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829B1 -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829B1
KR0170829B1 KR1019960011765A KR19960011765A KR0170829B1 KR 0170829 B1 KR0170829 B1 KR 0170829B1 KR 1019960011765 A KR1019960011765 A KR 1019960011765A KR 19960011765 A KR19960011765 A KR 19960011765A KR 0170829 B1 KR0170829 B1 KR 0170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hole
base plate
circul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250A (ko
Inventor
케이이치 미즈야
마사노리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강원석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석,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원석
Publication of KR96003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목적]
부품점수가 적은 회전식의 콕 메커의 제공
[구성]
콕메커(M)는, 원형구멍(11)을 뚫어설치한 베이스판(1)과, 단면이 대략

Description

조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조작장치의 구성을 구비한 콕 메커의 조립부착도이다.
제2도는 그 콕메커의 조립부착도이다.
제3도는 그 콕메커의 조립부착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콕메커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콕메커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판 2 : 사프트 가이드
3 : 캠 4 : 코일스프링
5 : 샤프트 11 : 원형구멍
21 : 원형구멍(직경이 큰 원형구멍) 31 : 샤프트 구멍
32: 홈 41 : 아암
42 : 훅 51 : 후방부(後方部)
52 : 중간부 53 : 전방부(前方部)
321 : 아암의 계지부
SW1 : 점화용(點火用)의 마이크로 스위치
SW2 : 전원 공급용의 마이크로 스위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의 샤프트를 회동시켜서 조작하는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가스콕의 메커부는 압입(狎입)회전식과 회전식의 2종류가 존재한다.
압입회전식의 콕메커(J)는, 관통구멍(901)등을 뚫어설치한 베이스판(902)과, 관통구멍(901)으로부터 후방에 돌출하는 후방부(903), 칼라(904)의 전단면에 돌기(905)를 형성한 중간부(906), 중간부(906)로부터 전방으로 뻗어가는 전방부(907)로 이루어지는 샤프트(908)와, 샤프트(908)에 장착되는 구동판(909) 및 코일스프링(910)과, 홈부착원형구멍(911)을 가지는 샤프트가이드(912)를 조립부착하여 구성되고, 샤프트(908)의 전방부를 밀어넣으면 돌기(905)가 홈(913)으로부터 빠져서 샤프트(908)가 회동가능하게 된다(제4도참조).
회전식의 콕 메커(K)는, 단자(920)를 갖는 걸림턱이 형성된 샤프트(921)와, 샤프트(921)를 계지하는 E링(922)와, 단자(920)에 감입되는 스위치캠판(923)과, 스위치(923)을 되돌리는 복귀스프링(924)의 E링(922)에의 탄성장착성을 향상시키는 와셔(925)와 캠판(923)을 샤프트가이드(926)로부터 이격하는 스페이서(927)와, 베이스판(928)을 조립부착하여 구성된다.(제5조 참조)
그리고, 제조메이커에서는 가스테이블의 제조계획에 의거하여, 압입회전식의 콕메커(J)의 부품과, 회전식의 콕메커(K)의 부품을 함께 재고해두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 때문에 종래의 기술은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회전식의 콕메커(K)는, 사용하는 부품의 점수가 많다.
회전식의 콕메커(K)는, 전용부품을 사용하므로, 압입회전식의 콕메커(J)와 부품의 공동화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부품점수가 적은 회전식의 콕메커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압입회전식의 콕메커 부품을 이용할 수 있는 회전식의 콕메커의 제공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택하였다.
(1)원형구멍을 뚫어 설치한 베이스판과, 단면이 대략자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베이스판에 블록하게 설치되는 큰직경의 원형구멍이 있는 샤프트가이드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샤프트가이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아암계지부를 가지는 홈을 오목하게 설치한, 샤프트구멍이 있는 캠과, 한끝에 형성된 아암을 상기 아암계지부에 끼워넣고, 다른끝에 형성된 훅을 상기 샤프트가이드에 건 코일스프링과, 상기 원형구멍에 관통장착되는 후방부, 상기 샤프트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상기 캠을 구동하는 중간부 및 상기 직경이 큰 원형구멍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방부로 이루어지는 대략원주형상의 샤프트를 구비한다.
(2)상기(1)의 구성을 가지며, 점화나 전원공급용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블록부를 상기 캠의 외주에 형성하였다.
[작용]
[청구항 1에 대하여]
조작장치는 이하와 같이 조립부착된다.
코일스프링의 아암을 아암계지부에 끼워넣고, 코일스프링을 캠의 스프링삽입홈을 장착한다.
샤프트를 홈둘레 설치방향으로부터 캠의 사프트 구멍에 끼워 넣는다.
이로 인해, 중간부가 샤프트구멍에 끼워 삽입한다.
이 조립부착체의 샤프트를, 샤프트가이드의 직경이 큰 원형 구멍에 통하게 하는 동시에, 훅을 샤프트가이드에 건다.
샤프트를 고정한 상태로 사프트가이트를 스프링 감기방향으로 돌린다.
샤프트의 후방부를 원형구멍에 찔러넣고, 샤프트가이드를 베이스판에 고정한다.
[청구항 2에 대하여]
샤프트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점화나 전원공급용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캠의 외주에 형성된 블록부에 의해 가압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대하여]
E링, 와셔 및, 스페이서가 필요없게 되며, 적은 부품(베이스판, 샤프트가이드, 캠, 코일 스프링, 샤프트)으로 조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샤프트를 중간부에서 캠을 구동하는 것 뿐이므로, 압입회전식의 가스콕의 돌기가 있는 샤프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대하여]
캠 외주에 형성된 블록부가 점화나 전원공급용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가압구동하고 스위치캠판의 기능을 겸하므로, 스위치캠판이 필요없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콕메커(M)는, 원형구멍(11)을 뚫어설치한 베이스판(1)과 , 원형구멍(21)을 가지는 샤프트가이드(2)와, 샤프트구멍(31)을 가지며 홈(32)을 오목하게 설치한 캠(3)과, 아암(41)과 훅(42)을 단부에 형성한 코일스프링(4)과, 후방부(51), 중간부(52) 및 전방부(53)를 가지는 샤프트(5)를 조립부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콕메커(M)의 베이스판(1)의 배면에는, 메인밸브, 파일럿밸브, 안전밸브 및 로드기구를 내장한 밸브보디(어느것도 도시않음)가 정착된다.
베이스판(1)(두께 약 1.5mm)은, 금속판을 타발하여 제조되고 원형구멍(11)(직경 7mm)과, 코킹부(12,13)와, 마이크로스위치(SW1,SW2)를 장착하는 나사구멍(111,112)과, 부채형상의 슬릿(113,113)과, 밸브 보디를 배변측에 나사교정하기 위한 연통구멍(14,14)이 형성되어있다.(제1,2도 참조)
샤프트가이드(금속제)(2)는, 베이스판(1)에 설치된 코킹부(12,13)에 끼이는 설편(22,23) 및 원형구멍(직경 8mm)을 가지며, 단면이 대략자형상을 나타낸다.
캠(3)(플라스틱제)은 샤프트(5)의 중간부(52)가 끼워 삽입되는 샤프트구멍(31)이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샤프트구멍(31)의 외주에는 아암계지부(321)를 가지는 홈(32)이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3) 외주에는 점화용의 마이크로 스위치(SW1), 전원공급용의 마이크로 스위치(SW2)를 가압구동하기 위한 블록부(33,34)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4)은, 바깥쪽에 굴곡하는 아암(41)을 한 끝(도시하부측)에 형성하고, 다른끝(도시상부측)에 U자형상의 훅(42)을 형성하고 있다.
이 코일스프링(4)은, 아암(41)이 아암계지부(321)에 위치결정되어서 홈(32)내에 장착(훅 42을 제외)된다.
샤프트(5)는 본실시예에서는 철봉에 냉단가공을 실시하고, 후방부(51), 중간부(52) 및 전방부(53)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제1도 참조)
샤프트(5)의 후방부(51)는 직경 6mm 길이 약 11mm 원주형상을 나타내며, 후단으로부터 전방방향으로 길이 7mm, 폭 2mm의 벤자리가 형성되며, 베이스판(1)의 원형구멍(11)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관통한다.
중간부(52)(직경 8mm, 길이 16mm)는, 원주형상을 나타내며 선단으로부터 5.2mm후방에 원형의 칼라(521)(두께 1.5mm, 직경 11mm)를 형성하고 그위에 칼라(521)의 전단면측에 직4각형상의 돌기(폭 2.5mm, 높이 2mm)(522)를 대향위치에 2개의 형성하고 있다.
중간부(52)의 외주면에는 면다듬기(폭 5mm, 길이 10mm)가 행해져 있다.
또한 직경의 차이에 의해, 중간부(52)와, 후방부(51)의 경계는 단차부(523)로 되어있다.
전방부(53)는, 직경 6.8mm 길이 14mm의 원주형상을 나타내며, 선단이 테이퍼형상으로 가공되고, 조립부착후, 전방부(53)에는 샤프트(5)를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도시않음)가 장착된다.
다음에, 콕메커(M)의 조립부착을 제1∼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제1도의 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4)의 아암(41)을 아암계지부(321)에 들어가도록 코일스프링(4)을 캠(3)의 홈(32)에 떨어뜨린다.
(2) 제1도의 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을 맞추어서 샤프트(5)를 캠(3)의 샤프트구멍(31)에 떨어뜨려 끼워넣는다.
(3) 제1도의 ③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조립부착체에 샤프트가이드(2)를 띄우고, 샤프트(5)를 원형의 구멍(21)에 통하게 하는 동시에, 훅(42)을 샤프트 가이드(2)의 걸기부(24)에 건다.
(4) 제2도의 ④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가이드(2)를 화살표시방향으로(스프링 감기방향) 반회전시킨다.
(5) 제2도의 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5)의 후방부(51)를 원형구멍(11)에 찔러넣고, 설편(22,23)을 코킹부(12,13)에 끼워넣는다.
(6) 제3도의 ⑥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킹부(12,13)를 화살표시 방향으로 코킹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이점을 기술한다.
(가) 회전식의 가스콕을 제조할 때에, 종래 필요했던 E링(922), 와셔(925) 및 , 스페이서(927)(제5도 참조)가 필요없게되며, 적은 부품(베이스판(1), 샤프트가이드(2), 캠(3), 코일스프링(4), 샤프트(5))으로 콕메커(M)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관리를 위한 코스트가 절감된다.
(나) 샤프트(5)는, 중간부(52)에서 캠(3)을 구동하는 것뿐이므로 압입회전식의 콕메커(J)의 돌기(90)가 있는 샤프트(908)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용의 샤프트를 제조하거나, 그 샤프트의 부품관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코스트가 절감된다.

Claims (2)

  1. 원형구멍을 뚫어설치한 베이스판과, 단면이 대략자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베이스판에 블록하게 설치되는 직경이 큰 원형 구멍이 있는 샤프트가이드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샤프트가이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아암계지부를 가지는 홈을 오목하게 설치한 샤프트구멍이 있는 캠과, 한끝에 형성된 아암을 상기 아암계지부에 끼워넣고, 다른끝에 형성된 훅을 상기 샤프트가이드에 건 코일스프링과, 상기 원형구멍이 관통장착되는 후방부, 상기 샤프트구멍에 끼워삽입되고 상기 캠을 구동하는 중간부 및, 상기 직경이 큰 원형구멍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방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주형상의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점화나 전원공급용의 마이크로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블록부를 상기 캠의 외주에 형성한 것을 특징로 하는 조작장치.
KR1019960011765A 1995-04-24 1996-04-18 조작장치 KR0170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98922A JP3034442B2 (ja) 1995-04-24 1995-04-24 操作装置
JP95-098922 1995-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50A KR960038250A (ko) 1996-11-21
KR0170829B1 true KR0170829B1 (ko) 1999-03-20

Family

ID=1423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765A KR0170829B1 (ko) 1995-04-24 1996-04-18 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34442B2 (ko)
KR (1) KR0170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8406B2 (ja) * 2000-06-19 2005-10-19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機器の操作機構
TWM515850U (zh) * 2015-07-30 2016-01-21 Gloritage High Tech Co Ltd 紙巾架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34442B2 (ja) 2000-04-17
KR960038250A (ko) 1996-11-21
JPH08296848A (ja) 199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829B1 (ko) 조작장치
US2731229A (en) Instrument mounting and clip therefor
US6134977A (en) Star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914061A (en) Rod retaining clip
EP1713107A1 (de) Kombinierter Wippschalter/Wipptaster
CA1271043A (en) Thermostat mounting
US2135323A (en) Lock construction
EP0400697A1 (en) Adjustable electric thermostat
CA2175507C (en) Terminal/blade contact assembly
US3258571A (en) Slide-on lifter for switch blades
WO1996042039A1 (en) Electrically-operated latch
KR0170830B1 (ko) 조작장치의 조립부착방법
EP1219823B1 (en) System for assemb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injector
US2632787A (en) Unitary lamp socket supporting structure
JPH0546099Y2 (ko)
US5878621A (en) Vehicle engine starter having improved means for attaching the draw member of the contractor to the control fork for the starter head
DE50006889D1 (de) Baugruppe für handfeuerwaffen
JP2002005428A (ja) ガス機器の操作機構
US2661415A (en) Variable resistor and actuator therefor
SU1372401A1 (ru)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SU1177064A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KR0128452B1 (ko) 마운트(mount) 진공절환장치
JP2503292Y2 (ja) 回路遮断器の引外し特性の調節構造
KR0138969Y1 (ko) 카오디오의 볼륨노브 결합축 홀더 구조
KR19980048283U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