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111B1 -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111B1
KR0168111B1 KR1019930025176A KR930025176A KR0168111B1 KR 0168111 B1 KR0168111 B1 KR 0168111B1 KR 1019930025176 A KR1019930025176 A KR 1019930025176A KR 930025176 A KR930025176 A KR 930025176A KR 0168111 B1 KR0168111 B1 KR 016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outputting
outpu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902A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111B1/ko
Publication of KR95001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4Control of electr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clu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4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in response to parameters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2Control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60Electric Machines, e.g.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운전자의 스위치 작동과 제동동작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스위치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와 ;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압을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 조절부와 ; 상기 신호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클러치를 구동시키는 클러치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는, 차속이 고속이거나, 제동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충전 발전기를 구동하여 충전 발전기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여 엔진의 회전을 억제하여 제동효과를 높이고, 차속이 저속인 경우에는 충전 발전기를 구동하지 않아 엔진의 부하량을 감소시켜 동력성능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의 제어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의 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이 발명은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하인 저속인 경우에는 충전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인 고속인 경우에는 충전동작을 수행하므로써, 저속시의 엔진의 동력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기관의 기동장치나 점화장치의 전장품을 비롯하여 램프류, 에어컨 장치 등 많은 전기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축전지와 발전기가 있다.
상기 발전기는 벨트로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와 연계되어 구동하며 그 발전량은 기관의 회전수에 따라 다르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축전지가 전원이 되어 일시 방전하여,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발전기만으로 모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축전지도 발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발전기와 함께 사용하는 전압조정기는 발전기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각 전기장치에 알맞는 전력을 공급하고 또 축전지에 규정용량으로 충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발전기와 전압조정기는 축전지를 충전하는 기능을 가졌기 때문에 충전장치라고도 부른다.
상기의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바꾸는 정류방식에 따라 직류 발전기와 교류 발전기로 분류된다. 상기의 교류 발전기는 3상 교류 발전기의 출력을 실리콘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정류하여 직류로 바꾸는 방식이며, 직류 발전기보다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저속시에도 충전 등이 가능하므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류 발전기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앞뒤에 브래킷으로 지지된 스테이터(59)의 안쪽에서 로터(56)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로터는 벨트풀리(51)를 장착한 로터축(57)을 보유토록 하여 벨트풀리(51)가 도시하지 않은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축과 연계된 벨트(60)에 의하여 기관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벨트풀리축(58)과, 로터축(57)은 단속 디스크(55)에 의하여 스프울링 결합되어, 도시하지 않은 기관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벨트풀리축(58)의 회전동력이 단속 디스크(55)를 통해 로터축(57)에 인가된다.
한편, 발전기의 스테이터 코일에서 발전된 교류전기는 브라켓에 부착된 실리콘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되어 단상직류로 바뀌어 여러 전기장치에 공급된다.
종래의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의 벨트풀리는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와 연계되어 있어 엔진이 구동되는 동안에는 충전 발전기가 항상 구동된다.
따라서, 축전지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도 충전동작이 수행되므로 축전지액이 누설되는 현상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도 충전 발전기가 구동되므로, 충전 발전기의 구동에 따른 엔지 부하량이 증가하여 연료소모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속이 고속이거나, 제동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충전 발전기를 구동하여 충전 발전기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여 엔진의 회전을 억제하여 제동효과를 높이고, 차속이 저속인 경우에는 충전 발전기를 구동하지 않아 엔진의 부하량을 감소시켜 동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운전자의 스위치 작동과 제동동작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와 ;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압을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 조절부와 ;
상기 신호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클러치를 구동시키는 클러치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의 구성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신호 입력부(10)와, 상기 신호 입력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신호 조절부(20)와, 상기 신호 조절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된 클러치 구동부(30)와, 상기 신호 조절부(20)와 클러치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신호 입력부(1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스위치(SW1)와, 운전자의 에어컨 작동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컨 스위치(SW2)와, 운전자의 전조등 작동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조등 스위치(SW3)와, 주행하는 자동차의 차속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1)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각 스위치(SW1∼SW3)의 일측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상기의 신호 조절부(20)는 상기 제동스위치(SW1)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제1신호 조절부(21)와, 상기 에어컨 스위치(SW2)와, 전조등 스위치(SW3)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제2신호 조절부(23)와, 상기 차속 감지부(1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3신호 조절부(2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신호 조절부(21)는 캐소드단자가 상기 제동스위치(SW1)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11)와, 일측단자가 전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11)의 애노드단자에 연결된 저항(R211)과, 일측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11)의 애노드단자에 연결된 저항(R213)과, 일측단자가 상기 저항(R213)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211)와, 캐소드단자가 전원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가 상기 저항(R213)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13)와, 캐소드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13)의 애노드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가 접지된 다이오드(D215)와, 일측단자가 상기 저항(R213)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저항(R2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신호 조절부(20)는 캐소드단자가 에어컨 스위치(SW2)와, 전조등 스위치(SW3)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31)와, 일측단자가 전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31)의 애노드단자에 연결된 저항(R231)과, 일측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31)의 애노드단자에 연결된 저항(R233)과, 일측단자가 상기 저항(R233)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231)와, 캐소드단자가 전원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가 상기 저항(R233)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33)와, 캐소드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33)의 애노드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다이오드(D235)와, 일측단자가 상기 저항(R233)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저항(R2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제3신호 조절부(20)는 일측단자가 상기 차속 감지부(11)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저항(R251)과, 일측단자가 상기 저항(R25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저항(R252)과, 일측단자가 전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가변저항(VR1)과, 비반전단자가 상기 저항(R25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비반전단자가 상기 가변저항(VR1)에 연결된 증폭기(A1)와, 일측단자가 상기 저항(R25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상기 증폭기(A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저항(R253)과, 일측단자가 상기 증폭기(A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저항(R254)과, 캐소드단자가 상기 저항(R254)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와, 애노드단자가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애노드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단자가 접지된 제너다이오드(ZD2)와, 일측단자가 상기 증폭기(A1)의 접지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253)와, 일측단자가 상기 증폭기(A1)의 접지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252)와, 애노드단자가 상기 증폭기의 접지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52)와, 입력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52)의 캐소드단자에 연결된 전압 발생부(251)와, 입력단자가 상기 저항(R254)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F/V(Frequency/Voltage)변환부(253)와, 일측단자가 전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가변저항(VR2)과, 반전단자가 상기 F/V 변환부(253)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비반전단자가 상기 가변저항(VR2)에 연결된 비교기(A2)와, 일측단자가 전원에 연결된 저항(R259)과, 일측단자가 상기 비교기(A2)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저항(R258)과, 일측단자가 상기 저항(R258)의 일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상기 저항(R259)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저항(R260)과, 캐소드단자가 상기 비교기(A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가 접지된 다이오드(D253)와, 일측단자가 상기 비교기(A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254)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 구동부(30)의 구성은, 제1입력단자가 상기 제1신호 조절부(20)의 저항(R215)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자가 상기 제2신호 조절부(20)의 저항(R235)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제3입력단자가 상기 제3신호 조절부(20)의 캐패시터(C254)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AND 게이트(AND1)와, 일측단자가 상기 AND 게이트(AND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저항(R311)과, 베이스단자가 상기 저항(R31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에미터단자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와, 일측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의 콜렉터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전원에 연결된 저항(R313)과, 일측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단자에 연결된 저항(R315)과, 베이스단자가 상기 저항(R315)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에미터단자가 접지되고 콜렉터단자가 전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2)와, 일측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된 저항(R317)과, 애노드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311)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시동이 걸려 자동차에 전원이 인가된 다음 상기 신호 입력부(10)의 차속 감지부(11)가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부(40)는 도시하지 않은 밧데리로부터 DC 24V의 전원을 입렵받아 12V, 5V의 정전원을 각 모듈로 출력한다.
상기의 차속 감지부(11)에서 감지된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하인 저속인 경우에는 충전 발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석 클러치(A)로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속 감지부(11)에서 감지되는 주행속도가 50 kpH 또는 60kpH 이하인 저속인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3신호 조절부(20)로 입력된다. 상기의 제3신호 조절부(20)로 입력된 제3신호는 저항(R251)을 거쳐 증폭기(A3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제3신호는 펄스형태로 입력된다.
상기 증폭기(A31)의 반전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가변저항(VR1)을 이용하여 반전단자의 전압을 반전단자의 입력전압의 중간레벨이 되도록 조정하게 되면, 상기 증폭기(A31)의 5V의 입력 오프셋 전압은 증폭기(A31)를 통하여 10V의 전압으로 증폭 출력된다.
상기에서 10V로 증폭 출력된 펄스신호는 F/V 변환부(253)에 입력되어, 입력된 펄스신호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되어 비교기(A2)에 입력된다.
비교기(A2)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258, 260)에 의하여 적정수준의 히스테리시스 영역이 설정된 비교기(A2)에 입력된 제3신호는 반전단자의 기준전압과 비교된다.
상기의 제3신호가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즉, 주행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하이 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클러치 구동부(30)의 AND 게이트(AND1)에 입력된다.
상기에서 주행속도가 저속이고, 제동스위치(SW1), 에어컨 스위치(SW2), 전조등 스위치(SW3) 등이 작동되어 온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제1신호 조절부(20)와, 제2신호 조절부(20)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의 제1신호 조절부(21)와, 제2신호 조절부(23)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 신호는 클러치 구동부(30)의 AND 게이트(AND1)로 입력된다.
상기의 신호 조절부(20)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신호가 AND 게이트(AND1)의 각 입력단자에 입력되므로써, AND 게이트(AND1)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단자로 입력된다.
상기의 하이 레벨 신호가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단자에 입력되면 트랜지스터(T1)가 도통이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트랜지스터(T1)가 도통이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단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단자에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의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단자에 로우 레벨 신호가 입력되므로써 트랜지스터(T2)는 오프되어 클러치 구동부(30)를 통해 전류가 출력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주행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클러치 구동부(30)에서 전류가 출력되지 않으므로써,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석 클러치(A)의 자석(52)이 자화되지 않아 벨트풀리축(58)은 베어링(61)을 통하여 공회전하게 된다.
상기의 벨트풀리축(58)만 회전하게 되면 로터(56)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스테이터(59)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도시하지 않은 밧데리에 전류가 충전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놓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스위치가 온이 되면, 상기 제1신호 조절부(20)로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정형된 다음 클러치 구동부(30)로 출력된다.
상기의 제1신호 조절부(20)에서 로우 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AND 게이트(AND1)의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면, AND 게이트(AND1)의 출력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의 AND 게이트(AND1)에서 로우 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T1)가 오프가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단자에 하이 레벨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의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단자에 하이 레벨 신호가 입력되므로서 트랜지스터(T2)가 도통이 되어 상기 다이오드(D311)를 통하여 전류가 출력된다.
상기에서 제동스위치(SW1)가 작동이 되어 클러치 구동부(30)에서 전류가 출력되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석 클러치(A)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석(52)이 자화된다.
상기에서 자석(52)이 자화되면 압착판(53)이 흡착되어 단속 디스크(55)가 벨트풀리축(58)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벨트풀리(51)를 회전시키는 기관의 회전동력을 로터축(57)으로 전달하므로써, 로터(56)가 회전하게 되어 스테이터(59)에 전류가 인가되어 밧데리에 전류가 충전되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의 신호 입력부(10)의 에어컨 스위치나, 전조등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클러치 구동부(30)의 AND 게이트로 로우 레벨 신호가 입력되어 전자석 클러치에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의 차속 감지부(11)에서 감지되는 주행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상기 제3신호 조절부(20)의 출력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클러치 구동부(30)에서 전자석 클러치(A)로 전류가 인가되어 밧데리가 충전되기 시작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충전 발전기를 구동시키지 않아 엔진의 부하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연료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저속시에 제동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충전 발전기를 구동하여 엔진의 회전을 억제하여 제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운전자의 스위치 작동과 제동동작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스위치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와 ;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압을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 조절부와 ; 상기 신호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클러치를 구동시키는 클러치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절부는 제동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안정화하는 제1신호 조절부와, 에어컨 스위치와 전조등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신호출력을 안정화하는 제2신호 조절부와 ; 펄스형태의 차속을 입력을 하여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된 신호를 전압으로 변화하는 신호 변환부와, 변환된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신호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러치 구동부는 상기 신호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에 따른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AND1)와,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류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신호 조절부는 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차속이 저속인 경우에는 클러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출력하지 않고, 제동이 이루어지거나, 에어컨이 작동되거나, 그리고 감지되는 차속이 고속인 경우에는 클러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전 발전기 제어장치.
KR1019930025176A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KR016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176A KR0168111B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176A KR0168111B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02A KR950015902A (ko) 1995-06-17
KR0168111B1 true KR0168111B1 (ko) 1999-04-15

Family

ID=1936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176A KR0168111B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1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822A (ko) * 1997-06-11 1999-01-25 가나이 쯔도무 충전발전기의 제어장치
KR100491359B1 (ko) * 1998-09-15 2005-11-25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제동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발전기
KR100829304B1 (ko) * 2006-08-18 2008-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 및 발전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822A (ko) * 1997-06-11 1999-01-25 가나이 쯔도무 충전발전기의 제어장치
KR100491359B1 (ko) * 1998-09-15 2005-11-25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제동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발전기
KR100829304B1 (ko) * 2006-08-18 2008-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 및 발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02A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8673B2 (ja) 車両用充電発電機の制御装置
US4839576A (en) Controller for AC generator in vehicles
EP0903832B1 (en) Gene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518183B2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発電装置
KR20200099382A (ko) 차량용 전원 안정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JPS59103932A (ja) アイドル回転補正装置
JP3627047B2 (ja) 発電機の出力電圧を制御する電圧制御器
KR0168111B1 (ko)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JP3070788B2 (ja) 車載発電機の発電制御装置
JP3622633B2 (ja) 複数台の車両用交流発電機を備えた充電システム
JPH0746773A (ja) 自動車用発電機構
JP3264070B2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KR100440140B1 (ko)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JPS6035926A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KR100215659B1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JPS639243Y2 (ko)
KR100232351B1 (ko) 차량의 발전기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80019460A (ko) 벤츄리관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발전장치
JP3192020B2 (ja) 車両用充電発電機の制御装置
KR100491359B1 (ko) 제동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발전기
KR100262888B1 (ko) 회전수 가변형 얼터네이터 시스템
KR100461130B1 (ko) 교류발전기의출력제어장치
JP2780260B2 (ja) 車両用充電装置
KR0129070Y1 (ko) 자동차용 발전장치
JP2876733B2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