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509B1 - Extraction device for fluid flowing in axial direction - Google Patents

Extraction device for fluid flowing in axial dir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509B1
KR0168509B1 KR1019950042081A KR19950042081A KR0168509B1 KR 0168509 B1 KR0168509 B1 KR 0168509B1 KR 1019950042081 A KR1019950042081 A KR 1019950042081A KR 19950042081 A KR19950042081 A KR 19950042081A KR 0168509 B1 KR0168509 B1 KR 016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ilter
fluid inlet
lid
ex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6932A (en
Inventor
마코토 이치미야
오사무 가토
마사히로 야마가타
Original Assignee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메다카 소키치
Publication of KR96001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9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5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03Solvent extraction of solids with a supercritical fluid

Abstract

처리시간의 단축화, 데드스페이스 삭감화에 의한 처리능력의 증대, 유체흐름의 균일성의 확보에 의한 추출율의 균등화, 처리 및 유지보수의 합리화에 의한 코스트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를 제공한다.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shortening the processing time, increasing the processing capacity by reducing dead space, equalizing the extraction rate by securing the uniformity of the fluid flow, and reducing the cost by rationalizing the processing and maintenance. to provide.

피처리물(9)을 출입시키기 위한 상개구부(10A) 및 하개구부(10B)를 갖는 통형상의 본체(2)와 상·하 개구부(10A,10B)에 각각 액이 스며들지 않게 끼워맞춤하는 윗뚜껑(3A) 및 아래뚜껑(3B)에 의하여 압력용기(1)가 형성되고, 본체(2)의 상하 양단부 가까이에 유체도출입구(5A,5B)가 각각 관설된다. 또, 본체(2)내에는 충전되는 피처리물(9)과 상기 각 유체도출입구(5A,5B)사이에 개재시켜 상측필터(4A)와 하측필터(4B)가 각각 수설되고, 상측필터(4A)는 윗뚜껑(3A)에 하측필터(4B)는 아래뚜껑(3B)에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된다.To fit the cylindrical body 2 having the upper opening portion 10A and the lower opening portion 10B and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10A and 10B to allow the object 9 to enter and exit, respectively. The pressure container 1 is formed by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lid 3B, and the fluid introduction openings 5A and 5B are provided nea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2, respectively. In the main body 2, the upper filter 4A and the lower filter 4B are interposed between the workpiece 9 to be filled and the respective fluid inlet and exit ports 5A and 5B, respectively, and the upper filter ( 4A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filter 4B to the lower lid 3B, respectively.

한쪽의 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도입되는 유체추출용 유체를 본체(2)내에 직접 충전된 피처리물(9)에 대하여 본체(2)의 축방향으로 유동시켜 다른 쪽의 유체도출입구(5B)로부터 도출가능한 축방향 흐름 직접 충전형 유체추출장치로 구성된다.The fluid extraction fluid introduced from one fluid outlet 5A flow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2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9 directly filled in the body 2 and the other fluid outlet 5B. It consists of an axial flow direct filling fluid extraction device which is derivable.

Description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Axial Flow Fluid Extractor

본 발명은 천연물질, 세라믹스 등의 고체물질로부터 소정의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유체추출장치,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에 알맞게 사용되는 축방향 흐름의 직접 충전에 적응하는 유체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certain substances from solid materials such as natural materials and ceramics, and a fluid extraction apparatus adapted to direct filling of axial flow, which is suitably used for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pparatus.

최근에 이르러 피처리물로부터 소망의 성분(이하, 용제라 칭함)을 추출하기 위하여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유체추출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고, 이 전형적인 선행 기술로서 일본 특개평 6-63307호 공보에 개시되는 장치가 있다.In recent years, a fluid extraction device using a supercritical fluid for extracting a desired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lvent) from a to-be-processed object has been in the spotlight, and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63307 as this typical prior art. There is a device.

상기 선행기술의 구조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해당공보의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력용기인 외측용기(10)과, 이 외측용기(10)내에 삽입되는 내측용기(22)로부터 이루어졌고, 상측필터(24)와 하측필터(26)를 구비한 내측용기(22)에 있어서, 용기끝부에 장착되는 환상의 필터부착부재(34)에 필터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고정하고, 필터 부착부재(34)에는 피걸림부(42)를 설치하는 한편, 내측용기(22)에는 걸림부(40)를 설치하여, 이들 피걸림부(42)와 걸림부(40)의 걸거나 벗김조작에 의하여, 내측용기(22)에 대한 필터(24,26)의 붙이고 떼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The outline of the structure of the prior art is as follows. As shown in FIGS. 1 and 5 of the publication, the outer container 10, which is a pressure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22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10, comprises an upper filter 24, In the inner container 22 provided with the lower filter 26, the periphery of a filter is fixed to the annular filter attachment member 34 attached to the container edge part, and the caught part 42 is attached to the filter attachment member 34. 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ntainer 22 is provided with a catching portion 40, and by the hooking or peeling operation of the caught portion 42 and the catching portion 40, the filter for the inner container 22 It is designed to be easy to attach and detach (24, 26).

그런데 이와같은 2중용기로 이루어지는 유체추출장치는 ① 외측용기로부터 내측용기를 꺼낼때, 역으로 용기를 삽입하는 경우에, 외측용기의 뚜껑개폐와, 내측용기에서의 피처리물 출입을 위한 뚜껑개폐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추출처리의 준비단계에 있어서, 노력 및 수고를 많이 낭비함과 동시에 준비처리의 시간이 길어져서 전처리시간이 지연되는 결과, 처리능력의 저하로 연계된다. ② 처리할때마다, 내측용기를 외측용기에서 출입시키기 때문에, 내측용기에 의하여 외측용기 내면이 상처입지 않도록, 내측용기의 하부에 확실한 가이드 부재가 필요하게 되고, 이를 위한 데드스페이스가 증가하여, 피처리물의 충전량이 감소하고, 결과로서, 처리능력이 저하하며 ③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을 행하는 경우, 일반의 액체추출에 비교하여 점성이 작기 때문에, 필터 및 피처리물의 충전부의 압력손실이 작아지고, 예를들면, 상부유체입구부의 형태에 의한 영향을 받기쉽고, 흐름이 불균일로 되어 처리한 피처리물에 추출분포가 생기고, ④ 처리할때마다, 내측용기를 외측용기에서 출입시키기 때문에, 내측용기와 외측용기와의 시일재의 마모가 격심하게 되고, 시일의 교환빈도가 많아지고 유지보수상의 불리는 면할수 없는 등의 실용면에서의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있다.By the way, the fluid extracting device consisting of such a double container: ① when removing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inserted in reverse, the lid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lid opening and closing for the entry and exit of the object from the inner container. Therefore, in the preparation step of the extraction process, a lot of effort and effort are wasted, and the time for the preparation process is long, and the pretreatment time is delayed,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processing capacity. (2) Since the inner container is moved in and out of the outer container each time, the guide member is requir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is not damaged by the inner container. As a result, the filling amount of the processed material decreases, and as a result, the processing capacity decreases. ③ When extraction is performe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the viscosity loss of the filter and the filling part of the processing object is small because the viscosity is smaller than that of general liquid extraction. For example, since it is easy to be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upper fluid inlet part, the flow becomes uneven, and an extraction distribution occurs in the treated object, and ④ each time, the inner container is moved in and out of the outer container. The wear of the seal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is severe, the frequency of seal replacement is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and repair can not be avoided. There is a problem to be solved in this regard.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의 해소를 도모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시간의 단축화, 데드스페이스 삭감화에 의한 처리능력의 증대, 유체흐름의 균일성의 확보에 의한 추출율의 균등화, 처리 및 유지보수의 합리화에 의한 코스트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 특히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에 알맞게 사용되는 축방향 흐름의 직접 충전에 적응하는 유체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processing time,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by reducing dead space, equalize the extraction rate by securing the uniformity of the fluid flow,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costs due to rationalization of processing and maintenance, in particular a fluid extraction device adapted to direct filling of axial flow, which is suitably used for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조도.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 (b)는 제4도(a)에 있어서 A-A선에서 본 단면도.4 (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incip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sectional drawing seen from the A-A line | wire in FIG.4 (a).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 (b)는 제6도에 있어서 B-B선에서 본 단면도.6 (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incip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sectional drawing seen from the B-B line | wire in FIG.

제7도(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 (b)는 제7도(a)에 있어서 C-C선에서 본 단면도.7 (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incip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sectional drawing seen from the C-C line | wire in FIG.7 (a).

제8도(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인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 (b)는 제8도(a)에 있어서 D-D선에서 본 단면도.Figure 8 (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incip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which is a comparative exampl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sectional drawing seen from the D-D line | wire in FIG.8 (a).

제9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조도.9 is an overall structur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10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FIG. 1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2도는 초임계 유체추출기의 개념도.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or.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되는 추출기에 있어서 압력손실비-불균일 비율관계선도이다.FIG. 13 is a pressure loss ratio-nonuniform ratio relationship diagram in the extracto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압력용기 2 : 본체1: Pressure vessel 2: Body

3A : 윗뚜껑 3B : 아래뚜껑3A: Upper lid 3B: Lower lid

4A : 상측필터 4B : 하측필터4A: upper filter 4B: lower filter

5A : 상측유체도출입구 5B : 하측유체도출입구5A: Upper fluid outlet 5B: Lower fluid outlet

6A : 상측시일재 6B : 하측시일재6A: Upper seal member 6B: Lower seal member

7A : 상측시일재 7B : 하측시일재7A: Upper seal member 7B: Lower seal member

8 : 고정용부재 9 : 피처리물8: fixing member 9: workpiece

10A : 상개구부 10B : 하개구부10A: upper opening 10B: lower opening

11 : 방해판 12 : 커버11: obstruction plate 12: cover

13 : 받이호퍼 14 : 받이호퍼13: receiving hopper 14: receiving hopper

15 : 필터커버15: filter cover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하여는, 피처리물을 출립시키기 위하여 상하양단부가 개구하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양개구부에 각각 액이 스며들지 않게 끼워맞춤하는 윗뚜껑 및 아래뚜껑을 구비하여 압력용기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양단부 근처 윗뚜껑, 아래뚜껑중 어느 하나에 유체도출입구가 각각 관설되는 한편, 본체내에는 충전되는 피 처리물과 상기 각 유체도출입구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상측필터 및 하측필터가 각각 수설되어 있고, 한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가 본체내에 직접 충전된 피처리물에 대하여 본체의 축방향으로 흘러서 다른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출가능한 축방향 흐름 직접 충전형 유체추출장치에 있어서, 상측필터는 윗뚜껑에 하측필터는 아래뚜껑에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set as the structure demonstrated below 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ive. Tha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pressure is provided by a cylindrical main body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ed to stand up the workpiece, and an upper lid and a lower lid fitted to the two openings so that liquid does not penetrate the respective openings. The fluid inlet is formed in the container, and the fluid inlet is provided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lids nea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respectively, while the upper filter is interposed between the object to be filled and the respective fluid inlet. And an axial flow direct filling type in which a lower filter is formed, respectively, and fluid introduced from one fluid inlet port flow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an object to be directly filled in the body and is drawn out of the other fluid inlet port. In the fluid extraction device, the upper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filter is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lid, respectively do.

또 청구항 2발명에 대하여는,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 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유체도출입구에 가까운 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간격을 점차 좁히는 불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고, 청구항 3의 발명에 대하여는,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 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는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고, 청구항 4의 발명에 대하여는, 필터가 유체도출입구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필터저항을 점차 크게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d and a filter corresponding to one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of the fluid inlet are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in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uid inlet. In a row facing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a lid and a filter corresponding to on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let side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constant spacing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It is provided face to face, a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filter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he filter resistance from the side closer to the fluid inlet and toward the far side.

또 청구항 5의 발명에 대하여는,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내부에 임하는 개구부를 최대구경으로 하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고, 청구항 6의 발명에 대하여는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의 둘레방향으로 분산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청구항 7의 발명에 대하여는,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뚜껑과 필터사이에서 또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직면하는 위치에, 이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를 분산시키는 방해판이 설치된다. 또 청구항 8의 발명에 대하여는, 필터가 300∼3000Pa의 범위의 필터압력손실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청구항 9의 발명에 대하여는, 대면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뚜껑과 필터사이의 주위에, 시일부보호용의 커버가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on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mpet having a maximum diameter of an opening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on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them are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7, the fluid inlet and outlet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one fluid inlet and the fluid inlet side between the cap and the filter, which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shape. A baffle is provided to disperse the fluid introduced therefro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8, the filter has a filter pressure loss in the range of 300 to 3000 Pa, and in the invention of claim 9, the seal is provided around the lid and the filter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in a face to face. A protective cover is installed.

또 청구항 10의 발명에 대하여는, 피처리물을 출입시키기 위하여 상하 양단부가 개구하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양개구부에 각각 액이 스며들지 않게 끼워맞춤하는 윗뚜껑 및 아래뚜껑을 구비하여 압력용기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양단부 근처 윗뚜껑, 아래뚜껑중 어느 하나에 유체도출입구가 각각 관설되는 한편, 본체내에는 충전되는 피처리물과 상기 각 유체도출입구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상측필터 및 하측필터가 각각 수설되어 있고, 한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가 본체내에 직접 충전된 피처리물에 대하여 본체의 축방향으로 흘러서 다른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출가능한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에 있어서, 본체내부가 상기 양개구부의 적어도 한쪽의 내경을 피처리물 충전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하는 단부착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대직경 부분에 상기 유체도출입구가 관설되는 한편, 이 유체도출입구에 대응시킨 한쪽의 필터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개구부의 단벽부와 이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이루어지는 뚜껑으로 끼워둠으로서, 유체도출입구의 안쪽에 주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청구항 11의 발명에 대하여는, 상기의 각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방향 흐름 유체 추출장치로서, 피처리물의 배출시에 본체에 끼워맞춤되는 아래뚜껑을 아래로 뽑아냄에 있어서 서로 전후하여 본체하부와 아래뚜껑의 사이에 끼워져 피처리물을 받아멈춤하는 받이호퍼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0, the pressure vessel includes a cylindrical main body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ed to enter and exit the object, and an upper lid and a lower lid fitted to each of the openings so as not to infiltrate the liquid. And a fluid inlet opening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lid and the lower lid nea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while the upper filter and the upper filter are interposed between the object to be filled and the respective fluid inlet openings. The lower filter is formed in each of the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s which can be drawn from the other fluid inlet and flow ou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directly filled in the body. The end fitting cylinder in which the main body inside makes at least one inner diameter of the said opening part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o-be-processed object filling part. The li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arge diameter portion in which the fluid inlet and outlet is provided, while one filter corresponding to the fluid inle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fitted to the end wall portion of the opening and the opening. In this case, the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laims is provided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object to be treated. In extracting the lower lid which is fitted to the main body, the receiving hopper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lid and stops the object to be processed.

청구항 1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압력용기에 대하여 피처리물을 직접 충전하는 방식의 장치로서, 종래의 충전된 내측용기를 추출장치의 외측용기에 충전하는 내부용기 충전방식과 비교하여, 피처리물의 핸들링이 현저하게 간소화된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1, the apparatus is a method of directly filling an object to be treated with a pressure vessel, which is compared with an internal container filling method in which a conventional inner container is filled into an outer container of an extraction apparatus. Handling is significantly simplified.

또, 이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내측용기에 있어서 윗뚜껑과 아래뚜껑에 상당하는 상측필터와 하측필터가 외측용기로서의 윗뚜껑과 아래뚜껑에 각각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피처리물의 충전 및 배출이, 윗뚜껑과 아래뚜껑의 박고 뽑기 합조작만으로 간단히, 또한 신속히 행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압력용기내의 공간을 데드스페이스가 최소한도의 상태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pparatus, since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d and the lower lid in the conventional inner container are integrated in the upper lid and the lower lid as the outer container, respectively, the filling and discharging of the object to be treated are It can be done simply and quickly by just putting together the lid and the lower lid,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 in the pressure vessel can be effectively used with a minimum of dead space.

또, 청구항 2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유체도출입구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간격을 점차 좁히는 불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어 필터에 도달하는 유체의 유속을 필터전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하게 하여 압력분포를 없이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처리물에 대하여 균일한 흐름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2, the lid and the filter corresponding to on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let side are spaced apart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in the up and down positions at which the fluid inlet and outlet are fitted. By confronting in the form of a gradually narrowing uneven shape,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nd reaching the filter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over the front of the filter to eliminate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form flow is obtained.

또, 청구항 3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는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장치를 축선주위에서 대칭단계의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에 대한 뚜껑과 필터의 취합에 대하여, 방향성이 없고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3, the cap and the filter corresponding to on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let side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shape with a substantially constant spacing at posi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Since the device can be constructed in a symmetrical step around the axis, the device is not directional, easy to assemble, and simple in structure for the assembly of the lid and the filter to the main body.

또 청구항 4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필터가 유체도출입구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필터저항을 점차 크게하도록 형성됨으로서, 필터를 포함한 피처리물 충전부의 압력손실을 조정하여, 유체도출입구(유체입구)부분의 압력분포를 완화할 수 있고, 그 결과 피처리물에 대하여 균일한 흐름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4, the filter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he filter resistance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port, thereby adjusting the pressure loss of the packing part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cluding the filter, so that the fluid inlet port (fluid inlet)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part can be relaxed, and as a result, a uniform flow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또, 청구항 5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내부에 임하는 개구부를 최대구경으로 하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고, 청구항 6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의 둘레방향으로 분산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청구항 7의 장치에 의하면,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뚜껑과 필터사이에서, 또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직면하는 위치에, 이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를 분산류시키는 방해판이 설치된다. 이 들의 각 구조를 구비하는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어 필터에 도달하는 유체의 유속을 필터 전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하게하여 압력분포를 없이 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처리물에 대하여 균일한 흐름이 얻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5, one of the fluid introduction openings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s formed in a trumpet shape with the maximum opening of the opening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ccording to the device of claim 6, one of the fluid introduction openings A plurality of fluid inlets and outlets ar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7, between the cap and the filter,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shape, at a position facing one of the fluid inlets on the fluid inlet side. And a baffle plate for dispersing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nd outle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apparatus having each of these structur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nd reaching the filter can be substantially constant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ter, thereby eliminating pressure distribution, and providing a uniform flow to the workpiece. Is obtained.

또 청구항 8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300-∼3000Pa의 범위의 필터압력손실을 가지는 필터가 사용됨으로서, 피처리물에 대한 추출율의 불균일을 없이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8, by using a filter having a filter pressure loss in the range of 300 to 3000 Pa,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variation in extra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또 청구항 9의 장치에 의하면, 대면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된 뚜껑과 필터사이의 주위에 시일부보호용의 커버가 설치됨으로서 뚜껑 및 필터의 시일부의 보호가 만전함과 동시에 압력용기 본체의 개구부 및 유체도출입구에의 피처리물의 축적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9, a cover for protecting the seal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lid and the filter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in a face to face, and thus the protection of the seal portion of the lid and the filter is ensured, and the opening and the fluid inlet and outlet of the pressure vessel body are completed. Accumulation of the object to be treated is prevented.

또 청구항 10의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에 의하면, 본체내부가 적어도 한쪽의 개구부의 내경을 피처리물 충전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하는 단부착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대직경부분에 상기 유체도출입구가 관설되는 한편, 상기 필터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개구부에 끼워맞춤되는 뚜껑과 이 개구부의 단벽부에 끼워져서 상기 유체도출입구의 안쪽에 주설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미리 필터를 장착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의 충전이 지장없이 행해져서 작업성이 좋고, 필터에 대응하는 시일재의 마모를 적게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of claim 10,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in an end-fitting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openings larger than that of the filling part of the workpiece, and the fluid inlet and outlet portion is formed in the large diameter portion. While the filter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filter is fitted into the lid and the end wall of the opening, and the filter is installed and fixed inside the fluid inlet. In the state, filling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erformed without any trouble, and workability is good, and wear of the seal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ilter can be reduced.

또, 청구항 11의 장치에 의한면, 피처리물의 배출시에, 본체의 끼워맞춤되는 아래뚜껑을 아래쪽으로 뽑아냄에 있어서 서로 전후하여, 본체하부와 아래뚜껑사이에 개삽하여 피처리물을 받아멈춤하는 받이호퍼가 부설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배출시에 아래뚜껑 주위로 피처리물이 비산하는 일 없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of the apparatus of claim 11 is discharged from the surface, the front and rear lids of the main body are pull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lid to stop the object. By setting up the receiving hopper,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scattering the processing object around the lower lid during discharg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ach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의 전체구조가 개략도시된다. 1은 세로형의 압력용기로서, 추출장치의 셸부인 금속제의 본체(2)와, 금속제의 윗뚜껑(3A)과, 같은 금속제의 아래뚜겅(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용기(1)내에는, 고형상의 피처리물(9)이 소정량으로 충전된다. 본체(2)는 상하 양단부가 개구되는 통형상체, 예를 들면 원통체로 형성되어, 이들 상·하 개구부(10A,10B)로부터 피처리물이 출입되도록 되어 잇다.1,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ally shown.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vertical pressure vessel, which includes a metal main body 2 serving as a shell of an extraction device, a metal upper lid 3A, and a metal lower lid 3B. In the pressure vessel 1, the solid workpiece 9 is filled in a predetermined amount. The main body 2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for example, a cylindrical body, whos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ed, and allows the object to be processed to enter and exit from these upper and lower openings 10A and 10B.

한편, 윗뚜껑(3A) 및 아래뚜껑(3B)은,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같은 축의 일체에 구비하는 단부착 구조의 반체, 예를들면 동일형상의 단부착 원반체에 형성되어 각 소직경부가 뚜껑용의 시일재(6A,6B)를 사이에 두고 상개구부(10A) 및 하개구부(10B)에 스며들지 않게 끼워넣어지므로서, 상·하 뚜껑(3A,3B)이 본체(2)의 상하 양단부에 대하여 각각 액이 스며들지 않게 끼워맞춤됨으로서, 이와같이 하여 본체(2)와 상·하 뚜껑(3A,3B)이 일체적으로 결합함으로서 압력용기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lid 3B are formed on a half body of an end-fitting structure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in the same shaft, for example, an end-shaped disk having the same shape, and each small diameter portion is formed. The upper and lower lids 3A and 3B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2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portion 10A and the lower opening portion 10B so as not to penetrate through the sealing member 6A and 6B for the lid. By fitting so that liquid does not penetrate with respect to both ends, in this way, the main body 2 and the upper and lower lids 3A and 3B are integrally combined, and a pressure vessel is formed.

상기 본체(2)에는 그 상하양단부 근처 위치에 유체도출입구(5A,5B)가 각각 설치된다. 이 유체도출입구(5A,5B)는 상·하 뚜껑(3A,3B)의 끼워맞춤대를 피하여 약간 본체내쪽으로 가까운 군데에, 통동체부를 관통하여 장환(長丸) 구멍형상으로 설치된다. 한편, 윗뚜껑(3A) 및 아래뚜겅(3B)에는, 상측필터(4A) 및 하측필터(4B)가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측필터(4A) 및 하측필터(4B)는, 평반체, 예를들면 동일형상의 원반체에 형성되어 둘레가장자리부에 환상의 시일재(7A) 및 시일재(7B)가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스페이서를 겸하는 복수개의 고정용부재(8)에 의하여 윗뚜껑(3A) 및 아래뚜껑(3B)의 내측 단면부에 고정되어 있어, 제1도에 도시되는 예에서 윗뚜껑(3A) 및 아래뚜겅(3B)의 내측 단면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평행 형상으로 대면한 배치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fluid inlets 5A and 5B at positions near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respectively. The fluid introduction openings 5A and 5B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through the cylinder body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voiding the fittings of the upper and lower lids 3A and 3B. Meanwhile, the upper filter 4A and the lower filter 4B ar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lid 3B, respectively. The upper filter 4A and the lower filter 4B are formed on a flat body, for example, a disk of the same shape, and the annular sealing material 7A and the sealing material 7B are attached to the periphery at the same time.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lid 3B are fixed to the inner end portions of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lid 3B by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8 serving as spacers, so tha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It is fixed integrally by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which faced in parallel shape which kept constant space |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inner end surface part of 3B).

이와같이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는 윗뚜껑(3A)과 상측필터(4A), 또 아래뚜껑(3B)과 하측필터(4B)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윗뚜껑(3A) 및 아래뚜껑(3B)이 본체(2)에 끼워맞춤됨으로서 유체도출입구(5A,5B)를 끼고 상하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한 평행 형상으로 대면한 배치로 되고, 윗뚜껑(3A) 및 아래뚜껑(3B)이, 본체(2)의 양개구부(10A,10B)를 폐쇄하여 본체내부를 액이 스며들지 않게 유지하는 바깥뚜껑으로서 기능하는 한편, 상측 필터(4A) 및 하측필터(4B)가 본체(2)내의 상방부 및 하방부에 수평상태로 수설되고, 시일재(7A) 및 시일재(7B)를 사이에 두고 본체(2)내벽에 밀접하여 정치됨으로서, 본체(2)내에 피처리물(9)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칸막이부재로서 기능한다. 더욱 이 제1실시예에서는, 유체도출입구(5A,5B)의 적어도 한쪽, 예를 들면 유체도입측으로 되는 유체도출입구(5A)에 있어서 본체내측의 구단(口端)에 덮여서 필터커버(15)가 배설되어 있고, 이 필터커버(15)를 설치한 것으로 인하여, 유체도출입구(5A)에 피추출물이 퇴적하여 입막힘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The upper lid 3A and the upper filter 4A, and the lower lid 3B and the lower filter 4B, which are integr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have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lid 3B as the main body 2. The upper lid 3A and the lower lid 3B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up-down direction with the fluid inlet openings 5A and 5B interposed therebetween. The upper filter 4A and the lower filter 4B serve a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 while the upper openings 10A and 10B of the main body 2 are closed to function as an outer lid for maintaining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no liquid penetrates. It is erected horizontally in the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and is held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2 with the sealing member 7A and the sealing member 7B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accommodating the object 9 in the main body 2. It functions as a partition member for forming a space. 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lter cover 15 is covered with at least one end of the fluid inlet 5A, 5B, for example, in the inlet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at the fluid inlet 5A which becomes the fluid inlet side. ), And the filter cover 15 is provided to prevent the deposition of blood to be deposited at the fluid inlet 5A so that clogging occurs.

제1도는 도시의 장치에 있어서, 추출작업의 양태를 다음에 설명하면, 본체(2)에 아래뚜껑(3)이 세트되고, 위개구부(10A)가 개방하는 상태에서 고형상의 피처리물(9)이 본체(2)내에 직접 투입된다. 이 경우, 피처리물(9)은 하측필터(4B)상에 퇴적한다. 뒤이어 일체화되어 있는 윗뚜껑(3A)와 상측필터(4A)가 크레인등의 승강장치에 의하여 하강되고, 본체(2)의 상개구부(10)에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초임계 유체가 상측의 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본체(2)내에 도입됨으로서, 이 초임계 유체는 상측필터(4A)를 통과하여 그 직하부의 피처리물(9)층으로 이송되고, 피처리물(9)이 함유하는 소망의 물질이 초임계 유체에 융합한 상태로 된다. 이 초임계 유체는, 피처리물(9)층내를 유하하여 하측필터(4B)를 더욱더 통과하여 이 하측필터(4B)와 아래뚜껑(3B)의 사이의 간격을 지나, 하측의 유체도출입구(5B)로부터 본체(2)의 외부에 도출된다.1 shows an embodiment of the extraction operation in the apparatus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lid 3 is set on the main body 2, and the solid workpiece (with the upper opening 10A open) ( 9) is fed directly into the body 2. In this case, the workpiece 9 is deposited on the lower filter 4B. Subsequently, the upper lid 3A and the upper filter 4A, which are integrated, are lowered by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and set at the upper opening 10 of the main body 2. In this state, the supercritical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 from the upper fluid inlet 5A, so that the supercritical fluid passes through the upper filter 4A to the layer of the workpiece 9 immediately below. It transfers and the desired substance contained in the to-be-processed object 9 fuse | melts with the supercritical fluid. The supercritical fluid flows down the inside of the object 9 to pass through the lower filter 4B, passes the gap between the lower filter 4B and the lower lid 3B, and passes the lower fluid inlet and outlet ( 5B) is drawn outside of the main body 2.

이상과 같이, 이 장치에서는 추출작업의 1회마다, 일체화되어 있는 윗뚜겅(3A)과 상측필터(4A)를 1번만 본체(2)에 박고 뽑기하는 조작을 행하면 된다. 또, 내부용기방식이 아니고, 직접 충전·직접 배출방식으로 하고, 뚜껑과 필터를 컴팩트한 일체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처리물(9)의 충전을 위하여 데드스페이스를 극력 좁게하여 본체(2)의 유효이용이 도모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apparatus, it is only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of putting the upper lid 3A and the upper filter 4A integrated into the main body 2 only once in each extraction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filling and direct discharging method is used instead of the inner container method, and the lid and the filter have a compact integrated structure, the dead space is extremely narrowed for the filling of the object 9 and the main body 2 Effective use of is planned.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하고, 대응하는 각 부재에는 동일의 참조부호가 붙여진다. 더욱 후술하는 제3실시예 이후의 각 예에 대하여도 꼭같이 대응하는 각 부재에는 동일의 참조부호가 붙여진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corresponding member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corresponding members in the same manner for the respective examples after the thir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이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는, 유체도입측이 되는 상측의 유체도출인부(5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윗뚜껑(3A)과 상측필터(4A)가, 유체도출입구(5A)를 끼우는 상하 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이 유체도출입구(5A)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간격을 점차 좁히는 불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배설되는 구성인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뚜껑(3A)의 하면을, 유체도출입구(5A)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사강(斜降)하는 테이퍼 평면으로 형성하고, 한편, 상측필터(4A)는 수평형상으로 배설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upper lid 3A and the upper filter 4A, which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pper fluid outlet portion 5A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are provided with the fluid inlet 5A. It is a characteristic that it is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face in an unbalanced shape which gradually narrows the space | interval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near this fluid introduction opening 5A in the up-and-down both sides to fit.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id 3A is formed in a tapered plane that slopes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5A, while the upper filter 4A is It is arranged to be arranged in a horizontal shape.

이와같은 구조의 제2실시예는, 윗뚜껑(3A)과 상측필터(4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초임계 유체용 챔버로서의 공간부가, 유체도출입구(5A)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으로 향하여 유체의 통과 단면적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있기 때문에, 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상측필터(4A)의 전면에 도달하는 초임계 유체의 유속을 대략 일정하게 하여, 그 결과 압력분포를 없이하여, 피처리물(9)층을 흐르는 유체의 균일한 흐름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제2실시예와 꼭같은 효과를 이루는 예가 제3실시예로서 제3도에 개략 도시된다. 이 제3실시예는, 유체도입측으로 되는 상측의 유체도출입구(5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윗뚜껑(3A)이, 본체(2)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하면을 평탄한 수평상으로 유지시키도록 형성되고, 한편, 상측필터(4A)가 유체도출입구(5A)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사승(斜昇)하는 테이퍼 평면으로 되도록, 윗뚜껑(3A)에 불평행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으로도 피처리물(9)층을 흐르는 유체의 균일한 흐름을 얻을 수가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is structure, the space portion as the supercritical fluid chamber formed between the upper lid 3A and the upper filter 4A is directed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5A. Since the passag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the flow rate of the supercritical fluid reaching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lter 4A from the fluid inlet 5A is made substantially constant, and as a result, the pressure-reduced object 9 A uniform flow of fluid flowing through the layer can be obtained. An example that achieves the same effect as the second embodiment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3 as the third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upper lid 3A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fluid introduction opening 5A to be the fluid introduction side maintains the lower surface in a flat horizontal state while being fitted to the main body 2. On the other hand, the upper filter 4A is unevenly attached to the upper lid 3A so that the upper filter 4A becomes a tapered plane that slopes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troduction opening 5A toward the far side. In this configuration, a uniform flow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layer of the object 9 can be obtained.

제4도(a)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의 개략 도시 주요부 구조도가, 또 제4(b)에는 제4도(a)에 있어서 A-A선에서 본 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 4 (a)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4 (b),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a) is shown, respectively. Is shown.

이 제4실시예는, 유체도입측으로 되는 상측의 유체도출입구(5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상측필터(4A)의 구조에 특징을 갖고 있어 유체도출입구(5A)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필터 저항을 점차 크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반형 필터가 유체도출입구(5A)에 가까운측(4A1)과 중앙측(4A2)과, 먼측(4A3)의 3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가까운측(4A1)은 여과재의 메시가 거칠은 것, 중앙측(4A2)은 중간의 거칠은 것, 먼측(4A3)은 빽빽한 것이 각각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여 필터부에서의 압력손실을 3단 변화함으로서, 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상측필터(4A)의 전면에 도달하는 초임계 유체의 흐름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유체도출입구(5A)에 가까운 곳에서는 유체가 원활히 흐르기 어려우므로 입구의 필터저항을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four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upper filter 4A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luid inlet 5A on the upper side to be the fluid inlet side, and the filter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5A. It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resistance. Specifically, the disk-shaped filter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ree parts of the side 4A1, the center side 4A2, and the far side 4A3 close to the fluid inlet 5A, and the mesh of the filter medium is coarse on the side 4A1. The thin ones, the center side 4A2 are the middle rough ones, and the far side 4A3 are the dense ones. By configuring in this way and changing the pressure loss in a filter part three steps, it is possible to make uniform the flow of the supercritical fluid which rea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lter 4A from the fluid introduction opening 5A. That is,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fluid to flow smoothly near the fluid inlet 5A,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filter resistance at the inlet.

더욱, 유체도입측으로 되는 상측의 유체도출입구(5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필터로서, 필터저항이 전체적으로 큰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함으로서, 필터를 포함한 피처리물(9)충전부의 압력손실을 크게 잡아 피처리물(9)층을 흐르는 유체에 대하여 균일한 흐름을 얻을 수가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employ | adopt that a filter resistance is large as a whole as a filter provided corresponding to 5 A of upper fluid introduction openings which become a fluid introduction sid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obtain a uniform flow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layer of the object 9 by largely reducing the pressure loss of the filling portion of the object 9 including the filter.

제5도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칭의 주요부의 구조가 개략 도시되어 있다. 제5실시예는 유체도입측인 상측의 유체도출입구(5A)가, 본체 내부에 임하는 개구부를 최대구경으로 하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인 점에 특징을 갖는다. 즉, 제5도에 예시되는 것과 같이 유체도출입구(5A)가, 본체내부에 임하는 개구부측에 있어서 내벽을, 입구가장자리를 향하여 R면에 만곡성형하여 윗뚜껑(3A)의 하면 및 상측 필터(4A)의 상면에까지 거의 넓혀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같이 유체도출입구(5A)가 나팔형상으로 넓어져 있는 것으로 인하여, 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상측필터(4A)의 전면에 도달하는 초임계 유체의 흐름에 원활하게 확산시켜, 균일한 유동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5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 of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luid introduction port 5A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s formed in a trumpet shape with the maximum opening opening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luid inlet 5A curves the inner wall on the R surface toward the inlet edge at the opening side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filter 3A of the upper lid 3A ( It has almost expanded to the upper surface of 4A). Since the fluid inlet 5A is widened in the shape of a trumpet, the fluid inlet 5A smoothly diffuses into the supercritical fluid flowing from the fluid inlet 5A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lter 4A, thereby achieving a uniform flow. It is possible.

제6도(a)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의 개략도시 주요부의 구조도가, 또 제6도(b)에는, 제6도(a)에 있어서 B-B선에서 보았을때의 단면이 각각 도시된다. 이 제6실시예는 유체도입측인 상측의 유체도출입구(5A)가, 본체(2)의 둘레방향으로 분산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구조인 점에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6도(b)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본체(2)의 둘레방향으로 4분등한 배치로 동구조의 4개의 유체도출입구(5A)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유체도출입구(5A)가 복수개 설치됨으로서, 상측필터(4A)의 전면에 도달하는 초임계 유체의 흐름을 균산시켜 균일한 유동을 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6 (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incipal part of a schematic diagram of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b) is seen from the line BB in FIG. 6 (a). The cross section of the time is shown respectively. This six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luid introduction port 5A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tribu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b), four fluid introduction ports 5A of the same structure are provided in an arrangement which is divided into fou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 By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5A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balance the flow of the supercritical fluid reaching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lter 4A and achieve a uniform flow.

제7도(a)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의 개략도시 주요부의 구조도가, 제7도(b)에는, 제7도(a)에 있어서 C-C선에서 보았을때의 단면의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제7실시예는 유체도입측에 있는 상측의 유체도출입구(5A)를 끼는 상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윗뚜껑(3A)과 상측필터(4A)사이에서, 유체도출입구(5A)에 직면시켜 방해판(11)이 설치되는 구조인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 방해판(11)은 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도입된 초임계 유체를 앞선단부에서 받아 그 좌우양측에 분산흐름시키는 작용을 이루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원뿔상으로 형성되는 방해판(11)을 그 뿔선단이 유체도출입구(5A)의 개구에 가깝게 대향하도록 배설한다. 이 방해판(11)에 의하여 제7도(a),(b)의 유선과 같이 유체가 윗뚜껑(3A)과 상측필터(4A)사이에서 확산하므로서 상측필터(4A)의 전면에 도달하는 초임계 유체의 흐름을 균산시켜, 균일한 유동을 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7실시예에 대하여 비교예로서 열거되는 추출장치가 제8도(a),(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유선을 생기게 하는 것과 비교하면, 보다 큰 균산효과가 이루어져서 초기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되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Fig. 7 (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incipal part of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b) when viewed from the line CC in Fig. 7 (a). Each of the cross sections of is shown. This seventh embodiment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lid 3A and the upper filter 4A locat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fluid inlet 5A on the fluid inlet side and facing the fluid inlet 5A.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plate 11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e obstruction plate 11 receives the supercritical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nd outlet 5A at the front end, and serves to disperse the flow 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obstruction plate 11 formed in the shape of a bullet cone is disposed so that the tip of the horn faces close to the opening of the fluid introduction opening 5A. The second impingement plate 11 rea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lter 4A while the fluid diffuses between the upper lid 3A and the upper filter 4A as in the streamline of FIGS. 7A and 7B. It is possible to balance the flow of the critical fluid to achieve a uniform flow. Compared with the extraction apparatus listed as a comparative example for this seventh example producing a streamline as shown in Figs. 8A and 8B, a larger bacteriostatic effect is achieved, and the initial purpose is sufficiently achieved. Not to mention that.

그런데, 유체유입측에 설치되는 필터(4)는, 피처리물(9)의 층에 대한 물질추출율을 균일하게 시키는 점에서 장해가 되는 일이 없도록 충분히 배려된 것이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기 위해서는 유체유입측필터의 압력손실을 300Pa이상 3000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점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유로의 확대에 의하여 유속이 늦어지면, 그 속도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된다. 이 압력에너지는 변환돠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유체의 밀도에 비례한다.By the way, the filter 4 provided on the fluid inflow side needs to be sufficiently considered so as not to cause an obstacle in terms of making the material extra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layer of the to-be-processed object 9 uniform. For this purpose, the pressure loss of the fluid inlet side filter is preferably 300 Pa or more and 3000 Pa or les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In general, when a fluid slows down due to expansion of a flow path, the velocity energy is converted into pressure energy. This pressure energy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rate of conversion and the density of the fluid.

제12도에 초임계 유체추출기의 개념도가 도시되지만, 유체가 유입되는 추출기 상부에서 감속에 의한 압력분포의 가능성이 고려된다. 또, 충전층의 압력손실 및 필터압력손실은 필터의 거칠기, 유속, 유체의 점도에 비례한다. 충전층에서의 유체 유량분포는 압력분포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추출기 상부에 있어서 큰 압력 분포가 붙으면, 충전층에의 유량이 장소에 따라 변하지만, 필터등의 압력손실을 압력분포에 대하여 크게하면 압력차가 부정되어서 유량이 대략 일정하게 된다.Although a conceptual diagram of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or is shown in FIG. 12, the possibility of pressure distribution by deceleration at the top of the extractor into which fluid is introduced is considered. In addition, the pressure loss and filter pressure loss of the packed bed are proportional to the roughness of the filter, the flow rate, and the viscosity of the fluid. Since the fluid flow rate distribution in the packed bed is determined by the pressure distribution, if a large pressure distribution is attached at the top of the extractor, the flow rate to the packed bed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but if the pressure loss of the filter or the like i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distribution, The pressure difference is negated so that the flow rate becomes approximately constant.

일반으로 추출로서 행해지는 액체용매 추출에 대하여, 초임계 유체추출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초임계 유체의 특징은 액체에 비하여 밀도의 크기는 동정도이고, 점도가 대단히 작은 것이다. 이 때문에, 초임계 유체추출에서는 용매추출에 비하여 밀도는 동정도이므로, 추출기 상부에서의 압력분포는 동정도로 고려되지만, 충전층의 압력손실 및 필터의 압력손실은 점도가 작기 때문에 작아진다. 따라서 초임계 유체추출에서는 용매추출에 비하여 압력분포가 생기기 쉽고, 유량분포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한, 추출율의 장소에 의한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고 생각된다. 유량이 큰 곳은 추출율이 빨리 크게되고, 작으면 추출율은 작게 된다. 이 추출율의 불균일은 제품의 품질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의 이유에 의하여, 초임계 유체추출에 있어서는 액체용매 추출보다는 압력분포의 발생에 대한 신중한 고찰이 필요하게 된다.In general,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is compared and examined for liquid solvent extraction performed as extraction. Supercritical fluids are characterized by a similar density and very low viscosity compared to liquids. For this reason, in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ince the density is about the same as that of the solvent extraction,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extractor is considered the same, but the pressure loss of the packed bed and the pressure loss of the filter are small because of the small viscosit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n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pressure distribution is more likely to occur than solvent extraction, and nonuniformity due to the place of extraction rate is likely to occur due to the occurrence of flow rate distribution. Where the flow rate is large, the extraction rate becomes large quickly, and when it is small, the extraction rate becomes small. Non-uniformity of this extraction rate is undesirable in terms of product quality.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the generation of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rather than liquid solvent extraction.

이하에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에서의 압력분포에 대하여 정리한다. 추출기에 대하여, 그 상부에서의 압력차와 충전층 압력손실의 비와 충전층중에서 추출율의 불균일이 생긴 체적비율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면 제13도와 같이 된다.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압력비가 1이상에서는 거의 추출율 분포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is summarized below. For the extractor, the ratio of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upper part and the pressure loss in the packed bed and the volume ratio in which the extraction ratio is non-uniform in the packed bed are summarized as shown in FIG. As is apparent from this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extraction ratio distribution hardly occurs when the pressure ratio is one or more.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에서는 압력비가 1이상 되도록 충전층, 특히 유입측의 필터압력손실을 300Pa 이상으로 하고 알맞는 범위로서는 300∼3000Pa로 하는 것이 좋다.In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the filter pressure loss on the packed bed, especially the inflow side, is 300 Pa or more so that the pressure ratio is 1 or more, and the suitable range is 300 to 3000 Pa.

제9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조도이다. 이 제8실시예는, 본체(2)의 상개구부(10A)에 있어서 내부구조가 단부착 통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과, 상측필터(4A)가 링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2점에 구조상의 특징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개구부(10A)의 내경을 피처리물(9)충전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하는 단부착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대직경부분에 유체도입측으로 되는 상측유체도출입구(5A)가 관설되는 한편, 상기 상측필터(4A)가 원통을 원형으로 자른 것과 같은 꼴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필터(4A)는 상개구부(10A)의 단벽부와 이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윗뚜껑(3A)으로 끼워둠으로서 상측유체도출입구(5A)의 안쪽에 주설되어, 윗뚜껑(3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8실시예는, 피처리물(9)를 충전하기 이전에, 상측필터(4A)를 피처리물(9)삽입에 지장이 없는 장소에 세트하여 두면 좋으므로 작업성이 좋고, 시일재(6A,7A)의 마모가 적다.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upper opening 10A of the main body 2 has an end-cylinder shape, and the upper filter 4A has a ring shape. Specifically, the upper fluid introduction port 5A is formed in an end-fitting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opening 10A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bject 9 to be filled, and becomes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n this large diameter portion. ), While the upper filter 4A is formed in a ring shape like a cylinder cut into a circle. The upper filter 4A is fitted inside the upper fluid introduction opening 5A by being fitted with the short wall portion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10A and the upper lid 3A fitted to the opening, and the upper filter 4A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lid 3A. It is fixed to). In this eighth embodiment, the upper filter 4A may be set at a place where the insertion of the object 9 is not impeded before the object 9 is filled. The wear of the ashes 6A and 7A is low.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를 개략도시한 주요부의 구조도이다. 이 제9실시예는, 대면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아래뚜껑(3B)과 하측필터(4B)사이의 주위에, 시일부 보호용의 커버(12)가 설치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이 커버(12)는, 원통부(12A)와, 원턱부(12B)를 일체로 갖는 턱이 달린 통체로 형성되어 있어, 원턱부(12B)가 아래뚜껑(3B)의 상면 둘레가장자리를 따르고, 원통부(12A)가 하측 필터(4B)ㅘ 아래뚜껑(3B)의 사이에서 둘러쌓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조의 제9실시예에 대하여는 시일재(6B)가 보호됨과 동시에 아래뚜껑(3B)의 상면 및 하측 유체도출입구(5B)에의 피처리물(9)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잇는 이점을 갖고 있다.10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nin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in which a cover 12 for protecting the seal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lower lid 3B and the lower filter 4B,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cover 12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with a jaw having a cylindrical portion 12A and a jaw portion 12B integrally, and the jaw portion 12B follows an upp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wer lid 3B, A cylindrical portion 12A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ower filter 4B and the lower lid 3B. With respect to the ninth embodiment of such a structure, the sealing material 6B is prot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ccumulation of the workpiece 9 a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fluid introduction opening 5B of the lower lid 3B can be prevented. Have

더욱, 이 실시예는 아래뚜껑(3B)의 대직경부의 외주에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받이호퍼(14)가 환상으로 장치되어 있고, 아래뚜껑(3B)을 피처리물 받이로서 겸용시켜 두고, 피처리물(9)의 배출시에, 아래뚜껑(3B)이 본체(2)의 하개구부(10B)로부터 벗겨서 내렸을 경우, 피처리물(9)이 아래뚜껑(3B)주위의 아래쪽에 비산하지 않도록 막아내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hopper 14 made of, for example, a metal plate is annularly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lower lid 3B, and the lower lid 3B is also used as a workpiece receiver. If the lower lid 3B is peeled off from the lower opening 10B of the main body 2 at the time of discharge of the workpiece 9, the workpiece 9 does not scatter around the lower lid 3B.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prevent it.

제11도에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관한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의 주요부의 구조가 대략 도시되어 있다. 이 제10실시예는, 아래뚜껑(3B)과 하측필터(4B)에 대하여 받이호퍼(13)가 부설되어 있는 구조에 특징을 갖고 있다. 즉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예를들면 원통형상의 본체(2)의 외경과 대략 같은 금속제원판에, 고정용부재(8)가 사이에 끼워지는 노치홈을 소정 군데에 잘라 설치시켜서 이루는 받이 접시상태의 것이다. 이 받이호퍼(13)는 피처리물(9)의 배출시에 본체(2)에 끼워맞춤되는 아래뚜껑(3B)을 아래쪽으로 뽑아냄에 있어서 서로 전후하여,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체(2)하부와 아래뚜껑(3B)의 틈새에 비스듬히 경사한 상태로 꽂아놓고 아래뚜껑(3B)과 하측필터(4B)의 사이에 끼이게 한다. 이와같이 끼워넣으므로서, 아래개구부(10B)로부터 낙하하여오는 피처리물(9)을 받이호퍼(13)로 안내시켜 도출할 수 있고, 아래뚜껑(3B)의 주위에 피처리물(9)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제11도중, 16은 시일재(6B)를 보호하기 위한 시일재커버이다.In FIG. 11, the structure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concerning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schematically. This ten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in which the receiving hopper 13 is attached to the lower lid 3B and the lower filter 4B. That is, as a specific structure, it is a receiving plate state formed, for example by cut | disconnecting and installing in the predetermined place the notch groove in which the fixing member 8 fits in the metal plate which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main body 2. The receiving hoppers 13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each other in pulling down the lower lid 3B fitted to the main body 2 at the time of discharge of the object 9, as shown in FIG. It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 and the lower lid 3B at an oblique angle, and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lid 3B and the lower filter 4B. By inserting in this way, the to-be-processed object 9 which falls from the lower opening part 10B can be guide | induced and guide | induced to the receiving hopper 13, and the to-be-processed object 9 is provided around the lower lid 3B. It can prevent scattering. 16 is a seal material cover for protecting the seal material 6B.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는, 본체(2)와 상·하 뚜껑(3A,3B)으로 이루는 압력용기(1)에 대하여, 상측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초임계 유체를 도입하고, 하측유체 도출입구(5B)로부터 도출하는 구조의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와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역으로 하측 유체도출입구(5B)로부터 초임계 유체를 도입하고, 상측유체도출입구(5A)로부터 도출하는 구조의 것일지라도 좋고, 또, 초임계 유체추출장치에 한하지 않고, 기타의 액체에 의하여 고형물로부터 용제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말할것도 없다.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upercritical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upper fluid inlet and outlet 5A to the pressure vessel 1 including the main body 2 and the upper and lower lids 3A and 3B, and the lower fluid inlet and outlet is introduced. Although the structure is derived from (5B),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and conversely, the supercritical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lower fluid inlet 5B and the structure is derived from the upper fluid inlet 5A.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vice, but can be applied to the device for extracting the solvent from the solid by other liquids.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압력용기에 대하여 피처리물을 직접충전하는 방식의 장치로서, 종래의 충전된 내측용기를 추출장치의 외측용기에 충전하는 내부용기 충전방식과 비교하여, 피처리물의 핸들링은 현저히 간소화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irectly filling an object to be treated with a pressure vessel, which is compared with an inner container filling method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an inner container filled with a conventional container. Handling is significantly simplified.

또 청구항 1의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내측용기에 있어서 윗뚜껑과 아래뚜껑에 상당하는 상측필터와 하측필터가 외측용기로서의 윗뚜껑과 아래뚜껑에 각각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피처리물의 충전 및 배출이, 윗뚜껑, 아래뚜껑의 박고 뽑기 조작만으로 간단, 그리고 신속히 행해지지 때문에, 처리시간의 단축에 의한 처리능력의 증대화가 도모되고, 또 압력용기내의 공간을 데드스페이스가 최소한도의 상태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 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유체도출입구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으로 향하여 간격을 점차 좁히는 불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어 필터에 도달하는 유체의 유속을 필터전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하게 하여 압력분포를 없이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처리물에 대하여 균일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1, in the conventional inner container, since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d and the lower lid are integrated in the upper lid and the lower lid as the outer container, respectively, the filling and discharging of the object to be treated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by shortening the processing time by simply and quickly removing the upper and lower lids, and the space in the pressure vessel can be effectively used with a minimum dead space. have. Further,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2, the gap corresponding to the fluid introduction port on one side of the fluid introduction port and the filter are gradually moved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troduction port at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uid introduction port. By confronting in the form of narrowing unevenness,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nd reaching the filter can be substantially constant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ter, thereby eliminat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One flow can be secured.

또 청구항 3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 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는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장치를 축선주위에 대칭관계의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에 대한 뚜껑과 필터의 취합에 대하여 방향성이 없고 조립이 용이하고,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3, the cap and the filter corresponding to on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let side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shape with substantially constant spacing at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evice can be construct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around the axis, whereby the assembly of the lid and the filt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not directed, is easy to assemble,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또, 청구항 4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필터가 유체도 출입구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으로 향하여 필터저항을 점차 크게하도록 형성됨으로서, 필터를 포함한 피처리물 충전부의 압력손실을 조정하여, 유체도출입구(유체입구)부분의 압력분포를 완화할 수가 있고, 그결과, 피처리물에 대하여 균일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4, the filter is formed such that the fluid gradually increases the filter resistance from the side close to the entrance to the far side, thereby adjusting the pressure loss of the packing part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cluding the filter, so that the fluid inlet (fluid The pressure distribution at the inlet) portion can be relaxed, and as a result, a uniform flow can be ensured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또 청구항 5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내부에 임하는 개구부를 최대구경으로 하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청구항 6의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의 둘레방향으로 분산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청구항 7의 장치에 의하면,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뚜껑과 필터사이에서, 또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직면하는 위치에, 이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를 분산시키는 방해판이 설치되어 있어, 따라서 이들의 각 구조를 구비하는 장치에 의하면,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어 필터에 도달하는 유체의 유속을 필터전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하게 하여 압력분포를 없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고, 피처리물에 대하여 균일한 흐름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5, one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s formed in a trumpet shape with the maximum diameter of the opening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fluid inlet and outlet are distribu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re provided in plural, and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7, between the cap and the filter, which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shape, face one fluid inlet and the fluid inlet side. In the position, a baffle plate for dispersing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nd inlet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apparatus having each of these structures,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nd reaching the filter is provided over the fil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make the pressure distribution substantially constant, and to maintain a uniform flow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processed.

또, 청구항 8기재의 장치에 의하면, 300∼3000Pa의 범위의 필터압력손실을 가지는 필터가 사용됨으로서, 피처리물에 대한 추출율의 불균일을 없이할 수 있다. 또 청구항 9의 장치에 의하면, 대면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뚜껑과 필터사이의 둘레에 시일부보호용의 커버가 설치되므로서, 뚜껑 및 필터의 시일부의 보호가 만전함과 동시에 압력용기본체의 개구부 및 유체도출입구에의 피처리물의 축적이 방지되고, 유지보수 및 장치코스트면에서의 개선효과가 크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8, by using a filter having a filter pressure loss in the range of 300 to 3000 Pa, it is possible to eliminate nonuniformity in the extra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9, a cover for protecting the seal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lid and the filter,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in a face to face, so that the protection of the seal portion of the lid and the filter is completed, and the opening of the pressure main body and Accumulation of the workpiece at the fluid inlet and outlet is prevented, and the improvement effect in terms of maintenance and device cost is great.

또 청구항 10의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에 의하면, 상기 필터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뚜껑과 이 개구부의 단벽부에 끼워져 유체도출입구의 안쪽에 주설되고 고정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미리 필터를 장착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의 충전이 지장없이 행해져서 작업성이 좋고, 필터에 대응하는 시일재의 마모를 적게 하여 긴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of claim 10, the filter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filter is fitted into the opening and the end wall of the opening, which is installed and fixed inside the fluid inlet. By doing so, filling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 a state where the filter is attached in advance is satisfactory, and workability is good, and the wear life of the seal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ilter is reduced, and the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또, 청구항 11의 장치에 의하면, 피처리물의 배출시에 본체에 끼워맞춤되는 아래뚜껑을 아래쪽으로 뽑아냄에 있어서 서로 전후하여, 본체하부와 아래뚜껑과의 사이에 끼워서 피처리물을 막아내는 받이호퍼가 부설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배출시에 아래뚜껑 주위에 피처리물이 비산하는 일없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claim 11, the lower lid which is fitted to the main body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target object is moved back and forth to each other, and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lid to stop the object.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pper is place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scattering the workpiece around the lower lid during discharge.

Claims (12)

피처리물을 출입시키기 위하여 상하 양단부가 개구하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양개구부에 각각 액이 스며들지 않게 끼워맞춤하는 윗뚜껑 및 아래뚜껑을 구비하여 압력용기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양단부 근처 윗뚜껑, 아래뚜껑중 어느 하나에 유체도출입구가 각각 관설되는 한편, 본체내에는 충전되는 피처리물과 상기 각 유체도출입구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상측필터 및 하측필터가 각각 수설되어 있고, 한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가 본체내에 직접 충전된 피처리물에 대하여 본체의 축방향으로 흘러서 다른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출가능한 축방향 흐름 직접 충전형 유체추출장치에 있어서, 상측필터는 윗뚜껑에, 하측필터는 아래뚜껑에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It is formed in a pressure vessel with a cylindrical main body that opens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in order to enter and exit the object, and an upper lid and a lower lid for fitting so that liquid does not penetrate the openings,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The fluid inlet and outlet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lids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are respectively interposed between the object to be filled and the respective fluid inlet and outlet. In the axial flow direct filling fluid extraction device, in which fluid introduced from one fluid inlet port flow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a workpiece directly filled in the body, and is derived from the other fluid inlet port, the upper filter includes: Axial flow fluid extraction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ilter, the lower filter is fixed to each of the lower lid integrally . 제1항에 있어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 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유체도출입구에 가까운 측에서 먼측으로 향하여 간격을 점차 좁히는 불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2. The complaint of claim 1, wherein a lid and a filter corresponding to one fluid inlet on the fluid inlet side gradually narrow the gap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luid inlet.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facing to th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대응하는 뚜껑과 필터가 이 유체도출입구를 끼우는 상하 양측의 위치에 있어서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는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A lid and a filter corresponding to one fluid inlet and outlet on the fluid inlet side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shape with approximately constant spacing at positions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필터가 유체도출입구에 가까운측에서 먼측을 향하여 필터저항을 점차 크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4.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filter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he filter resistance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side close to the fluid inlet.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 내부에 임하는 개구부를 최대구경으로 하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4.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one of the fluid introduction ports on the fluid introduction side is formed in a trumpet shape with a maximum diameter of an opening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가 본체의 둘레방향으로 분산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4.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plurality of fluid inlet and outlets on one side of the fluid introduction side are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평행 형상으로 대면하여 설치되는 뚜껑과 필터사이에서, 또한 유체도입측인 한쪽의 유체도출입구에 직면하는 위치에, 이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를 분산류시키는 방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is dispers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lid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shape and facing one fluid inlet on the fluid inlet side.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ffle plate is installe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필터가 300∼3000Pa의 범위의 필터압력손실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4.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filter has a filter pressure loss in the range of 300 to 3000 Pa.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대면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뚜껑과 필터사이의 주위에 시일부보호용의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4.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seal for protecting the seal is provided around the lid and the filter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in a face to face. 피처리물을 출입시키기 위하여 상하 양단부가 개구하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양개구부에 각각 액이 스며들지 않게 끼워맞춤하는 윗뚜껑 및 아래뚜껑을 구비하여 압력용기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양단부 근처 윗뚜껑, 아래뚜껑중 어느하나에 유체도출입구가 각각 관설되는 한편, 본체내에는 충전되는 피처리물과 상기 각 유체도출입구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상측필터 및 하측필터가 각각 수설되어 있고, 한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유체가 본체내에 직접 충전된 피처리물에 대하여 본체의 축방향으로 흘러서 다른쪽의 유체도출입구로부터 도출가능한 축방향 흐름 충전형 유체추출장치에 있어서, 본체내부가 상기 양개구부의 적어도 한쪽의 내경을 피처리물 충전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하는 단부착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대직경부분에 상기 유체도출입구가 관설되는 한편, 이 유체도출입구에 대응시킨 한쪽의 필터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개구부의 단벽부와 이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이루어지는 뚜껑으로 끼워둠으로서, 유체도출입구의 안쪽에 주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It is formed in a pressure vessel with a cylindrical main body that opens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in order to enter and exit the object, and an upper lid and a lower lid for fitting so that liquid does not penetrate the openings,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One of the adjacent upper lid and the lower lid is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fluid inlet and outlet, while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are interposed between the to-be-processed object to be filled and the respective fluid inlet and outlet, respectively. An axial flow-filled fluid extraction device in which fluid introduced from one fluid inlet flows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a workpiece directly filled in the body, and is drawn out of the other fluid inlet. The inner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two openings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nd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acking part to be processed. While the fluid inlet and outlet are provided in the neck portion, one filter corresponding to the fluid inlet and outle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fluid is inserted into the end wall of the opening and the lid fitted to the opening.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of the doorway.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로서, 피처리물의 배출시에, 본체에 끼워맞춤되는 아래뚜껑을 아래로 뽑아냄에 있어서 서로 전후하여 본체하부와 아래뚜껑의 사이에 끼워져 피처리물을 받아멈춤하는 받이호퍼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The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wer lid which is fitted to the main body is pulled down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at the time of discharg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An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hopper is inserted between the lid to stop the object to be processed. 제10항에 있어서,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로서, 피처리물의 배출시에, 본체에 끼워맞춤되는 아래뚜껑을 아래로 뽑아냄에 있어서 서로 전후하여 본체하부와 아래뚜껑의 사이에 끼워져 피처리물을 받아멈춤하는 받이호퍼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11. The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lid before and after each other in pulling down the lower lid fitted to the main body when discharging the object.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hopper is placed to stop.
KR1019950042081A 1994-11-24 1995-11-18 Extraction device for fluid flowing in axial direction KR01685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89834 1994-11-24
JP28983494A JP3276521B2 (en) 1994-11-24 1994-11-24 Axial flow fluid extra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932A KR960016932A (en) 1996-06-17
KR0168509B1 true KR0168509B1 (en) 1999-01-15

Family

ID=1774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081A KR0168509B1 (en) 1994-11-24 1995-11-18 Extraction device for fluid flowing in axial dire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76521B2 (en)
KR (1) KR016850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932A (en) 1996-06-17
JPH08141307A (en) 1996-06-04
JP3276521B2 (en)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6297B1 (en) Cooling air manifold for a gas turbine engine
KR100199782B1 (en) Plasma arc torch having injection nozzle assembly
US5429283A (en) Immersion nozzle formed of separate members
US5104371A (en) Cleaning of a centrifugal separator
US5122286A (en) Filter changing apparatus for flowable plastic material
CA210852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gas into liquid
JPH08500650A (en) Nozzle plate holding device and spinning beam for continuous filament melt spinning
KR0168509B1 (en) Extraction device for fluid flowing in axial direction
CN106413840A (en) Filter base system and filter assembly
US5942260A (en) Extruding device for producing honeycomb structure
EP1948843A1 (en) Ald reactor
JPH01130746A (en) Centrifugal separator
CN210529059U (en) Deposition chamber and MPCVD device for improving gas distribution
US6969343B2 (en) Centrifuge with a siev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0791818A (en) Melt spinning assembly with controllable residence time
KR101902959B1 (en) Apparatus for reducing frictional-resistance
US4179381A (en) Intake distributor for a settling tank filter
CN114310456A (en) Magnetic material cutting main shaft end protection structure
EP1366358B1 (en) Chromatography device
US4253644A (en) Fluid closure for and method of preventing flow through an opening in a fluid and particulate confining and conveying structure
US20040228939A1 (en) Spinneret for melt spinning filaments
KR101801814B1 (en) Apparatus for reducing frictional-resistance
CN112921423B (en) Double-component fiber spinning assembly
CN111118637A (en) Two-component composite fiber spinning assembly
JPH0912006A (en) Multi-stage screen filing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