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775B1 -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775B1
KR0164775B1 KR1019930703568A KR930703568A KR0164775B1 KR 0164775 B1 KR0164775 B1 KR 0164775B1 KR 1019930703568 A KR1019930703568 A KR 1019930703568A KR 930703568 A KR930703568 A KR 930703568A KR 0164775 B1 KR0164775 B1 KR 016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etected
signal
output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돌프 하포드 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897,812 external-priority patent/US5369445A/en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70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775B1/ko

Link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고성능 텔레비젼 수신기는 화상 IF 신호를 동기적으로 검출한다. IF 신호에 있는 동기 임펄스 잡음은 동기 비디오 검출기로 부터 제공된 비디오 신호에서 백향 상태 잡음이나 흑향 상태 잡음을 발생하며, 이러한 잡음은 하기의 방법으로 이전에 임펄스 잡음에서 발생한 비디오 신호의 값으로 그 후에 대체된다. 임펄스 잡음으로 오염된 비디오 신호는 임펄스 잡음검출기 및 지연라인 둘 다에 입력으로 제공된다. 약 240ns 지연된, 지연라인으로 부터 출력신호는 트랙 및 홀드회로에 의해 추적을 위한 신호로서 제공된다. 검출된 임펄스 잡음신호는 트랙 및 홀드회로에서 보유상태를 가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임펄스 잡음 검출기로 부터 펄스를 대부분의 임펄스 잡음의 기간에 오버랩하는 600~800ns 기간으로 확장함에 의해, 트랙 및 홀드회로는 대부분의 임펄스 잡음을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이전에 저장된 값으로 대체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으로 방송된 화상에서 백색 임펄스 잡음의 출현을 피하고 흑색 임펄스 잡음을 지킬 뿐만 아니라, 동기적으로 검출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하는 크로마 채널에서 임펄스 잡음의 적용을 피한다. 크로마 채널의 충격적인 여기는 그에 따라서 피해지며, 그래서 크로마 반짝거림은 텔레비젼으로 방송된 화상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잡음제거기를 갖는 동기 중간주파수(IF) 복조기들을 사용하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IF부를 도시하는 간단한 블록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잡음제거기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간단한 블록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2도의 변형된 잡음제거기 회로의 블록도이고,
제4도는 동상과 직각위상 비디오 신호들 둘 다에 대하여 잡음제거 모듈을 사용하는 장치인 I 비디오 신호와 Q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동기 IF 복조장치의 상세한 블록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잡음검출기 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트랙 빛 홀드회로에 뒤따르는 지연라인의 직렬접속의 상세한 회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상 동기 비디오 복조기의 뒤에 접속된 잡음제거기 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잡음 검출기와 DC레벨 시프터 및 펄스 확장기의 직렬접속의 상세한 회로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각위상 동기 비디오 복조기 뒤에 접속된 잡음제거기 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잡음 검출기와 DC레벨 시프터 및 펄스 확장기의 직렬접속의 상세한 회로도이고,
제8도는 I 비디오 신호로 부터 잡음제거 및 Q 비디오 신호들로 부터 잡음 제거 둘 다가 최초로 검출된 Q 비디오 신호를 동반하는 임펄스 잡음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잡음제거 회로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9도는 I 비디오 신호로 부터 잡음제거와 Q 비디오 신호들로 부터 잡음제거 둘 다가 최초로 검출된 Q 비디오 신호를 동반하는 임펄스 잡음의 감지와 최초로 검출된 I 비디오 신호를 동반하는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의 감지 둘 다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잡음제거 회로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의 잡음제거 회로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잡음 검출기와 연속하는 DC레벨 시프터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신기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임펄스 잡음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텔레비젼 수신기들은 다양한 잡음 발생원들로 부터 신호 간섭을 받기 쉽다. 이러한 간섭은 텔레비젼 신호 또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의한 텔레비젼 신호의 처리를 방해하는 작용을 하는 많은 다른 발생원들로 부터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의 전형적인 발생원들은 자동차 점화시시템, 가정용 모터 및 간섭의 다양한 다른 형태들이다. 임펄스 잡음 간섭은 통상적으로 상기의 상황들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비디오 신호와 크로마 신호뿐만 아니라 자동이득 제어(AGC)회로 및 동기회로들에도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임펄스 잡음이 비디오 검출기의 출력신호에 존재한다면, 상기 잡음은 비디오 처리 경로를 통해 수상관의 스크린 상에 잡음을 갖는 영상을 야기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임펄스 잡음은 동기 처리경로에 공급되어 동기분리기에 원하지 않는 출력신호들을 발생하게 될 것이다. 동기분리기로 부터의 수평 동기신호는 일반적으로 수신기의 AGC시스템에 공급되기 때문에, AGC시스템 후단의 시스템은 동기분리기의 출력신호에서 유발되는 잡음에 의해 혼란을 갖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은 종래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AGC와 동기회로들은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시스템들이며, 필터링은 AGC와 동기 회로들이 상대적으로 임펄스 잡음에 대한 영향을 갖지 않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어져왔다. 비디오 회로 및 크로마 회로들은 비디오 신호와 크로마 신호들이 가지고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임펄스 잡음 신호들이 동일하게 공유하기 때문에 동기회로와 AGC회로들에 사용된 필터링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비선형 신호의 처리회로 등이 비디오 회로 및 크로마 회로들의 수신기에 자주 적용되지만 매우 효과적이지는 못하다.
Mycynek에 의해 1983년 3월 22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377,823호의 제목 Noise Processing System for a Television Receiver에서 Mycynek은 오직 흑향 상태(black-going)의 임펄스 잡음을 발전시킨 후 검출하고, 동기처리경로에서 변환하는 엘벨로프(envelope) 비디오 검출기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Mycynek은 비디오 처리경로 상에서 검출되고, 바람직한 일정 비디오 레벨인 30 IRE의 회색 레벨로 대체되는 흑향 상태의 임펄스 잡음을 설명하고 있다.
Rindal에 의해 1985년 4월 30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514,763호의 제목 Sound Signal and Impulse Noise Detector for Television Receivers에서 Rindal은 텔레비젼 신호로 부터 오디오 정보를 검출하고, 보상 회로가 적용될 때 비디오 정보에서 임펄스 잡음의 영향들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위상 동기 루프(Phase-Lock Loop)를 사용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Rindal은 원하는 비디오 신호로 부터 임펄스 잡음 응답을 가려내는 문제를 언급하였고,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임펄스 잡음이 비디오 신호를 동반해서가 아니라 주파수 변조된 음성 반송파의 진폭을 변조하기 때문이다.
AM 라디오와 같은 청취하는 동안 사람의 청각 응답 대수특성이 임펄스 잡음의 방해를 감소시키는 다른 유형의 시스템들에서 임펄스 잡음은 문제가 된다. 일반적으로 잡음제거 기술들에 관해서는 임펄스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기술들의 일반적 분야를 다룬 하기와 같은 미합중국의 특허를 참조한다. Muratani외 다수인에 의해 1981년 6월 9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272,846호의 제목 Method for Cancelling Impulsive Noise에서 Muratani외 다수인은 제한된 대역의 베이스대역 신호가 베이스대역 신호의 대역보다 넓은 대역을 갖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에서의 임펄스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Kage외 다수인에 의해 1989년 3월 7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810,101호의 제목 Noise Detection by Sampling Digital Baseband Signal at Eye Openings에서 Kage외 다수인은 커다란 잡음펄스가 발생될 때 특별한 시간 간격으로 임의의 신호를 샘플링하는 디지탈 라디오 수신기에 대한 잡음 검출회로를 설명하고 있다. Kuroda에 의해 1986년 11월 11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622,520호의 제목 FM Demodulator With Impulse Noise Elimination Circuit에서 Kuroda는 필터 전단의 잡음제거회로 및 검출회로에 의해 임펄스 잡음이 제거되는 장치인 FM신호의 복조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Watanabe외 다수인에 의해 1982년 1월 19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311,963호의 제목 Noise Pulse Suppressing System과 같은 다른 특허들은 이동통신 라디오 수신기들을 위한 잡음펄스 억제 시스템들을 설명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272,846호와 제4,311,963호는 신호에서의 임펄스 잡음을 검출한 후 검출한 신호를 지연시키고, 임펄스 잡음의 검출에 대응하여 지연된 신호에서의 임펄스 잡음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개념을 개시하는 데 특히 중점을 두고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311,963호 또한 임펄스 잡음 제거 설계에서 트랙 및 홀드(track-and-hold) 회로를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개시하는 데 특히 중점을 두고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세 있어서 잡음제거 및 검출방법들을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데에는 충분한 증거가 있지만, 현대의 텔레비젼 수신기들은 임펄스 잡음을 검출함에 따라 야기되는 새로운 문제들을 갖고 있는 다양한 모드에서 동작한다. 고성능 텔레비젼 수신기들은 자주 동기 화상(PIX) 중간 주파수(IF) 복조기들을 사용한다. 동기복조는 두가지 위상을 이용하는 즉 합성 비디오 신호와 동반하는 변조된 음성 반송파를 검출하는 동상 동기복조와, 색 신호와 너무 많은 휘도정보를 동반하지 않는 변조된 음성 반송파를 검출하는 직각위상 동기복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직각위상 동기복조기 응답에 있어서 유일한 베이스대역 성분들은 동기 펄스 및 루마(luma)의 과도상태(transient)들로 구별된다.
NTSC 및 PAL의 텔레비젼 방송 표준방식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부변조된 비디오 반송파에서 흑향 상태로서 임펄스 잡음을 일정하게 검출하는 엔벨로프 또는 피크(peak) 검출기들과는 달리, 동기검출기들은 비동기 임펄스 잡음을 흑향 상태 및 배향 상태(white-going)의 교호적인 잡음으로 복조한다. 백향 상태의 임펄스 잡음은 수상관을 환히 빛나게(bloom)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지 않다. 진폭변조된 비디오 반송파는 잔류측파대이며, 이에 따라 PIX IF증폭기 일련의 필터량은 비디오 반송파 주파수로 부터 약 2MHz 떨어진 곳의 주파수에서 집중된다. 임펄스 잡음에 의한 이러한 필터링의 링잉(ringing)은 동상 동기복조기 응답에서 일반적으로 큰 진폭인 약 2MHz 주파수의 불규칙위상을 갖는 댐핑(damping)된 사인곡선을 발생한다. 만일 직각위상 동기복조기가 사용된다면, 비교되는 주파수와 진폭의 불규칙위상 댐핑된 사인곡선이 직각위상 동기복조기의 응답에서 또한 발생된다.
Isobe외 다수인에 의해 1985년 6월 18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524,389호의 제목 Synchronous Video Detector Using Phase-Locked Loop에서, Isoba외 다수인은 바로 동상 동기복조기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디오 검출기의 출력신호에서 흑향 상태 임펄스 잡음은 흑잡음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며, 그 후에 회색 상태까지 제거된다. 흑잡음 검출기의 출력신호는 펄스 확장기(Pulse Stretcher)에 인가된다. 펄스확장기의 출력신호는 검출된 흑잡음에 뒤따르는 백잡음의 회색까지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Isoba외 다수인에 의한 잡음제거 과정에서는 결점들을 가지고 있다. 아마 현저한 에너지를 갖는 동기적으로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초기 신호 스윙(Swing)은 흑향 상태라기 보다는 백향 상태일 것이다. 이러한 백향 상태 초기 스윙의 각각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화상에서 강한 백색의 반점을 야기할 것이다. 총괄적으로 이러한 백색 반점들은, 때때로 엔벨로프 검출기 유형의 비디오 검출기를 갖는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흑색상태까지 임펄스 잡음들의 반전에 의해 야기되는 화상에서의 흑색 반점들을 총괄적으로 언급하는 데에 사용되는 용어인 후추(pepper)잡음과 대조적인 소금(salt)잡음으로 불리운다. 비디오 검출기 출력신호에서 이러한 백향 상태 스파이크(spike)들은 또한 크로마 채널을 분열시킨다.
발명자들은 비디오 검출기 출력신호에서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이 감지되고, 그 후에 비디오 검출기 응답의 변형을 발생하기 위해 흑색 또는 소정 회색 레벨로 대체되는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를 억제하는 이전의 기술들을 알고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들에서 비디오 잡음 반전 임계값의 고정(setting)은 극도로 치명적인 것이다. 비디오 변조의 깊이는 소오스마다 상당히 변화할 수 있다. 그래서 만일 임펄스 잡음 검출에 대한 임계값이 백색레벨에 매우 가깝게 고정되어 있으면, 높은 백색레벨 변조상에 그릇된 트리핑(tripping)이 자주 발생할 것이다. 정재파들 또는 다른 안테나 문제들에 기인하여, 만일 높은 크로마가 있으면, 잡음 인버터(inverter)는 크로마 신호 상에서 그릇되게 트리거(trigger)할 것이다. 만일 임계레벨이 너무 높으면, 너무 많은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이 수상관을 통과하고 화면을 환히 빛나게 할것이다. 검출된 동상 비디오 신호는 일반적으로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으로서 검출되기 전에 백색으로 변화할 것이며, 이에 따라 화상에서의 손상 또는 간섭은 이러한 이전의 기술들에서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억제하는 동작이 취해질 때 이미 명백하게 나타난다. 비록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의 듀티요소(duty factor)가 감소되어지기는 하지만, 간섭은 여전히 텔레비젼으로 방송되는 화상을 보는 사람들에게 보여진다.
종래기술에서 실행된 바와 같이 잡음 반전의 실제작용은 텔레비젼 시스템 또는 수신기의 비디오 채널 및 크로마 채널들을 통해 전파(propagate)하는 높은 슬루우 레이트(slew rate)를 갖는 신호를 발생할 것이다. 흑색 또는 회색 스트리크(streak)는 잡음을 소정 비디오 레벨로 대체하기 위해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잡음 반전회로에 의해 비디오 신호에 삽입되며, 이러한 스트리크는 임펄스 잡음이 광범위한 시간에 걸쳐 발생할 때 스크린상에서 쉽게 알 수 있다. 크로마 채널은 큰 진폭, 고속 상승의 잡음 반전펄스에 의해 충격적으로 여기되며, 크로마 채널에서의 필터들에 후속하는 링잉은 크로마 반짝거림(twinkle)을 야기한다. 크로마 반짝거림은 임펄스 잡음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텔레비젼 화상의 각 부분에서 짧은기간동안 색들이 변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각 부분에서의 색들의 변화는 일부 관찰자들에게 별에 의해 방사되는 빛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이것이 반짝거림의 단어가 색 변화의 현상과 관계하는 이유이다.
임펄스 잡음이 검출되기 전에 백색으로 변화하는, 그래서 임펄스 잡음의 소거가 진행할 때 화상에서 손상 또는 간섭이 이미 나타나는, 검출된 동상 비디오 신호가 갖는 문제는 비디오 검출기의 출력신호에서 나타나는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고, 상기의 비디오 검출기나 다른 비디오 검출기 출력신호의 지연응답에서 잡음소거를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해 제거된다. 텔레비젼 화상은 잡음 소거 후에 지연된 비디오 신호로 부터 결과적으로 도출된다. 만일 임펄스 잡음이 동상 동기복조기에 의해 제공된 비디오 신호에서 검출되고 단지 흑향 상태 또는 백향 상태의 하나의 감지로만 검출된다면,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여전히 백향 상태 잡음 상에서 환하게 빛나지만 비디오 검출기 출력신호는 잡음소거가 이루어지기 전에 보다 짧은 시간에 지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드웨어 가격이 감소된다.
크로마 반짝거림의 문제는 본 발명에서 지연된 비디오 검출기의 출력신호에서 잡음소거에 영향을 미치는 트랙 및 홀드회로를 사용하도록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연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크로마 채널을 충격적으로 여기하는 경우에 큰 진폭, 빠른 상승의 잡음 반전펄스를 상기 지연된 신호에 삽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임펄스 잡음의 초기 부분들 동안 나타나는 백색 반점을 피하기 위해 비디오 검출기 출력신호의 지연된 응답에서 잡음소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연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크로마 채널의 충격적인 여기의 다른 발생원을 제거한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중간주파수(IF) 신호의 발생원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양태로서 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텔레비젼 시스템은 비디오 정보를 갖는 진폭변조된 중간주파수(IF) 화상 반송파를 적어도 포함하는 IF 신호의 발생원과,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의해 때때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동반될 수 있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비디오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대한 출력 비디오 신호응답이 억제되는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에 응답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회로는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정보에 응답하여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검출된 비디오 정보를 동반하는지 혹은 동반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잡음 검출수단과; 검출된 비디오 정보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발생하는 지연수단과; 출력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검출된 비디오 정보를 동반하지 않음을 지시할 때 검출된 비디오 정보에 대한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에 응답하고,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검출된 비디오 정보를 동반함을 지시할 때 검출된 응답의 현재값을 검출된 비디오 정보에 대한 지연된 응답의 값으로 대체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수단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I 비디오 신호로 지정된 동상 비디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동기 복조기와, Q 비디오 신호로 지정된 직각 비디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2동기 복조기, 두 PIX IF 복조기들을 사용하는 유형의 TV수신기들에 특히 적합하다. 표준 NTSC 텔레비젼 신호들이 이러한 TV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때, 그것의 고유의 성질에 의해 직각채널은 휘도성분을 갖지 않으며, 그 결과 저주파성분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Q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에서 고차 주파수성분들에 이용할 수 있는 보다 넓은 동적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I와 Q 비디오 검출기 응답들이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회로에 의해 디지탈화되는 TV수신기들에서 특히 사실이다. 직각채널에서는 저주파 성분이 없기 때문에, 임펄스 잡음은 잡음검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진폭의 임계값으로 고정하는 (threshold setting) 조건들을 사용하는 정-(positive-going), 부-(negative-going) 방향들 둘 다에서 검출될 수 있다. 직각채널은 동기 펄스들에 대해 무시할만한 응답을 가지기 때문에, 동기 펄스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진폭의 임계값으로 고정하는 조건들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임펄스 잡음이 주로 직각채널에서 감지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임펄스 잡음 검출의 임계값은 임펄스가 시작되는 점의 매우 가까운 진폭과 시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직각채널에서 임펄스 잡음이 정-, 부-의 양 방향으로 감지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히 사실이다. 직각채널에서는 잡음을 감지함으로서 제공되는 폐쇄(lock-out)로 부터 잡음에 대한 고유의 면역성을 갖는다. 그래서, 직각채널에서 주로 임펄스 잡음의 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잡음보호된 신호가 자동이득 제어(AGC)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펄스 잡음으로 부터 AGC를 보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회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규형을 갖는 종래기술의 텔레비젼 수신기들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RF-IF단들의 구성은 선택된 RF신호를 수신하고, 증폭하며, 소정 IF신호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튜너 또는 RF증폭기를 포함한다. IF신호 주파수는 주파수변환으로 부터 얻어지는 주파수들이 화상반송파에 대하여는 45.75MHz, 음 반송파에 대하여는 41.25MHz 및 색 부반송파들에 대하여는 42.17MHz로 선택된 RF신호 주파수 위에 위치하는 국부발진기의 주파수에 의해 선택된 RF신호를 슈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함으로써 발생된다. 직렬 접속된 IF증폭기들은 변환 결과의 선택된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하며, 그 다음 비디오 검출기는 선택되고 증폭된 IF신호로 부터 비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수신기는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상동기루프(Phase-lock Loop)를 사용하는 동기 비디오 검출기들을 활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비디오 IF신호의 동기 검출은 전압 제어되는 혹은 전류 제어되는 발진기(둘중의 어느 하나를 편의상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VCO라고 부를 것임)를 포함하는 위상동기 루프에 의해 재생되는 동기 반송파 신호로서 구현된다. 동기 비디오 검출기 회로의 한 예는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524,389호에서 참조될 수 있다. 동기 검출기는 기준신호와 비디오신호의 벡터적을 얻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때때로 텔레비젼 수신기의 비디오 부분에서 사용되는 동기 검출기들은 색 부반송파 신호들을 도출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왔다.
제1도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IF부의 블록도이며, 제1도에서의 텔레비젼 수신기는 비디오 IF신호의 동기복조를 사용한다. 이러한 수신기의 블록도들은 잘 알려져 있고, 더우기 텔레비젼 신호들의 처리를 위한 많은 다른 기술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텔레비젼 수신기의 나머지 부분은 제1도에서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칼라 수신기와 같은 전형적인 텔레비젼 수신기들은 주파수합성 튜너일 수도 있는 RF튜너를 포함하며, 더우기 전형적인 IF처리회로와, 색 수상관 및 관련한 구동장치뿐만 아니라, 크로마 회로, 색 매트릭스회로와 같은 부가적인 회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동기 IF복조기들을 사용하는 고성능 텔레비젼 수신기에 결합되어 설명되지만, 이 특별한 발명이 다른 수신기 시스템에서도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한다.
이하 제1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PIX IF증폭기 20으로 지정된 IF증폭기가 도시되어 있다. 증폭기 20은 전형적인 텔레비젼 수신기에 의해 발생되는 IF신호를 국부발진기 주파수와 RF신호 주파수 사이의 차로서 입력에서 수신한다.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IF주파수는 전형적으로 화상 반송파에 대하여 45.75MHz이고, 텔레비젼 수신기가 동조된 각각의 채널 또는 방송국은 이러한 고정된 주파수를 갖는다. 현대의 텔레비젼 세트에서 IF주파수 신호는 탄성표면파(SAW : Surface Acoustic Wave) 필터에 의해 선택되어지기도 한다. PIX IF증폭기 20 및 그것의 전치필터(Pre-Filter)는 임펄스 잡음 여기에 응답하는 고유주파수에서 링잉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잔류 AM을 갖는 비디오 반송파에 대한 PIX IF증폭기에서 PIX IF증폭기 20 및 그것의 전치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전형적으로 화상 반송파 주파수로 부터 떨어진 1.8에서 2MHz에 있게 되며, 그들의 고유 주파수와 중심 주파수에서 링잉의 검출은 비디오 중간대역에 가까운 상응하는 초기 주파수의 댐핑된 사인곡선을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증폭기 20의 출력으로 부터 발산되는 증폭된 IF신호는 이제 동상 복조기 21과 직각 복조기 22의 입력들에 인가된다. 21, 22의 복조기들은 동기복조기들이며, 그에 따라 동작한다. 21, 22의 복조기들 각각은 VCO를 포함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 23으로 부터 기준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동상 복조기는 0도의 위상에 있는 기준 발진기 주파수를 수신하지만, 직각 복조기 22는 90도에 있는 기준 주파수를 수신한다. 위상 동기 루프 23의 동작은 잘 알려져 있으며, VCO는 45.75MHz의 화상 반송파 주파수에 상응하는 기준 주파수를 제공한다.
이리하여, 동상 복조기(I) 21과 직각 복조기(Q) 22는 그들의 각 출력들에서 I 비디오 신호와 Q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IF반송파 주파수의 0도와 90도 위상들 각각에서 동기적으로 복조한다. 각 복조기의 출력에 있는 각 신호는 점화(ignition) 잡음 또는 다양한 발생원들로 부터 텔레비젼 수신기로 불규칙하게 주입되는 잡음일 수도 있는 임펄스 잡음으로 규정되는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에서는 임펄스 잡음제거기 25의 입력에 연결되는 I복조기 21의 출력이 도시되어 있다. 임펄스 잡음제거기 25의 기능은 I복조기의 출력에 포함된 임펄스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임펄스 잡음제거기의 출력은 상대적으로 잡음이 없는 그리고 I출력으로 지정된 출력을 제공하는 비디오 증폭기 27에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직각 복조기(Q) 22의 출력은 임펄스 잡음제거기 25와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임펄스 잡음 제거기 26의 입력에 인가된다. 임펄스 잡음제거기 26의 출력은 잡음이 없는 출력 Q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비디오 증폭기 28의 입력에 인가된다.
제1도에는 임펄스 잡음이 제거된 I 비디오 신호를 증폭기 27의 출력으로 부터 수신하도록 배열된 AGC외로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AGC회로 30은 복조기 21의 출력으로부터 임펄스 잡음을 그대로 갖는 I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임펄스 잡음에 대하여 AGC회로 30내에서 저역 필터링이 선택 사용된다. 이러한 AGC 작동은 잘 알려져 있다.
제2도를 언급하면, 제1도의 모듈(module) 25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단순한 임펄스 잡음 제거기가 도시되어 있다. I복조기 21에 의해 검출된 잡음을 갖는 동상(I) 비디오 신호는 복조기와 동일한 직접회로 칩 상에 제작될 수 있는 지연라인 30의 입력에 인가된다. 지연라인 30은 지연라인의 입력에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에 240ns의 지연을 제공한다. 임펄스 잡음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며, I복조기 21 및 Q복조기 22에 의해 정향 상태와 부향 상태 방향들의 어느 방향으로나 복조될 수 있다. 즉, 임펄스 잡음은 I복조기 21에 의해 흑향 상태와 백향 상태 방향들로 복조될 수 있다. 보통은 비디오 잡음이 초기에 흑향 상태인지 혹은 초기에 백향 상태인지를 예견하여 결정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하나의 임계값(threshold)이 단지 하나의 극성 감지에서만 잡음을 검출한다면, 때때로 임계값 검출 이전에 IF 링잉 신호의 반주기 또는 그 이상의 주기가 발생할 수 있다.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은 화상을 환히 빛나게 하기 때문에 극히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텔레비젼 수신기에 RF입력 신호를 동반하는 임펄스 잡음은 검출된 비디오 신호에서 백색보다 더욱 희게 스윙하는 백향 상태 잡음 임펄스들을 발생할 것이다.
지연라인 30은 지연라인 30의 출력에서 지연된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보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간에 앞서 시간의 대부분에서 잡음검출기 34에 의해 백향 상태 잡음펄스들의 검출이 가능하게한다. 지연라인의 240ns 지연은 2MHz의 거의 반주기 또는 IF증폭기 및 그것의 전치필터의 고유 링잉 주파수에 걸쳐 확장된다. 트랙 및 홀드회로 32는 지연된 비디오 신호에서 결과적으로 발생할 백색을 향한 과도상태 전에 발생하는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값을 유지하기 위해 임펄스 잡음 검출기 34에 의해 동작된다. 따라서, 트랙 및 홀드회로 32는 비디오 신호의 일정값이 임펄스 잡음으로 바뀌기 전에 비디오 신호에서의 어떤 전조의 백색 반점을 피한다. 일련의 PIX IF증폭기에서 링잉에 의해 결과적으로 발생된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앞서는 검출된 비디오 신호에서의 흑향 상태 임펄스 잡음은 지연된 비디오 신호에서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예상하여 일정한 비디오 값으로 대체함에 의해 트랙 및 홀드회로 32의 출력신호에서 유사하게 감소된다. 발명자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지연라인의 출력에서 지연된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보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간에 앞서서 잡음펄스들의 검출을 허용하는 지연라인을 사용하는 것은 임펄스 잡음에 의해 동반되는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부분들을 일정 비디오 레벨로 대체하는 어떠한 구성들에서도 일반적으로 유용한 절차이다. 이러한 구성들은 임펄스 잡음을 소정 회색 레벨로 대체 및 주사라인 뒤의 화소들로 대체하는 등등을 포함한다.
지연을 약 320ns로 확장하기 위해 지연라인 30에 다른 단을 부가하는 것은 거의 모든 시간에 지연라인 30의 출력에서 지연된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보정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앞서서 잡음검출기 34에 의한 백향 상태 잡음 펄스들의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단을 부가하는 비용은 그에 따른 성능의 증가에 비해 바람직하지 않다. 한 위상 이상에서 백향 상태 잡음펄스들의 검출 및 검출결과들의 OR연산은 240ns 내에서 검출되지 않는 임펄스 잡음의 존재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32와 같은 트랙 및 홀드회로들은 그 자체가 잘 알려져 있다. 회로 32는 지연라인 30으로 부터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을 구비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출력에 이러한 잡음이 없는 비디오신호를 전달한다.
트랙 및 홀들회로 32는 잡음 검출기회로 34의 출력에 연결되는 제어단자 36을 갖는다. 펄스 또는 제어신호가 단자 36에 인가될 때, 트랙 및 홀드회로 32는 홀드상태에 들어가며, 이전에 저장된 비디오 신호의 값은 잡음이 없는 비디오 출력단자로 부터 제공된 신호의 현재 임펄스 잡음 대신 사용된다. 본질적으로, 트랙 및 홀드회로는 FET 스위치 혹은 다른 스위치 장치를 통해 캐패시터와 같은 저장요소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출력을 구비하는 분리단계 또는 제1증폭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위치와 캐패시터는 출력증폭기 또는 다른 장치의 입력에 접속된다. 스위치가 닫힐 때, 입력신호는 출력으로 전파(propagate)된다. 제어펄스에 의해 스위치가 개방되기 이전의 신호값을 갖는 콘덴서의 전하가 출력에 인가된다. 이러한 회로들은 잘 알려져있다. J.Markus에 의한 Guide book of Electronic Circuits로 명명된 교재와, McGraw-Hill Book Co.의 Sampling Circuits로 명명된 교재의 99장에 개시되어 있다. 용어 트랙 및 홀드는 여기에서 사용된 것이며, 검출되는 동안 비디오 신호 값을 저장된 값 또는 일정값으로 대체하는 기능을 정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잡음검출기 회로 34는 임펄스 잡음에 의해 야기되는 소정 임계값 이상의 백향 상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작동하는 임계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연라인 30은 입력 비디오 신호를 지연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디오 신호 상에 새겨질 수도 있는 임펄스 잡음신호는 잡음검출기 회로 34에 의해 검출되며, 잡음검출기 34의 출력은 그 다음 트랙 및 홀드회로 32에 의해 홀드상태를 가동하는 데에 사용된다. 트랙 및 홀드회로 32는 임펄스 잡음의 시작에 바로 앞서 지연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값을 유지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은 제2도의 잡음제거기 회로는 동상 (I) 비디오 신호에서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제거하는 데에 만족스러운 것이다. 예를 들면 PIX IF증폭기 일련의 링잉에 기인하여 임펄스 잡음이 교번적인 백향 상태 및 흑향 상태 잡음 스윙으로 나타나는 곳에서, 더 이상의 잡음 제거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다소 적게 장애가 되는 흑향 상태 임펄스 잡음이 화상에서 다소의 값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흑향 상태 임펄스 잡음은 흑레벨을 지나서 스윙하는 흑향 신호에 잡음 검출 회로 34가 또한 응답하도록 변경함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트랙 및 홀드회로 32에 의해 백향 및 흑향 임펄스 잡음 모두가 홀드상태로 되게 한다.
임펄스 잡음에 의해 야기되는 정규 신호들에 대한 소정 범위에서 벗어난 정향 상태와 부향 상태 스윙들 둘 다에 응답하는 잡음검출기 회로 34를 구비하는 제2도의 잡음제거기 회로는 제1도의 모듈 26에 적합하다. 스윙들이 한 방향에 있는 정규 신호들에 대한 소정 범위에서 벗어난 스윙들에 단지 응답하는 잡음검출기 회로 34를 구비하는 제2도의 잡음 제거기회로는 제1도의 모듈 26에는 덜 적합하다. 정 반대 방향에 있는 정규 신호들에 대한 소정 범위에서 벗어난 스윙들은 비록 라인 30에 의해 제공된 단(short) 지연이 적어도 부분적인 감소를 제공하도록 도울지라도, 트랙 및 홀드회로 32의 출력신호에서 사람이 원하는 만큼 완전하게 억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모듈 25와 26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제2도의 잡음제거기 회로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펄스확장기 38은 잡음검출기 34의 뒤에 삽입되며, 트랙 및 홀드회로 32를 가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펄스의 지속시간을 임의의 양으로 확장한다. 상기에의 임의의 양은 어떤 전형적인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IF증폭기과 그의 전치필터의 링잉에 남아있는 댐핑된 사인곡선에서 현저한 에너지를 갖는 스윙들의 지속인 약 600에서 800ns의 지속시간에 오버랩되도록 통계적으로 결정되는 양이다. 그후에 검출 임계값은 더이상 잡음검출기 34의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현저한 에너지를 가지며, 잡음검출기 34에서 검출의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IF증폭기 및 그의 전치필터의 링잉에서 어떤 역스윙은 펄스 확장기 38로 부터의 펄스출력의 상응하는 중지를 야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아직 의미있는 에너지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는 다음 스윙이 다시 IF증폭기 및 그것의 전치필터의 고유 링잉 주파수의 반주기 이상인 현저한 임펄스 확장 주기내에서 검출의 임계값 이상에서 잡음검출기 34를 구동시키기 때문이다. 펄스 확장기 38에 의해 제공된 펄스 확장은 고유 링잉주파수의 한주기 이상이지만, 유효한 비디오 정보의 너무 많은 손실을 피하기 위해 고유 링잉 주파수의 주기는 두 주기 또는 세 주기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다. 현저한 에너지를 갖는 IF증폭기 및 그의 전치 필터의 어떤 링잉은 트랙 및 홀드회로 32의 응답을 완전하게 제거하며, 일정 비디오 레벨이 그 대신으로 대체된다. 비디오 레벨이 일정하고 비디오 신호의 선행 값을 지속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에너지의 교란은 트랙 및 홀드회로 32로 부터 잡음이 없는 비디오에 존재하지 않는다. 백향 상태 임펄스 잡음 검출에 앞서서 발생했을지도 모르는 어떤 초기 흑향 상태 교란은 제한된 에너지를 갖는다. 또한 보유된 비디오 값에서 추적(tracking) 비디오 값으로 갈때, 트랙 및 홀드회로 32의 출력신호에서 발생하는 어떤 단계에서는 제한된 에너지를 갖는다.
트랙 및 홀드회로 32로 부터 잡음이 없는 비디오는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실질적인 에너지의 교란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크로마(chroma) 채널의 충격적인 여기는 발생되지 않으며, 크로마 신호는 통상적으로 I 비디오 신호로 부터 도출되거나, 또한 Q 비디오 신호로 부터 도출된다. 이러한 크로마 채널의 충격적인 여기의 도피는 동기 비디오 검출기들을 사용하며, 동상 동기 검출기들에 의해 복구된 합성 비디오 신호로 부터 크로마를 분리하는 종래 기술에서의 텔레비젼 수신기들을 방해하는 크로마 반짝거림에 대한 상기에서 주목된 문제들을 제거한다.
제4도는 Q 비디오 검출기 50과 I 비디오 검출기 51로서 구성된 두 비디오 IF복조기들을 사용하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포함된 IF모듈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비디오 검출기 또는 비디오 복조기 50과 51 각각은 VCO 54를 포함하는 위상동기 루프 53으로 부터 기준 입력신호를 수신하며, 이 VCO는 45.75MHz의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VCO의 출력은 리미터(limiter) 55에 공급되며, 리미터 55의 출력신호는 샘플 및 홀드 유형의 위상검출기 56에 인가된다. 위상동기 루프 53은 또한 비디오 IF(VIF) 증폭기 67로 부터 IF신호를 수신한다. VIF 증폭기 67은 예를 들면, 표면탄성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는 PIX IF필터 68로 부터 IF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증폭기 67로 부터 If신호는 위상동기 루프 내에 포함된 제2리미터 69에 인가되며, 위상검출기 56에 연결된 출력을 갖는다. 상기 리미터 69는 위상검출기 56의 출력에서 오차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VCO 신호의 위상을 IF위상과 비교한다. 이러한 오차신호는 VCO를 원하는 주파수에 고정하기 위해 VCO 54에 인가된다. 53과 같은 위상동기 루프의 동작은 잘 알려져 있다.
제4도는 VCO 54가 PIX IF 주파수에 고정될 때를 결정하기 위해 I 비디오 검출기 5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VCO 고정검출기 70을 도시한 것이다. OR게이트 71의 출력신호가 하이일 대 위상검출기 56에 포함되는 오차신호에 대한 샘플 및 홀드회로는 오차신호를 샘플링하며, OR게이트 71의 출력신호가 로우일 때 샘플 및 홀드회로는 오차신호를 유지한다. VCO가 고정상태에 있지 않을 때 VCO 고정검출기 70이 OR게이트 71에 공급하는 신호는 하이로 되고, 샘플 및 홀드회로는 샘플링 상태로 유지되며, 위상검출기 56은 연속적인 기초신호(basis)상에 오차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신호는 VCO 54가 확장된 풀인(pull-in)범위를 나타내는 조건을 돕는다. VCO 54가 고정상태에 있을 때는 단지 홀드인(hold-in) 범위만이 중요하기 때문에, 더 이상 넓은 풀인 범위가 필요하지 않다. VCO 고정검출기 70이 OR게이트 71에 공급하는 신호가 로우로되고, 단지 수평(H) 게이트 펄스들 동안 샘플 및 홀드회로는 좁아진 풀인 범위와 관련된 개선된 잡음 면역성을 나타내기 위해 VCO 54를 조절하는 이러한 펄스들 사이의 보유(holding)를 샘플링한다. 전형적으로, VCO 고정검출기 70은 고정상태에 근접한 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를 접속 73을 통해 위상 검출기 56에 인가한다.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는 위상동기 루프에서 풀인모드로 부터 락인(lock-in)모드로의 스위칭과 관련된 과도상태를 완화시키고,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갈 때 그 대역폭을 변경하는 위상검출기에 다른 조절들을 하게 하기 위해 위상 검출기 56에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검출특징들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어왔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524,389호는 동기 비디오 검출기와 관련하여 고정 검출기를 설명하고 있다.
Q 비디오 검출기 50과 I 비디오 검출기 51은 둘 다 비디오 중간주파수(VIF) 증폭기 67로 부터 IF신호들을 수신한다. Q 비디오 검출기는 VCO 54로 부터 90도 위상의 VCo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I 비디오 검출기는 VCO 54로 부터 0도 위상의 VCO신호를 수신한다. 0도 위상은 위상 시프터에 인가된 DC를 변화함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90도의 위상 시프트를 나타내기 위해 DC제어되는 위상시프터 74에 의해 수행되고 제어된다. 74와 같은 DC제어된 위상 시프터는 당해분야에서 잘 알려져있다. 모듈 50으로 부터 방사된 I 비디오 신호는 또한 한 성분으로서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합성 비디오 신호의 한 성분으로서 변조된 색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모듈 51로 부터 방사된 Q 비디오 신호는 본질적으로 어떤 동반하는 휘도성분이 없는 변조된 색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이러한 I 및 Q 비디오 신호들의 각각은 결합된 임펄스 잡음 제거기 또는 잡음소거기의 입력에 인가된다. I 비디오 검출기 51의 출력은 주파수변조된 음성 반송파에 대해 동작하는 4.5MHz 트랩 72의 입력에 인가된다. 트랩 72의 출력은 VCO 고정검출기 70의 입력에 인가되고, 지연라인 80 및 잡음검출기 81의 입력에 인가된다. 이것들은 제3도의 지연라인 30 및 잡음검출기 34와 유사하다. 잡음검출기 81은 또한 비디오 검출기 50으로 부터의 출력인 Q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지연라인 80과 잡음검출기 81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통상적인 비디오 증폭기 85에 인가되는 트랙 및 홀드회로 84의 출력에서 잡음이 없는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펄스 확장기 82와 트랙 및 홀드회로 84와 결합하여 동작한다. 증폭기 85는 I 비디오 출력으로 지정된 제1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제4도는 지연라인 90, 잡음검출기 91, 펄스 확장기 92 및 트랙 및 홀드회로 93을 포함하는 분리 잡음제거기 회로에 인가되는 Q 비디오 검출기 50의 출력을 도시한 것이다. 트랙 및 홀드회로 93으로 부터의 출력은 Q 비디오 출력으로 지정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갖는 Q 비디오 증폭기 94에 인가된다. 잡음검출기 91의 다른 입력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비디오 검출기 51의 출력으로 부터 인가될 수도 있다.
새로운 텔레비젼 표준들에 입각하여 다른 처리기술들을 혼합할 수도 있는 현대의 수신기들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 방법으로 I 비디오 신호와 Q 비디오 신호 둘 다를 사용하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I 비디오 신호 및 Q 비디오 신호는 요구되는 바에 의해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한 것을 제외한 나중에 사용하는 어떠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다.
크로마 신호는 통상적인 수신기들에서 이루어지는 I 비디오 정보로 부터 또는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Q 비디오 정보로 부터 도출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지, 종래 기술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유사한 잡음펄스의 고정된 베이스라인 비디오 레벨로의 반전은 크로마 채널을 충격적으로 여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바람직하지 못한 크로마 반짝거림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잡음 상태 동안 비디오 정보의 현재값을 비디오 정보의 이전의 값으로 대체하는 것은 잡음펄스가 크로마 채널로 이끄는 에너지를 크게 감소시키며, 바람직하지 않은 반짝거림을 제거한다. Q 비디오 정보로 부터 크로마 신호를 도출하는 것은 특히 잇점이 있다. Q 비디오 정보에는 휘도성분이 없기 때문에, 비디오 정보의 이전 값으로의 대체하는 것은 현재의 비디오 정보로 복구할 때 크로마 채널의 어떤 충격적인 여기가 뒷따를 수 있는 가능성이 덜하다. 상기와 같은 비디오 정보의 이전 값으로의 대체는 이전의 비디오 정보로 부터의 변화를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4도는 크로마회로 95가 제1, 제2 색차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Q 비디오 증폭기 94로 부터 회로 95에 제공된 Q 비디오 출력에 응답하는 이러한 바람직한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크로마 신호의 주파수선택 필터링은 현재 비디오 정보로 복구할 때 감소된 정도를 지속할 수도 있는 IF증폭기 링잉의 제1 및 제3 고조파들을 억제한다. 크로마 신호의 증폭 또는 디지탈화 이전에 크로마 신호의 주파수선택 필터링은 또한 이러한 증폭이나 디지탈화 이전에 크로마 신호의 동적범위를 최소화한다.
제4도는 게이트된 IF AGC 모듈 101이 4.5MHz 트랩 72를 통과한 후에 I 비디오 검출기로 부터의 출력을 수신하며, 또한 비디오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수평 게이팅 펄스를 수신하는 AGC회로 100을 도시한 것이다. AGC회로 101은 VIF 증폭기 67에 대한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AGC 회로 101은 지연된 AGC신호를 RF증폭기 103에 공급하기 위해 응답하는 RF AGC회로 102에 이득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RF AGC회로 102는 또한 RF AGC 조정회로를 포함한다. IF와 RF에 대한 이러한 이득 제어들은 텔레비젼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부분으로는 고려되지 않았다.
제4도는 I 및 Q 비디오 채널 둘 다에 대한 잡음제거나 억제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잡음억제는 단지 이러한 채널들 중의 하나에 대하여 제공된다. 제4도는 변환기 104에 증폭된 RF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접속된 RF증폭기 103을 도시한 것이며, 103은 전형적인 텔레비젼 안테나 또는 케이블로 부터 Rf 입력 신호가 제공된다. 변환기 104는 IF 신호를 PIX IF 필터 68에 공급하며, 필터 68은 영상 주파수 및 대역외의 잡음을 억제한다. 텔레비젼 수신기와 연관된 색 매트릭스(matrixing), 색 증폭기, 음성 회로 및 편향회로 등등은 간략화의 목적으로 제4도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어떠한 경우에서든 텔레비젼 수신기 설계의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은 TV신호들로 부터 음성 정보의 분리와 증폭을 위한 많은 다른 IF 회로들이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상기와 같은 IF 회로들은 인터캐리어(intercarrier), 분할캐리어(split carrier) 및 준병렬(quasi-parallel)로서 언급된다. 비디오의 동기 검출을 사용하는 유형의 고화질 TV수신기들에 있어서, 현재에는 특히 인터캐리어 음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동조되는 분리 결합된 비디오 음성 IF부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Q 비디오 검출기 50과 I 비디오 검출기 51에 비디오 IF 신호들을 공급하는 비디오 IF 증폭기 67에 부가적인 것이다. 비디오 IF 증폭기 67과 선행하는 필터 68은 그때, 음성 반송파의 일부 감쇠를 갖는 전반적인 선형위상 응답에 대하여 배열될 수 있다. 분리 결합된 비디오-음성 IF부는 화상과 음성반송파들 근처의 피크들을 갖는 새들(saddle) 응답에 동조될 수 있으며, 인터캐리어 음성 복구를 최대화하고, 음성을 갖는 비디오 간섭의 존재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인터캐리어 시스템에서 원하는 채널의 화상 및 음성 반송파들 둘 다는 각기 45.75MHz와 41.25MHz의 중간 주파수들로 변형됨으로써 결합된 비디오-음성 IF부에서 증폭된다. 상기 변형된 두 반송파들은 그 다음 검출기에서 혼합되고, 4.5MHz의 결과적인 차가 검출기의 출력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신호는 더욱 증폭되고, 진폭 제한되며, 통상적인 FM복조기 회로에 의해 복조될 수 있는 음성 반송파 FM변조를 포함한다. 인터캐리어 음성 시스템음 두가지의 잘 알려진 잇점이 있다. 첫째, 4.5MHz 주파수의 관계는 전송된 신호에서 정확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수신기의 동조는 치명적이지 않다. 둘째, 피크 또는 엔벨로프 형태의 비디오 검출기를 사용할 때 인터캐리어 음성 시스템은 다른 기술들 보다 낮은 가격을 갖는다.
제5, 6, 7 및 10도는 모든 회로성분들의 값이 명확하게 명시된 상세한 회로 구성도들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게 이해될 수 있는 NPN 또는 PNP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트랜지스터들의 도전형이 도시되어 있다. 저항과 콘덴서의 값들은 피코패러드(picofarads) 및 오옴(Ω) 또는 킬로오옴(㏀)의 값으로 주어졌다. 7V의 전원은 제5, 6, 7 및 10도의 회로에 동작전위를 제공한다.
제5도는 제2, 3, 8 또는 9도의 잡음제거기 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트랙 및 홀드회로에 의해 뒷따르는 지연라인의 직렬접속의 상세한 회로 구성도이다. 입력 비디오 신호 VIDEO IN은 2.7V 전지와 직렬접속된 발생기 105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며, 이것은 동상 비디오 검출기 21 또는 직각위상 비디오 검출기 22 및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DC레벨 시프터 회로를 함께 나타낸다. 즉, 입력 비디오 신호는 I 또는 Q신호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6, 7 및 10도의 설명과 결합하여 더욱 설명될 것과 같이 발생기 105의 출력은 임펄스 잡음검출기의 입력에 직접결합되며, 이것이 임펄스 잡음 검출기가 105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이유이다.
제5도는 3단의 능동 RC 지연라인 110의 직렬접속인 제1단 111, 제2단 112, 제3단 113에 공급되어 바이어스되는 발생기 105로 부터의 VIDEO IN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111, 112 및 113은 구조적으로 서로 유사하다. 최종 단 113은 공통콜렉터 증폭기로서 접속된 PNP트랜지스터 114, 베이스구동 위상분할(base-driven phase-splitter)증폭기로서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 115 및 공통 콜렉터 증폭기로서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 116을 포함한다. 111, 112 및 113단 각각은 그와 관련된 개개의 저항콘덴서(RC)의 망을 가지고 있으며, 저항과 콘덴서들의 값들은 제5도의 구성도에 주여져 있다. RC의 망은 240ns의 지연을 제공하기 위한 지연 축적들을 갖는 3단 각각에 동일한 80ns의 지연을 제공한다. 다른 단이 320ns의 지연을 이루기 위해 직렬로 부가될 수 있다는 것 또는 80ns의 지연시간과 다를 수도 있는 개개단의 지연을 갖는 다른 유형의 지연회로가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지연라인 110의 세번째 단은 공통콜렉터 증폭기로서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 117을 포함하며, 지연라인에 대한 출력단은 PNP 달링턴 전압 플로워(Darlington voltage-follower) 118이다.
NPN 트랜지스터 121의 베이스 전극에 입력을 갖는 트랙 및 홀드회로 120은 지연라인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달링턴 전압플로워 118로 부터 낮은 소오스 임피던스를 공급받는다. 트랙 및 홀드회로 120은 제어단자 122에 인가되는 전압이 충분히 낮은 한에 있어서는 NPN 트랜지스터 121의 베이스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추적하도록 되어있다. 그 때 NPN 트랜지스터 123의 베이스 전압이 낮아지며, 그것은 다른 NPN 트랜지스터 124의 콜렉터 전류를 그것의 에미터-콜렉터 경로로 전환하지 않으며, 베이스-에미터 회로의 트랜지스터 124가 일정전류 싱크(sink)로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 124의 일정 전류 요구는 제어전압이 낮을 때 단자 122에 제공되는 것 보다 높은 전위로 베이스가 바이어스되는 NPN 트랜지스터 125의 에미터로 부터 그 대신 만족된다. 트랜지스터 125는 트랜지스터 121의 에미터로 부터 유사한 값의 콜렉터 전류를 요구하기 위해 그것으로 부터 에미터 전류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며, 트랜지스터 121을 에미터 플로워로 작용하도록 조절한다. 트랜지스터 121의 낮은 소오스 임피던스 에미터 플로워 동작은 그 후에 분로(shunt) 콘덴서들을 충전하고 방전한다. 그래서 공통 콜렉터 증폭기로서 접속된 PNP 트랜지스터 126의 베이스에서의 신호는 0.75V 또는 그 정도의 베이스-에미터 전압 오프셋을 갖는 NPN 트랜지스터 121의 베이스에서의 신호를 따른다. 공통 콜렉터 증폭기로서 접속된 PNP 트랜지스터 126은 또한 공통 콜렉터 증폭기로서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 127의 베이스를 구동하며, 127의 베이스로 부터 트랜지스터 126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을 따르는 잡음이 없는 비디오 출력신호가 제공된다.
한편 제어단자 122에 인가되는 전압이 충분히 높을 때, 트랙 및 홀드회로 120은 이전에 NPN 트랜지스터 121의 베이스 전극에 인가된 전압을 유지하는 상대에 있다. 제어단자 122에 인가되는 전압이 충분히 높을 때, 트랜지스터 123은 도전된다. 트랜지스터 123이 도전될 때, 트랜지스터 123의 에미터 플로워 동작은 트랜지스터 125의 에미터-베이스 접합을 역바이어스 한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124의 전체 일정전류 요구가 트랜지스터 123으로 부터 나온 에미터 전류에 의해 만족된다. 트랜지스터 123은 그것으로 부터 나온 에미터 전류와 같은 콜렉터 전류를 요구하며, 이러한 콜렉터 전류 요규는 달링턴 전압 플로워 118에서 출력 트랜지스터들의 에미터-베이스 접합 및 트랜지스터 121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에서의 순바이어스를 0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7킬로오옴 저항에 걸리는 전압 강하를 증가시킨다. 트랜지스터 121은 그것의 에미터 회로에서의 20피코패러드 콘덴서들을 충전하기 위한 도통을 더이상 하지 않는다. 게다가 트랜지스터 125의 에미터-베이스 접합의 역바이어스가 125의 콜렉터 전류 요구를 차단한다. 그래서 20피코패러드 콘덴서들로 부터 흘러나오는 방전 전류에 대한 저(LOW) 저항 경로는 더 이상 없게 되고, 이러한 콘덴서들에는 전압들이 유지되며, 트랜지스터 126과 127의 결합된 에미터 플로워 동작들에 의해 잡음이 없는 비디오 출력신호로서 공급된다.
PNP 트랜지스터 126의 에미터에서 고전압 1의 베이스-에미터 오프셋 전압이 NPN 트랜지스터 128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그래서 128의 에미터는 20피코패러드의 콘덴서들에 보유되어 있는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으로 클램핑(clamping)된다. 이것은 PNP 달링톤 전압 플로워 118에서 출력 트랜지스터들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들과, NPN 트랜지스터 121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이 실질적인 역-바이어스로 들어가는 것을 저지한다. 그래서, 이러한 장치들은 제어단자 122에 인가되는 다음 전압이 낮아질 때 빠르게 도통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단자 122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게 될 때, 트랙 및 홀드는 더 이상 현재의 지연된 비디오 레벨을 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20피코패러드 콘덴서들에서의 전하는 제어단자 122에 인가되는 확장된 펄스의 지속기간 동안 백색 임펄스 잡음의 검출에 바로 앞서 얻어진 지연된 비디오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트랙 및 홀드회로는 잡음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정상적으로 직접 전달할 것이다. 잡음이 발생할 때 트랙 및 홀드회로의 출력은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선행 값으로 부터 도출된 일정값에 있게된다.
트랜지스터 121의 에미터 전극으로 부터 지연라인 110의 마지막 단인 113에 포함된 트랜지스터 115의 베이스 전극까지에는 궤환저항 129가 있다. 궤환저항 129는 폐쇄(lockout)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 127의 에미터 전극에서의 비디오 출력신호는 연속적이며, AGC에 사용될 수 있다.
제6도는 동상 동기 비디오 복조기 21 뒤에 접속되고 제5도의 트랙 및 홀드 회로에 의해 후속되는 지연라인의 직렬접속을 더욱 포함하는 잡음제거기 회로에 사용될 수도 있는 잡음검출기 130, DC 레벨 시프터 140 및 펄스 확장기 150의 직렬접속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신호 발생원 106으로 부터 동상 (I) VIDEO IN 신호는 2.7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되고, 이리하여 비디오 복조기 21과는 등가회로를 나타내며, 잡음 검출기 130에서의 NPN 트랜지스터 131과 132의 베이스 전극들에 인가된다. I VIDEO IN신호가 임펄스 잡음에 의해 동반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NPN 트랜지스터 131 및 132의 베이스 전압은 1.5와 2.8볼트 사이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NPN 트랜지스터 131의 베이스 전압은 NPN 트랜지스터 134에 의해 요구되는 일정 콜렉터 전류의 노드에서 에미터-에미터 접속을 갖는 NPN 트랜지스터 133의 베이스 바이어스 1.5V 보다 높기때문에, NPN 트랜지스터 131은 131 자신의 에미터를 통해 전류요구를 공급하며, 콜렉터 부하저항 135를 통해 에미터에서와 유사한 값의 콜렉터 전류를 요구한다. 저항 135의 양단에 걸리는 결과적인 전압 강하는 NPN 트랜지스터 136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을 역바이어스한다.
NPN 트랜지스터 132와 136의 에미터들은 2.8V에서 바이어스되는 베이스를 갖는 다른 NPN 트랜지스터 137의 에미터와 공통접속되며, 그 공통접속으로 부터 일정 콜렉터 전류가 NPN 트랜지스터 138에 의해 요구된다. NPN 트랜지스터 132와 136의 베이스 전압들이 2.8V 이하인 한에 있어서, 그들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들은 NPN 트랜지스터 137의 에미터 플로워 동작에 의해 역바이어스되고, NPN 트랜지스터 138의 전체 콜렉터 전류요구 자체를 전환한다. NPN 트랜지스터 138의 콜렉터 전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NPN 트랜지스터 137로 부터 흐르는 에미터 전류는 NPN 트랜지스터 137이 유사한 콜렉터 전류 흐름을 요구하게 하며, 이러한 흐름은 NPN 트랜지스터 137의 콜렉터 부하저항 139에 걸리는 전압강하를 야기한다. 트랜지스터 132와 136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없기때문에, 그들이 공유하는 콜렉터 부하저항 1310에 걸리는 전압 강하도 없다.
임펄스 잡음이 잡음 검출기 130에 의해 검출될 때, 트랜지스터 137로 부터 콜렉터 전류요구는 없으며, 결과적으로 137의 콜렉터 부하저항 139에 걸리는 전압강하도 없게된다. 만일 임펄스 잡음이 2.8V 이상의 스윙인 백향 상태이면, 트랜지스터 137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트랜지스터 132의 에미터플로워 동작에 의해 역바이어스되며, 이것은 트랜지스터 138의 전체 콜렉터 전류요구 자체를 전환한다. 트랜지스터 138의 콜렉터 전류요규를 충족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 132로 부터 흐르는 에미터 전류는 트랜지스터 132가 유사한 콜렉터 전류 흐름을 요구하게 하며, 이러한 흐름은 트랜지스터 132가 트랜지스터 136과 공유하고 있는 콜렉터 부하저항 1310에 걸리는 전압 강하를 야기한다.
만일 임펄스 잡음이 1.5V 이하의 스윙인 흑향 상태이면, 트랜지스터 13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이 트랜지스터 133의 에미터 플로워 동작에 의해 역바이어스되며, 이것은 트랜지스터 134의 전체 콜렉터 전류요구 자체를 전환한다. 트랜지스터 131에 ㅡ이한 콜렉터 전류요구의 결과적인 결여는 그것의 콜렉터 부하저항 135에 걸리는 전압 강하를 없게하며, 트랜지스터 136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그에 따라 순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 137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이 트랜지스터 136의 에미터 플로워 동작에 의해 역바이어스되며, 이것은 트랜지스터 138의 전체 콜렉터 전류요구 자체를 전환한다. 트랜지스터 138의 콜렉터 전류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 136로 부터 흐르는 에미터 전류는 트랜지스터 136이 유사한 콜렉터 전류 흐름을 요구하게 하며, 이러한 흐름은 트랜지스터 132가 트랜지스터 136과 공유하고 있는 콜렉터 부하저항 1310에 걸리는 전압 강하를 야기한다.
DC레벨 시프터 140은 일정 콜렉터 전류를 요구하도록 바이어스된 NPN 트랜지스터 145의 콜렉터에 143과 144의 연결된 에미터들로 부터 나온 전류를 갖는 긴 꼬리(long-tailed)의 쌍으로서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 143과 144의 베이스 전극들에 적용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137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 132와 136의 콜렉터들에서 전압들을 접지에 보다 가깝게 변형하기 위해 그들의 에미터 회로들에 개별적인 저항성 전압 분배기(divider)들을 갖는 NPN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 141과 142를 포함한다. NPN 트랜지스터 143과 144의 에미터결합된 차동입력 증폭기 동작은 그들의 각 베이스들에서 푸시-풀(push-pull) 전압 구동을 트랜지스터 144의 콜렉터 부하저항 146에 걸리는 싱글엔디드 잡음검출기 출력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신호는 보통 접지전압 위의 약 2볼트에 있으나, 임펄스 잡음이 검출될 때는 7V 동작전위까지 상승한다. 임펄스 잡음이 검출될 때 트랜지스터 143은 트랜지스터 145의 전체 콜렉터 전류요구를 공급하며, 트랜지스터 144는 저항 146을 통해 흐르는 콜렉터 전류가 없도록 하기 위해 차단된다. 그 결과, 저항 146에 걸리는 전압 강하는 없으며, 이러한 상황은 싱글엔디드 잡음검출기 출력신호를 7V 동작전위까지 상승시킨다.
DC레벨 시프너 140은 싱글엔디드 잡음검출기 출력신호를 펄스 확장기 회로 150에 공급한다. 펄스 확장기 회로 150은 상승 신호들 동안 분로 콘덴서 152를 신속하게 충전하는 에미터 플로워 동작을 갖는 피크검출기로서 배열된 NPN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151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151의 베이스에 제공된 신호가 하강할 때, 분로 콘덴서 152는 트랜지스터 151의 에미터 전압을 이전의 레벨로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트랜지스터 151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역바이어스된다. 저항 153을 통한 분로 콘덴서 152의 방전은 다소 큰 저항으로 인해 늦어지며, 이것은 분로 콘덴서 152에 저장된 펄스의 지속시간을 확장하는 경향이 있다. 에미터 플로워 접속의 NPN 트랜지스터 154는 155 및 156의 에미터들의 꼬리 접속으로 부터 일정 콜렉터 전류를 요규하는 NPN 트랜지스터 157을 갖는 에미터 결합된 NPN 트랜지스터 155 및 156의 긴 꼬리 상 접속을 적어도 포함하는 전압비교기에 어떤 형태를 이루기 위한 확장된 펄스를 제공한다. 트랜지스터 156의 콜렉터 부하저항을 통해 나타나는 잡음펄스에 대한 확장된 펄스응답은 지연된 I VIDEO IN전압에 대하여 트랙 및 홀드회로가 추적(track)상태에 있을 것인지 또는 유지(hold) 상태에 있을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NPN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에 의해 저항성 전압 분배기에 인가된다.
백색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며 흑색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지 않는 잡음 검출기 130의 변형에서 구성요소들 131 및 133-136은 단지 바이어스 하기 위해 사용된 관련 구성요소들과 함께 생략되었다.
제7도는 직각위상 동기 비디오 복조기 22의 뒤에 연결되며, 제5도의 트랙 및 홀드회로에 의해 후속되는 지연라인의 직렬접속을 더욱 포함하는 잡음제거기 회로에 사용될 수도 있는 잡음검출기 160, DC레벨 시프터 170 및 펄스 확장기 180의 직렬접속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신호 발생원 107로 부터의 직각위상 (Q) VIDEO IN 신호는 2.7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 되고, 이리하여 비디오 복조기 22와는 등가회로를 나타내며, 잡음검출기 160에서의 NPN 트랜지스터 161과 162의 베이스 전극들에 인가된다. 잡음검출기 160의 구성요소들 161-1610은 구조적으로 잡음 검출기 130의 요소들 131-1310에 상응하며, 실질적으로 동작에 있어서도 상응한다. 그러나 잡음검출기 160의 구성요소들 161-1610이 사용되는 바이어스 회로는 다소 다르며, 그래서 3.1볼트 이상 상승하는 정향 상태 잡음 펄스들과 2.3볼트 이하로 떨어지는 부향 상태 잡음 펄스들이 검출된다.
DC레벨 시프터 170은 DC레벨 시프터 14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요소들 171-176은 동작에 있어서 구성요소들 141-146에 상응한다. 펄스 확장기 180은 펄스 확장기 15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구성요소들 181-189는 그들의 동작에 있어서 구성요소들 151-159에 상응한다.
정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며,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은 검출하지 않는 잡음검출기 160의 변형에 있어서, 구성요소들 161 및 163-166는 단지 그들을 바이어스하기 위해 사용된 관련 요소들과 함께 생략되었다.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며, 정향 상태 임펄스 잡음은 검출하지 않는 잡음 검출기 160의 변형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162는 생략되었다.
제8도는 제1도의 임펄스 잡음 제거기 모듈 25 및 2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동상 (I) 복조기 21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단지연(short delay)을 그 출력에 공급하고, 트랙 및 홀드회로 42의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지연라인 40의 입력에 인가된다. 유사하게 직각 (Q) 복조기 22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단지연을 그 출력에 공급하고, 트랙 및 홀드회로 43의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지연라인 41의 입력에 인가된다. Q 복조기 22로 부터 잡음을 갖는 비디오 신호는 제7도에 도시된 유형과 같은 정향 상태 또는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는 유형의 바람직한 임펄스 잡음검출기 44의 입력에 인가된다. 잡음검출기 44의 출력신호는 근사적으로 800ns의 확장시간을 갖는 펄스 확장기 회로 45의 입력에 인가된다. 펄스 확장기 회로 45의 출력은 트랙 및 홀드회로 42의 제어입력 46과 트랙 및 홀드회로 43의 제어입력 47 둘 다에 입력된다. 따라서 펄스 확장기 45의 출력에 입각하여, 트랙 및 홀드회로 42와 43은 임펄스 잡음의 시작에 바로 앞서 각기 저장되어 있던 이전의 비디오 레벨들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트랙 및 홀드회로 42와 43의 출력은 각각 잡음이 없는 I와 Q 비디오 신호들이다.
제8도의 잡음소거회로에서 잡음검출기 44에 공급되는 임펄스 잡음에 의해 동반되는 Q 비디오 신호는 어떤 베이스대역 비디오 성분들을 갖지 않으며, 이에 따라 Q 비디오 신호는 임펄스 잡음에 의해 동반되는 I 비디오 신호보다 크로마와 음성을 부호화하는 비디오 신호에서 높은 주파수, 낮은 레벨을 갖는 성분들에 대해서 보다 넓은 동적영역을 갖는다. 임펄스 잡음에 의해 동반된 Q 비디오 신호는 제7도의 잡음검출기에서와 같이 정향 상태와 부향 상태 두 방향들에서 바람직하게 검출된다. 따라서, 임펄스 잡음검출기의 임계값은 직각채널에서의 진폭과 시간 둘 다에 있어서 임펄스의 시작에 매우 가깝게 고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임펄스 잡음의 발생을 보다 민감하게 검출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제9도는 제1도의 임펄스 잡음제거기 모듈 25와 2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것은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다른 점은 잡음검출기 44가 잡음검출기 48로 대체되는 것이다. 잡음검출기 48은 Q 비디오 복조기 22로 부터 비디오 신호를 동반하는 정향 상태 또는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는 유형이며, 적어도 I 복조기 21로 부터 비디오 신호를 동반하는 백색 임펄스 잡음을 검출할 것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잡음제거기 회로를 구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는 잡음 검출기 190과 연속하는 DC레벨 시프터 200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DC레벨 시프터 200은 DC레벨 시프터 140 또는 17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구성요소들 201-206은 그들의 동작에 있어서 구성요소들 141-146 또는 171-176에 상응한다.
신호 발생원 106로 부터 동상 (I) VIDEO IN 신호는 2.7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되며, 이리하여 비디오 복조기 21과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이러한 신호는 그 다음 그 뒤에 직렬접속되는 트랙 및 홀드회로 42를 갖는 240ns 지연라인 40뿐만 아니라 잡음검출기 190의 NPN 트랜지스터 131과 132의 베이스 전극들에 인가된다. 잡음검출기 190은 2.8V이상을 스윙하는 백색 임펄스 잡음과 1.5V이하를 스윙하는 흑색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기 위한 제6도의 잡음검출기 130에서의 번호가 부여된 상응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하는 요소들 131-1310을 포함한다.
신호 발생원 107로 부터 직각위상 (Q) VIDEO IN 신호는 2.4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되어 잡음 검출기 190의 NPN 트랜지스터 191과 192의 베이스 전극들에 인가되고, 그래서 부가적인 0.3V는 240ns 지연라인 41과 그 뒤에 직렬접속된 트랙 및 홀드회로 43에 인가된다. 만일 2.7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신호 발생원 107로 부터의 Q VIDEO IN 신호는 등가회로 형태에서 비디오 복조기 22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고, 그 때 2.4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신호 발생원 107로 부터 Q VIDEO IN 신호는 그것으로 부터 전위가 하향 전이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트랜지스터 192는 트랜지스터 132와 OR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래서 2.4V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Q VIDEO IN신호에서 2.8V 이상의 정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한다. 이것은 2.7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Q VIDEO IN 신호에서 3.1V 이상의 정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는 것에 상응한다. 따라서 제10도의 잡음검출기 190은 제7도의 잡음검출기 160의 정향 상태 임펄스 잡음 검출특성을 재현한다.
트랜지스터 191은 2.4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Q VIDEO IN 신호가 2.0V 이상에 있는 한에 있어서는 191의 콜렉터 부하저항 195에 걸리는 전압 강하를 선택적으로 야기하도록 한다. 2.4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Q VIDEO IN 신호에서 2.0V 이하로 떨어지는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이 발생할 때, NPN 트랜지스터 193은 NPN 트랜지스터 194의 일정 콜렉터 전류의 도전을 대신한다. 트랜지스터 191이 차단되며,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 191의 콜렉터 부하 저항 195에서 실질적인 전압 강하는 더이상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NPN 트랜지스터 196의 베이스 전위는 결국 상승된다. 트랜지스터 196은 트랜지스터 138의 콜렉터 전류를 자신의 에미터 전류로서 이용한다. 트랜지스터 196은 저항 1310 양단의 전압 강하는 야기시키는 자신의 콜렉터 전류를 야기시킨다. 이에 트랜지스터 137은 저항 139에서의 전압 강하를 유지시키기 위해 차단되어 자신의 콜렉터 전류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2.4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Q VIDEO IN 신호에서 2.0V 이하로 떨어지는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은 잡음검출기 190에 의해 또한 검출된다. 이것은 2.7V 제로반송파 레벨로 바이어스된 Q VIDEO IN 신호에서 2.3V 이하로 떨어지는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을 검출하는 것에 상응한다. 따라서, 제10도의 잡음검출기 190은 제7도의 잡음검출기 160의 부향 상태 임펄스 잡음 검출특성을 재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시 내용을 알게 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다른 회로구성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부가적인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트랙 및 홀드회로는 임펄스 잡음동안 크로마가 사라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색차신호들 C1 및 C2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시 내용을 알게 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동기 복조를 사용하지 않는 텔레비젼 수신기들의 다른 유형들에서 또는 수동 필터를 사용하여 IF 신호로 부터 IF 반송파 성분을 추출함에 의해 산출물 검출을 수행하는 유형의 준(quasi)동기 검출기들을 사용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들의 형태들에서 상기에 기술된 잡음 제거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지지되는 권리의 범위는 이러한 지적을 고려하여 해석되어져야한다.

Claims (39)

  1. 비디오 정보를 갖는 진폭변조된 중간주파수(IF) 화상 반송파를 적어도 포함하는 IF 신호의 발생원과;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의해 때때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동반될 수 있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비디오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대한 출력 비디오 신호응답이 억제되는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에 응답하여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회로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정보에 응답하여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동반하는지 또는 동반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출력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잡음검출수단;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발생하기 위한 지연수단; 상기 출력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에 대한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에 응답하고,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동반함을 나타낼 때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지연된 응답의 상기 현재값을 비디오 신호의 일정값으로 대체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처리회로를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상기 비디오 정보로 부터,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상기 현재값을 대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일정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IF) 신호의 상기 발생원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 응답으로서 검출되는 고유 주파수에서 링잉을 갖는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 유형이며; 상기 지연라인이 상기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의 약 반주기의 지연을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출력수단이 상기 잡음 검출수단으로 부터 출력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접속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에 상기 고유 주파수의 한주기 이상인 소정 확장시간을 갖는 확장된 펄스 응답이 제공되는 출력접속을 구비하는 펄스 확장수단과; 상기 지연라인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상기 펄스 확장수단의 상기 출력접속으로 부터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단자와, 상기 확장된 펄스 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을 공급하고, 상기 확장된 펄스 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동반함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상기 지연된 응답의 보유된 값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하는 트랙 및 홀드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비디오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확장시간이 600과 800나노초(nanoseconds)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출력수단이 상기 지연라인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상기 잡음 검출수단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단자와,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을 공급하고,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정보를 동반함을 나타낼 대 상기 지연된 응답의 보유된 값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하는 트랙 및 홀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IF) 신호의 상기 발생원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 응답으로서 검출되는 고유 주파수에서 링잉을 갖는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 유형이며; 상기 지연라인이 상기 비디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정보에 상기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의 약 반주기의 지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검출기가 상기 비디오 정보의 휘도와 색 성분들 둘 다를 합성 비디오 신호로서 검출하며, 상기 잡음 검출수단이 백향 상태인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을 공급하기 위한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9. 비디오 정보를 갖는 진폭변조된 중간 주파수(IF) 화상 반송파를 포함하는 IF 신호의 발생원과; 출력 접속에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의해 때때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동반될 수 있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을 공급하기 위해 진폭변조된 IF 화상 반송파에 응답하는 제1동기 복조기수단과; 그 출력 접속에 비디오 신호의 직각위상 제2성분을 공급하기 위해 진폭변조된 IF 화상 반송파에 응답하는 제2 동기 복조기 수단과;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대한 출력 비디오 신호 응답이 억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응답하여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회로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성분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2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하는지 혹은 동반하지 않는지는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잡음 검출수단과;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발생하기 위한 지연수단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에 응답하고,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함을 나타낼 때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상기 현재값을 비디오 신호의 일정값으로 대체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처리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동상 제1성분으로 부터,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상기 현재값을 대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일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IF) 신호의 상기 발생원이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 응답으로서 검출되는 고유 주파수에서 링잉을 갖는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 유형이며; 상기 지연라인이 상기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의 약 반주기의 지연 후에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검출 수단으로 부터 출력 제어신호가 제공되는 입력접속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에 대해 상기 고유 주파수의 한주기 이상인 소정 확장시간을 갖는 확장된 펄스응답이 제공되는 출력접속을 구비하는 펄스 확장수단과; 상기 지연라인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상기 펄스 확장수단의 상기 출력접속으로 부터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단자와,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2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을 공급하고, 상기 확장된 펄스 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 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함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보유된 값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하는 트랙 및 홀드회로를 포함하는 비디오 출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확장시간이 600과 800 나노초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출력수단이 상기 지연라인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상기 잡음검출 수단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단자와,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2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을 공급하고,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 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함을 나타낼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보유된 값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하는 트랙 및 홀드회로를 포함하는 비디오 출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IF) 신호의 상기 발생원이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 응답으로서 검출되는 고유 주파수에서 링잉을 갖는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 유형이며; 상기 지연라인이 상기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의 약 반주기의 지연 후에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색차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 성분에 응답하는 크로마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7. 비디오 정보를 갖는 진폭변조된 중간 주파수(IF) 화상 반송파를 적어도 포함하는 IF 신호의 발생원과; 출력 접속에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의해 때때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동반될 수 있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을 공급하기 위해 진폭변조된 IF 화상 반송파에 응답하는 제1동기 복조기수단과; 그 출력 접속에 비디오 신호의 직각위상 제2성분을 공급하기 위해 진폭변조된 IF 화상 반송파에 응답하는 제2 동기 복조기 수단과;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에 대한 출력 비디오 신호 응답이 억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에 응답하여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회로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과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성분 둘 다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 또는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 성분을 동반하는지 혹은 동반하지 않는지는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잡음 검출수단과;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발생하기 위한 제1 지연수단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낼때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에 응답하고,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함을 나타낼 때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상기 현재값을 비디오 신호의 일정값으로 대체하기 위한 제1 비디오 출력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처리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동상 제1성분으로 부터,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상기 현재값을 대체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의 일정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IF) 신호의 상기 발생원이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 응답으로서 검출되는 고유 주파수에서 링잉을 갖는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 유형이며; 상기 제1 지연라인이 상기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의 약 반주기의 지연 후에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검출수단으로 부터 출력 제어신호가 제공되는 입력접속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에 상기 고유 주파수의 한주기 이상인 소정 확장시간을 갖는 확장된 펄스응답이 제공되는 출력접속을 구비하는 펄스 확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출력수단이 상기 제1 지연라인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상기 펄스 확장수단의 상기 출력접속으로 부터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단자와,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을 공급하고,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함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동상 제1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보유된 값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하는 트랙 및 홀드회로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출력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 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발생하기 위한 제2 지연수단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에 응답하고,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함을 나타낼 때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상기 현재값을 비디오 신호의 일정값으로 대체하기 위한 제2 비디오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연라인의 상기 출력으로 부터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 제2 성분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상기 펄스 확장수단의 상기 출력접속으로 부터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단자와,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 제2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현재값을 공급하고, 상기 확장된 펄스응답이 상기 검출된 임펄스 잡음의 평가할 수 있는 양이 상기 제1 및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성분들 중의 어느 하나를 동반함을 나타내는 출력 제어신호에 있을 때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 제2 성분에 대한 상기 지연된 응답의 보유된 값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하는 제2 트랙 및 홀드회로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출력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IF) 신호의 상기 발생원이 상기 제1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 응답으로서 검출되는 고유 주파수에서 링잉을 갖는 임펄스 잡음에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 유형이며; 상기 제1 지연라인이 상기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의 약 반주기의 지연 후에 상기 제1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상 제1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지연라인이 상기 중간대역 비디오 주파수의 약 반주기의 지연 후에 상기 제2 동기 복조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비디오 신호의 직각 제2 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색차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의 상기 직각위상 제2 성분에 대한 지연된 응답에 응답하는 크로마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6. 비디오 정보를 갖는 진폭변조된 중간 주파수(IF) 화상 반송파를 포함하는 IF 신호의 발생원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동상 출력 비디오 신호와 제2 직각위상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IF신호에 응답하는 동기 복조기 수단과; 출력에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신호들 중의 하나에 응답하는 지연수단과; 상기 신호에서 잡음의 검출에 의존하여 출력펄스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신호들 중의 하나에 응답하는 잡음검출기 수단과; 상기 지연수단의 상기 출력이 접속되는 입력과, 출력에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정상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잡음검출기 수단으로 부터 상기 출력펄스가 존재하는 동안 상기 출력에 이전의 비디오 레벨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잡음 출력펄스에 응답하는 제어단자를 구비하는 트랙 및 홀드수단을 적어도 포함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에서 임펄스 잡음의 영향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결합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검출기 수단의 출력이 연결되는 입력과, 확장된 펄스가 상기 잡음검출기 수단으로 부터 상기 출력펄스 각각에 응답하는 상기 트랙 및 홀드수단의 상기 제어단자에 제공되는 출력을 구비하는 펄스 확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이 약 240 나노초의 지연을 제공하는 지연라인이며, 상기 펄스 확장수단이 600과 800 나노초 사이의 확장시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이 응답하는 상기 한 비디오 신호가 상기 제1 동상 출력 비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각위상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상기 잡음검출기 수단에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이 응답하는 상기 한 비디오 신호가 상기 제2 직각위상 출력 신호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색차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트랙 및 홀드수단의 출력으로 부터 신호에 응답하는 크로마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3. 제2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색차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트랙 및 홀드수단의 출력으로 부터 신호에 응답하는 크로마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4. 비디오 정보를 갖는 진폭변조된 중간 주파수(IF) 화상 반송파를 포함하는 IF 신호의 발생원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휘도 및 색성분들 둘 다를 갖는 제1 동상 출력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고, 휘도성분은 갖지 않고 색성분을 갖는 제2 직각위상 출력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IF신호에 응답하는 동기 복조기 수단과; 제1 및 제2 색차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2 직각위상 출력 비디오 신호에 응답하는 크로마 회로를 포함하여 결합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5. 텔레비젼 시스템에서의 임펄스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IF 진폭변조된 화상 반송파 신호를 동기적으로 복조하는 단계와; 단지 잡음 펄스들이 존재하는 동안에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비디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서 잡음펄스들을 검출하는 단계와; 지연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비디오 신호들 중의 하나를 소정량 지연하는 단계와; 상기 지연된 신호 이전 값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저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동안 상기 지연된 신호의 현재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상기 지연된 신호의 상기 현재값을 상기 지연된 신호의 이전 값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여 중간주파수(IF) 진폭변조된 화상 반송파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잡음을 포함하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간격을 둘러싸기에 충분한 소정량으로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확장의 단계가 600과 800 나노초 사이의 간격에 대해 상기 펄스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한 비디오 신호를 소정량 지연하는 상기 단계와 상기 한 ㅂ디오 신호를 약 240 나노초로 지연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한 비디오 신호를 소정량 지연하는 상기 단계와 상기 제1동상 비디오 신호를 지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비디오 신호들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서 잡음 펄스들을 검출하는 단계가 상기 제2직각위상 비디오 신호 상에서 잡음 펄스들을 검출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시스템.
KR1019930703568A 1992-06-12 1993-04-21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KR016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703568A KR0164775B1 (ko) 1992-06-12 1993-04-21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97,812 US5369445A (en) 1992-06-12 1992-06-12 Noise reduc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elevision receivers
KR1019930703568A KR0164775B1 (ko) 1992-06-12 1993-04-21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PCT/KR1993/000028 WO1993026117A1 (en) 1992-06-12 1993-04-21 Noise reduc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elevision receivers
US7/897,812 1993-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4775B1 true KR0164775B1 (ko) 1999-03-20

Family

ID=2663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568A KR0164775B1 (ko) 1992-06-12 1993-04-21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77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7267B2 (ja) 自動利得制御装置
JP3662544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US6459458B1 (en) Digital automatic gain control, as for a receiver
US4514763A (en) Sound signal and impulse noise detector for television receivers
JPS6317270B2 (ko)
KR0164775B1 (ko) 텔레비젼 수신기를 위한 잡음 감소장치 및 방법
JPH06105967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における自動利得制御装置
JP2950527B2 (ja) 画質調節回路
EP0059379B1 (en) Noise detecting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employing the same
KR100230258B1 (ko) 필터의 지연시간 및 흑백 반전을 개선한 비디오 기록매체 복사장치
KR100829764B1 (ko) 텔레비전 신호 처리 디바이스에서 샌드캐슬 신호 발생을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FI65351C (fi) Styrkoppling foer en mottagare bearbetande en faergtelevisionssignal
McGinn An advanced IF amplifier and AFT system suitable for HDTV
EP1337167A1 (en) Foldable solar protection device
JPH024542Y2 (ko)
JP3378914B2 (ja) ビデオラインスクランブル処理システムにより誘起される色副搬送波不安定性を最小限に抑える方法及び装置
JPH0376067B2 (ko)
KR920002840B1 (ko) 텔레비젼 음성 검출장치
CA1212464A (en) Television sound detection system using a frequency translation phase-locked loop
Brilka et al. An advanced 5 V VIF/SIF PLL for signal detection in TV sets and VTRs
KR830000114B1 (ko) 동기 이득 제어회로
JP2785945B2 (ja) 衛星放送受信機
JP2011120038A (ja) 映像検波回路
McGinn et al. An advanced multi-standard TV video/sound IF
Brilka et al. A new single-reference VIF/SIF/PLL for multistandard signal detection in TV sets and VC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