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962B1 -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962B1
KR0170962B1 KR1019950026072A KR19950026072A KR0170962B1 KR 0170962 B1 KR0170962 B1 KR 0170962B1 KR 1019950026072 A KR1019950026072 A KR 1019950026072A KR 19950026072 A KR19950026072 A KR 19950026072A KR 0170962 B1 KR0170962 B1 KR 017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horizontal line
digital
inverted
i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313A (ko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962B1/ko
Publication of KR97001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 H04N21/43856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by partial decryption, e.g. decrypting a multiplex stream that has been partially encryp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래의 영상신호가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버퍼와 인버터를 통해 비반전 또는 반전되고, 비반전 또는 반전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키데이타에 기초한 제1랜덤 제너레이터와 제2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가 XOR를 통해 각각 배타적 논리합되며, 키데이타에 기초한 PN코드 발생부로부터의 PN코드에 의해 두 신호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다음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수신기로 전송한다. 그 다음, 스크램블된 영상신호가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다음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키데이타에 기초한 제1랜덤 제너레이터와 제2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가 배타적 논리합되며, 키데이타에 기초한 PN코드 발생부로부터의 PN코드에 의해 두 신호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다음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므로써,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유사성이 제거되므로, 비가입자가 불법으로 방송신호를 도시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러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데이타러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통상적인 디스크램블러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A/D변환부 120 : 버퍼
130 : 인버터 115,125,140,150 : XOR
160,170 : 랜덤 제너레이터 180 : PN코드 발생부
190 : MUX 195 : D/A변환부
본 발명은 케이블 텔레비전(CABLE TELEVISION; 이하 CATV라 약칭함)의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을 제거하여 송신하고 이를 수신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한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CATV란 송신국과 가입자의 수신기 간을 동축 케이블로 연결하여, 송신국이 동축 케이블을 통해 방송신호를 전송하면 수신기는 이를 수신하여 텔레비전(TELEVISION; 이하 TV라 약칭함)의 수상기로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TV의 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가입자가 송신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방식을 말한다.
한편, 송신국은 비가입자가 동축 케이블을 불법으로 연결하여 방송신호를 도시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수평라인의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와 칼라버스트 구간을 제외한 부분, 즉 TV의 수상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유효영상신호 구간을 설정된 기준레벨, 예를 들면 50 IRE(THE INSTITUDE RADIO ENGINEER에서 영상신호의 크기를 지정한 단위),을 중심으로 비주기적으로 반전시켜 수신기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송신국에서 유효영상신호 구간을 비주기적으로 반전하는 것을 스크램블,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스크램블러라 하고, 수신기가 스크램블된 유효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것을 디스크램블,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디스크램블러라 한다.
그리고, 송신국에서는 수신기가 스크램블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할 수 있도록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소정 부분에 원래의 영상신호를 반전한 기준레벨을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함께 실어 전송하고, 또한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한 키데이타(KEY-DATA)도 함께 실어 전송한다.
제3도는 종래의 통상적인 디스크램블러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로서, A/D변환부(110), 버퍼(120), 인버터(130), PN코드 발생부(180), MUX(190) 및 D/A변환부(195)로 구성된다.
제3도에 있어서, A/D변환부(110)는 송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버퍼(120)는 A/D변환부(110)에서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반전하지 않고 MUX(190)로 출력하며, 인버터(130)는 A/D변환부(110)에서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반전하여 MUX(190)로 출력한다.
그리고, PN코드 발생부(180)는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되지 않은 영상신호와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PN코드를 발생한다.
또한, MUX(190)는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 발생되는 PN코드에 의거하여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되지 않은 영상신호와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D/A변환부(195)로 출력하고, D/A변환부(195)는 MUX(190)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로 이루어진 종래의 통상적인 디스크램블러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송신국으로부터 스크램블된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전송되면, A/D변환부(110)를 통해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버퍼(120)와 인버터(130)로 입력되고, 버퍼(120)로 입력된 디지탈 영상신호는 반전되지 않고 MUX(190)로 출력되며, 인버터(130)로 입력된 디지탈 영상신호는 반전된 다음 MUX(190)로 출력된다.
한편,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 PN코드가 발생되는데, 이 PN코드는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되지 않은 영상신호와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 발생되는 PN코드에 의거하여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되지 않은 영상신호와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영상신호가 MUX(190)를 통해 선택되어 출력되고, MUX(190)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가 D/A변환부(195)에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스크램블된 영상신호가 A/D변환부(110)를 통해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키데이타에 기초한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의 PN코드에 의거하여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되지 않은 영상신호와 인버터(18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영상신호가 MUX(190)에서 선택되어 D/A변환부(195)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된 다음 출력되므로써, 디스크램블된다.
그러나, 송신국의 스크램블러를 통해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는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반전 또는 비반전하지만, 한 화면의 영상신호에 있어서,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비가입자가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불법으로 디스크램블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1부터 10의 수평라인 영상신호 중에 5, 7, 9의 수평라인 영상신호가 반전되었다고 가정하면, 각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 즉 4의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6의 수평라인 영상신호, 6의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8의 수평라인 영상신호, 그리고 8의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10의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비가입자가 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5, 7, 9)를 검출하므로써,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디스크램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랜덤(RANDOM)하게 섞은 다음 스크램블하여 전송하고, 랜덤하게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할 수 있는 방송신호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을 제거할 수 있는 방송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르면, 원래의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러에 있어서, 상기 원래의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수단과,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해 디지탈 영상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하기 위한 반전비반전수단과, 외부로부터의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에서 반전 또는 비반전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을 제거하기 위한 유사성 제거수단과, 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반전 또는 비반전된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PN코드를 발생하는 PN코드 발생수단과, 상기 PN코드 발생수단으로 발생되는 PN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유사성 제거수단을 통해 유사성이 제거된 반전 또는 비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을 통해 선택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러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송신국으로부터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이 제거된 다음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A/D변환하기 위한 A/D변환수단과, 상기 송신국으로부터의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유사성이 제거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과, 상기 복원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하기 위한 반전비반전수단과, 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반전 또는 비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PN코드를 발생하는 PN코드 발생수단과, 상기 PN코드 발생수단으로부터의 PN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을 통해 반전 또는 비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램블러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원래의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하여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하는 방송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래의 영상신호를 A/D변환하여 스크램블하고, 상기 원래의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을 제거한 다음 D/A변환하여 이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A/D변환하여 상기 유사성이 제거된 영상신호를 상기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한 다음 디스크램블하고, 디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D/A변환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송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러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로서, A/D변환부(110), 버퍼(120), 인버터(130), XOR(140,150),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 PN코드 발생부(180), MUX(190) 및 D/A변환부(195)로 구성된다.
제1도에 있어서, A/D변환부(110), 버퍼(120), 인버터(130), PN코드 발생부(180), MUX(190) 및 D/A변환부(195)는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통상적인 디스크램블러의 A/D변환부(110), 버퍼(120), 인버터(130), PN코드 발생부(180), MUX(190) 및 D/A변환부(19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의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도에 있어서,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는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자릿수와 동일한 불규칙적인 디지탈 데이타를 제1XOR(140)로 발생하고,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는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자릿수와 동일한 불규칙적인 디지탈 데이타를 제2XOR(150)로 발생한다.
여기에서,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와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는 서로 다른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스크램블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XOR(140)는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한 다음 MUX(190)로 출력하고, 제2XOR(150)는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한 다음 MUX(190)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라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러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원래의 영상신호가 A/D변환부(110)를 통해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버퍼(120)와 인버터(130)로 입력되고,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된 수평라인 영상신호가 버퍼(120)를 통해 반전되지 않고 제1XOR(140)로 제공되며,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된 수평라인 영상신호가 인버터(130)를 통해 반전되어 제2XOR(150)로 제공된다.
한편,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에서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자릿수와 동일한 자릿수의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가 제1XOR(140)로 발생되고,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에서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자릿수와 동일한 자릿수의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가 제2XOR(150)로 발생된다.
따라서, 버퍼(120)를 통한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가 제1XOR(140)를 통해 배타적 논리합되어 MUX(190)로 제공되고, 인버터(130)를 통한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영상데이타가 제2XOR(150)를 통해 배타적 논리합되어 MUX(190)로 제공된다.
이때,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 버퍼(120)를 통한 반전되지 않은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인버터(130)를 통한 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PN코드가 발생되고,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 발생된 PN코드에 의거하여 제1XOR(14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제2XOR(15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라인 영상신호중에 어느 하나가 MUX(190)에서 선택된 다음 D/A변환부(195)로 출력된다.
그 다음, MUX(190)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가 D/A변환부(195)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된 다음 출력되어 수신기로 전송된다.
한편, 제2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과정을 통해 송신국에서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스크램블러와 동일한 구성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의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도에 도시된 디스크램블러와 제1도에 도시된 스크램블러의 차이점은 XOR(115,125)의 위치로서, 제1도와 제2도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램블러에서는 제1XOR(140)와 제2XOR(150)가 버퍼(120)와 인버터(130)의 후단에 위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램블러에서는 제3XOR(115)와 제4XOR(125)가 버퍼(120)와 인버터(130) 전단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는, 공지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배타적 논리합한 다음 다시 배타적 논리합하면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가 출력되는 것처럼, 스크램블러 내에서 배타적 논리합된 영상신호를 배타적 논리합 전의 영상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송신국에서 스크램블된 영상신호가 A/D변환부(110)를 통해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3XOR(115)와 제4XOR(125)로 각각 제공된다.
이때,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에서 A/D변환부(110)를 통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자릿수와 동일한 자릿수의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가 제3XOR(140)로 발생되고,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에서 A/D변환부(110)를 통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자릿수와 동일한 자릿수의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가 제4XOR(125)로 발생된다.
따라서,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A/D변환부(110)로부터의 제공되는 디지탈 영상신호가 제3XOR(115)를 통해 배타적 논리합되어 버퍼(120)로 제공되고,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A/D변환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탈 영상신호가 제4XOR(125)를 통해 배타적 논리합되어 인버터(130)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수신기의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송신국의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는 동일하고, 수신기의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송신국의 제1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는 동일하다.
그 다음, 제3XOR(115)를 통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는 버퍼(120)를 통해 반전되지 않고 MUX(190)로 제공되고, 제4XOR(125)를 통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는 인버터(130)를 통해 반전되어 제2XOR(150)로 제공된다.
이때,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 버퍼(120)를 통한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인버터(130)를 통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PN코드가 발생되고,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 발생된 PN코드에 의거하여 버퍼(12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되지 않은 영상신호와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영상신호 중에 어느 하나가 MUX(190)에서 선택된 다음 D/A변환부(195)로 출력된다.
다음에, MUX(190)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가 D/A변환부(195)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된 다음 출력되어 수신기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래의 영상신호가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버퍼(120)와 인버터(130)를 통해 비반전 또는 반전되고, 비반전 또는 반전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키데이타에 기초한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와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가 XOR(140,150)를 통해 각각 배타적 논리합되며, 키데이타에 기초한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의 PN코드에 의해 두 신호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다음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수신기로 전송한다. 그 다음, 스크램블된 영상신호가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다음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키데이타에 기초한 제1랜덤 제너레이터(160)와 제2랜덤 제너레이터(170)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가 배타적 논리합되며, 키데이타에 기초한 PN코드 발생부(180)로부터의 PN코드에 의해 두 신호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다음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수평라인 영상신호의 유사성이 제거되므로, 비가입자가 불법으로 방송신호를 도시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원래의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러에 있어서, 상기 원래의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수단(110); 상기 A/D변환수단(110)을 통해 디지탈 영상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하기 위한 반전비반전수단(120,130); 외부로부터의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120,130)에서 반전 또는 비반전된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을 제거하기 위한 유사성 제거수단(140,150,160,170); 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120,130)으로부터 출력되는 반전 또는 비반전된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PN코드를 발생하는 PN코드 발생수단(180); 상기 PN코드 발생수단(180)으로 발생되는 PN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유사성 제거수단(140,150,160,170)을 통해 유사성이 제거된 반전 또는 비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190); 상기 선택수단(190)을 통해 선택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변환수단(19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비반전수단은: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설정된 소정크기를 중심으로 반전하기 위한 반전수단;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반전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는 비반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 제거수단은: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해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동일한 자릿수의 제1불규칙 디지탈 데이타를 발생하는 제1랜덤 제너레이터; 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해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동일한 자릿수의 제2불규칙 디지탈 데이타를 발생하는 제2랜덤 제너레이터; 상기 제1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제1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한 디지탈 영상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기 위한 제1배타적 논리수단; 상기 제2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제2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한 디지탈 영상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기 위한 제2배타적 논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러.
  4. 송신국으로부터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이 제거된 다음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A/D변환하기 위한 A/D변환수단(110); 상기 송신국으로부터의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유사성이 제거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115,125,160,170); 상기 복원수단(115,125,160,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하기 위한 반전비반전수단(120,130); 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120,130)으로부터 출력되는 반전 또는 비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PN코드를 발생하는 PN코드 발생수단(180); 상기 PN코드 발생수단(180)으로부터의 PN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반전비반전수단(120,130)을 통해 반전 또는 비반전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190); 상기 선택수단(190)에서 선택된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변환수단(19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램블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해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동일한 자릿수의 제3불규칙 디지탈 데이타를 발생하는 제3랜덤 제너레이터; 상기 키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해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와 동일한 자릿수의 제4불규칙 디지탈 데이타를 발생하는 제4랜덤 제너레이터; 상기 제1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제3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한 디지탈 영상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기 위한 제4배타적 논리수단; 상기 제2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제4불규칙 디지탈 데이타와 상기 A/D변환수단을 통한 디지탈 영상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기 위한 제4배타적 논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램블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비반전수단은:상기 제3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반전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기 위한 비반전수단; 상기 제4랜덤 제너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수평라인 영상신호를 설정된 소정크기를 중심으로 반전하기 위한 반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램블러.
  7. 원래의 영상신호를 스크램블하여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하는 방송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래의 영상신호를 A/D변환하여 스크램블하고, 상기 원래의 수평라인 영상신호간의 유사성을 제거한 다음 D/A변환하여 이를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A/D변환하여 상기 유사성이 제거된 영상신호를 상기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한 다음 디스크램블하고, 디스크램블된 영상신호를 D/A변환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송수신 방법.
KR1019950026072A 1995-08-23 1995-08-23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017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072A KR0170962B1 (ko) 1995-08-23 1995-08-23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072A KR0170962B1 (ko) 1995-08-23 1995-08-23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13A KR970014313A (ko) 1997-03-29
KR0170962B1 true KR0170962B1 (ko) 1999-03-20

Family

ID=1942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072A KR0170962B1 (ko) 1995-08-23 1995-08-23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9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13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4614A (en) Authorising coded signals
JPH0744682B2 (ja) 契約テレビ信号のデスクランブ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H0654978B2 (ja) 許可され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みにテレビジョン・プログラム情報信号を出力させる送受信方法
JPH0767097A (ja) ビデオ信号のスクランブルおよびディスクランブル装置
JPH05207465A (ja) ビデオシアターシステムとビデオシアター再生装置
US4598318A (en) Video encryption system
JPS6019381A (ja) デスクランブリング回路
JP2831650B2 (ja) 信号スクランブル伝送方式および装置
US4628358A (en) Television signal encryption system with protected audio
GB2140656A (en)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US4679078A (en) High security subscription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US4636854A (en) Transmission system
KR0170962B1 (ko) 방송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960014687B1 (ko) 종합유선방송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및 디스크램블링 방법 및 장치
US4651205A (en)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KR100207379B1 (ko) 피앤키의 암호화 방법
CA1204162A (en) Audio scrambler utilizing an auxiliary channel for synchronizing the descrambler
KR0129295Y1 (ko) 카운터를 이용한 영상신호용 수평동기신호 발생장치
KR960014686B1 (ko) 디스크램블링을 위한 인밴드 데이타 전송장치
KR0159400B1 (ko) 케이블 텔레비젼의 피엔키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0154929B1 (ko) 피앤 키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100243358B1 (ko)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비트열의 디스크램블링 장치
KR0170964B1 (ko) 케이블 텔레비젼의 피엔키 암호화 방법
KR0174930B1 (ko) 피엔키 암호화 방법
KR100284178B1 (ko) 영상신호의 스크램블 장치와 디스크램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