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051B1 -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051B1
KR0164051B1 KR1019960009261A KR19960009261A KR0164051B1 KR 0164051 B1 KR0164051 B1 KR 0164051B1 KR 1019960009261 A KR1019960009261 A KR 1019960009261A KR 19960009261 A KR19960009261 A KR 19960009261A KR 0164051 B1 KR0164051 B1 KR 016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ase
phenylethanol
ester compound
acetic acid
ethyl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720A (ko
Inventor
이병형
김영준
황순욱
이광혁
김종근
조남륜
양인영
Original Assignee
남창우
에스케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우, 에스케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창우
Priority to KR101996000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051B1/ko
Priority to JP9080030A priority patent/JPH104990A/ja
Publication of KR97006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2Carboxylic acid ester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파제 효소를 이용하여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유지용매 존재하에서 리파제를 이용하여 2-페닐에탄올과 초산 또는 아실기를 포함한 화합물을 30~70℃의 온도범위에서 반응시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에스테르 화합물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리파제(Lipase) 효소를 이용하여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유기용매 존재하에서 리파제 효소를 촉매로하여 2-페닐에탄올로부터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은 예를 들어, 페닐초산에틸, 페닐프로피온산에틸 또는 페닐부틸산에틸 등을 의미하며, 이들은 향료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에스테라제의 일종인 리파제를 이용하여 에스테르 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은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이 반응하여 에스테르 화합물과 물이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발효에 의해서도 페닐 초산 에틸의 생성(Fukuda et al., 1990 Agric. Biol. Chem. 54: 269-271; Agric. Biol. Chem 54: 3151-3156; Albertazzi et al., 1994 Biotechnol. Lett. 16: 491-496: Jiang, 1995 Process Biochemistry 30: 635-640) 은 확인되었지만, 수용액상에서 생성된 페닐 초산에틸의 양이 극히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기용매 존재하에서 리파제를 촉매로 이용하여 2-페닐에탄올로 부터 페닐초산에틸을 합성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페닐초산에틸의 생성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성량이 향상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유기용매 존재하에서 리파제를 이용하여 2-페닐에탄올과 초산 또는 아실기(Acyl)를 포함한 화합물을 30~70℃의 온도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테라제의 일종인 리파제를 촉매로 하여 2-페닐에탄올과 초산 또는 아실기를 포함한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성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은 증류에 의해 분리가 쉬운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반응은 하기 식(Ⅰ)과 같다.
2-페닐에탄올 + 초산 또는 아실기를 포함한 화합물
→ 페닐초산에틸 등 ----------------- (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잇는 리파제는 돼지췌장에서 추출하거나, 미생물 등에서 얻은 분말이나 액상형태로 제공되는 효소 또는 고정화된 리파제, 또는 리파제를 함유하는 생물세포 및 고정화된 생물세포를 포함한다.
상기 리파제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리파제로는 예를 들어, 아마노(Amano)사의 리파제 AY, 리파제 CES 또는 리파제 PS, 토요(Toyo)사의 Jozo, 노보(Novo)사의 노보자임 435 또는 시그마(Sigmal사의 리파제 PPL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초산 또는 아실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는 초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초산비닐, 무수초산 또는 초산에틸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유기용매상 반응에서 Log p(여기서, p는 옥탄올과 물에 용해되는 분배계수)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데, Log p가 작으면 낮은 전환율을 나타내므로 통상적인 반응에서 Log p는 2.5 이상으로 사용되고 있다(Manjon et al., 1991 Biotechnol, Lett., 13: 339-334). 본 발명에서는 Log p가 3.5이상인 모든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잇고, 바람직하게는 헥산(Log p = 3.5), 헵탄, 옥탄, 테칸, 도데칸 또는 헥사데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실리콘 고무마개로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킨15㎖바이알에 리파제를 넣고, 2-페닐에탄올을 포함한 유기용매에 초산 또는 아실기를 포함한 화합물을 첨가하여 바이알에 주입시킨 후 반응시킨다.
이때 반응온도는 30~70℃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가 30℃ 미만이면 반응 속도가 늦어지고, 70℃를 초과하면 효소의 변성을 야기시켜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반응시간은 24시간 이상 유지시키는 것이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최종 에스테르 화합물은 페닐초산에틸, 페닐프로피온산에틸 또는 페닐부틸산에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량할 수 있다. 분석조건으로는 카보왁스로 코팅된 실리카가 충진된 캐필러리 컬럼(내경 0.32mrn, 길이 25m)을 100℃에서 1분간 가열하여 분당 10℃씩 250℃까지 승온시킨뒤, 250℃에서 1분간 정지시켰다. 캐리어로는 헬륨개스를 분당 2㎖의 속도로 흘렸다. 2-페닐에탄올은 6.4분, 페닐초산에틸은 8.3분, 페닐프로피온산에틸은 9.7분, 페닐부틸산에틸은 11.1분에서 검출되었다. 하기 실시예에서 상술한 실험조건으로 에스테르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전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리콘 고무마개로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킨 15㎖ 바이알에 시그마사의 돼지췌장 리파제 20㎎을 넣고, 후르카사의 2-페닐에탄올 5%를 포함한 헥산용액 5㎖에 후르카사 200㎕의 초산을 첨가하여 바이알에 주입하였다. 35℃에서 반응후 일정한 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한 후 , 휴렛-패카드사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제품 모델 5890)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페닐초산에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에서 초산을 비닐초산, 초산에틸 또는 무수초산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반응시켰다. 24시간 반응후 페닐초산에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12]
15㎖ 바이알에 시판중인 하기 표3에 기재된 각각의 미생물 유래의 리파제를 첨가하고 2-페닐에탄올 5%를 포함한 헥산용액 5㎖에 비닐초산 200㎕를 첨가하여 30℃에서 반응을 시작하였다.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약 300시간 반응후 페닐 초산 에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3~17]
15㎖ 바이알에 시그마사의 돼지췌장 리파제 20㎎을 넣고 2-페닐에탄올을 5%를 포함한 옥탄용액 5㎖에 알드리치사의 비닐초산 200㎕을 첨가하여 바이알에 주입하였다. 반응온도를 각각 30℃, 40℃, 50℃, 60℃ 및 70℃로 변화시켰고,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약 2시간 반응후 페닐초산에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8~21]
상기 실시예 1에서 Log prk 3.5인 헥산을 옥탄, 데칸, 도데칸, 헥사데칸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약 48시간 반응후 페닐초산에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1에서 초산을 프로피온산으로 변경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실시하여 측정한 결과, 생성된 페닐프로피온산에틸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시작하여 9.7분후 검출되었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에서 초산을 부틸산으로 변경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실시하여 측정한 결과, 생성된 페닐부틸산에틸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시작하여 11.1분후 검출되었다.

Claims (2)

  1. 유기용매 존재하에서 리파제를 이용하여 2-페닐에탄올과 초산 또는 아실기를 포함한 화합물을 30~70℃의 온도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의 Log p가 3.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도데칸 또는 헥사데칸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 또는 아실기를 포함한 화합물이 초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초산비닐, 무수초산 또는 초산에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9960009261A 1996-03-29 1996-03-29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016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61A KR0164051B1 (ko) 1996-03-29 1996-03-29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JP9080030A JPH104990A (ja) 1996-03-29 1997-03-31 リパーゼ酵素を用いた2−フェニルエタノール系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61A KR0164051B1 (ko) 1996-03-29 1996-03-29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720A KR970065720A (ko) 1997-10-13
KR0164051B1 true KR0164051B1 (ko) 1998-11-16

Family

ID=1945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261A KR0164051B1 (ko) 1996-03-29 1996-03-29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4990A (ko)
KR (1) KR0164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96A (ko) * 2002-05-24 2003-12-03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1-페닐 에타놀 및 이의에스테르 제조방법
KR100431516B1 (ko) * 1996-12-23 2004-07-16 에스케이 주식회사 균주를 이용한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16B1 (ko) * 1996-12-23 2004-07-16 에스케이 주식회사 균주를 이용한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조방법
KR20030091196A (ko) * 2002-05-24 2003-12-03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1-페닐 에타놀 및 이의에스테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4990A (ja) 1998-01-13
KR970065720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lalaksananukul et al. Kinetic study of esterification by immobilized lipase in n‐hexane
Cambou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strategies for the lipase‐catalyzed preparative resolution of racemic acids and alcohols: Asymmetric hydrolysis, esterification, and transesterification
Kitaguchi et al. Enzymic resolution of racemic amines: crucial role of the solvent
Langrand et al. Lipase catalyzed formation of flavour esters
WELSH et al. Lipase mediated synthesis of low molecular weight flavor esters
Frings et al. Kinetic resolution of 1-phenyl ethanol with high enantioselectivity with native and immobilized lipase in organic solvents
Alves Macedo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short chain citronellyl esters by a new lipase from Rhizopus sp
Alvarez-Macarie et al. Short chain flavour ester synthesis by a new ester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De Castro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approaches for lipase catalysed synthesis of citronellyl acetate
US5316927A (en) Production of monoglycerides by enzymatic transesterification
Gießauf et al. A study of hydrolases stability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
Perraud et al. Optimization of methyl propionate production catalysed by Mucor miehei lipase
Fonteyn et al. Optimization of lipase-catalyzed synthesis of citronellyl acetate in solvent-free medium
Bornscheuer et al. A comparison of different strategies for lipase-catalyzed synthesis of partial glycerides
Kim et al. Rapid synthesis of fatty acid esters for use as potential food flavors
CA2000143A1 (en) Production of monoglycerides by enzymatic transesterification
KR0164051B1 (ko) 리파제 효소를 이용한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JPS63112998A (ja) 光学活性エステルの製造法
KR0164050B1 (ko) 비용매상에서 효소를 이용한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US5541093A (en) Vapor state esterification using enzymes
US4022664A (en) Process for biochemical optical resolution of alpha-tocopheral
KR0180867B1 (ko) 비용매상 2-페닐에탄올계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Derango et al. The lipase-catalyzed synthesis of carbamoyloxyethyl methacrylate
JP2690953B2 (ja) 光学活性1,3−ブタンジオールおよびその誘導体の製造法
Holmberg et al. Hydrolysis and esterification with lipase from Candida cylindracea. Influence of the reaction conditions and acid moiety on the enantiomeric ex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