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141B1 -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유입단면적 조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유입단면적 조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141B1
KR0168141B1 KR1019940019896A KR19940019896A KR0168141B1 KR 0168141 B1 KR0168141 B1 KR 0168141B1 KR 1019940019896 A KR1019940019896 A KR 1019940019896A KR 19940019896 A KR19940019896 A KR 19940019896A KR 0168141 B1 KR0168141 B1 KR 016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ning
sectional area
cross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379A (ko
Inventor
쟈르디니에 삐에르
Original Assignee
삐에르 자르디니에
꽁세이으 에뛰드 에 르쉐르쉬 앙 제스띠옹 드 라르 세.에.아르.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 자르디니에, 꽁세이으 에뛰드 에 르쉐르쉬 앙 제스띠옹 드 라르 세.에.아르.제.아 filed Critical 삐에르 자르디니에
Publication of KR95000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유입의 단면적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한편으로는 실내(Vi)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 및 실외(Ve) 공기의 수증기량의 차이로 개구 단면을 종속장치로 주로 작동시키는데 있는데 이는 상기 차이가 증가할 때 개구 단면이 증가하게 하기 위함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으로 개구 단면을 종속장치로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데 있다.

Description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유입단면적 조절방법 및 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2가지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장치의 개략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의 장치의 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장치의 단면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한 공기유입 개구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유입단면적 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건물에 있는 여러개 방들은 환기의 필요성이 필요하고 각기 다르고 동일한 방이라고 하더라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환기의 필요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 필요성의 변화는 방의 형태와 거주 형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업무실의 경우에는 환기의 필요성이 주로 수증기 방출기능에 집중된다. 안방, 침실 및 거실에 있어서는, 거주하는 사람의 수가 요구되는 환기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현재, 환기 요구도를 관리하는 가장 진보된 기술은, 공기의 유입 및 유출구의 단의 면적을 환기시킬 실내의 상대습도에 대해 종속장치로서 가동시키는 것이다. 건물의 실내 온도변화는 거의 없고 상기 공기유출구가 장착된 업무실에서는 수증기의 방출 수준이 대개 아주 높기 때문에, 공기 유출구에서는 상대습도만을 측정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공기를 유입시키게 될 침실과 거실에서는 수증기 주로 거주자의 호흡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한다. 수증기의 이러한 생성은 물질대사 및 실내 조건에 따라 개인당 1시간에 40 내지 80g의 수분을 방출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가구, 특히 커튼, 카펫, 융단 등이 설치된 방은 수중기가 단독 방출되는 경우에 측정된 습도변화량의 측정을 방해하는 완충제(buffer)기능을 나타낸다.
가구의 완충작용과 관련된 수증기의 낮은 방출량은, 공기내 습도의 미약한 변화까지도 검출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 결과, 1982년 프랑스 강제입법에 따른 환기 규정이 실시되어온 이래, 2명이 거주하는 방과 정상적인 가구가 비치된 빈 방에서의 상대습도 차이는 계절에 관계없이 10 내지 15%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공기유입 기능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거주할 안방에 환기를 위한 최선의 가능한 방법으로 유입공기를 분배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제대로 산정된 총 흐름속도를 분포시키기 위해서는, 거주하는 방과 빈 방의 미소한 차이까지 감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업무실내에 필수적으로 분배해야 할 산정된 총 흐름속도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는 기계적 추출방식만을 사용할 때, 또는 상기 실내의 공기 질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을 때 더욱 필수적이다.
더구나, 실외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은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예를 들면, 파리에서는 1월에 공기 1kg당 증기량이 약 4g으로 측정되고 8월에는 공기 1kg당 약 10g이 측정된다. 이러한 실외공기를 연중 온도변동이 별로 없는 거실에 도입하면, 결과적으로 상대습도가 실질적으로 큰 폭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래서, 빈 방의 경우에 다음과 같이 산정될 수 있다.
-공기 kg당 물 4g은 20℃에서 상대습도 30%가 되고,
-공기 kg당 물 6g은 20℃에서 상대습도 40%가 되고,
-공기 kg당 물 8g은 20℃에서 상대습도 55%가 되고,
-공기 kg당 물 10g은 20℃에서 상대습도 70%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에 각각 함유된 습도를 고려하고 실내 거주자의 유무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의 개구 단면적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의 일면에 따르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 및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의 차이가 커질수록 개구부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개구부 단면적을 조정하고, 이와 별도로, 실외공기의 수증기량에 따라 개구부 단면적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해결책은 해결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 및 실외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을 모두 고려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온도 차이가 별로 없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상대습도를 각각의 온도차에 거의 무관하게 측정하는데 있다.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각각의 상대습도의 비교결과가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 20℃ 근처의 온도범위에서 1℃의 차이는 공기중에 주어진 수분의 양을 기초로 상대습도에 3%의 오차를 초래하므로 가능한 한 상기 2가지 온도차가 근소하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외기의 온도에 대하여 반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내 온도와 가능한 한 차이가 적고 그 변동폭도 훨씬 작은 온도에서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에에 따르면, 공기 유입구의 개구부 단면적은 실외 기후조건과 무관하게, 주어진 습도차에 대하여 항상 동일하다. 개구부의 단면적은 수증기량의 차이가 증가할 때에만 증대된다. 개구 단면적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러한 원칙은 동절기와 하절기에 동일한 기본 개구부를 유지시키도록 하는데, 즉 외기의 수증기량이 변화할 때 단면적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한편으로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 및 실외공기에서의 수증기량의 차이에 따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에 따라 개구부의 단면적을 종속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에 각각 포함된 수증기량 사이의 차이뿐만 아니라 실외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량을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에 포함된 각각의 수증기량의 차가 0이더라도, 개구부의 기초 단면적은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의 함수로서 변화하게 된다.
제1의 가능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증가할 때 개구부 단면적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대로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겨울보다 여름에 더 많은 한, 겨울보다 여름에 기초 개구부가 더 크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증가되면 상기 방법에 따라 개구부 단면적이 감소된다.
이 경우에는,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개구부의 유입 단면적이 감소되는 한, 기초 개구부가 겨울보다 여름에 더 작다. 이 후자의 실시예는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매우 풍부한 경우, 및 실외 습도가 증가되고 실내에 거주자가 없을 때 실내 환경을 외기로부터 단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상기 방법에 사용하게 될 장치는,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와 각각 통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챔버를 포함한다. 실내 온도에 근접한 안정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챔버는 환기가 실시되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벽에서 발산되어 나오는 열에너지가 공기로부터 방출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양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만일 전술한 설비로 불충분하다면, 새로운 공기를 실내 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예열시킬 수도 있다. 챔버들은 수증기가 침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열교환기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각 챔버들의 최종 온도균형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2개 챔버들은 상대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2개 섬유다발을 포함하고 스프링에 의해 응력이 유지되는 상태에 있으며, 공기유입구의 개구부 단면적을 조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플랩에 구동 메카니즘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카니즘은 한편으로 2개 섬유다발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적 이동에 의해 조정용 플랩(들) 또는 플랩들을 구동시킨다.
한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섬유다발들의 한쪽 단부는 정지 상태인 반면, 다른쪽 단부는 상기 섬유다발이 들어 있는 챔버의 외측상에 있는 시이소오(see-saw)형태의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의 단부에 위치한 스핀들상에 유지되고 상기 스핀들을 기준으로 피봇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공기 유입구 단면적을 조정하는 1개 이상의 플랩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직물섬유와 같은 2개 섬유다발은 습도가 높아지면 신장되고 습도가 낮아지면 단축되는 신축성을 나타낸다. 실내 및 실외 공기들의 습도차가 균형을 이룰 때, 그리고 실외와 마찬가지로 실내 습도가 변화할 때, 상기 2개 다발은 같은 양만큼 신장 또는 단축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만일 실내에 거주자가 있을 때 실내 습도가 증가하게 되면, 실내공기의 영향을 받은 섬유다발은 다른 섬유다발보다 많이 신장하여 상기 시이소오 부재의 기울기에 경사를 초래하게 됨으로써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개구부 단면적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제1실시에에 따르면, 1개 이상의 케이블의 단부, 공기 유입 개구부내에 고정되는 플랩에 부착된 다른쪽 단부는 시이소오 형태의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실내 및 실외의 습도차를 고려하는 한편, 실외 습도를 고려하여 공기가 통과되는 개구부의 단면적을 조정하고자,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2개 케이블의 한쪽 단부들은 각각 시이소오 형태의 부재 및 그 지지대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블들의 다른쪽 단부들은 1개 위치에서 서로 정확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개구부에 끼워진 2개의 플랩에 고정되어 동일한 스핀들에 분절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플랩들중의 제1의 플랩은 내부가 채워진 상태이고 다른 제2의 플랩은 1개 이상의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플랩보다 크거나 작은 범위를 모두 커버링(covering)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이 실내 및 실외에서 동일할 때, 2개 플랩은 서로에 대해 같은 힘으로 가압되고, 기초 개구부는 2개 플랩 및 도관의 내벽사이로 한정된다. 실내 공기의 수증기량이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보다 많아질 때, 내부가 채워진 플랩은 관통공이 형성된 플랩을 기준으로 기울어져서 공기가 통과하는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2플랩의 내측에 추가의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 장치의 다른 실시에에 의하면, 시이소오 형태의 부재는 2가지 상이한 가압을 혼합할 수 있도록 밸브에 작용하는 레버에 고정되어 있으며, 혼합물의 압력은 공기유입 개구부에 맞추어진 플랩에 작용하는 변형가능한 블래더(bladder) 내에 수용된다.
실내 및 실외의 압력은 상이하고 혼합기 밸브에 공급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가지 성능에 따르면, 혼합기 밸브에는 피스톤이 포함되어 있고, 피스톤의 한쪽 단부에는 시이소오 형태의 부재에 부착된 레버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상이한 압력의 2개 챔버들을 혼합 압력하의 1개 챔버에 연통시키는 1개의 횡단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의 정도는 피스톤의 축상 위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수준이다.
어느 경우에라도,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본원 발명의 장치에 관한 3가지 구체예에 따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명료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개구부는 참조호부 2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2개의 챔버(Vi, Ve)를 포함하며, 그중 1개의 챔버(Vi)는 환기시킬 실내에 도관(3)으로 연결되고,다른 1개의 챔버(Ve)는 도관(4)에 의해 실외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2개 챔버(Vi, Ve)는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2개 챔버들의 온도가 가능한 한 서로 비슷하도록 열교환기(5)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열교환기(5)는 챔버의 한쪽 단부에 밀접하게 위치된 지지대(6)를 통해 미끄러짐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열교환기가 통과하는 챔버의 다른쪽 단부 방향으로 스프링(7)에 의해 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챔버(Vi, Ve) 내측에는, 습기에 민감한 2개의 직물섬유 다발(Fi, Fe)이 설치되어 있다. 평행한 2개의 상기 다발들은 자체의 단부가 벽(6)측에 위치하도록 부착되고, 자체의 다른쪽 단부는 대응되는 챔버의 전방 벽을 통과한 후, 열교환기(5)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스핀들을 포함하는 시이소오 형태의 부재(8)에 부착되어 상기 스핀들에 대하여 피봇식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개의 다발(Fi, Fe)은 스프링(10)에 의해 응력상태를 유지한다. 2개의 케이블(12,13)의 단부들은 각각 시이소오(8)의 지지대 및 시이소오(8) 차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블의 다른 단부들은 복귀용 풀리(14)를 거쳐 각각 2개 플랩(15,16)에 부착된다. 플랩(15)은 개구부(2)의 축을 횡단하는 스핀들(17)에 대해 분절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 개구부(18)를 포함한다. 플랩(16)은 동일한 스핀들(17)에 대해 분절적이고, 플랩(15)을 기준으로 피봇식으로 작동함으로써, 상기 플랩을 동등한 힘으로 가압하거나, 각도를 형성하여 중심개구부(18)를 어느정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랩(15)은 참조번호 19로 표시된 기초 개구부를 한정하고, 플랩(16)은 플랩(15)의 개구부(18)와 함께,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차이가 있을 때 공기 통로용 추가 단면적을 한정한다.
실내 및 실외 각각의 공기량이 동일한 경우에, 다발(Fi, Fe)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습기량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실내 공기 및 실내 공기에 대하여 같은 크기를 열교환기(5)에 평행이동만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기초 개구부(19)는 습도 변화의 함수로써 변화한다. 이와 반대로, 만일 실내의 수증기량이 증가하면, 즉 실외공기의 수증기량과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Fi다발은 Fe다발보다 크게 신장되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9)에 대해 시이소오(8)의 불균형 및 회전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회전은 플랩(16)의 피봇식 작동으로 나타나게 되어 상기 플랩(15)의 개구부(18)를 어느정도 개방함으로써, 기초 개구부(19)에 비해 추가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실내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이 감소할 때, Fi다발이 수측하여 그 길이가 다시 Fe다발의 길이와 같아지게 됨으로써,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차이가 더 이상 없을 때 플랩(15)에 대하여 플랩(16)을 제공할 때까지 플랩(15)를 기준으로 플랩(16)의 상대적 피봇식 이동이 초래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전과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였다.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불균형을 이룰 때, 시이소오(8)의 피봇작용을 수행하는 섬유 다발(Fi, Fe)의 동작은 동일하다. 상기 제2의 장치의 목적은, 시이소오(8)에 접수된 정보를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시이소오는 레버(22)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의 자유 단부는 실린더(24)내측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된 피스톤(23)의 크라운(crown)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는 피스톤 크라운을 레버(22)에 대해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5)의 작용을 받게 된다. 실린더(24)의 어느 1개 벽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오리피스(26,27)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 벽에는 혼합 챔버(30)내로 들어가는 2개의 대응 오리피스(28,2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는 공기 도관(32)이 사용되는데, 그 안에는 환기시키게 될 방에 포지티브 압력을 보급시키게 될 10 내지 40Pa 수준의 압력이 제공된다. 공기 공급관의 상류는 P+ 압력이고 그 하류는 P- 압력이며, 그 압력은 환기시킬 실내의 압력이거나 도관(32) 및 환기시킬 실내 사이에 위치하는 벤츄리 효과 장치에 의해 얻어진 네거티브 압력일 수 있다. 실린더(24)의 오리피스(26) 및 (27)에는 각각 P+ 압력 및 P- 압력이 공급된다. 피스톤(23)에는 공기가 오리피스(26,27)로부터 혼합 챔버(30)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횡단 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3)내 개구부(33)의 위치에 따라 압력 P+ 및 P-은 같은 비율로 혼합되지 않게 되며, 이는 혼합 챔버(30)내 혼합 압력 Pm 값에 영향을 준다. 상기 혼합압력은 또한 오리피스(26,27)의 통로 단면적 및 실린더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혼합압력 Pm은 환기시킬 실내와 연통되는 부피(35) 내에 위치하는 가요성 블래더(34) 내로 주입된다. 블래더(34) 내에 주입된 Pm이 압력 P+일 때, 블래더는 부풀려지고 플랩(36)은 공기 공급관(32)을 폐쇄한다. 이와 반대로, 만일 압력 P-가 가요성 블래더(34)내로 주입되면, 플랩(36)은 공기공급관(32)의 상류에 제공되는 압력 P+에 의해 밀려서, 상기 플랩이 완전히 열리게 된다. 중간 혼합압력 Pm을 주입하면,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습도차에 적합한 원하는 단면적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랩(3)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2개의 다발(Fi, Fe)이 동시에 신장 또는 수축될 때, 레버(22)의 병진이동은 증폭작용 없이 피스톤(23)에 직접 전가된다. 이와 반대로, 2개의 다발(Fi, Fe)의 신장도에 차이가 있을 때에는, 시이소오(8)의 회전이동이 피스톤(23)의 병진이동을 증폭시키게 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이전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이 경우, 2개의 다발(Fi, Fe)은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와 각각 연통하는 2개의 챔버(Vi, Ve) 내에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 2개의 챔버는 비침투성이면서도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벽(5)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서 상기 2개 챔버의 온도가 가능한 한 비슷해진다. 2개의 다발(Fi, Fe)은 플랩(46)에 의해 다소 폐쇄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공기관(38)의 개구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2개의 섬유다발의 각각의 1개 단부는 고정점(39a,39b)에 부착된다. 다른 단부는 각각 스프링(40,42)의 작용을 작아서, 2개의 각각의 다발(Fi, Fe)이 부재(43,44)에 고정된다. 2개의 부재(43,44)는 상기 부재들에 공통인 축(A)을 기준으로 피봇작용을 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축은 2개의 섬유다발(Fi, Fe)에 대하여 수직이고 도관(38)의 개구부 평면에 평행하도록 되어 있다.
실외 공기와 연통되는 챔버 Ve내에 위치하는 다발 Fe의 부착용 부재(43)는 섬유 다발(Fi, Fe)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플랩(46)의 연결을 위해 스핀들 B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이 부재에 있어서, 섬유 다발 Fi에를 부착시키는 부재(44)는 레버(47)의 단부를 보유하게 되고, 다른쪽 단부는 플랩(46)의 외표면에 설치된다.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동일할 때, 2개의 다발(Fi, Fe)는 같은 길이를 가지고, 스핀들 A에 대한 플랩(26)의 피봇식 이동만이 일어날 수 있다. 2개의 섬유다발(Fi, Fe)이 신장될수록, 플랩(46)은 더 넓게 개방되어 넓은 통기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내에 거주자가 있을 때 실내 수증기량이 실외 수증기량보다 많으면, 다발(Fi)은 다발(Fe)보다 크게 신장되고, 부재(44)는 부재(43)보다 크게 피봇작용을 하며, 스핀들 B에 대해 플랩을 회전구동시켜서, 공기 통로를 위한 단면적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플랩(46)과 연관된 레버(47)의 단부와 스핀들 A 사이의 거리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47)의 단부와스핀들 B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장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실내 수증기량이 감소할 때, 레버(47)는 스핀들 B에 대하여 회전동작 방식으로 플랩을 밀쳐서 통기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플랩(46)을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48)은 공기 공급관의 개구부를 최소로 유지시키면서 압력을 보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입구가 수평위치, 예컨대 천장에 위치할 때 플랩의 중량을 보상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갖추어진 공기 유입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표이다. 상기 도표에서, 가로 좌표축은 수증기량(H)을 나타내고, 세로 좌표축은 공기 유입구의 정도(0)를 나타낸다. 상기 개구부는 최소 개구부 Om및 최대 개구부 OM사이에서 가변적이다. 실선으로 이루어진 곡선은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지시하는데, 즉 이는 실내 수증기량이 실외 수증기량과 동일할 때, 본 발명의 상기 제3실시예에 설명된 장치에서 스핀들 A에 대한 회전에 해당된다. 일점쇄선은, 실내 공기의 수증기량이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보다 많을 때, 본 발명의 상기 제3실시예에 설명된 장치에서 스핀들 B에 대한 회전에 의해 플랩이 추가로 개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현저한 진보를 제공하는 한편, 실내 공기의 수증기량 및 실외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량 사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거주의 여부를 고려하여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설계가 단순한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조금이라도 본 발명의 사상을 이에 국한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이내에서 모든 변형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특히, 실내 및 실외의 수증기량 감지수단이 섬유다발이 아닌 다른 것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길이 변화가 다른 종류의 습도계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 챔버사이의 습도측정용 열교환기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 유입구 단면적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개구부(2) 단면적의 크기 증감을 실내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의 양(Vi)과 외기에 함유된 수증기의 양(Ve)의 차이에 일부 또는 전적으로 연동시켜서, 상기 차이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외기에 포함된 수증기량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그와 무관하게 개구부(2) 단면적의 크기 증감을 수행하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상대습도를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가 근소한 차이를 가지는 온도에서, 그리고 실내 온도와 무관하게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외 공기의 수증기량이 증가할 때 개구부(2)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실외공기의 수증기량이 증가할 때 개구부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외 공기 및 실내공기와 각각 소통될 수 있고, 공기를 통해서보다 챔버 벽을 통해서 열교환이 훨씬 잘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으며, 수증기에 대해서 불침투성이고 각각의 온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열교한기에 의해서 서로 격리되어 있는 2개의 챔버(Vi, Ve)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프링(10)에 의한 응력하에 유지되고 구동장치(12,13)에 의해서 실내로의 공기유입 개구부(2)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1개 이상의 플랩(15,16)에 연결된 2개의 습기에 민감성인 섬유다발(Fi, Fe)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12,13)는 2개 섬유 다발(Fi, Fe)의 상대적 운동 및 조인트 운동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섬유다발(Fi, Fe)의 한쪽 단부는 고정되어 있고 반대쪽 단부는 섬유 다발이 들어 있는 챔버의 외측에 있는 피봇식 아암 형태의 시이소오형 부재(8)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8)는 상기 피봇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열교환기의 단부에 위치하는 축(9)상에 장착되어 1개 이상의 플랩(15,16,3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기유입 개구부(2,32)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기유입 개구부(2)에 장착된 플랩에 1개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케이블의 다른 단부가 피봇식 아암 형태의 시이소오 부재(8)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공기유입 개구부(2)에 장착된 2개의 플랩(15,16)에 2개의 케이블(12,13)의 1개씩의 단부들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1개씩의 단부들이 동일 축(17)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단부들이 서로 편평하게 놓인 1개 위치에서, 내부가 비어 있지 않은 상기 제1플랩(16) 및 상기 제1플랩(16)에 의해서 어느 정도 차단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중심 개구부(18)를 구비한 다른 플랩(15)이 각각 피봇식 아암 형태의 시이소오 부재(8) 및 이것의 지지대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피봇식 아암 형태의 시이소오 부재(8)가 2가지 상이한 기압을 혼합하기 위한 밸브(23,24)에 작용하는 레버(22)와 일체화되어 있고, 공기 유입개구부(32)에 장착된 플랩(36)에 작용하는 변형가능한 블래더(34)내에 혼합된 압력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이한 실내 및 실외의 기압을 혼합기 밸브(23,24)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혼합기 밸브에 피스톤(23)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는 피봇식 아암 형태의 시이소오 부재(8)에 부착된 레버(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23)에는 횡방향 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어서 압력(P+,P-)이 다른 2개 챔버(26,27)와 혼합 압력(Pm)의 챔버(30) 사이의 소통을 축상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각각의 섬유다발(Fi, Fe)의 한 단부가 고정점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핀들(A)을 기준으로 피봇식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시이소오 부재(43,44)에 스프링(40,42)의 작용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스핀들은 상기 2개 섬유 다발에 수직이고 공기유입 개구부 평면에 수평인 상기 2개 시이소오 부재(43,44)와 공축상에 있으며, 상기 시이소오 부재(43,44)는 공기 유입통로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플랩(46)이 힌지작용을 할 수 있는 축을 가지고 있고 실외 공기와 연통되는 챔버(Ve)와 섬유다발(Fe)을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축(B)은 상기 섬유다발(Fi, Fe)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섬유다발(Fi)이 챔버(Vi)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상기 시이소오 부재(44)는 레버(47)의 한쪽 단부를 보유하고, 그 다른쪽 단부는 플랩(46)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플랩(46)에는 복귀 스프링(48)이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공기 공급관내의 압력을 보충함으로써 개구부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공기유입구 단면적의 조절장치.
KR1019940019896A 1993-08-10 1994-08-10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유입단면적 조정방법 및 장치 KR0168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09995 1993-08-10
FR9309995A FR2708992B1 (fr) 1993-08-10 1993-08-10 Procédé et dispositif de réglage de la section d'une entrée d'air de ventilation dans un loc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379A KR950006379A (ko) 1995-03-20
KR0168141B1 true KR0168141B1 (ko) 1999-03-20

Family

ID=945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896A KR0168141B1 (ko) 1993-08-10 1994-08-10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유입단면적 조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07433A (ko)
EP (1) EP0638775B1 (ko)
KR (1) KR0168141B1 (ko)
CA (1) CA2129694C (ko)
DE (1) DE69409311T2 (ko)
ES (1) ES2116560T3 (ko)
FR (1) FR2708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8331A1 (fr) * 1994-12-15 1996-06-21 Cerga Procede et dispositif de modulation de la ventilation de locaux
WO2001022857A1 (en) 1999-09-28 2001-04-05 Henny Penny Corporation Holding cabinet with closed-loop humid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umidity in a holding cabinet
GB2359618A (en) * 2000-02-22 2001-08-29 Geoff Smith Automatic portable vent responding to temperature and/or humidity changes
FR2817327B1 (fr) * 2000-11-24 2003-01-17 Anjos Dispositif de commande du degre d'ouverture d'une entree d'air, et entree d'air en comportant application
FR2848648B1 (fr) * 2002-12-16 2005-12-30 Conseils Etudes Et Recherches En Gestion De Lair Cerga Dispositif de ventilation d'un local en fonction de l'humidite relative relevee
DE102004046210B4 (de) * 2003-09-26 2011-06-01 Ernst Hagmann Belüftungsvorrichtung und Gebäude mit einer Belüftungsvorrichtung
FR2955920B1 (fr) * 2010-02-02 2012-03-02 Anjos Ventilation Dispositif de commande du degre d'ouverture d'une bouche de ventilation et bouche de ventilation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FR2958730B1 (fr) 2010-04-12 2012-06-15 Somfy Sas Entree d'air hygroreglable communicante
EP2418434B1 (de) * 2010-08-12 2013-10-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Luftstromes
FR2966226B1 (fr) * 2010-10-13 2014-10-10 Ventilairsec Installation de ventilation mecanique par insufflation hygroregulee et procede associe
FR2966227B1 (fr) * 2010-10-13 2012-12-28 Ventilairsec Installation de ventilation mecanique par insufflation hygroregulee et procede associe
DE102014104063A1 (de) * 2014-03-25 2015-10-01 Maco Technologie Gmbh Lüftungseinrichtung
DE102017005246A1 (de) 2017-06-01 2018-12-06 Gert Bartholomäus Zuluftelement mit feuchtluftgesteuerter Regulierung der Raumluf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2098A (en) * 1932-07-25 1934-06-05 Williams Oil O Matic Heating Automatic control for air conditioning devices
US2222628A (en) * 1938-03-31 1940-11-26 Honeywell Regulator Co Effective temperature control
US3718280A (en) * 1971-03-03 1973-02-27 Robertshaw Controls Co Fluid pressure transmitter and system therefor
US3930612A (en) * 1974-08-21 1976-01-0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Humidity control system and humidity responsive control device therefor
FR2589996B2 (fr) * 1981-06-30 1989-05-05 Serva Soc Moyens pour la mise en oeuvre d'un procede de regulation de la ventilation d'un local
FR2508606A1 (fr) * 1981-06-30 1982-12-31 Serva Soc Procede de regulation de la ventilation d'un local et moyens pour sa mise en oeuvre
DE3611709A1 (de) * 1986-04-08 1987-10-15 Fraunhofer Ges Forschung Lueftungseinrichtung fuer bedarfsorientierten luftaustaus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8775A1 (fr) 1995-02-15
DE69409311T2 (de) 1998-07-23
CA2129694C (fr) 2000-02-01
CA2129694A1 (fr) 1995-02-11
FR2708992A1 (fr) 1995-02-17
FR2708992B1 (fr) 1995-11-24
DE69409311D1 (de) 1998-05-07
KR950006379A (ko) 1995-03-20
US5507433A (en) 1996-04-16
EP0638775B1 (fr) 1998-04-01
ES2116560T3 (es) 199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141B1 (ko)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의 유입단면적 조정방법 및 장치
US4396371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a gas burner
CA2223751C (en) Method and means for improved ceiling ventilation
US3817452A (en) Duct pressure actuated variable volume device
JP3152865U (ja) エアサポート構造物を効果的に加圧および通気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816577B2 (ja) ダクト各吐出口の風速均一方法及びその装置
GB1599574A (en)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A2155981A1 (en) Thermostatic regulated air flow controller
US5989119A (en) Automatic power flow fresh air inlet
CN211233146U (zh) 恒温恒湿机
US4276871A (en) Flue damper and draft regulator
CA1241589A (en) Space heater
US3625629A (en) Proportional blower
US5722886A (en) Ventilator
US4334648A (en) Airflow limiter and measurement device
US3148955A (en) Dry kiln humidifier
US2727454A (en) Air distributing units
RU23107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я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относительной влажности воздуха в этом помещении
US3876138A (en) Duct pressure actuated variable volume device
FI57479B (fi) Fraonluftsbegraensande anordning i sjaelvdragssystem
CN109268955A (zh) 一种模块式自适应预除湿型毛细管网辐射空调系统及方法
US323539A (en) Automatic damper
US4495113A (en) Rotary mixing damper method and means
US2206033A (en) Stoker air control
CN113080069B (zh) 一种分段组合式农业取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