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584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3584B1 KR0163584B1 KR1019900001471A KR900001471A KR0163584B1 KR 0163584 B1 KR0163584 B1 KR 0163584B1 KR 1019900001471 A KR1019900001471 A KR 1019900001471A KR 900001471 A KR900001471 A KR 900001471A KR 0163584 B1 KR0163584 B1 KR 0163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gative pressure
- pressure chamber
- contactor
- cylinder
- fluid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2033/906—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with pressure limitation in the compression volume, e.g. by valves or bleeder open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0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making use of the energy of the arc or an auxiliary arc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부압실에 있어서의 동작초기부터의 급격한 반력의 발생을 억제하여 조작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동접촉자의 분리동작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부압실을 가진 스위치에 있어서 부압실에 가동접촉자의 분리 초기구간중에 부압실내의 부압을 억제하기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에 부압실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는 가동접촉자의 분리 초기구간동안 부압실의 부압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리동작의 초기에 있어서 조작장치에 부압발생에 의한 반력이 작용하지 않고 작은 조작력에 의하여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분리동작 초기 이후에는 분리동작초기에 있어서 얻어지는 조작장치의 관성력에 의하여 부압발생에 따르는 반력에 대항하여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조작장치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II-II선에 따라 취해진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각각 다른 동작상태의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종래 스위치의 것과 비교하여 나타낸 실시예의 압력특성도.
제9도는 제2도에 나타낸 대응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의 더욱 다른 실시예의 요부단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제11도에 나타낸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요부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4도에 나타낸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요부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의 더욱 다른 실시예의 요부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제20도 내지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스페이서 2 : 차단부용기
3 : 고정접촉자 4 : 승압실
5 : 절연노즐 6 : 가동접촉자
6A : 피스톤 6B : 중심축
8 : 도체 10 : 레버
13 : 링크 14 : 실린더
15 : 부압실 11,12 : 유체유통부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크(arc)를 향하여 분출가스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부압발생장치를 구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종래 스위치는, 일본국 특공소62-1648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SF6가스등의 소호(消弧)성 유체로 채워진 밀봉용기내에 상대적으로 분리가능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와, 이 접촉자 사이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에너지를 이용하여 소호성 유체를 승압하는 승압실을 가진 승압장치와, 가동접촉자의 분리동작에 의해 일어난 피스톤과 실린더의 상대운동에 의해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는 부압실을 가진 부압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있었다. 따라서 분리된 접촉자 사이의 아크에 승압실로부터 부압실을 향하여 형성되는 가스류의 분출이 부여되어, 아크의 소호가 행하여진다. 종래의 승압장치 및 부압발생장치를 가진 스위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차단 동작의 초기부터 부압발생장치가 작동하여 부압을 발생한다. 이때문에 스위치 조작장치는 그러한 발생 부압에 대응하여 동작 초기부터 급속하게 큰 조작력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조작장치는 일반적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공기특성을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동작초기부터 큰 조작력을 얻기는 어렵고, 다른 방식을 사용하면 조작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부압실에 있어서의 동작초기부터의 급격한 반력의 발생을 억제하여 조작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동접촉자의 분리동작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부압실을 가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부압실은 그 부압실에 가동접촉자의 분리 초기구간중에 부압실내의 부압을 억제하기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는 상기와 같이 가동접촉자의 분리 초기구간 동안 부압실의 부압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리동작의 초기에 있어서 조작장치에 부압발생에 의한 반력이 작용하지 않고 작은 조작력에 의하여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분리동작 초기 이후에는 분리동착초기에 있어서 얻어지는 조작장치의 관성력에 의하여 부압발생에 따르는 반력에 대항하여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조작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투입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스위치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이 제1도에 있어서, 원통형 차단부용기(2)의 양단은 각각 절연스페서(1a,1b)에 의해 밀봉되어져 밀봉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밀봉용기내에는 SF6가스등의 소호성유체가 채워져 있다. 절연스페이서(1a)의 중심부의 단자에는 고정접촉자(3)가 부착되어 있다. 이 고정접촉자(3)에 대향하여 가동접촉자(6)가 접촉되어 있다. 이 가동접촉자(6)에는 피스톤(6A) 및 중심축(6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심축(6B)의 단부는 콘트롤러(7)를 통하여 절연스페이서(1b)의 단자에 부착된 도체(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중심축(6B)에는 조작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 레버(10)가 링크(13)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레버(10)는 차단부용기(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심축(6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10)의 중심축(10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13)를 거쳐 가동접촉자(6)를 개로(open)조작하게 되고 또 레버(10)의 중심축(10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접촉자(6)를 폐로(close)조작하게 된다.
차단부용기(2)의 내부에는 고정접촉자(3)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절연노즐(5)과 중심축(6B) 및 도체(8)를 둘러싸는 실린더(14)가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투입상태에서, 가동접촉자(6)는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에 삽입되어 고정접촉자(3)와 접촉하고 이 접촉부를 포함하는 승압실(4)이 절연노즐(5)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노즐(5)과 피스톤(6A)과 실린더(14)에 의하여 부압발생장치가 구성된다. 이 부압발생장치는 절연노즐(5)과 피스톤(6A)의 대향부에 형성되는 부압실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4)의 절연노즐(5)의 내측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모양으로 된 제1의 유체유통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의 가스유통부(11)는 도면에 도시한 투입상태에서 절연노즐(5)의 단면(5B)과 피스톤(6A)의 단면의 작은 틈새를 통하여 부압실(15)과 주위공간(9)을 연통시키고 있다. 제1의 유체유통부(11)는 절연노즐(5)의 단면(5B)으로부터 가동접촉자(6)의 개로방향으로 거리(L4)에 걸쳐 실린더(14)의 내경(D3)보다 큰 직경(D2)으로 형성된 링형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4)에 있어서의 거리(L2)로부터 거리(L3)까지의 내면의 피스톤(6A)의 외경(D1)과 대략 동등한 내경(D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실린더(14)에 있어서의 절연노즐 단면(5A)으로 부터의 거리(L3)이후의 실린더(14)의 내면에는 제2의 유체유통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거리(L2,L3)와 가동접촉자(6)가 절연노즐(5)을 막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거리(L1)는 L2L1L3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6A)이 개로방향으로 이동할 때 맨처음에는 부압실(15)이 제1유체유통부(11)에 의하여 주위공간(9)과 연통되어 있으나, 피스톤(6A)이 거리(L2)까지 이동하면 부압실(15)은 피스톤(6A)의 외주면과 실린더(14)의 내면에 접촉에 의하여 주위공간(9)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피스톤(6A)이 거리(L3)까지 이동하면 부압실(15)은 제2유체유통부(12)를 통하여 주위공간(9)과 다시 연통한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스위치의 일실시예의 개로동작을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스위치가 폐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가동접촉자(6)는 고정접촉자(3)과 접촉하고 있다. 승압실(4)은 가동접촉자(6)가 절연노즐(5)을 막음으로써 주위공간(9)으로부터 구분되어 있다. 또 부압실(15)은 제1의 유체유통부(11)를 거쳐 주위공간(9)에 연통되어 있다.
조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레버(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4도와 같이 피스톤(6A)의 외주면이 제1유체유통부(11)를 막고 부압실(15)의 용적확대에 따라 부압이 발생한다. 이 부압은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에 대하여 반력으로 작용하나, 조작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제3도에 나타낸 스위치 투입상태로부터 제4도에 나타낸 스위치의 개로동작초기의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 얻어진 관성에 의하여 상기한 반력에 대항하여 피스톤(6A)과 가동접촉자(6)를 개로동작시킨다. 따라서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에 있어서의 부압반력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치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로동작 중기의 상태까지 개로동작이 진행되면, 가동접촉자(6)는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를 빠져나온다. 따라서 이제까지 고정접촉자(3)와 가동접촉자(6) 사이의 분리동작에 의해 발생한 아크의 에너지에 의해 승압시켜진 승압실(4)내의 소호성 유체는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를 통하여 압력 저하된 부압실(15)내로 유입된다. 이 유체류에 의하여 아크는 분출작용을 받는다. 아크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전류영역에서는 제5도에 나타낸 개로동작중기 상태에서 아크가 소멸한다. 그러나 아크에너지가 큰 경우에는 승압실(4)로부터 부압실(15)로 유입되는 소호성유체에 의하여 양 실의 압력은 평형이 되어 버리고 아크에 대한 유효한 분출이 행해지지 않게 되나, 제6도에 나타낸 개로동작 종기(終期)의 상태가 되면 피스톤(6A)은 제2의 유체유통부(12)에 이르고 이 제2의 가스유통부(12)를 거쳐 부압실(15)이 주위공간(9)과 연통한다. 따라서 승압실(4)로부터의 소호성유체는 부압실(15)로 다시 제2의 유체유통부(12)를 거쳐 주위공간(9)으로 흐른다. 이 소호성 유체의 분출에 의하여 아크가 소멸된다.
상기의 개로 동작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로시에 있어서의 부압실(15)의 압력 특성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특성곡선(A)에 비해 다소 완만한 압력특성곡선(B)이 된다. 그 결과 이 반력이 극복하는 출력을 발생하는 조작장치는 소형으로 할 수가 있고, 또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한편, 폐로 조작은 상기한 개로조작과 반대의 순서로 행해진다. 즉 제6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레버(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5도에 나타낸 상태로 부압실(15)과 주위공간(9)과의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부압실(15)의 압력이 상승하나, 제4도에 나타낸 이후로는 부압실(15)과 주위공간(9)이 제1의 유체유통부(11)를 거쳐 연통하고 부압실(15)의 압력이 제1의 유체유통부(11)를 통하여 주위공간(9)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제8도와 같이, 부압실(15)은 종래의 제1의 유체유통부(1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압력 상승 특성곡선(C)보다도 낮은 압력상승 특성곡선(D)이 된다. 그 후 제3도와 같은 폐로 상태가 된다. 폐로조작의 경우에도 제8도와 같이 부압실(15)의 압력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에 맞서 폐로조작을 행하는 조작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1의 유체유통부(11)를 실린더(14)의 내경(D3)을 내경(D2)까지 넓힌 링모양의 홈으로 형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14)의 축방향으로 거리(L2)를 가지는 복수의 홈(14A)을 형성하고 이들 홈(1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피스톤(6A)의 끼워맞춤부(6a)를 끼워맞추고, 홈(14A)와 끼워맞춤부(6a)의 대향부에 제1의 유체유통부(11)를 형성해도 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는 절연노즐(5)을 용기(2)의 한쪽측에서 캔틸레버방식으로 지지하고 절연노즐(5)에는 이와는 다른 재질의 실린더(14)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린더(14)의 크기가 작아져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작용 및 효과면에서는 동일하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6A)을 가동접촉자(6)와는 다른 절연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제1도와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에 소정 시간 늦게 부압발생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앞서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6)와 피스톤(6A)과의 별체로 만들어지고, 가동접촉자(6)의 동작에 대하여 섭동거리(L2)를 경과한 후 양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위해 상기 제1의 유체유통부(11)는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제2의 유체유통부(12)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1도에 나타낸 폐로상태에 있어서 가동접촉자(6)를 도면상 우측방향의 개로방향으로 구동하면 섭동거리(L2)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접촉자(6)만이 동작한다. 이때 피스톤(6A)은 도시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부압발생장치는 작동하지 않고 부압실(15)의 용적증대도 없다. 그러나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이 진행되어 고정접촉자(3)로부터 분리되면 양 접촉자(3,6) 사이에 발생한 아크의 에너지에 의하여 승압실(4)의 압력이 상승하고 제12도에 나타낸 상태에 도달하면 가동접촉자(6)는 피스톤(6A)과 개로방향에 연결된다. 이후 피스톤(6A)은 가동접촉자(6)와 함께 동작하여 부압발생장치를 작동시켜 부압실(15)의 용적을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대시킨다. 가동접촉자(6)가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를 빠져나오면 승압실(4)과 부압실(15)이 연통하여 압력이 평형하게 될 때까지 유체류가 형성되고, 접촉자(3,6) 사이의 아크는 이 유체류의 분출작용을 받아 소멸한다. 부압실(15)의 압력은 서서히 상승하나 가동접촉자(6)가 제1도에 나타낸 거리(L3)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2의 유체유통부(12)를 거쳐 부압실(15)과 주위공간(9)이 연통된 것과 동일하게 양자가 연통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앞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동작의 초기에 있어서 조작장치로의 반력을 경감시킴으로써 조작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제14도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동접촉자(6)의 분리동작에 대하여 소정시간 늦게 부압발생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구성면에서 앞선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촉자(6)와 절연노즐(5)의 끼워맞춤부에 밸브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4도와 같이 밸브기구는 절연노즐(5)의 중앙구멍에 단부를 형성하고, 도면의 좌측에는 가동접촉자(6)가 거리(L2)를 동작할 때까지 승압실(4)과 부압실(15)을 연통하는 큰 직경부(5a)와 그후 가동접촉자(6)가 제1도의 거리(L1)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양 실(4,15)간의 연통을 차단하는 드로트부(5b)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14도 내지 제16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4도의 폐로상태로부터 가동접촉자(6)를 분리방향으로 구동하면 제15도에 나타낸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는 큰 직경부(5a)에 의하여 형성된 제1의 유체유통부(11)를 거쳐 승압실(4)과 부압실(15)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부압실(15)의 용적은 증대하나 실질적으로 부압발생장치는 작동하고 있지 않아 부압실(15)에 부압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제15도에 나타낸 상태가 되면 가동접촉자(6)는 드로트부(5b)를 막기 때문에 승압실(4)과 부압실(15)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승압실(4)은 양 접촉자(3,6) 사이의 분리에 의하여 발생한 아크의 에너지에 의하여 압력이 상승한다. 한편 승압실(4)과의 연통이 차단된 부압실(15)은 용적증대에 의하여 부압을 발생한다. 또한 개로동작이 진행되어 제16도에 나타낸 상태가 되면 가동접촉자(6)는 드로트부(5b)를 빠져나와 승압실(4)과 부압실(15)을 연통시키기 때문에, 승압실(4)로부터 부압실(15)로 흐르는 소호성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양접촉자(3,6) 사이의 아크는 분출작용을 받아 소멸한다. 그 후 가동접촉자(6)의 이동에 의하여 제2의 유체유통부(12)를 거쳐 부압실(15)과 주위공간(9)이 연통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 초기에 부압발생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초기부터 부압발생장치가 작동하여 조작장치의 반력이 되는 스위치에 비해 조작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성도 간단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의 요부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에 소정시간 늦게 부압발생장치가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동접촉자(6)에 제1의 유체유통부(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동도면의 폐로상태에서 제1의 유체유통부(20)는 일단을 승압실(4)에 연통함과 동시에 타단을 부압실(15)에 연통하고 있다. 또 제1의 유체유통부(20)의 승압실(4) 측단은, 거리(L2)만큼 가동접촉자(6)가 개로방향으로 동작하면 절연노즐(5)에 의하여 폐로되어 승압실(4)과 부압실(15)과의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는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접촉자(6)를 개로조작하면 피스톤(6A)도 함께 동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압실(15)의 용적을 증대시키나 제1의 유체유통부(20)에 의하여 승압실(4)과 부압실(15)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부압실(15)에는 조작장치에 대한 큰 반력이 되는 부압은 발생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부압발생장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제1의 유체유통부(20)의 승압실(4) 측단이 절연노즐(5)에 의하여 폐로되면 부압실(15)은 용적증대에 의해 부압을 발생한다. 가동접촉자(6)가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를 빠져 나왔을때 승압실(4)로부터 부압실(15)로 향하는 소호성 유체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 분출류에 의하여 접촉자(3,6) 사이의 아크는 소멸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서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의요부단면도로서, 부압실(15)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실린더와의 동작관계를 역으로 한 것이다.
가동접촉자(6)에는 실린더(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21)는 절연노즐(5)에 일체로 형성한 통부(22)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 실린더(21)와 피스톤을 겸용하는 절연노즐(5)과 통부(22)에 의하여 부압실(15)이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21)의 측부와 통부(22)에는 실린더(21)의 동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유체유통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체유통부(23)는, 제18도에 나타낸 폐로상태에서 통부(22)에 형성된 구멍(22a)과, 이에 대응하고 있는 구멍(22a)과의 연통을 소정시간 지속하도록 개로방향에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실린더(21)에 형성된 구멍(21a)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접촉자(6)가 개로방향으로 동작하더라고 소정시간동안 유체유통부를 구성하는 구멍(21a,22a)과의 연통에 의하여 부압실(15)은 주위공간(9)과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부압실(15)에는 부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체유통부(23)를 구성하는 구멍(21a)이 구멍(22a)을 통과하면 부압실(15)은 주위공간(9)과의 연통을 차단하여 부압을 발생한다. 이 때문에 가동접촉자(6)가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를 빠져나오면 승압실(4)로부터 부압실(15)로 향하는 소호성유체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 분출류에 의하여 접촉자(3,6) 사이의 아크는 소멸된다. 그후 제19도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유체유통부(23)를 구성하는 구멍(21a) 및 구멍(22a)이 개방되어 부압실(15)과 주위공간(9)이 연통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서도 앞서의 실시예와 거의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의 요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접촉자(6)에 연결된 실린더(21)는 양 접촉자(3,6)의 접촉부를 포위하도록 절연노즐(5)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노즐(5)의 오른쪽 단부에는 큰 직경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큰 직경부(5c)는 실린더(21)의 작은 직경부(21a)와 거의 일치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폐로상태에 있어서 상기 큰 직경부(5c)에 대응하는 실린더(21)의 내면에는 제1의 유체유통부(11)가 형성되고, 또 작은직경부(21a)의 좌측에는 제2의 유체유통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의 초기의 부압실(15)의 용적이 증대되나 제1의 유체유통부(11)에 의하여 부압실(15)과 주위공간(9)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부압실(15)에서 조작장치에 대하여 종래와 같은 반력을 부여하는 부압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동접촉자(6)의 개로조작이 가속되었을 때 큰 직경부(5c)와 작은 직경부(21a)가 합치되어 부압실(15)은 폐로된다. 그 후 부압실(15)은 부압을 발생한다. 가동접촉자(6)가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를 빠져나오면 승압실(4)로부터 부압실(15)로 향하는 분출류가 형성된다. 이 분출류에 의하여 접촉자(3,6) 사이의 아크가 소멸된다. 그 후 큰 직경부(5c)에 제2의 유체유통부(12)가 대응하기 때문에 부압실(15)은 주위공간(9)에 연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초기의 부압실(15)의 용적을 충분히 작게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작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제21도부터 제23도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1도, 제14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스톤(6A)을 고정으로 하여 실린더를 가동하게 한 것이다. 앞서의 실시예와의 대응물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접촉자(6)의 개로동작의 초기에 부압발생장치는 작동하지 않고, 소정 거리 동작후 승압실(4)과 부압실(15)과의 연통이 차단되고, 부압발생장치가 작동하여 부압실(15)에서 부압이 발생한다. 가동접촉자(6)가 절연노즐(5)의 드로트부(5A)를 빠져나오면 승압실(4)로부터 부압실(15)로 향하는 분출류가 형성되어 소호가 행해지는 것은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한다. 부압실(15)의 상승압력은 실린더(21)의 제2의 유체유통부(12)가 절연노즐(5)의 우측 단부에 도달하여 부압실(15)이 제2의 유체유통부(12)를 거쳐 주위공간(9)으로 개방됨으로써 방출된다.
이들 각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동접촉자의 분리동작으로 소정 시간 늦게 작동하는 부압발생장치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부압실에 있어서의 개로동작초기로부터의 급격한 반력의 발생을 억제하여 조작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10)
- 폐쇄된 일단부를 가지며 내부에 승압실을 형성하는 고정통부와; 이 고정통부의 타단에 설치된 절연노즐; 상기 고정통부내에 고정된 제1의 접촉자; 상기 절연노즐의 드로트부를 통하여 상기 제1의 접촉자와 접촉·분리가능한 제2의 접촉자; 상기 제2의 접촉자의 분리동작에 의하여 부압을 발생하고 상기 승압실내의 유체를 빨아들이는 부압실; 및 상기 부압실에 연결되며, 상기 제2의 접촉자의 상기 분리동작의 초기단계동안 상기 부압실내의 부압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부압실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실로 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은, 상기 제2의 접촉자에 설치된 피스톤; 이 피스톤을 미끄럼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절연노즐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스위치의 폐로상태에서 상기 피스톤과 실런더의 맞물림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의 접촉자의 상기 분리동작의 초기 단계동안 상기 부압실을 상기 고정통부내의 주위공간과 연통하도록 하는 제1의 유체유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유체유통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설치된 환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실로의 유체공급수단은, 상기 절연노즐에 설치한 통부와; 상기 통부에 의하여 미끄럼가능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제2의 접촉자에 설치한 실린더와; 상기 통부와 실린더와의 맞물림부에 설치되어, 제2의 접촉자의 상기 분리동작의 초기 단계동안에 상기 부압실을 상기 고정통부내의 주위공간과 연통하도록 하는 제1의 유체유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체유통부는 상기 통부에 설치한 제1구멍 및 제1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내에 설치된 제2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실로의 유체공급수단은, 상기 절연노즐의 드로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의 접촉자의 분리동작의 초기 단계 동안에 상기 부압실을 승압실과 연통하도록 하는 제1의 유체유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체유통부는 상기 절연노즐의 드로트부에 설치된 환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실로의 유체공급수단은 상기 제2의 접촉자가 절연노즐의 드로트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2의 접촉자가 분리되는 초기단계동안 상기 부압실을 승압실과 연통시키는 제1의 유체유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체유통부는 상기 제2의 접촉자에 설치된 연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 제2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실은 상기 제2의 접촉자의 상기 분리동작의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부압실을 상기 고정통부내의 주위공간과 연통하도록 하는 제2의 유체유통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765989 | 1989-02-08 | ||
JP89-27659 | 1989-02-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3551A KR900013551A (ko) | 1990-09-06 |
KR0163584B1 true KR0163584B1 (ko) | 1998-12-15 |
Family
ID=1222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1471A KR0163584B1 (ko) | 1989-02-08 | 1990-02-07 | 스위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045651A (ko) |
EP (1) | EP0382145B1 (ko) |
KR (1) | KR0163584B1 (ko) |
CN (1) | CN1019870B (ko) |
DE (1) | DE69019184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80543B2 (ja) * | 1989-11-29 | 1999-04-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ガス開閉器 |
FR2696316B1 (fr) * | 1992-10-06 | 1994-11-04 | Alsthom Gec | Disjoncteur à haute ou moyenne tension à expansion thermique et soufflage additionnel par aspiration. |
CN107787516B (zh) * | 2015-04-13 | 2020-06-19 | Abb瑞士股份有限公司 | 仅中断非短路电流的装置、尤其是隔离开关或接地开关 |
EP3385969B1 (en) * | 2017-04-07 | 2021-10-20 |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 Gas-insulated circuit breaker and a method for bre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
FR3094836B1 (fr) * | 2019-04-02 | 2021-07-09 | Pommier | Dispositif de coupure d’arc |
CN110136999B (zh) * | 2019-05-06 | 2023-12-12 | 广东熔科工业设备有限公司 | 一种压紧式接触的电开关闸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019806B1 (en) * | 1979-05-25 | 1983-11-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Power circuit interrupter with arc-extinguishing means |
JPS5769634A (en) * | 1980-10-20 | 1982-04-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Power switching unit |
FR2535518B1 (fr) * | 1982-10-28 | 1985-10-25 | Alsthom Atlantique | Chambre de coupure pour disjoncteur a gaz |
US4517425A (en) * | 1983-09-14 | 1985-05-14 | Mcgraw-Edison Company | Self-flow generating gas interrupter |
JPS60189129A (ja) * | 1984-03-07 | 1985-09-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パツフア形開閉装置 |
DE3524541A1 (de) * | 1985-07-10 | 1987-01-22 | Hoechst Ag | Neue 1-oxa-3,8-diaza-4-oxo-spiro-(4,5)-decan- verbind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
1990
- 1990-01-26 US US07/470,584 patent/US5045651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2-05 DE DE69019184T patent/DE6901918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2-05 EP EP90102241A patent/EP038214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2-07 KR KR1019900001471A patent/KR01635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2-08 CN CN90100610A patent/CN1019870B/zh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382145A2 (en) | 1990-08-16 |
CN1044872A (zh) | 1990-08-22 |
DE69019184T2 (de) | 1996-02-01 |
EP0382145B1 (en) | 1995-05-10 |
EP0382145A3 (en) | 1992-01-02 |
DE69019184D1 (de) | 1995-06-14 |
KR900013551A (ko) | 1990-09-06 |
CN1019870B (zh) | 1992-12-30 |
US5045651A (en) | 1991-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405410B1 (en) | Gas circuit breaker | |
US4239949A (en) | Self-extinguishing type circuit interrupter | |
US5072084A (en) | Gas circuit breaker | |
KR0163584B1 (ko) | 스위치 | |
US4754109A (en) | Compressed dielectric gas high-tension circuit breaker | |
GB1604927A (en) | Dual-compression gas-blast puffer-type interrupting device | |
US3991292A (en) | Dual compression puffer interrupter | |
US4381436A (en) | Rotary arc type circuit breaker | |
US5159164A (en) | Gas circuit breaker | |
US4992634A (en) | Medium tension gas blast circuit breaker | |
JP2577116B2 (ja) | 高圧又は中電圧の遮断器 | |
US4253002A (en) | Self-extinguishing type circuit interrupter | |
JP2880543B2 (ja) | ガス開閉器 | |
JP2523911B2 (ja) | 開閉器 | |
US3604872A (en) | Pressurized gas interrupter structure | |
WO2023105704A1 (ja) | ガス遮断器 | |
JP2682180B2 (ja) |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 |
WO2015129273A1 (ja) | ガス遮断器 | |
JPH10269912A (ja) | ガス遮断器 | |
JP2512502Y2 (ja) | ガス絶縁断路器 | |
JP2003317584A (ja) | 熱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 |
JP2015162330A (ja) | ガス遮断器 | |
JP2000294095A (ja) |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 |
RU1783590C (ru) | Дугогас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газонаполненного автокомпресионного выключател | |
JP3220863B2 (ja) |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9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