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115B1 -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115B1
KR0166115B1 KR1019940039571A KR19940039571A KR0166115B1 KR 0166115 B1 KR0166115 B1 KR 0166115B1 KR 1019940039571 A KR1019940039571 A KR 1019940039571A KR 19940039571 A KR19940039571 A KR 19940039571A KR 0166115 B1 KR0166115 B1 KR 0166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cabinet
doors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588A (ko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115B1/ko
Publication of KR96002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38R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등의 장식장 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식장 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식장(1) 전방부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레일(20)에 각각 형성된 안내홈(21)에 다른 홈부분과는 굴곡된 홈굴곡부(23)가 형성되어 있어 문(10,11)이 닫혀지면 문(10,11)이 전면판넬(2)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긴밀히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서, 문의 개폐동작이 우아하고 품위있게 이루어지며, 문이 닫혔을 때 장식장 전면판넬과 문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깨끗하고 품위있게 텔레비젼, 오디오, 비디오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장식장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장 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장식장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도의 A-A선에 해당하는 단면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문 개폐장치 중 제2랙과 제2피니언을 분리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문이 완전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장식장 문이 개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식장 2 : 전면판넬
10 : 좌측문 11 : 우측문
12 : 전면홈 13 : 지지부재
14 : 가이드 15 : 가이드 하측
16 : 가이드 상측 17 : 스크류
20 : 가이드레일 21, 21a : 안내홈
22 : 홈수평부 23, 23a : 홈절곡부
30 : 이동부재 31 : 접촉분리부
32, 32a : 장공 33 : 안내봉
34 : 제1랙 35 : 제1피니언
36 : 제2피니언 37 : 제2랙
38 : 랙장공 40 : 와이어
41 : 모터 42 : 모터축
43 : 안내롤
본 발명은 오디오 등의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식장의 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장은 오디오, 텔레비젼, 비디오, 디스크, 테이프, 책 등을 보관하고, 이 보관품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본적 기능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효과도 연출해주는 몫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식장은 보관품을 넣고, 이 보관품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해주기 위하여 문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문은 자동, 수동, 미닫이, 여닫이 등 여러 가지 형체가 있으며, 문의 형태 또는 개폐동작에 따라 장식장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문 보다 자동문이 가치가 있을 것이며, 같은 자동문이라 할 지라도 단순한 개폐동작을 하는 문 보다 변화있는 개폐동작을 하는 문이 가치가 더 있을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장식장에서 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장식장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장(1)의 전면(2)에는 가이드레일(3)이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3) 사이에 문(4)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문(4)은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장식장(1)의 문(4) 개폐장치는 단순히 가이드레일(3)을 따라 수평이동에 의하여 문(4)이 개폐되기 때문에, 문(4)이 원활히 개폐되기 위해서는 문(4)이 장식장(1)의 전면(2) 보다 앞으로 돌출설치되어야 함은 물론 양자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틈새가 있어야 된다. 따라서 장식장(1)의 전면(2)부 미관이 훼손될 뿐만아니라 틈새로 먼지 등이 장식장(1)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 장식장 문의 가치를 고려하여 문이 개폐될 때 문의 이동 궤도에 변화를 줌으로써 우아하고 품위있게 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한편, 문을 닫았을 때는 장식장 전면과 문 사이에 단차나 틈새가 없이 완전히 밀폐되어 아름다운 미관은 물론 먼지가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해 주며, 또한 스위치에 의해 자동으로 문이 개폐되도록 해 주는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식장 전방부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형성된 안내홈: 상기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문: 및 상기 문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장식장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을 가이드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안내홈은 그 안쪽에 굴곡된 홈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문이 닫혔을 때 문이 상기 장식장 전방부와 긴밀히 접촉되는 동시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가이드를 안내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고 문 개폐방향에 대해 경사지면서 길게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이동부재를 문의 개폐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문의 개폐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안내홈의 홈절곡부는 안내홈의 다른 부분과는 직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가이드를 안내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고 문 개폐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길게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이동부재를 문의 개폐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문의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안내홈의 홈절곡부는 안내홈의 다른 부분과는 경사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문의 개폐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제1랙과, 이 제1랙에 설치된 제1피니언과, 이 제1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피니언에 고정된 제2피니언과, 이 제2피니언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장공이 형성된 제2랙과, 상기 2개의 장공 중 하나의 장공에는 상측에 다른 하나의 장공에는 하측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제2랙을 문의 개폐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왕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왕복수단은 상기 제2랙이 문의 개폐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하 제2랙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안내롤과, 상기 문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제2랙을 연결하며 상기 안내롤을 걸쳐서 연결된 와이어와, 이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모터축과, 이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문 개폐장치는, 문이 개폐될 때 문의 이동궤도가 문의 개폐방향에 대해 수직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먼저 이동하여 장식장 전면부와 어느 정도 일단이 이격된 후 문의 개폐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우아하고 품위 있게 개폐되며, 문이 닫혔을 때 장식장 전면과 문 사이에 틈새가 없기 때문에 장식장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따른 장식장 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장식장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장(1)의 전면판넬(2)에는 좌측문(10) 및 우측문(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판넬(2)의 상측 및 하측에는 문(10, 11)이 개폐될 때 문(10, 11)이 이동될 수 있도록 전면홈(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문(10, 11)과 전면판넬(2)은 긴밀히 접촉되면서 단차가 없이 설치되어 미관이 아름답게 되어 있음은 물론 이물질이 장식장(1)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문(10, 11)은 단순한 수평동작에 의해서는 문(10, 11)을 열어줄 수가 없고, 먼저, 문(10, 11)이 앞쪽으로 돌출되는 운동과정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돌출상태에서 양옆으로 수평이동되어 문(10, 11)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과정을 수행해 줄 수 있는 문(10, 11)의 개폐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상기 좌측문(10) 및 우측문(1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3조는 제2도의 A-A선 단면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문(10) 및 우측문(11)은 닫힌 상태이며, 문(10, 11)과 전면판넬(2)은 긴밀히 접촉되면서 단차가 없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문(10, 11)에 고정된 지지부재(13)에는 가이드(14)가 지지부재(13)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부재(13)의 하측에는 안내홈(21)이 형성된 가이드레일(20)이 스크류(17)에 의해 전면판넬(2)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부재(13)의 상측에는 접촉분리부(31)가 일체로 결합된 이동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내홈(21)은 문(10, 11)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분인 홈수평부(22)와, 이 홈수평부(22)와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문(10, 11)의 개폐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인 홈절곡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3)에 고정된 가이드(14)의 하측(15)은 가이드레일(20)에 마련된 안내홈(21)이 삽입되어 있으며, 가이드(14)의 상측(16)은 이동부재(30)의 접촉분리부(31)에 형성된 폐쇄장공(32)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접촉분리부(31)의 폐쇄장공(32)은 가이드(14)가 안내홈(21)의 홈수평부(22) 및 홈절곡부(23)를 따라 직각으로 변화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즉, 이동부재(30)가 수평방향 운동을 하게 되면, 폐쇄장공(32)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14)도 이를 따라 이동하게 되겠지만, 이 이동방향은 가이드(14)의 하측이 설치된 홈절곡부(23)의 홈 형성방향과는 직각방향으로되어 있어 이동부재(30)의 이동방향으로는 바로 움직일 수는 없다. 따라서 이동부재(30)가 운동하여도 초기 얼마동안은 가이드(14)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결과로 되어 홈절곡부(2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14)가 폐쇄장공(32) 끝까지 이동되면 더 움직일 수가 없는데, 이 지점에 오면 가이드(14)하측은 홈절곡부(23)를 벗어나도록 조정되어 있으므로 이때부터 가이드(14)는 홈수평부(22)를 따라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14)의 이동과정은, 먼저 문(10, 11)이 개폐방향과 수직으로 이동되어 전면판넬(2)과 분리되도록 한 후, 그 다음 양옆으로 문(10, 11)이 열리도록 해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분리부(31)가 마련된 이동부재(30)는 가이드레일(20)에 고정된 안내봉(33)을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안내봉(33)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동부재(30)의 아래면에는 제1랙(34, rack)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의 제1랙(34)에는 제1피니언(35, pinion)이 맞물리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1피니언(35)은 가이드레일(20)에 지지되면서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30)는 제1피니언(35)이 회전함에 따라 안내봉(33)을 따라 수평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은 제1피니언(35)에 연결된 제2피니언(36)과, 이 제2피니언(36)을 회전시키는 제2랙(37)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문(10) 및 우측문(1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문(10, 11)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니언(35)은 총 4개이고, 이에 연결된 제2피니언(36)도 4개이다.
상기 제2랙(37)은 문(10, 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하나씩 총 2개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제2랙(37)의 각각에는 2개의 랙장공(38)이 좌우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랙장공(38)에는 제2피니언(36)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랙(37)에 형성된 2개의 랙장공(38) 중 한쪽에는 랙기어(39)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의 랙장공(38)에는 랙기어(39)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2랙(37)의 랙장공(38)에 삽입되어 제2랙(37)의 수평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2피니언(36)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부와 하부의 제2피니언(36)도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어야 하므로, 상하부의 랙장공(38)에 형성된 랙기어(39)의 형성위치는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2랙(37)은 안내롤(43)에 지지되어 있는 와이어(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와이어(40)는 모터(41)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42)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식장(1)의 문(10, 11)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제3도에서 좌측문(10)과 우측문(11)은 닫힌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문(10, 11)은 장식장(1) 전면판넬(2)과 단차가 없이 나란히 설치되어 긴밀히 접촉되어 있다. 조작자가 문(10, 11)을 열기 위하여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모터(41)가 회전하여 제2랙(37)을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랙(37)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피니언(36)이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제2피니언(36)과 연결된 제1피니언(35) 역시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피니언(35)에 의하여 이동부재(30)는 안내봉을 따라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부재(30)가 안내봉(33)을 따라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14)의 하측이 나홈과 수직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동부재(30)는 접촉분리부(31)의 장공(32)에 삽입된 가이드(14)의 상측(16)을 장공(32)이 형성된 방향으로 일단 이동시켜 주고, 이에 따라 가이드(14)의 하측(15)은 가이드레일(20)에 형성된 안내홈(21)의 홈절곡부(23)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문(10, 11)은 화살표(d)방향으로 먼저 움직인다. 이때 문(10, 11)은 장식장(1) 전면판넬(2)에서 분리 돌출되며, 이는 상기 장공(32)에 삽입된 가이드(14)의 상측(16)이 장공(32)을 따라 화살표(d)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이동부재(30)가 가이드(14)의 상측(16)을 화살표(c)방향을 밀어주기 때문에 가이드(14)의 하측(15)은 안내홈(21)의 홈수평부(22)를 따라 이동하므로 문(10, 11)은 화살표(e)방향으로 움직여 완전 개방되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1) 문(10, 11)이 완전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10, 11)은 개방되어 장식장(1) 전면판넬(2)과 일정한 간격(B)만큼 이격되어 있는데, 이 간격이 상기 안내홈(21)의 홈절곡부(23)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한 거리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열려진 문(10, 11)을 조작자가 닫기 위하여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모터(41)가 회전하여 제2랙(37)은 화살표(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피니언(36)이 화살표(b)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제2피니언(36)과 연결된 제1피니언(35) 역시 화살표(b)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피니언(35)에 의하여 이동부재(30)는 안내봉(33)을 따라 화살표(c)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30)가 안내봉(33)을 따라 화살표(c)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재(30)는 접촉분리부(31)의 장공(32)에 삽입된 가이드(14)의 상측(16)을 역시 화살표(c)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고, 이에 따라 가이드(14)의 하측(15)은 가이드레일(20)에 형성된 안내홈(21)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문(10, 11)은 안내홈(21)의 홈수평부(22)를 따라 화살표(e)의 반대방향으로 먼저 이동하게 된다. 이때는 문(10, 11)은 장식장(1) 전면판넬(2)과 일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계속해서 이동부재(30)가 가이드(14)의 상측(16)을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가이드(14)의 하측(15)은 안내홈(21)의 홈절곡부(23)를 따라 이동하므로 문(10, 11)은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전면판넬(2)로 삽입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때 장공(32)에 삽입된 가이드(14)의 상측(16)은 장공(32)을 따라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문(10, 11)이 장식장(1) 전면판넬(2)과 안쪽으로 삽입되어 긴밀히 접촉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도의 A-A선에 해당하는 단면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장공(32a)과 안내홈(21a)만이 상이하고, 다른 구조는 동일하다. 즉, 제4도에서는 장공(32a)이 접촉분리부(31)의 선단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면서(개방되지 않고 폐쇄되어도 상관 없음) 경사지지 않고 접촉분리부(31)와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안내홈(21a)은 홈수평부(22)와 홈절곡부(23a)로 구성되어 있되, 홈수평부(22)는 제3도에서와 동일하지만, 홈절곡부(23a)는 제3도에서와는 달리 홈수평부(22)와 수직으로 절곡된 것이 아니라 약간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작동과정도 제3도에서와는 약간의 차이만 있을뿐 거의 대동소이하므로,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동부재(30)가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촉분리부(31)에 형성된 장공(32a)의 형성방향과 화살표(c) 방향은 직각관계에 있으므로, 오히려 여기에서는 가이드(14)의 상측(16)이 장공(32a)을 따라 먼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14)의 하측(15)이 홈절곡부(23a)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 관계에 있어 이 홈절곡부(23a)를 따라, 즉 화살표(f)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 화살표(f)방향은 수직성분과 수평성분, 즉 화살표(d)방향과 화살표(e)방향 성분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가이드(14)의 화살표(f)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와 연결되어 개폐되게 되는 문(10, 11)은 서서히 장식장(1) 앞쪽으로 돌출 분리됨과 동시에 또한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점이 문(10, 11)의 개폐동작과 정상 수직으로 일단 돌출된 후 수평이동하는 제3도와는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다. 문(10, 11)이 닫히게 되는 과정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 자명해질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2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문(10, 11)을 개폐하기 위하여 가이드(14)의 상측(16)에 이동부재(30)와 이동수단을 설치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이드(14)가 가이드레일(20)의 안내홈(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제7도는 장식장(1) 문(10,11)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좌우대칭으로 이루어진 좌측문(10)과 우측문(11)의 후방에 이동부재(3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30)가 제1피니언(35)에 결합되어 제1피니언(35)의 회전에 따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함으로써 상기 문(10,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문(10,11)이 개방되는 폭은 이동부재(30)의 길이와 양측의 전면판넬(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바, 상기 전면판넬(2)은 대략 한쪽 문(10,11)의 반정도 길이면 적당하고, 상기 이동부재(30)의 길이는 대략 상기 전면판넬(2) 보다 조금 크거나 같은 정도이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10,11)과 연결된 이동부재(30)의 수평이동거리에 따라 문(10,11)의 개방폭이 정해지며, 상기 전면판넬(2)에 접촉되는 위치에 이동부재(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 문 개폐장치는, 문이 개폐될 때 문의 이동궤도가 단순히 한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경사이동 또는 돌출이동 등 변화있는 동작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우아하고 품위있게 문이 개폐되며, 문이 닫혔을 때 장식장 전면과 문은 서로 단차가 없이 설치되기 때문에 아름다운 외관을 갖게 되며, 또한 장식장 전면과 문 사이에 틈새가 없기 때문에 장식장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텔레비전, 오디오, 비디오 등을 깨끗하면서도 품위있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장식장(1) 전방부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레일(20)과, 이 한쌍의 가이드레일(20)에 각각 형성된 안내홈(21),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되는 문(10,11), 이 문(10,11)에 고정되면서 상기 안내홈(21)에 삽입되어 안내홈(21)을 따라 전후진 및 좌우이동하는 하도록 된 가이드(14)로 이루어진 장식장 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1)에 삽입된 가이드(14)가 전후방향 혹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홈절곡부(23)와 홈수평부(22)가 안내홈(21)의 소정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4)를 상기 안내홈(2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공(32)이 형성된 이동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3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이드(14)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13)가 가이드(14)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이동에 따라 상기 문(10,1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문(10,11)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재(30)의 후방에 구비된 이동수단에 의해 돌출된 문(10,11)이 이동부재(30)의 수평이동으로 좌우수평이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문(10,11)의 후방쪽에 수평되게 상하로 각각 설치되면서 그 내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2개의 랙장공(38)이 각각 형성되어 랙장공(38) 내측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랙기어(39)가 각각 구비된 제2랙(37)과, 이 제2랙(37)을 문(10,11)의 개폐방향으로 각각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수단, 상기 제2랙(37)의 랙장공(38)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제2피니언(36) 및, 이 제2피니언(36)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제1랙(34)에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이동부재(30)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제1피니언(3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수단은 상기 상하의 제2랙(37) 좌우에 각각 설치된 안내롤(43)과, 상기 문(10,11)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제2랙(37)을 연결하면서 상기 안내롤(43)에 걸쳐서 연결된 와이어(40), 이 와이어(40)에 연결되어 와이어(40)를 회전시키는 모터축(42) 및, 이 모터축(42)을 회전시키는 모터(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KR1019940039571A 1994-12-30 1994-12-30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KR0166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71A KR0166115B1 (ko) 1994-12-30 1994-12-30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71A KR0166115B1 (ko) 1994-12-30 1994-12-30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88A KR960023588A (ko) 1996-07-20
KR0166115B1 true KR0166115B1 (ko) 1999-02-18

Family

ID=1940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571A KR0166115B1 (ko) 1994-12-30 1994-12-30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1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88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896A (en) Retractable door structure
US5157577A (en) Sealed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AU2950397A (en) Sliding wall
US5800029A (en) Combination work and storage cabinets
KR0166115B1 (ko) 장식장의 문 개폐장치
KR101076860B1 (ko) 문짝이 동일평면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미닫이 문
KR200331574Y1 (ko) 장식장
JPWO2008032541A1 (ja) シャッタ装置及びシャッタ装置用金物
EP2929264B1 (de) Kältegerät mit schwenkladenvorrichtung
KR960000886Y1 (ko) 가구 및 장식장의 자동 미닫이 장치
CN1209543C (zh) 门的开关机构
KR200172798Y1 (ko) 슬라이딩 도어 수납함
KR200281108Y1 (ko) 가변형 주방 수납장
KR960002555B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방법 및 그 장치
JP3484379B2 (ja) キャビネット
KR0167182B1 (ko) 쇼케이스의 도어자동닫힘장치
KR200190956Y1 (ko) 집기용 도어 구조
JPH1033275A (ja) 収納棚回転支持用スライド金具
JPH0446463Y2 (ko)
CA2199101A1 (en) Combination work and storage cabinets
KR0140578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개폐장치
KR910000592Y1 (ko) Vtr의 콘트롤박스를 이용한 카세트 도아장치
KR19990009927A (ko) 절첩식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0047024A (ko)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10047062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커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