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897B1 -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897B1
KR0167897B1 KR1019960004143A KR19960004143A KR0167897B1 KR 0167897 B1 KR0167897 B1 KR 0167897B1 KR 1019960004143 A KR1019960004143 A KR 1019960004143A KR 19960004143 A KR19960004143 A KR 19960004143A KR 0167897 B1 KR0167897 B1 KR 016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upplied
adapter
switch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085A (ko
Inventor
류영무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4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897B1/ko
Publication of KR97006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이 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충전베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동작전압 이상의 전압이 어뎁터로부터 공급되어져야 한다. 통상적으로 충전베터리에 충전되는 전압은 4.3V에서 5.5V이므로 충전베터리로 공급되는 전압은 9V 또는 어뎁터의 2차측 전압은 약 12V가 인가된다. 충전베터리를 사용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베터리가 파손되거나, 상기 충전베터리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응답기 회로를 구성하는 CPU, 메모리등의 정격전압인 5.5볼트(V) 이상의 과전압이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므로 인하여 제품 전체를 파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베터리를 구비한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상기 어뎁터로부터 전압의 공급 여부에 따른 스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와, 상기 충전베터리를 상기 스위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응답전화기 회로로 연결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과전압으로부터 회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
충전베터리를 가지는 전자제품.

Description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기에서 전원부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12 : 전압안정화회로 114 : 충전베터리
116 : 스위치제어부 118 : 전압유무검출부
120 : 저전압검출부 122 :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응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부에서 메모리 보존용 베터리의 파손에 따른 충전용 과전압이 자동응답기회로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응답기라 함은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에 외부로부터 통화요구가 있을 경우에 안내메세지를 제공하며, 상기 안내메세지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음성메세지를 저장하여 외출에서 돌아온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자동응답기는 통상적으로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하여 D램을 메모리로 사용한다. 상기 D램은 정전등과 같은 순간 장애로 인하여 공급전압이 차단되면 저장된 데이타가 지워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항상 유지전압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동응답기는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고 있는 D램에 일정한 젼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한 전압을 충전하고 있는 충전베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베터리전원 사용 IC의 정격전압의 통상적인 사양은 하기 표와 같다.
그리고 상기 충전베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동작전압 이상의 전압이 어뎁터로부터 공급되어져야 한다. 통상적으로 충전베터리에 충전되는 전압은 4.3V에서 5.5V이므로 충전베터리로 공급되는 전압은 9V 또는 어뎁터의 2차측 전압은 약 12V가 인가된다.
상기한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베터리를 사용하여 유지전압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베터리가 파손되거나, 상기 충전베터리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응답기 회로를 구성하는 CPU, 메모리등의 정격전압인 5.5볼트(V) 이상의 동작전압이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므로 인하여 제품 전체를 파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용베터리의 파손으로 인한 과전압이 자동응답전화기 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용베터리의 미장착으로 인한 과전압이 자동응답전화기 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뎁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의 제어를 받아 충전베터리를 자동응답전화기 회로와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블럭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전압안정화회로(110,112)은 어뎁터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에 포함된 리플성분을 차단하여 안정된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충전베터리(114)는 상기 전압안정화회로(112)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면 자동응답전화기 회로로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스위치제어부(116)는 상기 어뎁터의 2차측에 접속되어 동작전압에 해당하는 직류전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스위치 제어신호(SC1)를 출력한다. 전압유무검출부(118)는 상기 어뎁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직류 공급의 유무에 따른 검출신호(DS1)를 CPU(130)에 제공한다. 저전압검출부(120)는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가 차단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배터리(114)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자동응답전화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는 크기의 저전압이 출력되는 가를 감지하여 스위치 제어신호(SC2)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저전압 검출부(120)은 D054 칩을 사용한다. 스위치(122)는 상기 스위치 제어부(116)와 저전압검출부(120)의 제어신호(SC1,SC2)에 따라 상기 충전베터리(114)가 자동응답전화기의 동작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절체된다. DSP칩(124)은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탈 신호를 디지탈신호처리하여 2진화 데이타로 변환한 후 D램(126)에 저장한다.
EEPROM(128)은 자동응답전화기가 수행하는 기능의 프로그램 및 동작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타를 저장한다. CPU(130)는 자동응답전화기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모뎀(132)은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의 상세한 회로는 제2도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제1도와 같은 구성의 참조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제1도의 블럭에 해당하는 회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충전베터리(210)는 전압안정화회로(214)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안정화회로(112)의 입력단(A)의 전압은 저항(R7)을 통해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랙터에 공급되며, 또한 상기 입력단의 전압은 저항(R5,R6)에 의해 분압되어 상기 저항(R6)에 분압되는 전압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된다. 스위치제어부(116)는 상기 저항(R5,R6,R7)과 제2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스위치(122)는 제1, 제2트랜지스터(Q1,Q2)와 저항(R2,R3)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제어부(116)의 출력단인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랙터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신호(SC1)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pnp형으로서 에미터로는 상기 충전베터리(114)로부터 동작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에미터와 베이스는 저항(R2)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저항(R3)을 통해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온, 오프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그리고 저전압검출부(120)는 상기 스위치(122)의 출력단에 해당하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공급받아 저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저전압검출부(120)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저항(R8)과 다이오드(D3)를 통해 연결된다.
전압유무검출부(118)는 제4, 제5트랜지스터(Q4,Q5)와 저항(R9,R10,R11,R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안정화회로(112)의 입력단(A)의 전압은 저항(R11)을 통해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공급되며, 또한 상기 입력단(A)의 전압은 저항(R9,R10)에 의해 분압되어 상기 저항(R10)에 분압되는 전압은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5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로는 저항(R12)를 통해 CPU(130)로 공급되는 전압(Vcpu)이 공급되며, 베이스에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온, 오프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상기 제5트랜지스터(Q5)의 온, 오프에 따라 상기 CPU(130)로 전압유무검출신호(DS1)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 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어뎁터로부터 직류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 충전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전압안정화회로(112)로부터 출력되는 9V의 전압은 충전베터리(114)에 충전전압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안정화회로(112)의 입력단 즉, 어뎁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스위치제어부(116)로 공급된다. 상기 스위치제어부(116)는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스위치(122)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베터리(114)와 자동응답전화기 회로를 분리하여 상기 충전베터리(114)로부터 동작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스위치(122)가 제어되는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저항(R5,R6)에 분압되며, 상기 저항(R6)에 분압되는 전압이 제2트랜지스터(Q2)를 바이어스 시킨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가 턴온됨으로 인해 제3트랜지스터(Q3)는 바이어스되지 않아 제1트랜지스터(Q1)을 턴오프 시킨다. 따라서 어뎁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베터리(114)를 자동응답전화기 회로와 차단함으로서, 상기 충전베터리(114) 파손 또는 충전베터리(114) 미장착으로 인한 과전압이 회로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어뎁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자동응답전화기의 동작전압은 전압안정화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6V의 전압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어뎁터로부터 직류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동작을 설명하면, 어뎁터로부터 전압의 공급이 차단됨으로 인하여 스위치제어부(116)는 스위치(122)를 제어하여 충전베터리(114)를 자동응답전화기 회로로 연결되어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스위치(122)가 제어되는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없어 저항(R6)에 분압되는 전압 또는 바이어스 전압 이하가 되어 제2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됨으로 인해 제3트랜지스터(Q3)는 바이어스되어 제1트랜지스터(Q1)을 턴온시킨다. 따라서 어뎁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베터리(114)를 자동응답전화기 회로에 연결함으로서, 상기 충전베터리(114)로부터 자동응답전화기의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뎁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별도의 루프를 통하여 동작전압을 공급하며, 어뎁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충전베터리를 자동응답전화기 회로와 완전히 분리하므로 충전베터리의 파손 또는 미장착으로 인한 과전압이 회로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동작으로 인한 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베터리를 구비한 자동응답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로부터 전압의 공급 여부에 따른 스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와, 상기 충전베터리를 상기 스위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응답전화기 회로로 연결하는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부는, 상기 어뎁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한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어뎁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온시키기 위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3.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베터리를 구비한 자동응답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분압하여 분압되는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되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어스되어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뎁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분압하는 두개의 저항과, 상기 저항에 분압된 전압이 바이어스 전압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콜랙터를 통해 출력하는 제1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제1트랜지스터의 콜랙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바이어스 전압으로 입력받아 스위칭 동작하는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충전베터리에 에미터가 자동응답전화기 회로에 콜랙터가 접속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콜랙터에 베이스가 연결되어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충전베터리와 자동응답전화기 회로를 연결하는 제3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트랜지스터 pnp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KR1019960004143A 1996-02-22 1996-02-22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KR016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143A KR0167897B1 (ko) 1996-02-22 1996-02-22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143A KR0167897B1 (ko) 1996-02-22 1996-02-22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85A KR970064085A (ko) 1997-09-12
KR0167897B1 true KR0167897B1 (ko) 1999-02-01

Family

ID=1945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143A KR0167897B1 (ko) 1996-02-22 1996-02-22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8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85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033B1 (ko) 배터리에 의해서 동작되는 시스템의 2차 배터리 충전 및 어댑터/배터리 선택 회로들
US5498913A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with a manually operable control switch
US5811895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use with a battery and an AC power adaptor
EP0319020B1 (en) Over-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20030139156A1 (en) Power switching unit of a 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battery supply voltage thereof
US4647787A (en) Backup battery power supply for microprocessor based telephones
US4704542A (en) Standby power supply
US8373392B2 (en) Battery system and protection apparatus thereof
CA2126405C (en) Power regulation for redundant battery supplies
EP0580180B1 (en) Charging circuit capable of supplying DC voltage directly to power supply circuit when battery is removed
US6204573B1 (en) Method and circuit for maintaining charge in a backup battery
KR0167897B1 (ko) 자동응답기에서 과전압 보호회로
US5530296A (en) Power supply switching apparatus
KR20080087010A (ko) 전하 축적 장치를 포함하는 백-업 회로
JPH088745B2 (ja) バッテリー充放電回路
JPH07245887A (ja) バックアップバッテリー回路
KR0167895B1 (ko)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공급전원 제어회로
KR920008151B1 (ko) 무선전화기의 전원 변환회로
KR0126190Y1 (ko) 휴대폰에서 전원제어장치
KR940005522B1 (ko) 리세트 회로
KR0175452B1 (ko) 배터리의 회복특성에 따라 발생되는 과방전을 개선한 과방전 차단회로
KR910007917Y1 (ko) 스태틱램의 보조 전원회로
KR0146324B1 (ko) 간이형 무정전 전원장치의 정전 절체회로
KR200157748Y1 (ko) 정전 보상회로
KR950002023B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 응용회로에서의 cmos 메모리 백업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