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696B1 -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696B1
KR0170696B1 KR1019950037171A KR19950037171A KR0170696B1 KR 0170696 B1 KR0170696 B1 KR 0170696B1 KR 1019950037171 A KR1019950037171 A KR 1019950037171A KR 19950037171 A KR19950037171 A KR 19950037171A KR 0170696 B1 KR0170696 B1 KR 017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temperature
plate
refrigerato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156A (ko
Inventor
정성욱
김재인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EP9912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EP0982553B1/en
Priority to EP95308611A priority patent/EP0715136B1/en
Priority to DE69524717T priority patent/DE69524717T2/de
Priority to TW084112707A priority patent/TW338098B/zh
Priority to US08/564,652 priority patent/US5687580A/en
Priority to DE69528541T priority patent/DE69528541T2/de
Priority to JP7313134A priority patent/JP2771141B2/ja
Publication of KR96002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실로 토출되는 냉기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냉기유로와 냉기 토출 조절판을 가진 냉장고 및 상기 냉기유로와 냉기 토출 조절판을 이용하여 냉장실 내의 온도 분포를 설정 온도에 맞도록 신속하게 고르게 산포시키기 위하여 냉기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유로가 토출공의 배치 및 형상 그리고 냉기 토출 조절판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분산시켜 균일냉각을 실현시킬 수 있으며, 토출공에 판상의 날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냉기 토출 조절판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냉기가 하강하지 않고 고내를 향해 토출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은,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좌우측에 각각 온도 센서들을 설치하여 그 좌우측 온도센서의 온도값의 대표값 혹은 평균값을 비교하여 온도가 높은 쪽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방법으로 냉장실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하면서 냉장하거나, 냉장실 3H/4 좌측벽과 1H/3 우측벽에 각각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의 온도를 냉기 토출시는 제어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그 온도차에 따라, 냉기토출조절판을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거나, 흔들어 주어 냉장고 내의 온도를 신속하게 냉각시키고 온도 분포를 항상 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전체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냉기 칸칸 토출 방식 냉장고의 내부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입체 냉각 방식 냉장고의 내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전체 수직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장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냉장실의 내부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기분산토출을 위한 하우징과 냉기 토출 조절판의 분해 사시도.
제7도와 제8도는 각각 제4도에 도시된 냉기 토출부 확대 정면도 및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하우징의 배면사시도로서 냉기유로와 토출공의 배치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제10도의(a),(b),(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토출 조절판 및 그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며,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토출공과 냉기 토출 조절판의 배치관계를 보인 도면이며,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된 냉기 토출 조절판의 평면도이며,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좌측집중냉각을 보인 도면이며,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중앙집중냉각을 보인 도면이며,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우측집중냉각을 보인 도면이며,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위치 감지 스위치의 작동 상태도이며,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냉장실 15 : 냉기유로
17 : 하우징 26 : 냉기 토출 조절판
28 : 구동모터 32 : 위치 감지 스위치
33 : 조작돌기 35 : 제1유로부
36 : 제2유로부 39 : 제1토출부
40 : 제2토출부 44 : 분배판
45 : 제1분산유도판 46 : 제2분산유도판
47 : 분산유도판 52 : 우측온도센서(제1온도센서)
53 : 좌측온도센서(제2온도센서)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냉각팬 외에 냉장실로 토출되는 냉기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냉기유로와 냉기 토출 조절판을 가진 냉장고 및 상기 냉기유로와 냉기 토출 조절판을 이용하여 냉장실 내의 온도 분포를 설정 온도에 맞도록 신속하게 고르게 산포시키기 위하여 냉기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격벽(1)에 의해 구획된 냉동실(2)과 냉장실(3)을 형성하는 단열구조의 냉장고 본체(4)에 냉동실 도어(6)와 냉장실 도어(7)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있다.
본체(4)는 전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캐비넷(4a), 이 캐비넷(4a) 내측에 배치되는 라이너(4b), 상기 캐비넷(4a)과 라이너(4b)사이에 발포되어 층진되는 발포재(4c)로 이루어진다.
압축기(11)는 냉장실(3)하측의 기계실에 설치되고 응축기와 감압기는 본체(4)에 배설되거나 기계실에 설치되며, 증발기(12)는 냉동실(2)의 후벽에 설치되어, 이들이 냉매관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냉동 순환 사이클이 수행된다. 증발기(12)상측에는 냉각팬(13)이 설치되어 증발기(12)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공급되도록 강제 송풍된다. 이러한 냉기의 공급을 안내하기 위해 냉각팬(13)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4)가 배치되고 냉장실(3)의 후벽에는 냉기덕트(15a)가 마련된다. 냉기 조절 댐퍼(19)는 냉장실(3)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선반(8)은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에서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칸칸토출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3)의 후벽에 마련된 냉기덕트(15a)에 각 선반(8)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냉기 토출공(16a)이 상하로 배열되어, 선반(8)에 의해서 형성된 칸칸별로 냉기가 토출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칸칸토출방식의 냉장고에서는, 냉기가 단순히 냉기 토출공(16a)으로부터 전방으로만 토출되기 때문에 고내의 좌우 및 전후의 온도편차가 심해 균일냉각을 실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입체냉각방식의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이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의 후벽은 물론 양측벽으로부터도 냉기가 토출되는 방식으로, 냉장실의 후벽은 물론 양측벽에도 냉기토출공(16a)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냉장고에서도 냉기가 3면에서 토출되기는 하지만, 단순히 고내를 향해서 토출될 뿐이고, 분산되지 못하므로 직접적으로 토출되는 부위와 그렇지 못한 부위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 및 양이 조절되지 못하므로 특정부분의 냉각이 요구될 때 이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냉장고의 상측 모서리나 하측 모서리와 같은 특정 부위에 고온의 식품이 저장되거나, 저장된 식품의 부피가 커 냉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함으로 인해 고내의 타부분에 비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이 생길 경우, 이 부분을 집중 냉각하여 고내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형 냉장고를 선호하는 최근의 상황하에서는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의하나로 대두되어 있다. 즉 냉장실의 좌우 폭 및 전후 폭이 중대된 대형 냉장고의 경우, 냉기를 분산시키거나 냉기의 토출 방향이나 양을 조절할 수 없으면, 각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여 모든 부분에 냉기를 골고루 공급하여 고내의 균일 냉각을 실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특별히 집중냉각이 요구되는 고내의 특정 고온 부분에 대하여 냉기를 집중적으로 토출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내부 온도를 신속하고 온도 산포를 고르게 조절하기 위한 내부 온도 제어 방법은, 냉장고 내로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단순하게 산포시켜 주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냉장실로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결정해주는 냉기토출조절판을 단순히 회전시키든가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향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냉장고 내의 온도 제어 방법은 각각의 불특정한 온도 변화 요인에 따른 냉장실 내의 온도 분포에 즉각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더운 식품이 들어오더라도 그 방향으로 냉기를 집중시켜 줄 수가 없다던가 하는 냉장고 내에 수납된 식품의 온도 혹은 도어의 개폐로 인한 냉장실 내의 각칸 및 각칸의 전후좌우의 온도차에 따라 적절하게 냉기를 배출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고내로 토출되는 냉기를 분산되게 하거나, 집중 냉각이 요구되는 고내의 특정 고온 부분에 냉기를 집중적으로 토출되게 하여 고내(庫內) 전역(全域)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며, 둘째, 냉기 토출 조절판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수분 및 결로의 침투를 방지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며, 세째 냉기 토출공에 판상의 날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냉기 토출 조절판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냉기가 하강하지 않고 고내를 향해 토출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장고(특히 냉장실)내의 온도 산포를 신속하게 설정 온도가 되도록 하여 주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호 구획된 냉동실과 냉장실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에 냉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발기;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안내하도록 하는 안내통로와, 이 안내통로를 통과한 냉기를 하향 안내하도록 하는 냉기유로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의 상하 및 좌우로 분산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공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들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냉기유로는 상기 토출공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구비하되,
상기 냉장실의 각 단에 대응하도록 다수개의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냉기유로는 상기 제1유로부와 상기 토출공들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1연결로와 상기 제2유로부와 상기 토출공들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2연결로를 구비하여 되며,
각각의 토출공들은 상기 제1연결로와 직접 연결된 제1토출부와 상기 제2연결로와 직접 연결된 제2토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토출부와 상기 제2토출부는 연통되되, 상기 제1토출부는 제1연결로 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제2토출부는 제2연결로 측으로 편심되도록 상호 단차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결로와 제2연결로의 입구부의 상측은 라운딩되고, 하측은 그 상측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턱들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턱들은 하측의 것일수록 외측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호 구획된 냉동실과 냉장실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냉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발기;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를 통과한 냉기를 하향 안내하는 냉기유로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공들;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냉기 토출 조절판;
그리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횡설된 상판과 하판 및 중간판을
포함하는 분배판; 및
상기 상판과 중간판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1분산 유도만과 상기 중간판과 하판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2분산 유도판을 가진 분산 유도판을 구비하되,
상기 제1분산 유도판과 제2분산 유도판은 각각 연속 라운딩된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분산 유도판의 오목부와 상기 제2분산 유도판의 오목부 또는 상기 제1분산 유도판의 볼록부와 상기 제2분산 유도판의 볼록부는 상호 반대위치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은 상기 분배반과 분산 유도판으로 된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냉장실의 상측부, 중간부, 하측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측 날개부, 중간 날개부, 그리고 하측 날개부을 구비하고, 이들 날개부는 지지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상측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과 상기 중간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은 대략 90°각도를 가지며, 상기 상측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과 상기 하측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은 대략 45°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냉장실의 높이를 H라 할때, 상기 상측 날개부는(3/4)H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날개부는(1/2)H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날개부는 (1/3)H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은 이분 가능한 상측 냉기 토출 조절판과 하측 냉기 토출 조절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날개부와 중간 발개부는 상기 상측 냉기 토출 조절판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날개부는 상기 하측 냉기 토출 조절판의 하단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의 일측벽 상단에 설치된 제1온도감지센서; 상기 냉장실의 타측벽 하단에 설치된 제2온도감지센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온/오프되는 위치감지스위치; 및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 및 제2온도감지겐서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집중냉각을 위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위치를 정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위치감지스위치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 상측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상단에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위치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조작돌기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작돌기는 상기 위치감지스위치와 접하는 부위가 라운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 상측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하되, 모터 케이스에 내장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하여 고내등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호 구획된 냉동실과 냉장실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냉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발기;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가진 하우징;
상기 안내통로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통로를 통과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구비하는 냉기유로;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 사이에 상하로 배열되어 상기 냉기유로를 지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토출되토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공들;
상기 토출공들에서 나오는 냉기를 좌우로 분산 또는 집중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냉기 토출 조절판;
그리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는 상기 제1유로부와 상기 토출공들을 연결시키는 제1연결로와 상기 제2유로부와 토출공들을 연결시키는 제2연결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토출공들은 상기 제1연결로와 직접 연결된 제1토출부와 상기 제2연결로와 직접 연결된 제2토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토출부와 상기 제2토출부는 연통되되, 상기 제1토출부는 제1연결로 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제2토출부는 제2연결로 측으로 편심되도록 상호 단차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결로와 제2연결로의 입구부와 상측은 라운딩되고, 하측은 그 상측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턱들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걸림턱들은 하측의 것일수록 외측으로 더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은,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의 경계면에 위치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의 높이만큼 각각 상하로 이격된 상판과 하판을 가진 분배판; 및
상기 상판과 중간판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1분산 유도판과 상기 중간판과 하판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2분산 유도판을 가진 분산 유도판을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분산 유도판과 제2분산 유도판은 각각 연속 라운딩된 오목부와 볼록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분산 유도판의 오목부와 상기 제2분산 유도판의 오목부 또는 상기 제1분산 유도판의 볼록부와 상기 제2분산 유도판의 볼록부는 상호 반대위치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배판은 상기 냉장실의 상측부, 중간부, 하측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측 날개부, 중간 날개부, 그리고 하측 날개부를 구비하고, 이들 분배판은 지지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측날개부의 분산 유도판과 상기 중간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은 대략 90°각도를 가지며, 상기 상측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과 상기 하측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은 대략 45°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냉장실의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상측 날개부는(3/4)H에 위치하고, 상기 증간 날개부는(1/2)H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날개부는 (1/3)H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의 일측벽 상단에 설치된 제1온도감지센서, 상기 냉장실의 타측벽 하단에 설치된 제2온도감지센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온/오프되는 위치감지스위치,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 및 제2온도감지센서 그리고 위치감지스위치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집중냉각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감지스위치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 상측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상단에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위치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조작돌기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작돌기는 상기 위치감지스위치와 접하는 부위가 라운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 상측의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구동모터의 내장 설치를 위한 모터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에 인접하여 고내등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장실의 후면에는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냉장실의 후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의 배면과 상기 오목흠 사이에는 시일판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을 덮도록 격자상의 그릴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후벽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매설되고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냉기유로;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토출공들;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토출공들에 각각 위치된 냉기 토출 조절 판들과,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 상측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을 구동시키고, 모터 케이스에 내장된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하측에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상단에 있는 조작돌기와 연동하는 위치감지스위치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되어 고내등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의 후벽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매설되고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냉기유로;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토출공들;
그리고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토출공들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토출공들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고내를 향해 수평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상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냉기를 분산기켜 주는 분산 유도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는 상기 하우징내에 배설되고 분기되어 대략 평행한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의 냉장실의 후벽에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냉기분산장치가 마련된 냉장고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모서리에 배설되고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
상기 하우징내에 배설되고 상기 냉기유로로부터 분기되고 대략 서로 평행한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
상기 제1 및 제2유로부 사이의 미리 예정된 위치에 배설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로부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토출공들;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토출공들에 각각 위치된 냉기 토출 조절판들;
그리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 판들과 대향하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유로부로부터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에 회전 분산되도록 상기 냉기 토출 조절 판들을 보호하기 위한 그릴;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은,
냉각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냉기 토출 조절판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아 개방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을 회전시켜 냉기를 분산 토출하는 단계;
도아 폐쇄시 주기적으로 냉장고 내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위의 온도값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온도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온도간이 가장 높은 부위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냉기 토출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은,
전원 온 일때 컴프레서가 초기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냉매 순환용 컴프레서가 초기 온이 아니면, 도어가 오픈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초기 온이거나, 상기 도어가 오픈이면 고내로의 냉기 토출량을 조절하는 댐퍼 제어 수단으로 토출 댐퍼를 회전시켜 냉기를 분산 토출하는 단계;
상기 도어가 오픈이 아니면, 냉장고의 어느 일측에 마련된 제1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들과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마련된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크면 상기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제1의 온도센서 방향으로 토출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토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작으면 상기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상기 제2의 온도센서들의 방향으로 토출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과 같으면 상기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정면 방향으로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온도 평균값들의 크기 판단 단계들은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된 온도 값들을 각각 평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 측의 온도 대표값들의 크기 판단 단계들은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감지된 온도값들의 대표값들을 각각 구하기 위하여 각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온도값 끼리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대표값 비교 단계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온도값들 중의 서로의 최고값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온도값들 중의 서로의 중간값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은,
전원 온 일때 컴프레서가 초기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냉매 순환용 컴프레서가 초기 온이 아니면, 상기 컴프레서가 통상의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통상의 온이면 고내로의 냉기 토출량을 조절하는 댐퍼가 오픈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댐퍼가 오픈이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 감지 수단들 중에서 선택된 서로 대향하는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통상의 오픈이 아니거나 상기 댐퍼가 오픈이 아니면 상기 소정의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냉기 불토출시의 재어 기준 온도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거나, 상기 소정의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으면 냉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초기 온이거나, 상기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지 않거나, 상기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지 않으면 냉기 토출 조절판을 회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는 상기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항상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는 3℃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전체 측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중간격벽(1)에 구획된 냉동실(2)과 냉장실(3)을 형성하는 단열구조의 냉장고 본체(4)에 냉동실 도어(6)와 냉장실 도어(7)가 설치된 구조로 된다. 냉장실(3)에는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다수의 선반(8)이 설치되며 냉장실(3)의 상측에는 특정 온도대에서 특정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제3실(9)이 형성되고 냉장실(3)의 하측에는 야채실(10)이 냉장실(3)과 별개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압축기(11)는 냉장실(3)하측의 기계실에 설치되고 응축기와 감압기(미도시)는 본체(4)에 매설되거나 기계실에 설치되며, 증발기(12)는 냉동실(2)의 주벽에 설치되어 이들이 냉매관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냉동 순환 사이클이 수행된다.
증발기(12)상측에는 냉각팬(13)이 설치되어 증발기(12)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공급되도록 강제 송풍시킨다. 이러한 냉기의 공급을 안내하기 위해 냉각팬(13)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4)가 배치되고, 냉장실(3)의 후벽에는 냉기유로(15)와 토출공(16)을 가진 하우징(17)이 설치된다. 따라서 증발기(12)를 거친 냉기는 냉동실(2)과 냉장실(3)로 분기되어 공급된다. 오목홈(5)은 하우징의 설치를 위해 냉장실의 후벽에 형성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하우징(17)은 냉장실(3)의 후벽 중앙에 설치되는데, 그 상측부는 제3실(9)의 직후방에 위치하며, 나머지 부분은 제3실(9)과 야채실(10)사이의 냉장실(3)의 직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하우징(17)의 상판은 중간격벽(1)에 접히고 하단은 야채실(10)에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17)은 냉장실(3)의 높이와 대략 동일높이를 가진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7)은 대별하여 전면판(24)과 이 전면판(24)고 결합되는 유사한 형상의 단열체(25)와 단열체(25)의 배면에 접착되는 시일판(34)으로 구성된다.
전면판(24)에는 냉기 토출 조절판(26)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냉기 토출 조절판(26)상측에는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8)가 모터 케이스(29)에 수납되어 설치된다. 구동모터(28)의 양측에는 고내등(30)이 설치되며, 고내등 카바(31)는 이 고내등(30)의 보호를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28)를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상측에 배치하여 고내의 수분이 구동모터(28)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이는 고내의 수분이나 응결수가 생긴다하더라도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 내리므로 구동모터(28)에 침투될 염려가 없게 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구동모터(28)는 모터케이스(29)내에 수납되므로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은 희박하고, 따라서 냉기의 접촉으로 과냉되어 구동속도가 저하될 염려가 없어진다.
만약 수분이 침투한다 하더라도 고내등(30)이 구동모터(28)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시로 증발되어 구동모터(28)가 수분의 침투에 의해 고장나거나, 구동모터(28)의 고장에 의해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게 된다. 즉, 수분침투로 인한 전기적 오접속, 절연파괴 및 과냉에 의한 구동속도의 저하 문재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로서, 그 회전속도가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모터를 사용하였지만,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여 정/역회전은 물론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감지스위치(32)는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상단에 마련된 조작돌기(33)에 의해 온/오프된다. 그리고 그릴(27)은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보호를 위해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전면판(24)에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그릴(27)은 고내에 수납된 저장물에 의해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7)의 단열체(25) 상단에는 증발기(12)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3)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18)가 형성되고, 이 안내통로(18)를 개폐하여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19)과, 이 댐퍼(19)를 구동하기 위한 댐퍼모터(20)가 내장된다. 이들을 이용한 냉장실(3)의 온도제어는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댐퍼카바(21)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판(24)과 일체로 구성하고, 스페이서(22)는 단열체로 구성한다. 이 스페이서(22)는 두텁게 하여 안내통로(18)를 통과하는 저온상태의 다량의 냉기로 인해 댐퍼카바(21)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댐퍼(19)와 댐퍼모터(20)가 설치된 하우징(17)의 상측부는 두텁게 구성되는데, 대략 그 두께는 12cm정도이고 폭은 34cm정도이다. 물론 이러한 두께와 폭은 냉장고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겠지만 400∼5001급의 냉장고에서는 두께가 12cm 정도이고 폭이 34cm 정도인 것이 적절하다. 댐퍼카바(21)에 형성된 냉기 토출구(23)은 안내통로(18)를 통과한 냉기를 제3실(9)로 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제3실(9)은 냉장실 보다 저온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냉기토출구(23)는 양측에 2개가 배치된다.
한편, 하우징(17)의 나머지 부분은 그 두께가 약 3cm정도이고, 폭이 25cm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하우징(17)의 나머지 부분은 그 전체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2mm 두께의 플라스틱 사출물 전면판(24)에 단열재, 예를들면 스티롤수지를 일체로 형합하여 구성한다.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이러한 하우징(17)의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데, 날개부(26a)와 지지대(26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날개부(26a)가 지지대(26b)에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날개부의 각 위치는 선반(8)에 의해 구획된 냉장실의 각 칸의 위치에 상응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의 높이를 H라 할 때, 최상측의 날개부가(3/4)H, 증간날개부가(1/2)H, 최하단 날개부가 (1/3)H에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중간 날개부와 최하단 날개부 사이에 위치한 날개부는 선반(8)의 위치와는 무관한 것으로 외관상, 금형제작상의 고려에 의해 마련된다. 이러한 냉기 토출 조절판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러한 하우징(17)은 조립체 형태로 냉장실(3)의 후벽면에 설치되는데, 하우징(17)의 전면판(24)이 냉장실(3)의 후벽면과 대략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판(24)과 단열체(25)가 형합되고 시일판(34)이 부착된 상태에서, 냉기 토출 조절판(26)과 그릴(27)이 전면판(24)에 조립되고, 구동모터(28)와 고내등(30)이 조립된 상태로 냉장실(3)의 후벽에 설치된다. 따라서 별개의 부품을 냉장실에 각각 설치하는 것에 비해 그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나사결합부(17a)는 이러한 하우징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즉, 조립체 형태의 하우징(17)이 냉장실(3)의 후벽에 나사결합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7)에는 증발기(12)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장실(3)로 공급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냉기유로(15)와 토출공(16)이 형성된다. 이 냉기유로(15)는 이 하우징(17)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토출공(16)은 냉기유로(15)와 냉장실(3)을 연통시키도록 하우징(17)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토출공(16)은 다수개가 하우징(17)의 증앙부에 상하로 배열되고 냉기유로(15)는 토출공(16)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된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포함한다. 이때 토출공(16)은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날개부(26a)와 마찬가지로 냉장실(3)의 각 단(즉, 선반(8)에 의해 구획됨 공간)에 대응하도록 다수 개가 상하로 배열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공(16)에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날개부(26a)가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토출공은 3개이다. 이와 같이 냉기유로(15)를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26)로 형성하여 양쪽에 배치하고, 그 중앙에 토출공(16)을 형성함과 동시에 토출공(16)에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위치시킴으로써, 전체적인 하우징(170)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하고, 하우징(17)두께의 감소로 인해 고내로 돌출된 하우징(17)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하우징의 돌출로 인한 고내의 유효공간이 확대된다.
또한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의 상단은 안내통로(18)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고 하단은 야채실(10)로 연결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댐퍼(19)의 열림에 의해 안내통로(18)를 통과한 냉기는 좌우로 분산되어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따라 하향하여 냉장실(3)및 야채실(10)로 토출되고, 일부는 냉기토출구(23)를 통해 제3실(9)로 토출된다 하향 공급되는 냉기를 냉장실(3)로 안내하기 위한 냉기유로(15)는 제1유로부(35)와 토출공(16)을 연결시키는 제1연결로(37)와 제2유로부(36)와 토출공(16)을 연결시키는 제2연결로(38)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따라 흐르는 냉기는 부분적으로 제1연결로(37)와 재2연결로(38)에 안내되어 토출공(16)을 통해 냉장실(3)로 토출된다.
여기서, 제1연결로(37)와 제2연결로(38)는, 재1,2유로부(35,36)와 연결되는 입구부가 넓고, 토출공(16)과 연결되는 출구부가 좁게 형성되는데, 특히 제1연결로(37)와 재2연결로(38)의 입구부는 상측이 라운딩되고 하측은 걸림턱(371,372,372)들에 의해 상측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하향하는 냉기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이들 연결로로 안내된다. 즉, 연결로(37,38)의 입구부는 상측이 유선형으로 라운딩되고 하측이 걸림턱(371,372,373)에 의해 상측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향하는 냉기의 일부는 걸림턱(371,372,373)에 걸리면서 라운딩부를 따라 원활하게 연결로(37,38)내부로 안내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제1,2연결로 보다는 중간의 제1,2연결로, 중간의 제1,2연결로 보다는 하측의 제1,2연결로의 입구부를 형성하는 상측은 더 많이 라운딩되고, 하측의 걸림턱(371,372,373)들은 더 많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먼저 토출되어 하향하는 냉기일수록 온도가 높으므로 하측으로 갈수록 더 많은 양의 냉기가 연결로(37,38)와 토출공(16)을 통해 냉장실(3)내부로 토출되게 함으로써 냉장실의 높이에 따른 온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상측보다는 중간, 중간보다는 하측의 연결로를 통해 더 많은 냉기가 안내되게 하여, 토출위치에 따른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고내의 온도편차를 없애 균일냉각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유로부(35)와 재2유로부(36)의 하단, 보다 정확하게는 최하측 제1연결로와 제2연결로의 입구부 하측에는 소정 높이의 제한턱(48)을 마련하여 야채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은 감소시키고 토출공을 통해 냉장실로 토출되는 냉기의 양은 증대되게 한다. 따라서 냉장실은 야채 실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한편, 냉장실(3)로 토출되는 냉기를 좌우로 분산시키기 위해 토출공(16)은 제1연결로(37)와 직접 연결된 제1토출부(39)와 제2연결로(38)와 직접 연결된 제2토출부(40)를 구비하는데, 이들을 상호 연통되게 하며,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토출부(39)는 제1연결로(37)쪽으로 편심되고, 제2토출부(40)는 제2연결로(38)쪽으로 편심되도록 상호 단차지게 형성되어, 각 토출부로 안내된 냉기가 토출시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지향함으로써, 냉장실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토출부(39)로 안내된 냉기가 좌측을 지향하면 제2토출부(40)로 안내된 냉기는 우측을 지향하게 되어 토출되는 냉기가 자연스럽게 분산되는 것이다. 또한 이웃하는 토출공(16)에서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의 위치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측 토출공에서 제1토출부(39)가 제2토출부(40)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면 중간 토출공에서는 반대로 제2토출부(40)가 제1토출부(39)보다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은 먼저 토출되어 하향하는 냉기일수록 그 온도가 높으므로, 상측 토출공에서 좌측보다 우측에서 유입되는 냉기의 온도가 더 낮은 경우, 중간 토출공에서는 우측보다 좌측에서 보다 낮은 온도의 냉기가 유입되게 하여, 고내에서의 좌우온도 편차를 없앰으로써 군일냉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채용된 냉기 토출 조절판(26)및 그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냉기 토출 조절판(26)는, 제10도의(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날개부(26a)와 지지대(26b)로 구성되는데, 날개부(26a)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횡설(橫設)된 디스크 형상의 상판(41)과 하판(42), 그리고 중간판(43)으로 된 분배판(44)과, 상판(41)과 중간판(43)을 종(縱)으로 연결하는 제1분산유도판(45)과 중간판(43)과 하판(42)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2분산유도판(46)으로 된 분산유도판(47)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분배판(44)과 분산유도판(47)이 조합되어 구성된 조합체 3개(나머지 하나는 공날개부로서 후술함)가 지지대(26b)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즉, 냉기 토출 조절판(26)는 분배판과 분산유도판으로 된 3개의 날개부(26a)가 지지대(26b)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 냉기 돌출 조절판(26)의 상단이 구동모터(28)의 출력축에 연결됨으로써, 냉기 토출 조절판(26)이 구동모터(28)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26b)는 휨방지를 위해 +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의(a)와(b)에서 공날개부(49)는 냉기토출과는 무관한 것이다. 이 공날개부(49)의 설치위치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기의 분산 토출과는 직접 관계는 없지만 토출공과 냉기 토출 조절판 사이의 틈을 통해 누설되어 잔류하는 냉기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부가 균형있게 배치되게 함으로써 외관상의 미려함도 제공한다.
제10도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금형 제조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 냉기 토출 조절판에는 상측 날개부와 중간날개부가 마련되고, 하측 냉기 토출 조절 판에는 공날개부와 하측날개부가 마련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날개부의 분산유도판이 상호 다른 각으로 배치될 경우에는, 일체금형이 곤란하므로 냉기 토출 조절판을 이분(二分)하여 상측 냉기 토출 조절 판에는 상호 직각인 분산유도만을 가진 날개부를 2개 배치하고, 하측 냉기 토출 조절 판에는 동일각의 분산유도판을 가진 날개부를 배치한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써 상측 냉기 토출 조절판과 하측 냉기 토출 조절판의 결합각도만 조절하여 전체 분산유도판의 배치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측 냉기 토출 조절판의 분산유도판이 상측 냉기 토출 조절판의 양 분산유도판의 정중앙에 배치된 구성을 채용하였다. 제10도의(c)는 변형 예로서, 공날개부가 없는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분배판은 상술한 각 토출공(16)들에 위치하고 이들 분배판(44)과 토출공(16)출의 위치는 냉장실(3)의 선반(8)의 위치와 상응하게 되는데,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판(44)의 중간판(43)은 토출공(16)의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의 경계에 위치하며, 상판(41)과 하판(42)은 각각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의 높이 만큼 중간판(43)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또한 상판(41)과 중간판(43), 그리고 하판(42)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그 직경이 토출공(16)의 폭과 대략 일치하도록하여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간판과 상판 또는 중간판과 하판은 분산유도판과 함께 연결로로부터 연장된 별도의 회전유로를 형성하여, 냉기가 고내로 토출되는 것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고내로 토출되는 냉기를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분배판을 형성하는 상판과 하판, 중간판은 냉기유로로부터 연결로를 거쳐 안내된 냉기가 하방으로 하강하지 않고, 고내를 향해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냉기 토출 조절판이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마치 안내된 냉기를 모아서 고내로 토출시키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산유도판(45)과 제2분산유도판(45)은 각각은 물론 상호간에 대칭구조를 갖는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분산유도판(45)과 제2분산유도판(46)은 각각 연속 라운딩된 오목부(50)와 볼록부(51)로 형성된다.
즉, 라운딩된 오목부(50)와 볼록부(51)가 자연스럽게 연결됨으로써 S자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토출공(16)을 거쳐 분산유도판(47)을 따라 흐르는 냉기는 저항없이 원활하게 유동하게 된다. 또한 제1분산유도판(45)과 제2분산유도판(46)은 중간판(43)을 중심으로 반전된 대칭구조를 가진다. 즉, 제1분산판의 오목부(50)와 제2분산판의 오목부(50)또는 제1분산판의 볼록부(51)와 제2분산판의 볼록부(51)는 상호 반대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토출공(16)을 구성하는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가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된 것과 상응시킴으로써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산유도판으로 안내된 냉기는 주로 볼록부(51)와 부딪치게 되고 이 볼록부(51)를 타고 넘어 흐름으로써 유동 저항이 매우 감소된다. 즉, 토출공(16)의 제1토출부(39)가 좌측으로 편심되었을 경우에는 제1분산유도판(45)의 볼록부(51)가 우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는 제2토출부(40)는 우측으로 편심되고 제2분산유도판(46)의 볼록부(51)는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좌측에서 제1토출부(39)로 안내된 냉기는 제1분산유도판(45)의 볼록부(51)에 부딪치면서 흐르게 되고, 우측에서 제2토출부(40)로 안내된 냉기는 제2분산유도판(46)의 볼록부(51)에 부딪치면서 흘러 주흐름이 형성된다.
또한, 진술한 바와 같이(제10도 참조), 상측날개부의 분산유도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중간날개부의 분산유도판(47b)은 이와 대략 90°의 각도를 가지며, 하측탈개부의 분산유도판(47c)은 이와 대략 45°의 각도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중·하의 분산유도판이 각각 다른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기가 분산유도판에 부딪치는 위치 및 방향이 상이하여 부하가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즉, 예를 들어, 모든 분산유도판이 동일각도를 가지면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위치에 따라 냉기가 모든 분산유도판에서 예각으로 부딪치는 경우가 생기고 이때는 냉기 토출 조절판에 상당한 부하가 작용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는 상·중·하 분산유도판의 배치각도가 상호 다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과부하가 생기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분산유도판(47)의 일측부(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90°이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좌측집중냉각, 중앙집중냉각, 우측집중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3도는 좌측집중냉각 상태를, 제14도는 중앙집중냉각 상태를, 제15도는 우측집중냉각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집중냉각은 상술한 3방향 뿐만이 아니라 제어회로에 의해 임의의 방향을 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집중냉각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3)의 우측벽 상단 중앙에 우측온도감지센서(제1온도감지센서, 52)가 설치되고, 좌측벽 하단 중앙에 좌측온도감지센서(제2온도감지센서, 53)가 설치된다. 이러한 온도감지센서와 전술한 위치감지스위치(32)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4,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또한 냉기 토출 조절판(1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8)도 제어부(54)에 연결된다. 이들은 고내의 온도편차를 감지하여 효율적으로 집중냉각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한편, 집중냉각시 냉기 토출 조절판의 기준위치를 정하기 위한 위치감지스위치와 이를 작동시키는 조작돌기의 구성 및 작동상태는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조작돌기는 냉기 토출 조절판과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7도의(a),(b),(c)와 같이 작동한다. 제17도의(c)는 점접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순간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점접이 떨어지는 순간을 냉기 토출 조절판의 기준위치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감지스위치와 접촉되는 부위의 조작돌기의 형상을 유선형으로 하여 스위치의 급작스런 분리를 방지하여 분리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11)와 증발기(12)가 작동하면 증발기(12)에서는 주위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기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냉기는 냉각팬(13)의 작동으로 제4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공급된다. 이때 냉장실(3)의 온도에 따라 댐퍼(19)의 개폐동작이 제어되며, 댐퍼(19)가 열렸을 경우에는 냉기가 안내통로(18)를 통과하여 냉장실(3)로 공급되는데, 안내통로(18)를 통과한 냉기는 좌우로 분산되어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통해 제3실(9)로 토출된다.
냉기가 냉장실(3)로 토출되는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따라 흐르는 냉기의 일부는 상측부터 차례로 제1연결로(37)와 제2연결로(38)로 안내되어 토출공(16)을 통해 토출되면서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분산 토출된다. 물론 냉기 토출 조절판(26)이 없어도, 토출공(16)을 형성하는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가 냉기가 유입되는 쪽으로 편심되도록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출되는 냉기는 좌우로 분산되지만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에 의해 더욱 확실한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내가 균일하게 냉각된다. 본 실시 예에서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구동모터인 기어드 모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정회전하는데, 그 회전속도는 6 내지 10RPM이다. 또한 이 구동모터는 회전속도를 가변시킨 수 있는 스태핑모터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공(16)은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를 구비하고, 이들을 상호 연통되게 하되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하여, 각 토출부로 안내된 냉기가 토출시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지향하게 함으로써, 냉장실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분산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토출부(39)로 안내된 냉기가 좌측을 지향하면 제2토출부(40)로 안내된 냉기는 우측을 지향하게 되어 토출되는 냉기가 자연스럽게 분산되는 것이다. 또한 이웃하는 토출공(16)은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의 위치가 반대이므로, 먼저 토출되어 하향하는 냉기일수록 그 온도가 높지만, 상측 토출공에서 좌측보다 우측에서 유입되는 냉기의 온도가 더 낮을 경우, 중간 토출공에서는 우측보다 좌측에서 보다 낮은 온도의 냉기가 유입되게 하고, 하측 토출공에서는 다시 좌측보다 우측에서 보다 낮은 온도의 냉기가 유입되게하여, 고내에서의 좌우 온도 편차를 없앰으로써 좌우의 균일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중간의 걸림턱(372)이 상측의 걸림턱(371)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측의 걸림턱(373)이 중간의 걸림턱(372)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므로, 먼저 토출되어 하향하는 냉기일수록 온도가 높지만, 하측으로 갈수록 더 많은 양의 냉기가 연결로(37,38)와 토출공(16)을 통해 냉장실(3)내부로 토출되게 함으로써 내장실의 높이에 따른 온도편차를 줄여 상하의 균일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기 토출 조절판 없이도 냉기를 분산토출하고 토출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균일냉각이 실현되며, 여기에다 냉기 토출 조절판을 회전시키면 더욱 확실한 분산이 이루어져 매우 양호한 균일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균일냉각이 이루어진 상태로 하더라도 특정부위에 채워진 식품의 양이 많거나 특정부위에 고온의 식품이 높이게 되면 균일냉각 상태가 무너지고 냉기 토출 조절판(26)이 회전하여도 균일냉각을 실현시키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부위를 집중냉각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의해 실현되는 집중냉각을 제13,14.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좌측이 집중냉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되는 냉기의 주류가 좌측을 향하도록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정지한다. 이때는 각 분산유도판(47)에서 냉기의 주류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 범위내에서 좌측으로 토출된다. 다음에 중앙 집중냉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되는 냉각의 주류가 중앙을 향하도록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정지한다. 이때는 세개의 분산 유도판(47)이 90°범위내에서 대략 중앙을 향하여 배치되어 토출되는 냉기의 주류가 중앙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우측이 집증냉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되는 냉기의 주류가 우측을 향하도록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정지한다. 이때는 세개의 분산유도판(47)이 90°범위내에서 대략 우측으로 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각도의 제어는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돌기(33)에 의해 온/오프되는 위치감지스위치(32)와 제어부(54)에 의해 수행되는데, 실시 예에서는 조작돌기(33)와 위치감지스위치(32)가 분리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이때부터 제어부(54)는 시간을 체크하고 소정시간 회전시킴으로써 냉기 토출
조절판(25)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속도가 6RPM인 경우, 기준시점으로부터 10초 회전시키면 냉기 토출 조절판(26)는 1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인 균일냉각 및 집중냉각이 수행되는데,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은, 냉장실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예를들면, 고내의 서로 대향되는 좌우 각 지점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여, 그 좌우 온도값을 비교하여 온도가 높은 쪽으로,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냉기 토출 방향 제어용의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이용하여 온도가 높은 방향으로 냉기를 집중 토출시켜 냉장실 내의 온도 편차를 줄이면서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냉기를 공급한다. 냉장실 내의 좌우측을 쌍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센서를 부착하고, 이 좌우 온도센서로 부터의 온도 정보를 인가받아, 그 좌측 온도센서들의 감지 온도 대표값 혹은 감지 온도 평규값을 그 우측 온도센서들의 감지 온도 대표값 혹은 평균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온도가 높은 방향으로 냉기 토출 제어판을 이용하여 냉기를 집중 토출하는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이다.
즉, 냉장실의 상,중,하단의 각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온도센서들 SL1,SL2,SL3및 SR1,SR2,SR3를 설치하고,이 SL1,SL2,SL3중의 대표값 또는 평균값과 SR1,SR2,SR3중의 대표값 또는 평균값을 각각 비교하여 좌측과 우측 중 온도가 높은 쪽으로 냉기를 토출시킨다.
구체적인 구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평균치 비교 단계에서는(단, 좌측 온도센서들 SL1,SL2,SL3의 온도 평균값을 SLM, 우측 온도센서들 SR1,SR2,SR3의 온도 평균값을 SRN이라한다.),
1. 전원을 온시킨후의 첫 컴프레서 온인가를 판단한 다음 첫 컴프레서 온이면 현재의 냉장고 내의 온도가 실온하고 같다고 보고, 이 때 냉기 토출 방향 조절판을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급속 냉각시 냉장고 내의 각 부위의 온도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2. 이 때 냉장실 좌측 온도센서 대표값 SLM이 우측 온도센서 대표값 SRN보다 그 값이 큰 경우 냉기 토출 방향 조절판을 좌측으로 향하게 하여 좌측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떨어뜨린다.
3. 냉장실 우측 온도센서 대표값 SRM이 좌측 온도센서 대표값 SLM보다 그 값이 큰 경우 냉기 토출 방향 조절판을 우측으로 향하게 하여 우측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떨어뜨린다.
4. 냉장실 좌측 은도 센서 대표간 SLM과 우측 온도센서 대표값 SRM이 같을 경우 냉기 토출 방향 조절판을 중앙 정면으로 향하게 하여 좌우측의 온도차가 작도록 한다.
5. 도어가 오픈된 경우에는 냉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기 토출 조절판을 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은 동작들을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냉장실에 수납되는 식품의 온도나 식품의 편중된 수납으로 인한 좌우측의 온도 편차를 유효 적절하게 줄이면서 냉장을 행한다.
다음으로 온도센서들의 온도 대표값 비교 단계에서는,
1. 좌측 온도센서들의 온도값들 중의 최고 온도값과 우측 온도센서들의 온도값들 중의 최고 온도값을 서로 비교하는 방법.
2. 좌측 온도센서들의 온도값들 중의 중간 온도값과 우측 온도센서들의 온도값들 중의 중간 온도값을 서로 비교하는 방법.
이 두 가지 방법을 상기 대표값 비교 방법에 적용하면 된다.
한편,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은도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또 다른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은, 냉장실 내의 각 지점에 따른 온도 편차를 측정하여, 그 편차와 절대값에 따라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냉기 토출 방향 제어용의 냉기토출조절판(26)을 회전시키든가, 일정한 방향(온도가 높은 쪽)으로 냉기를 집중시켜 냉장실 내의 온도 편차를 줄이면서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냉기를 공급하는 방법이다.
즉, 냉장실 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센서를 부착하고, 이 온도센서로 부터의 온도 정보를 인가받아 그 편차를 계산하고, 그 편차의 절대값이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가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냉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토출하든가 아니면 냉기 토출 방향을 결정하는 냉기토출조절판을 회전시키면서 냉기를 공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센서를 냉장실 3H/4 우측벽(S1)과 1H/3 좌측벽(S2)에 설치한 다음, 그 각각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 측정된 온도들의 차의 절대값 |S1-S2| 를 일정한 제어 기준 온도값과 비교한다.
즉, 냉기 토출시에는 상기 온도차의 절대값 |S1-S2|가 제어 기준 온도 △T1 커면, 냉기 토출 방향 제어용 냉기토출조절판(26)을 회전시키면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냉기를 냉장실 내에 골고루 뿌려주며, 상기 온도차의 절대값 |S1-S2|가 제어 기준 온도 △TI 보다 작으면 냉기가 냉장실 내에서도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 집중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냉기토출조절판(26)을 고정시켜 냉기를 공급한다.
또한, 냉기 불토출시에는 상기 온도차의 절대값 |S1-S2|가 제어 기준 온도 △T2 보다 커면, 냉기 토출 방향 제어용 냉기토출조절판(26)을 회전시켜 냉기를 흔들어 줌으로써 냉기가 확산되도록 하여 냉장실 내에 골고루 흩어주며, 상기 온도차의 절대값 |S1-S2|가 제어 기준 온도 △T2 보다 작으면 냉기토출조절판(26)을 고정시켜 둔다.
이상과 같은 냉장실 온도 제어 방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장고에 전원을 넣어졌을 때, 컴프레서가 초기 '온'일 경우는 현재 냉장고 내의 온도가 실온하고 같다고 보고, 이 때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장치(냉기토출조절판)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골고루 냉기를 뿌려줌으로써 급속 냉각시 냉장고(실)내의 각 지점의 온도 편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T1 보다 냉장고 좌우측 온도값의 차 |S1-S2|가 커면 냉기를 골고루 흩어주어 냉장실 내의 특정 부위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하면서 냉기를 공급한다.
컴프레서가 '온'되어 있고 댐퍼가 '오픈'되어 있는 경우 즉, 냉기가 토출될 경우는 좌우측 온도차가 큰 상태에서부터 일정한 방향을 설정하여 냉기를 공급한다. 즉, 온도가 높은 쪽부터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 토출 방향을 일정하게 한다. 이 때는 냉장실 좌우측 온도차의 절대값 |S1-S2|가 제어 기준 온도 △T1 보다 작은 경우로 냉장실 전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장 온도에 가까와 졌으므로 냉기가 냉장실 내에서도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 집중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냉기토출조절판(26)을 고정시켜 냉기를 공급하여 가능한 한 냉장실 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한다. 실제로 △T1은 3℃가 적당하다.
댐퍼(19)가 닫혀있거나 컴프레서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즉, 냉기가 불토출될 경우는 냉장실 내의 좌우측 온도차가 클 경우는 온도 편차가 즐어들 때 까지 냉기토출조절판(26)을 회전시켜 냉장실 내의 냉기를 흔들어 주어 냉장실 내의 온도 분포가 고르게 되도록하여 준다. 즉, 냉기 불토출시에는 냉장실 좌우 온도차의 절대값 |S1-S2|가 제어 기준 온도 △T2 보다 커면, 냉기 토출 방향 제어용 냉기토출조절판(26)을 회전시켜 냉기를 흔들어 줌으로써 냉기를 골고루 흩어주며, 상기 온도차의 절대값 |S1-S2|가 제어 기준 온도 △T2 보다 작으면 냉기토출조절판(26)을 고정시켜 둔다. 실제로 △T2는 1℃가 적당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유로가 토출공의 배치 및 형상에 의해서 토출되는 냉기를 분산시켜 균일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토출되는 냉기를 냉기 토출 조절판을 통해 분산시켜 매우 양호한 균일냉판에 도달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라도 균일냉각을 실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공의 양측에 냉기유로를 형성하고 냉기 토출 조절판을 토출공에 위치시킴으로써 하우징의 슬림화를 이루어 고내의 유효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모터 및 고내등을 장착하고 여기에 냉기 토출 조절판을 조립함으로써 조립체를 이루어 조립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냉기 토출 조절판을 이분구조로 하여 금형제작상 용이하고 사후 서비스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모터를 냉기 토출 조절판 위에 배치하고 모터에 인접하여 고내등을 설치함으로써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공에 판상의 날개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냉기 토출 조절판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냉기가 하강하지 않고 고내를 향해 토출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은, 냉장실 내의 좌우측에 각각 온도센서들을 설치하여 그 좌우측 온도센서의 온도값의 대표값 혹은 평균간을 비교하여 온도가 높은 쪽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방법으로 냉장실 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하면서 냉장하거나, 냉장실 3H/4 좌측벽과 1H/3 우측벽에 각각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의 온도차가 냉기 토출시는 제어 기준 온도 3℃보다 커면 냉기토출조절판을 회전시키면서 냉기를 골고루 뿌려주며, 제어 기준 온도 3℃ 이하이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쪽으로 냉기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하여주며, 냉기 불토출시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차가 제어 기준 온도 1℃ 이상이면 냉기토출조절판을 회전시켜 냉기를 흔들어 주어 냉장실 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하여 주며, 제어 기준 온도 1℃ 이하이면 냉기토출조절판을 고정시킴으로써, 컴프레서의 온/오프 및 댐퍼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냉장고 내의 온도를 신속하게 냉각시키고 온도 분포를 항상 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2)

  1. 상호 구획된 냉동실(2)과 냉장실(3)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4); 상기 냉동실(2)과 냉장실(3)에 냉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발기(12); 상기 냉장실(3)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2)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3)로 안내하도록 하는 안내통로(18)와, 이 안내통로(18)를 통과한 냉기를 하향 안내하도록 하는 냉기유로(15)를 가진 하우징(17); 상기 하우징(17)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유로(15)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3)의 상하 및 좌우로 분산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공(16)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16)들은 상기 하우징(17)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냉기유로는 상기 토출공(16)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16)들은 상기 냉장실(3)의 각 단에 대응하도록 다수개의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냉기유로(15)는 상기 제1유로부(35)와 상기 토출공들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1연결로(37)와 상기 제2유로부(36)와 상기 토출공(16)들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2연결로(38)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토출공(16)들은 상기 제1연결로(37)와 직접 연결된 제1토출부(39)와 상기 제2연결로(38)와 직접 연결된 제2토출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토출부(39)와 상기 제2토출부(40)는 연통되되, 상기 제1토출부(39)는 제1연결로(37)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제2토출부(40)는 제2연결로(38)측으로 편심되도록 상호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로(37)와 제2연결로(38)의 입구부의 상측은 라운딩되고, 하측은 그 상측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턱(371, 372, 373)들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71, 372, 373)들은 하측의 것일수록 외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상호 구획된 냉동실(2)과 냉장실(3)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4);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냉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발기(12); 상기 냉장실(3)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2)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3)로 안내하는 안내통로(18)와 상기 안내통로(18)를 통과한 냉기를 하향 안내하는 냉기유로(15)를 가진 하우징(17); 상기 하우징(17)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유로(15)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3)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공(16)들; 상기 하우징(1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16)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냉기 토출 조절판(26); 그리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8);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횡설된 상판(41)과 하판(42)및 중간판(43)을 포함하는 분배판(44); 및 상기 상판(41)과 중간판(43)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1분산 유도판(45)과 상기 중간판(43)과 하판(42)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2분산유도판(46)을 가진 분산 유도판(47);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 유도판과 제2분산 유도판은 각각 연속 라운딩된 오목부(50)와 볼록부(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유도판(45)의 오목부(50)와 상기 제2분산유도판(46)의 오목부(50) 또는 상기 제1분산유도판(45)의 볼록부(51)와 상기 제2분산유도판(46)의 볼록부(51)는 상호 반대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상기 분배판(44)과 분산 유도판(47)으로 된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냉장실(3)의 상측부, 중간부, 하측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측 날개부(26a), 중간 날개부, 그리고 하측 날개부를 구비하고, 이들 날개부는 지지대(26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날개부(26a)의 분산 유도판(47a)과 상기 중간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47b)은 90°각도를 가지며, 상기 상측 날개부(26a)의 분산 유도판(47a)과 상기 하측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47c)은 45°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3)의 높이를 H라 할때, 상기 상측 날개부(26a)는 (3/4)H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날개부는(1/2)H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날개부는 (1/3)H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이분 가능한 상측 냉기 토출 조절판(26)과 하측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날개부(26a)와 중간 날개부는 상기 상측 냉기 토출 조절판(26)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날개부는 상기 하측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하단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의 일측벽 상단에 설치된 제1온도감지센서(52); 상기 냉장실의 타측벽 하단에 설치된 제2온도감지센서(53);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온/오프되는 위치감지스위치(32); 및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52)및 제2온도감지센서(53)그리고 상기 위치감지스위치(32)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집중냉각을 위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위치를 정하는 제어부(54);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스위치(32)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상측의 상기 하우징(17)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상단에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위치감지스위치(32)를 온/오프시키는 조작돌기(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돌기(33)는 상기 위치감지스위치(32)와 접하는 부위가 라운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8)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상측의 상기 하우징(17)에 설치하되, 모터 케이스(29)에 내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에는 상기 구동모터(28)에 인접하여 고내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상호 구획된 냉동실(2)과 냉장실(3)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4); 상기 냉동실(2)및 냉장실(3)에 냉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발기(12); 상기 냉장실(3)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2)를 거친 냉기를 상기 냉장실(3)로 안내하는 안내통로(18)를 가진 하우징(17); 상기 안내통로(18)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통로(18)를 통과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구비하는 냉기유로(15); 상기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사이에 상하로 배열되어 상기 냉기유로(15)를 지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3)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공(16)들; 그리고 상기 토출공(16)들에서 나오는 냉기를 좌우로 분산 또는 집중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7)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냉기 토출조절판(26);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8);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15)는 상기 제1유로부(35)와 상기 토출공(16)들을 연결시키는 제1연결로(37)와 상기 제2유로부(36)와 토출공(16)들을 연결시키는 제2연결로(38)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토출공(16)들은 상기 제1연결로(37)와 직접 연결된 제1토출부(39)와 상기 제2연결로(38)와 직접 연결된 제2토출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토출부(39)와 상기 제2토출부(40)는 연통되되, 상기 제1토출부(39)는 제1연결로(37)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제2토출부(40)는 제2연결로(38)측으로 편심되도록 상호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로(37)와 제2연결로(38)의 입구부와 상측은 라운딩되고, 하측은 그 상측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턱(371, 372, 373)들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71, 372, 373)들은 하측의 것일수록 외측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은, 상기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의 경계면에 위치되는 중간판(43)과 상기 중간판(43)으로부터 상기 제1토출부(39)와 제2토출부(40)의 높이만큼 각각 상하로 이격된 상판(41)과 하판(42)을 가진 분배판(44); 및 상기 상판(41)과 중간판(43)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1분산유도판(45)과 상기 중간판(43)과 하판(42)을 종으로 연결하는 제2분산유도판(46)을 가진 분산 유도판(47);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유도판(45)과 제2분산유도판(46)은 각각 연속 라운딩된 오목부(50)와 볼록부(51)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유도판(45)의 오목부(50)와 상기 제2분산유도판(46)의 오목부(50)또는 상기 제1분산유도판(45)의 볼록부(51)와 상기 제2분산유도판(46)의 볼록부(51)는 상호 반대위치에 배치된 것들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44)은 상기 냉장실(3)의 상측부, 중간부, 하측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측 날개부, 중간 날개부, 그리고 하측 날개부를 구비하고, 이들 분배판(44)은 지지대(26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날개부(26a)의 분산 유도판(47a)과 상기 중간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47b)은 90°각도를 가지며, 상기 상측 날개부(26a)의 분산 유도판(47a)과 상기 하측 날개부의 분산 유도판(47c)은 45°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상측 날개부(26a)는(3/4)H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날개부는(1/2)H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날개부는 (1/3)H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3)의 일측벽 상단에 설치된 제1온도감지센서(52), 상기 냉장실의 타측벽 하단에 설치된 제2온도감지센서(53),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온/오프되는 위치감지스위치(32),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52)및 제2온도감지센서(53)그리고 위치감지스위치(32)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집중냉각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4);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스위치(32)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상측의 상기 하우징(17)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상단에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위치감지스위치(32)를 온/오프시키는 조작돌기(33)를 구비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돌기(33)는 상기 위치감지스위치(32)와 접하는 부위가 라운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상측의 상기 하우징(17)에 상기 구동모터(28)의 내장 설치를 위한 모터 케이스(29)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29)에 인접하여 고내등(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후면에는 상기 하우징(17)이 설치되도록 오목홈(5)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7)의 전면은 상기 냉장실(3)의 후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의 배면과 상기 오목홈(5)사이에는 시일판(3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의 전면에는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덮도록 격자상의 그릴(2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7. 냉장실 후벽에 설치된 하우징(17); 상기 하우징(17)의 일측에 매설되고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냉기유로(15); 상기 냉기유로(15)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토출공(16)들;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토출공(16)들에 각각 위치된 냉기 토출 조절판(26)들과,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상측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구동시키고, 모터 케이스(29)에 내장된 구동모터(28);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8)의 하측에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상단에 있는 조작돌기(33)와 연동하는 위치감지스위치(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8)에 인접되어 고내등(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0. 냉장실의 후벽에 설치된 하우징(17); 상기 하우징(17)의 일측에 매설되고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냉기유로(15); 상기 냉기유로(15)와 연통되는 복수의 토출공(16)들; 그리고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토출공들(16)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토출공(16)들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고내를 향해 수평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상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냉기를 분산기켜 주는 분산 유도판(47);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15)는 상기 하우징(17)내에 배설되고 분기되어 대략 평행한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2. 냉장고의 냉장실(3)의 후벽에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3)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냉기분산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7); 상기 하우징(17)의 일모서리에 배설되고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18); 상기 하우징(17)내에 배설되고 상기 냉기유로(15)로부터 분기되고 대략 서로 평행한 제1유로부(35)와 제2유로부(36); 상기 제1 및 제2유로부(35, 36)사이의 미리 예정된 위치에 배설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로부(35, 36)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토출공(16)들;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토출공(16)들에 각각 위치된 냉기 토출 조절판(26)들; 그리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들과 대향하고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유로부(35)로부터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3)에 회전 분산되도록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들을 보호하기 위한 그릴(27);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3. 냉각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아 개방시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회전시켜 냉기를 분산 토출하는 단계, 도아 폐쇄시 주기적으로 냉장고 내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위의 온도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온도 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온도값이 가장 높은 부위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냉기 토출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44. 전원 온 일때 컴프레서(11)가 초기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냉매 순환용 컴프레서(11)가 초기 온이 아니면, 도어(7)가 오픈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11)가 초기 온이거나, 상기 도어(7)가 오픈이면 고내로의 냉기 토출량을 조절하는 댐퍼 제어 수단으로 토출 댐퍼를 회전시켜 냉기를 분산 토출하는 단계; 상기 도어(7)가 오픈이 아니면, 냉장고의 어느 일측에 마련된 제1의 온도 감지 수단(52)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52)들과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마련된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53)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52)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53)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크면 상기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제1의 온도센서(52)방향으로 토출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52)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53)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52)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53)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52)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53)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 보다 작으면 상기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상기 제2의 온도센서(53)들의 방향으로 토출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온도 감지 수단(52)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이 상기 제2의 온도 감지 수단(53)들의 감지 온도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과 같으면 상기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정면 방향으로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의 온도 평균값들의 크기 판단 단계들은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52, 53)의 감지된 온도값들을 각각 평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 측의 온도 대표값들의 크기 판단 단계들은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52, 53)들의 감지된 온도값들의 대표값들을 각각 구하기 위하여 각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52, 53)의 온도값 끼리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비교 단계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52, 53)의 온도값들 중의 서로의 최고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비교 단계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온도 감지 수단들(52, 53)의 온도값들 중의 서로의 중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49. 전원 온 일때 컴프레서(11)가 초기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냉매 순환용 컴프레서(11)가 초기 온이 아니면, 상기 컴프레서(11)가 통상의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11)가 통상의 은이면 고내로의 냉기 토출량을 조절하는 댐퍼(19)가 오픈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댐퍼(19)가 오픈이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 감지 수단들 중에서 선택된 서로 대향하는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11)가 통상의 오픈이 아니거나 상기 댐퍼(19)가 오픈이 아니면 상기 소정의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52, 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52, 53)에 의해 감지된 온도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불도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거나, 상기 소정의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52, 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토 보다 작으면 냉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11)가 초기 온이거나, 상기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52, 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지 않거나, 상기 선택된 두 온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온도 차의 절대값이 상기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작지 않으면 냉기 토출 조절판(26)을 회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는 상기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 보다 항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불토출시의 제어 기준 온도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냉장고 온도 제어 방법.
KR1019950037171A 1994-11-30 1995-10-25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KR017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123898A EP0982553B1 (en) 1994-11-30 1995-11-29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temperature by controlling cool air discharge direction
EP95308611A EP0715136B1 (en) 1994-11-30 1995-11-29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temperature by controlling cool air discharge direction
DE69524717T DE69524717T2 (de) 1994-11-30 1995-11-29 Verfahren zur Regelung der Temperatur eines Kühlschranks durch die Regelung der Austrittsrichtung der Kühlluft
TW084112707A TW338098B (en) 1994-11-30 1995-11-29 A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temperature by controlling a cool air discharge direction
US08/564,652 US5687580A (en) 1994-11-30 1995-11-29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thereof by controlling cool air discharge direction
DE69528541T DE69528541T2 (de) 1994-11-30 1995-11-29 Temperaturregelungsverfahren eines Kühlschranks durch die Regelung der Austrittsrichtung der Kühlluft
JP7313134A JP2771141B2 (ja) 1994-11-30 1995-11-30 冷気吐出し方向の制御による冷蔵庫の温度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33558 1994-12-10
KR19940033558 1994-12-10
KR19940033751 1994-12-12
KR94-33751 1994-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156A KR960024156A (ko) 1996-07-20
KR0170696B1 true KR0170696B1 (ko) 1999-03-20

Family

ID=2734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171A KR0170696B1 (ko) 1994-11-30 1995-10-25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6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156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697B1 (ko)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KR0182533B1 (ko) 냉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KR0160408B1 (ko) 냉장고의 냉기분산장치
US5687580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thereof by controlling cool air discharge direction
EP2519792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55898B1 (ko) 냉장고용 냉기토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366622C (en) Device for controlling cooling air supply of refrigerator
KR0160424B1 (ko) 냉장고
KR100446778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JP4083889B2 (ja) 冷蔵庫の冷気供給装置
KR0170696B1 (ko)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TWI678506B (zh) 電冰箱
KR101132554B1 (ko) 냉장고
KR100459457B1 (ko) 냉장고의 냉장실내 고온부하 집중냉각방법
KR20030094024A (ko) 냉장고
KR100186452B1 (ko) 냉장고의 집중냉각장치
KR100595434B1 (ko) 냉장고
KR0176937B1 (ko) 냉장고의 집중 냉각방법 및 그 장치
KR100585689B1 (ko) 덕트팬을 구비한 냉장고
KR20210072581A (ko)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KR20210072669A (ko) 냉장고
JP2708804B2 (ja) 冷蔵庫
KR20050079850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19990039467U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부 집중냉각 구조
JP2531843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