖는 항온 시험기
KR0115928Y1 (ko) 캠코더 밧데리 충전장치
KR910008721Y1 (ko) 소형 카세트에서의 충전회로
KR200299043Y1 (ko) 배터리-팩 충전장치의 어댑터
NZ330831A (en) Rechargable mobile phone battery with integral mains charger
AT386098B (de) Batterieladekontakteinrichtung fuer schnurlose telefonappa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