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477B1 -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 Google Patents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477B1
KR0166477B1 KR1019920027206A KR920027206A KR0166477B1 KR 0166477 B1 KR0166477 B1 KR 0166477B1 KR 1019920027206 A KR1019920027206 A KR 1019920027206A KR 920027206 A KR920027206 A KR 920027206A KR 0166477 B1 KR0166477 B1 KR 016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nylon
polymer
melt spinn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933A (ko
Inventor
이순구
조은래
Original Assignee
구창남
동양나이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창남, 동양나이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창남
Priority to KR101992002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477B1/ko
Publication of KR94001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이론 66계 중합물을 방사용 팩에 통과시켜 용융방사함에 있어서, 팩 하우징(1)내에 중앙돌출부(9)를 갖는 블레이커 플레이트(4)를 장치하며 폴리머가 팩의 중앙부를 거치지 않고 외곽에 위치한 여과층(3)을 통하여 노즐(7)로 흐르도록한 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이 제공되는 것이며 수축율이 낮고 내피로성이 우수하고 높은 강력의 산업용사를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제1도는 종래 나이론 66계 섬유 용융방사용 팩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나이론 66계 섬유 용융방사용 팩구조도.
제3도는 제2도의 노즐 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팩하우징 2 : 팩윗덮개
3 : 여과층 4 : 블레이커 플레이트
5 : 폴리대통로 6 : 폴리머풀
7 : 노즐 8 : 캐필러리
9 : 중앙돌출부
본 발명은 폴리헥사메칠렌 아디프아미드의 구조단위가 95몰% 이상인 폴리머-이하 나이론 66계 폴리머로 표시-를 용융방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나이론 66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함에 있어서 팩의 내부를 변경 팩부피를 줄이고 팩내부의 폴리머흐름을 개선하여 겔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노즐의 캐필러리 배열을 개선하여 냉각의 불균일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이론 66계 섬유는 물성이 우수하여 의료용 및 산업용으로 널리사용되고 있고 그 제조방법도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폴리머내의 겔발생과 냉각효과의 불균일이 해결해야할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었다.
특히, 방사후 밀폐냉각에 의해 냉각하는 경우, 겔발생과 냉각불균일로 인해 연신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어 충분한 강력을 얻을수 없었으므로 특히 고 강력사의 제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른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의 관찰결과에 따르면,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시 특히, 밀폐 냉각에 의한 방사시에는 적정냉각을 위해서 방사홀간의 거리를 확보해야하므로 대형의 팩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대형 팩(제1도참조)의 구조를 살펴보면 폴리머가 팩덮개(2')에서 팩의 중앙부로 공급된후, 플레이트(4') 내부면적 전체에 걸쳐있는 여과층(3')을 거쳐 흐르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통로(5'), 풀(6') 및 노즐(7')을 통한 일련의 팩내 폴리머 체류시간이 길어지고 따라서 겔의 발생이 많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2도와 같이 신규한 방사용 팩을 제안함과 함께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팩하우징(1)내에 중앙돌출부(9)를 갖는 블레이커 플레이트(4)를 장치하여 폴리머가 팩의 중앙부를 거치지 않고 외곽에 위치한 여과층(3)을 통하여 노즐(7)로 흐르도록 한 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중요하게 고안된 방사용 팩은 팩 하우징(1) 내에 특이 구조의 블레이커플레이트(4)가 설치된 것으로, 이의 중앙에는 중앙돌출부(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팩으로 공급된 폴리머는 팩윗덮개(2)의 통로를 통해 블레이커 플레이트(4)의 중앙돌출부(9)에 의해 팩중앙부가 아닌 주위로 흐르게 되고 여과층(3)과 폴리머통로(5) 및 폴리머풀(6)을 거쳐 노즐(7)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플레이트(4)의 중앙부분이 종래의 것보다 돌출됨에 따른 면적감소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팩보다 폴리머가 공급된 후 노즐에 이르는 실질 거리가 짧아지는 셈이고 팩내 폴리머체류시간이 결국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 팩내 폴리머의 체류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분 30초 이내로 하는 것이 좋으며, 2분 30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이 형성될 우려가 높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팩윗덮개(2)와 블레이커 플레이트(4)의 중앙돌출부(9)와의 간격(ℓ)은 1~4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mm 미만인 경우에는 압력의 상승으로 정상적인 방사가 불가능하게 되고, 4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머 흐름속도가 떨어지고 정체영역이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노즐(7)의 두께는 10~2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압력으로 노즐이 휘는등, 노즐의 보수유지가 어렵고 2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머가 노즐상부공간에서 정체되어 겔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즐(7)위에서 캐필러리(8)의 열간 간격(d1)을 5~12mm로, 열내의 캐필러리간 간격(d2)은 7~15mm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들 각각이 5mm 나 7mm 미만이면 냉각공기와 만나기전에 필라멘트와 필라멘트간에 스티킹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고, 상기 범위 이상은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없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노즐(7)위에서 캐필러리(8)를 3열로 배열하는 것이 가장 좋았는데, 이는 4열이면 내층열과 외층열 폴리머간에 온도차가 발생하여 불균일의 원인이 되고, 2열이면 캐필러리간 간격을 7mm 이상으로 유지하기가 곤란하고, 이를 위해서는 팩의 부피가 커지고 폴리머간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나이론 66계 섬유는 수축율이 낮고 내피로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강력을 얻을수 있으므로 특히 산업용사에 널리 사용될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실시예 1-2, 비교예 1-2]
황산 상대점도가 2.9인 나이론 66 폴리머를 실시예 및 비교예 별로 표1의 조건의 팩을 사용하여 방사속도 2500m/min으로 방사하여 원사를 얻었다. 얻어진 물성을 표2에 나타내었다. 이때, 수축율은 시험건조기에서 무하중상태, 150℃, 30분간 처리한후 측정하였고 강도 및 신도는 시료장 25cm, TPM 80, 인장속도 30cm/min으로하여 측정하였다.

Claims (4)

  1. 나이론 66계 중합물을 방사용 팩에 통과사켜 용융방사함에 있어서, 팩하우징(1)내에 중앙돌출부(9)를 갖는 블레이커 플레이트(4)를 장치하여 폴리머가 팩의 중앙부를 거치지 않고 외곽에 위치한 여과층(3)을 통하여 노즐(7)로 흐르도록한 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을 구성하는 팩윗덮개(2)와 블레이커플레이트(4)의 중앙돌출부(9)와의 간격(ℓ)을 1~4mm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7)의 두께는 10~20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7)은 캐필러리의 열간 간격(d1)이 5~12 mm, 열내의 캐필러리간 간격(d2)이 7~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KR1019920027206A 1992-12-31 1992-12-31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KR016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06A KR0166477B1 (ko) 1992-12-31 1992-12-31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06A KR0166477B1 (ko) 1992-12-31 1992-12-31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33A KR940014933A (ko) 1994-07-19
KR0166477B1 true KR0166477B1 (ko) 1999-01-15

Family

ID=1934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206A KR0166477B1 (ko) 1992-12-31 1992-12-31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298B1 (ko) * 1994-12-07 1999-12-01 구광시 방사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298B1 (ko) * 1994-12-07 1999-12-01 구광시 방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33A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0463B1 (en) Method for the solvent spinning of cellulose filaments
EP1863958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phenylene sulfide filament yarns
GB123533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lt spinning assemblies
KR0166477B1 (ko) 나이론 66계 섬유의 용융방사방법
US363271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elt-spinning of polyamide
JPH0390615A (ja) 高分子量ポリエステルの溶融紡糸方法
US4850836A (en) Melt spinning apparatus
PT97627A (pt) Processo para fiacao de um polimero sintetico organico fiavel por fusao
EP0904431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filaments from an optically anisotropic spinning solution
KR101047046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JPS6366924B2 (ko)
JP7225761B2 (ja) 金属濾過フィルター
KR930004668Y1 (ko) 합성섬유의 냉각장치
CN220413613U (zh) 一种多组份风冷单丝生产系统
KR100223978B1 (ko) 염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중공사의 제조방법
JP2510672B2 (ja) 溶融紡糸装置および該装置による溶融紡糸方法
KR100301723B1 (ko) 고강력나일론산업용원사의제조방법
KR0166478B1 (ko) 고강력 폴리에스터 산업용 원사의 제조방법
KR100561822B1 (ko) 균제도와 방사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극세 필라멘트연신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0164448B1 (ko) 폴리우레탄 모노탄성사의 제조방법
KR100501470B1 (ko)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270438B1 (ko) 아웃-인 형 원통형냉각방식에 의한 자발권축섬유의 제조방법
KR100649057B1 (ko) 태섬도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연신사 제조용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섬도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연신사의 제조방법
JPS55116817A (en) Production of polyester fiber with low polymerization degree
KR20070100481A (ko) 라이오셀 섬유용 방사 구금,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섬유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