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664B1 -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664B1
KR0169664B1 KR1019940038219A KR19940038219A KR0169664B1 KR 0169664 B1 KR0169664 B1 KR 0169664B1 KR 1019940038219 A KR1019940038219 A KR 1019940038219A KR 19940038219 A KR19940038219 A KR 19940038219A KR 0169664 B1 KR0169664 B1 KR 016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c
atm
fifo
error
mp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477A (ko
Inventor
윤성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664B1/ko
Publication of KR96002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6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involving stuffing data, e.g. packets or by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5/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5/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EG 패킷 전송을 위한 AAL 5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타트신호에 따라 48 카운트하여 FIFO제어신호와 CRC제어신호와 완료신호를 발생하는 48카운터(14); 상기 48카운터(14)의 FIFO제어신호에 따라 ATM FIFO(3)로부터 48바이트씩 데이터를 읽어오는 FIFO리드회로(12); 상기 48카운터(14)의 CRC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FIFO리드회로(12)가 리드한 188바이트의 패킷 데이타와 4바이트의 CRC코드를 입력받아 CRC에러를 검출하는 CRC수신처리부(16); 상기 48카운터(14)의 완료신호를 카운트하고 AUU비트를 입력받아 188바이트의 패킷 조립완료신호를 발생하며 셀손실 에러를 검출하는 AUU처리부(20); 및 상기 CRC수신처리부(16)의 CRC에러와 상기 AUU처리부(20)의 셀손실에러를 입력받아 전송에러를 상위계층에 전달하는 에러처리부(18)를 구비하여 AAL 5 프로토콜에 따라 MPEG 패킷 데이타를 수신한다.

Description

엠펙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MPEG패킷 전송을 위한 ALL 5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a)는 ALL계층의 데이터 흐름 구조를 도시한 도면.
(b)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CPCS-PDU 데이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b)는 SAR-PUD 데이터 포맷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AAL 5 수신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AUU처리부의 세부 블록도.
제4도는 일반적인 ATM 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ATM셀 전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b)는 사용자망접면(UNI)의 ATM셀 헤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
(c)는 망노드접면(NNI)의 ATM셀 헤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TM FIFO 3 : AAL FIFO
12 : FIFO리드회로 14 : 48카운터
16 : CRC수신처리부 18 : 에러처리부
20 : AUU처리부 22 : 4카운터
24 : 오아게이트 28 : 앤드게이트
28 : 지연기
본 발명은 압축된 영상정보의 비트 스트림을 비동기 전달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통신방식으로 전송하여 수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적응계층 타입 5 (AAL 5: ATM Adaptation Layer Type 5)으로 전송된 MPEG 패킷을 수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멀티미디어분야의 비약적인 성장 및 HDTV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더불어 영상신호를 디지털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망이 요구되어 광대역의 전송이 가능한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광대역 ISDN의 등장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동화상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 미래 정보화 사회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한편, 동화상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자 할 경우, 발생되는 데이터가 수십에서 수백메가비트(Mbit)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기 때문에, 그대로 전송 및 저장하기 어려워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고, 그 결과로서 JBI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H.261 등과 같은 많은 국제적인 표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여기서, JBIG한 흑색 정지화상에 대한 표준화작업으로 ISO/IEC JTC1/SC29 WG29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되어 팩시밀리에서 널리 사용되는 MH/MR/MMR방식에 추가하여 컴퓨터화면과 같은 소프트 카피통신방식에 사용하기 위한 표준화를 뜻하고, JPEG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지화상의 압축/복원에 대한 표준화로서 1992년 국제표준으로 정립 되었고, H.261은 ITU-T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해 ISDN의 기본 전송 속도인 64Kbps의 배수로 처리하는 방식의 표준화이다.
또한, MPEG은 ISO/IEC에 의해 수행된 동화상 부호화를 위한 표준화 활동으로서 1.5Mbps전송율의 일반 디지털 저장매체를 대상으로 하는 MPEG-1과 전송율 3~15Mbps의 CD-ROM, Digital, VTR, LDP, CATV, HDTV등을 위한 MPEG-2와 공중전화망, 비디오폰, 비디오텍스트등을 대상으로 한 수십Kbps의 MPEG-4가 있다.
이러한 MPEG의 비디오 압축 알고리즘은 시간상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하여 블록단위로 움직임 보상을 하고, 공간상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하여 블록단위로 움직임 보상을 하고, 공간상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해 이산여현변환부호화(DCT)를 기반으로 한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즉, 엠펙(MPEG)에서는 시간 중복성 감축을 위해 화상을 인트라(I)화상, 예측(P)화상, 보간(B)화상으로 나누어 I화상은 랜덤억세스를 위한 억세스포인트를 제공하고, P화상은 이전화상을 참조하여 부호화되고, B화상은 이전화상과 미래화상을 참조하여 부호화되는데 압축율이 가장 높다. 또한 공간상의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변장부호화, 백터양자화 기법등을 DCT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MPEG비디오의 비트스트림은 블록(Block), 매크로블럭(Macroblock), 슬라이스(slice), 화면(Picture), 화상그룹(GOP: Group of Picture), 시퀀스(Sequence)와 같은 6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비트 스트림이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기 위해서는 패킷으로 나누어져 전송된다. 이러한 MPEG 패킷의 구조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188 바이트 단위로 구성되어 ATM망을 통해 전송되게 된다.
이러한 ATM통신방식은 제4도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ATM셀을 기본으로 통신하는 바, 사용자의 긴 메시지는 ATM셀로 분할되어 송신되고, 수신된 ATM셀들은 다시 하나의 메시지로 재조립되어 상위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즉,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셀은 5바이트의 헤더 (H:Header)구간과 48바이트의 사용자 정보구간으로 구분되고, 5바이트의 헤더는 제4도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망접면(UNI:User Network Interface)에서의 헤더 구조와 망노드접면(NNI:Network Node Interface)에서의 헤더구조로 구분되며, 사용자망접면(UNI)에서의 헤더구조는 제1 바이트가 4비트의 일반흐름제어(GFC:Generic Flow Control)와 4비트의 가상경로 식별번호(VPI:Virtual Path Identifier)로 이루어지고, 제2 바이트가 4비트의 가상경로 식별번호(VPI)와 4비트의 가상채널 식별번호(VCI:Virtual Channel Identifier)로 이루어지며, 제3 바이트는 8비트의 가상채널 식별번호(VCI)로 이루어 지고, 제4 바이트는 4비트의 가상채널 식별번호(VCI)와 3비트의 유료부하형태(PT:Payload Type)와 1비트의 셀포기순위(CLP:Cell Loss Priority)로 이루어지며, 제5 바이트는 8비트의 헤더오류제어(HEC:Header Error Control)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3비트의 유료부하형태(PL)중 마지막 비트는 사용자비트(AUU:ATM_USER to ATM_USER)로서 AAL 5 프로토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첫 번째 비트가 1일 경우 운용관리용 부하형태(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를 나타내며 개략적인 의미는 다음 표 1과 같다
또한, 망노드접면(NNI)에서의 헤더구조를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사용자망접면(UNI)의 첫 번째 바이트에 있는 일반흐름제어(GFC)가 가상경로 식별번호(VPI)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용자망접면(NNI)의 헤더구조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ATM통신방식은 다음 표 2에서와 같이 계층적인 구조를 이루고, 각각의 계층별로 표준화된 기준을 가지고 있다.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ATM통신방식은 물리계층, ATM계층, ATM적응계층(AAL:ATM Adaptation Layer).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같이 수직적인 구조로 구분되고, AAL계층은 절단 및 재결합 부계층(SAR:Segmentation And Reassembly sublayer) 과 수렴(CS:Convergence Sublayer) 부계층으로 다시 구분되며, 물리계층은 물리매체(PM)와 전송수렴(TC:Transmission Convergence) 부계층으로 다시 구분된다.
또한, ATM통신방식에서 사용자의 서비스에 따라 즉, 소스의 특성에 따라 다음 표 3와 같이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B-ISDN에서 서비스의 종류는 소스의 성질에 따라 A∼D종으로 분류되는 바, A종 서비스는 실시간성, 항등비트율, 연결성의 서비스이고, B종 서비스는 실시간성, 가변비트율, 연결성의 서비스이고, C종 서비스는 비실시간성, 가변비트율, 비연결성의 서비스이고, D종 서비스는 비실시간성, 가변비트율, 비연결성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대표적인 예를 들어보면 항등율 영상신호, 가변율 영상신호, 연결성 데이타전달, 비연결성 데이타전달등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서비스에 대응하는 AAL프로토콜은 다음 표 4과 같이 AAL1∼AAL5로 구분되는데, 종래에는 AAL1∼AAL4로 구분하였으나 AAL3과 AAL4가 유사한 점이 많아 AAL 3/4로 합쳐졌고, 고속 데이터통신을 위해 오버헤드를 줄인 AAL5가 제안되었다.
상기 표 4에 있어서와 같이, AAL계층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주기 위하여 AAL1, AAL2, AAL3/4, AAL5와 같이 수평적으로 구분되는 바, AAL 5 계층은 비트율이 가변적인 C종 및 D종 서비스의 데이타를 전달하는 AAL 3/4 계층의 오버헤드를 줄여 고속 데이타통신에 적합하도록 이루어졌으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데이타 유니트(U-SDU:User-Service Data Unit)를 투명하게 전달하고, 전송오류를 검출하며 정보의 식별 및 버퍼할당 기능을 수행하는 수렴부계층(CS)과 수렴부계층(CS)로부터 받은 가변길이의 데이타를 분할하여 ATM셀을 만들어 ATM계층으로 전달하고, ATM계층으로부터 ATM셀을 수신하여 재조립하여 수렴부계층 프로토콜 데이타단위(CS-PDU:CS-Protocol Data Unit)를 복구하는 절단 및 재결합 부계층(SAR)으로 다시 분할된다. 또한, 수렴(CS)부계층은 연결성 및 비연결성 서비스에 공통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공통부 수렴부계층(CPCS:Common Part Convergence Sublayer)과, 특정 ALL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특유 수렴부계층(SSCS: Service Specific Convergence Layer)으로 구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PEG 패킷을 가변비트율(VBR)의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AAL 타입 5으로 송신된 ATM셀을 수신하여 188바이트의 MPEG패킷으로 복원할 필요가 있는 바, 이와 같이 ATM셀을 수신하여 MPEG 패킷 데이타로 복원하는 AAL 5 수신장치가 아직 하드웨어로 구현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압축 영상데이타인 MPEG 패킷을 가변 비트율로 ATM망의 AAL타입 5로 전송하기 위하여 수신된 ATM셀로부터 MPEG 패킷을 복원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AAL 5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AAL 5수신장치는, ATM망을 통해 MPEG 패킷 데이타가 실린 ATM셀을 ATM FIFO에 기록한 후 스타트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ATM FIFO로부터 48 바이트씩 데이타를 읽어와 에러를 검출하여 188바이트의 MPEG패킷을 복원하는 AAL 5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신호에 따라 48 카운트하여 FIFO제어신호와 CRC제어신호와 완료신호를 발생하는 48카운터; 상기 48카운터의 FIFO제어신호에 따라 ATM FIFO로부터 48바이트 데이터를 읽어오는 FIFO리드회로; 상기 48카운터의 CRC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FIFO리드회로가 리드한 188바이트의 패킷 데이타와 4바이트의 CRC코드를 입력받아 CRC에러를 검출하는 CRC수신처리부; 상기 48카운터의 완료신호를 카운트하고 AUU비트를 입력받아 188바이트의 패킷 조립완료신호를 발생하며 셀손실 에러를 검출하는 AUU처리부; 및 상기 CRC수신처리부의 CRC에러와 상기 AUU처리부의 셀손실에러를 입력받아 전송에러를 상위계층에 전달하는 에러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AAL계층에서의 데이터 구조 및 흐름을 제1도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a)는 ATM통신방식에서 AAL 5 프로토콜에 따른 각 계층간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위계층의 사용자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U-SDU)가 AAL서비스접속점(AAL-SAP: AAL-Service Access Point)을 통과한 후, AAL서비스데이타단위(AAL-SDU)로 형성되어 FIFO에 저장되고, AAL 5 CPCS계층에서는 AAL서비스 데이타단위(AAL-SDU)에 CPCS 트레일러를 부가하여 수렴 프로토콜단위(CPCS-PDU)를 형성한 후 절단 및 재결합(SAR)계층으로 FIFO를 통해 내려보낸다. AAL SAR계층에서는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에 따라 길이가 가변적인 CPCS-PDU를 48바이트씩 분할한 후 절단 및 재조립 프로토콜단위(SAR-PDU)를 형성하고, 4바이트의 ATM헤더를 부가하여 52바이트를 ATM서비스접속점(ATM-SAP)을 거쳐 ATM계층으로 내려보낸다.
ATM계층에서는 52바이트의 세그먼트에 1 바이트의 헤더오류제어(HEC)를 부착하여 53바이트의 ATM셀을 형성한 후 물리계층의 광전송로를 통해 타 단말기 또는 ATM교환기로 수신한다.
즉, AAL 5 프로토콜은 연결성 혹은 비연결성 데이타통신을 위한 AAL 3/4의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한 것으로서, AAL 3/4와 마찬가지로 SAR, CPCS, SSCS부계층을 가지며 서비스모드도 메세지모드와 스트림모드가 있다. 그러나 AAL 5의 수렴부계층은 헤더가 없이 8바이트의 트레일러만 부가하고 전체 메세지의 길이가 48의 배수가 되도록 트레일러가 포함되는 마지막 셀에 0~48바이트의 패드를 부가하고, AAL 5 SAR부계층에서는 48바이트의 배수길이인 CPCS-PDU를 48바이트의 SAR-PDU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마지막 세그먼트의 ATM헤더의 유료부하형태(PL)의 AUU비트를 1로 만들어 전송한다. 따라서, AAL 5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타 전송시에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절차도 간소화되어 고속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제1도의 (b)는 본 발명에 따라 AAL 5 CPCS계층에서 형성하는 데이타 포맷(CPCS-PDU)의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188바이트의 MPEG패킷과 상기 패킷에 부가되는 4바이트의 CPCS-PDU 트레일러로 구분되는 바, 상기 CPCS-PDU 트레일러는 4바이트의 CRC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장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MPEG패킷은 188바이트로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패드 및 길이표시가 필요없이 4바이트의 CRC만 부가하여 4개의 ATM셀로 전송할 수 있다.
제1도의 (c)는 AAL 5프로토콜에 따른 SAR-PDU의 데이타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서, 48바이트의 배수인 CPCS-PDU를 48바이트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형성하며 제4도의 (b) 및 (c)와 같은 ATM헤더의 유료부하형태(PL)의 AUU비트를 트레일러가 포함되는 마지막 세그먼트는 1로 셋하고, 나머지 세그먼트는 0으로 리셋하여 ATM계층으로 내려보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MPEG패킷은 188 바이트로 표준화되어 있어 4개의 ATM셀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처음부터 3개의 ATM셀에서는 AUU비트를 0으로 전송하고, 마지막 4번째 셀에서는 AUU비트를 1로하여 전송한다.
이와같이 MPEG패킷을 가변 비트율의 AAL 5로 서비스하고자 할 경우에 MPEG패킷에 188바이트로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패드(PAD) 및 길이표시(L1)에 따른 부가비트가 필요없어 효율적이다.
이어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AAL 5 수신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처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ATM 망을 통해 수신된 MPEG 패킷 데이타가 실린 ATM셀을 ATM FIFO(1)에 기록한 후 스타트(START)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ATM FIFO(1)로부터 48 바이트씩 데이타를 읽어와 에러를 검출하여 188바이트의 MPEG 패킷을 복원하는 AAL 5 수신장치는, 스타트(START)신호에 따라 48 카운트하여 FIFO제어신호와 CRC제어신호와 완료신호를 발생하는 48카운터(14)와; 상기 48카운터(14)의 FIFO제어신호에 따라 ATM FIFO(1)로부터 48바이트 데이터를 읽어오는 FIFO리드회로(12); 상기 48카운터(14)의 CRC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FIFO리드회로(12)가 리드한 188바이트의 패킷 데이타와 4바이트의 CRC코드를 입력받아 CRC에러를 검출하는 CRC수신처리부(16); 상기 48카운터(14)의 완료신호를 카운트하고 AUU비트를 입력받아 188바이트의 패킷 조리완료신호를 발생하며 셀손실 에러를 검출하는 AUU처리부(20); 및 상기 CRC수신처리부(16)의 CRC에러와 상기 AUU처리부(20)의 셀손실에러를 입력받아 전송에러를 상위계층에 전달하는 에러처리부(18)를 구비한다.
즉, ATM계층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AL 5 프로토콜에 따른 포맷의 셀데이타를 수신하여 ATM헤더를 처리한 후 48바이트의 셀데이타를 ATM FIFO(1)에 기록하고 ATM헤더의 유료부하형태(PT)의 AUU비트를 분리한 후 본 발명에 따른 AAL 5 수신장치에 스타트(START)신호와 AUU비트를 인가한다. 그러면, AAL 5 수신장치는 스타트(START)신호에 따라 모듈로 48 카운트를 시작하여 ATM FIFO(1)로부터 48바이트씩 수신된 데이타를 읽어와 AAL FIFO(3)에 기록하고, 이를 AUU비트가 0부터 1이 될 때까지의 하나의 MPEG패킷에 대해 반복하여 수신과정에서 분할된 MPEG 패킷을 재조립하여 하나로 완성시킨 후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발생하여 상위계층에 알리고, CRC에러 및 셀손실을 검출하여 에러(ERROR)를 상위계층으로 출력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AUU처리부의 세부 블록도로서, CRC 에러(CRC-err)나 지연된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에 의해 클리어되고, 48 카운터가 출력하는 완료신호(COMPLETE)를 카운트하는 4카운터(22)와, 상기 4카운터(22)의 출력과 완료신호(COMPLETE)와 AUU비트를 논리곱하여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26)와 상기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지연시키는 지연기(28)와 상기 CRC에러와 지연된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논리합하는 오아게이트(24)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AAL 5 수신장치의 동작을 구성 블럭별로 살펴본다.
48 카운터(14)는 ATM계층으로부터 스타트(START)신호가 인가되면 모듈로 48 카운터를 시작하여 ATM FIFO(1)로부터 데이타를 읽어오기 위한 FIFO제어신호(FF CONT)와 읽어온 데이타를 AAL FIFO(3)에 기록하기 위한 FIFO제어신호(ff wr)를 발생하고, 수신된 데이타의 CRC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CRC수신처리부(16)를 인에이블시키는 신호(CRC CONT)를 발생하며 48 카운트가 종료될 때마다 완료(COMPLETE)신호를 발생한다.
FIFO리드회로(12)는 48카운터(14)의 FIFO제어신호(FF CONT)에 따라 ATM FIFO(1)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여 AAL FIFO(3)에 데이타를 제공한다.
CRC수신처리부(16)는 188 바이트의 데이타와 32비트 CRC 코드를 복호하여 수신된 MPEG 패킷 데이타에서 CRC에러(CRC_err)를 검출한다.
AUU처리부(20)의 4 카운터(22)는 48카운터(14)의 완료신호(COMPLETE)를 카운트하여 0,0, 0,1, 1,0, 1,1을 출력하고, CRC에러가 발생하거나 4 카운트가 종료되어 지연된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가 입력되면 클리어된다. 또한, 앤드게이트(26)는 4 카운터(22)의 출력과, 완료신호(COMPLETE)와 AUU비트를 논리곱하여 4개의 ATM셀을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하이를 출력하고, 수신중 셀을 손실하게 되면 로우를 출력한다.
즉, 48카운터의 완료(COMPLETE)신호가 하이가 될 때마다 1개의 ATM셀을 수신한 것이고, 따라서 완료신호의 카운터값은 수신된 셀의 갯수가 된다. 이때 MPEG 패킷을 송신한 송신측에서는 AUU비트를 처음 3개의 ATM셀에서는 0으로, 마지막 4번째 셀에서는 1로 송신하므로, AUU비트가 1일 때, 4카운터(22)의 출력은 4즉 1,1이어야 한다. 만일 AUU비트가 1일때, 4카운터(22)의 출력이 1,1이 아니면 전송중에 ATM셀을 손실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앤드게이트(26)의 출력값이 1이면 MPEG 패킷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로서 사용되고, 0이면 전송중에 셀이 손실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연기(28)는 MPEG 패킷 조립 완료신호(MPEG COMPLETE)가 발생되면, 다시 4 카운터(22)를 클리어시켜 다음 4개의 ATM셀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오아게이트(24)는 CRC에러 및 지연된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논리합하여 카운터(22)를 클리어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AL 5 수신장치는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MPEG 패킷 데이타를 고속의 가변비트율로 전송할 수 있어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전송속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ATM 망을 통해 수신된 MPEG 패킷 데이타가 실린 ATM셀을 ATM FIFO(1)에 기록한 후 스타트(START)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ATM FIFO(1)로부터 48 바이트씩 데이타를 읽어와 에러를 검출하여 188바이트의 MPEG 패킷을 복원하는 AAL 5 수신장치는, 스타트(START)신호에 따라 48 카운트하여 FIFO제어신호와 CRC제어신호와 완료신호를 발생하는 48카운터(14)와; 상기 48카운터(14)의 FIFO제어신호에 따라 ATM FIFO(1)로부터 48바이트 데이터를 읽어오는 FIFO리드회로(12); 상기 48카운터(14)의 CRC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FIFO리드회로(12)가 리드한 188바이트의 패킷 데이타와 4바이트의 CRC코드를 입력받아 CRC에러를 검출하는 CRC수신처리부(16); 및 상기 48카운터(14)의 완료신호를 카운트하고 AUU비트를 입력받아 188바이트의 패킷 조리완료신호를 발생하며 셀손실 에러를 검출하는 AUU처리부(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는 상기 CRC수신처리부(16)의 CRC에러와 상기 AUU처리부(20)의 셀손실에러를 입력받아 전송에러를 상위계층에 전달하는 에러처리부(18)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UU처리부는 CRC에러나 지연된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에 의해 클리어되고, 완료신호(COMPLETE)를 카운트하는 4카운터(22)와, 상기 4카운터(22)의 출력과 완료신호(COMPLETE)와 AUU비트를 논리곱하여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26)와, 상기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지연시키는 지연기(28)와, 상기 CRC에러와 지연된 조립완료신호(MPEG COMPLETE)를 논리곱하는 오아게이트(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KR1019940038219A 1994-12-28 1994-12-28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KR016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19A KR0169664B1 (ko) 1994-12-28 1994-12-28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19A KR0169664B1 (ko) 1994-12-28 1994-12-28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77A KR960028477A (ko) 1996-07-22
KR0169664B1 true KR0169664B1 (ko) 1999-03-20

Family

ID=1940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219A KR0169664B1 (ko) 1994-12-28 1994-12-28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6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77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2599A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onstant bit rate encoded MPEG-2 transport over local ATM networks
Karlsson Asynchronous transfer of video
KR100222222B1 (ko) 종래의 디지탈 패킷 교환 망에서 멀티미디어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 처리 방법
US5790544A (en) ATM cell-to-frame re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run avoidance
Dixit et al. MPEG-2 over ATM for video dial tone networks: issues and strategies
KR0169664B1 (ko)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5 수신장치
KR0158919B1 (ko) Mpeg 패킷 전송을 위한 aal 5 송신장치
KR0169665B1 (ko)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개선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1 수신장치
KR0169668B1 (ko) 엠펙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1 수신장치
KR0169667B1 (ko)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에이티엠적응계층 타입 1 송신장치
Lin et al. Supporting constant-bit-rate-encoded MPEG-2 transport over local ATM networks
KR0169669B1 (ko) 엠펙 패킷 전송을 위한 개선된 에이티엠 적응계층 타입 1 송신장치
Wright Assessment of alternative transport options for video distribution and retrieval over ATM in residential broadband
Mehaoua et al. A picture quality control framework for MPEG video over ATM
Coffey Video over ATM networks
KR0123229B1 (ko) Atm통신방식의 상위계층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Anand FEC and priority for an ATM adaptation layer protocol for VBR video distribution.
KR0124335Y1 (ko) 개선된 aal 1 수신장치의 헤더검사회로
KR100221330B1 (ko) 에이에이엘 계층의 분할 및 재결합이들 셀 제거에 의한 잔여 대역폭의 효율적 이용방법
KR0123226B1 (ko) Aal 계층의 수신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Riley et al. Quality of service issues for MPEG-2 video over ATM
KR0123232B1 (ko) Atm 통신방식의 cpcs 트레일러 처리장치
KR970002722B1 (ko) Atm 통신방식의 sar 수신처리장치
KR100221329B1 (ko)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서의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 처리장치
Chao et al. Design of virtual channel queue in an ATM broadband terminal ada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