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907B1 -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 Google Patents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907B1
KR0161907B1 KR1019950001058A KR19950001058A KR0161907B1 KR 0161907 B1 KR0161907 B1 KR 0161907B1 KR 1019950001058 A KR1019950001058 A KR 1019950001058A KR 19950001058 A KR19950001058 A KR 19950001058A KR 0161907 B1 KR0161907 B1 KR 016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beam
focusing
ho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300A (ko
Inventor
송병권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0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907B1/ko
Publication of KR96003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1Focu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50Plurality of guns or beams
    • H01J2229/502Three beam guns, e.g. for colour CR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화면주변부에서 빔스포트의 왜곡현상을 방지하여 스크린전역에서 해상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집속전극(22)(23)을 2개로 분할 형성하여 캐소우드측 집속전극(22)에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24)을 형성함과 함께 각각의 전자빔 통과공 좌,우측에는 양극측 집속전극쪽으로 돌출된 전극편(25)을 구비하고, 양극측 집속전극(23)에는 횡장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을 갖는 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전극편(25)이 단일 전자빔 통과공(26)내에 위치되도록 하여서 된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제1도는 칼라수상관의 구조에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3도는 전자총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및 동작원리도로써,
(a)는 BPF타입의 전자총을 나타낸 상태도.
(b)는 U-BPF타입의 전자총을 나타낸 상태도.
제4도는 셀프 컨버젼스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5도는 셀프 컨버젼스자계의 분해도.
제6도는 셀프 컨버젼스자계에 의한 화면의 중심 및 주변부에서의 집속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7도는 셀프 컨버젼스자계의 사극자성분을 보정하기 위한 사극자 작용도.
제8도는 제7도에 의한 화면의 중심 및 주변부에서의 집속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9도는 종래의 전자총에 적용된 다이나믹전극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는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b)는 사극자 작용도.
(c)는 컨버젼스 보정작용도.
제10도는 종래의 전자총에 적용된 다이나믹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서 정(+) 비점수차를 설명하기 위한 집속전극의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서 컨버젼스보정을 위한 양극측 집속전극의 구성도.
제15도는 본 발명에서 컨버젼스의 보정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종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이나믹전극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23 : 집속전극 24,27 : 전자빔 통과공
25 : 전극편 26 : 단일 전자빔 통과공
본 발명은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화면주변주에서 빔스포트의 왜곡현상을 방지하여 스크린전역에서 해상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종래의 전자총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넬(1)의 네크부(2)에 고정되어 판넬(3)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면(4)상으로 전자빔을 방사시키는 것으로써, 그 구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입력되는 적(R), 녹(G), 청(B)의 전기신호에 따라 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우드(Cathode)(5), 상기 캐소우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캐소우드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을 제어하는 제1그리드전극(6), 상기 제1그리드전극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캐소우드면에 모여 있는 열전자를 당겨내어 가속시키는 제2그리드전극(7)으로 전자빔 형성영역부(BFR:Beam Forming Region)가 구성되고, 상기 제2그리드전극의 일측으로는 전자빔 형성영역부로 부터 연이어 입사되는 전자빔을 가늘게 집속시켜 전자빔 스포트를 형성하기 위한 주정전 집속렌즈(Main Focusing Lens)를 구성하는 포커스전극(8)과 양극(9)이 인라인(In-line)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양극(9)에는 차폐전극(도시는 생략함)이 고정되어 편향요크(Deflection Yoke)(10)의 누설자계를 차폐,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전자총의 종류에 따라서는 집속효과를 강화하는 다단집속형으로 하기 위해 제3도의 (b)와 같이 전자빔 형성영역을 구성하는 전자빔 형성영역부(BFR)와, 주정전 집속렌즈를 구성하는 포커스전극(8)사이에 전단집속을 위한 제3그리드전극(12)과 제4그리드전극(13)을 추가로 삽입하여 전단집속렌즈계를 구성하기도 한다.
상기 캐소우드(5)에서 생성된 R,G,B가 각각 통과되도록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각 전극은 한쌍의 비드 그라스(Bead Glass)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융착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총은 히터에 의해 캐소우드(5)가 가열되어 열전자를 방출시킴에 따라 방출된 전자빔은 제1그리드전극(6)에서 제어됨과 동시에 제2그리드전극(7)에 의해 가속되어 주정전 집속렌즈계인 포커스전극(8)과 양극(9)을 지나면서 상기 포커스전극(8)과 양극(9)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 가늘게 집속 및 가속된 다음 편향요크(10)에 의해 스크린상의 소정위치로 편향된다.
이렇게 편향된 R,G,B 3개의 전자빔은 판넬(3)의 내면으로 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된 섀도우마스크(11)이 구멍을 통과하여 판넬(3)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면(4)의 형광체와 충돌하므로써 요구하는 칼라 및 휘도를 얻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시 R,G,B 각각의 전자빔은 포커스전극(8)과 양극(9)사이의 전압차로 인해 발생되는 주정전 집속렌즈에 의해 스크린상에 최적으로 집속됨과 동시에 스크린의 중앙에서 R,G,B 3개의 전자빔이 한점에 모이도록 하는 스태틱 컨버젼스(Static Convergence)작용을 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종래의 전자총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및 동작원리도로써, BPF(Bi Potential Focus)타입 또는 U-BPF(Uni-Bi Potential Focus)타입의 전자총의 결선구조 및 집속작용을 나타낸 것이고, 제2도의 (a)는 스크린의 중앙에서 R,G,B 3개의 전자빔이 한점에 모이는 스태틱 컨버젼스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편향요크(10)에 의해 3개의 전자빔이 스크린의 주변부로 편향되면 각 전자빔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R,G,B 3개의 전자빔이 교차되는 지점이 스크린의 앞부분이 되므로 제2도의 (b)에 도시한 점선과 같이 실제 스크린상에서는 R',G',B'로 벌어져 화소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스크린의 주변부에서 편향요크(10)에 의한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편향요크외에 컨버젼스요크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셀프 컨버젼스요크를 설치하여야 된다.
그렇지만 컨버젼스요크를 설치하는 것을 상기 컨버젼스요크의 구동에 필요한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여야 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어 셀프 컨버젼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셀프 컨버젼스요크는 스크린의 주변부에서 R,G,B 3개의 전자빔이 미스 컨버젼스되지 않도록 제4도와 같이 수평으로 강한 핀자계가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방향으로는 바렐자계가 형성되도록 하여 R,G,B 3개의 전자빔이 컨버젼스되는 양이 줄어들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스크린의 앞쪽에서 모이는 전자빔의 위치를 스크린측으로 이동시켜 제2도의 (b)의 실선과 같이 스크린상의 한점에 모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핀자계와 발레자계는 제5도의 (a),(b)와 같이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 이동시키는 자계성분(dipole)과, 수평방향으로는 발산하고 수직으로는 집속시키는사극자성분(quadrupole)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극자성분에 의해 부(-)의 비점수차를 받게 된다.
즉, 제6도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는 발산력을 받아 집속거리가 길어지게되므로 전자빔의 이동거리가 더 긴 스크린의 주변주에서도 스크린상에 상이 맺히지만, 수직방향으로는 집속작용을 받아 집속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스크린상에 할로(Holo)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 비점수차를 갖는 사극자 작용을 이용하여 셀프 컨버젼스자계의 부(-)의 비점수차작용을 보상하므로써 수평, 수직방향의 전자빔 집속거리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제8도의 (a)]
그러나 수평, 수직방향의 집속거리가 같아졌다 하여도 스크린의 중앙부와 주변부사이에서의 전자빔 이동거리 차이로 인해 스크린의 주변주에서는 여전히 과집속에 의한 할로현상이 발생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주정전 집속렌즈의 집속력을 약화시켜야만 제8도의 (b)와 같이 수평, 수직방향 모두 스크린상에서 최적의 집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크린상의 편향위치에 따라 비점수차와 전자빔 이동거리차이가 달라지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편향주파수에 동기된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여 주어야 된다.
즉, 셀프 컨버젼스자계에 의한 편향위치에 따른 부의 비점수차와 전자빔 이동거리차이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편향주파수에 동기된 다이나믹 전압에 의해 정(+)의 비점수차가 작용되도록 하여야 하고 주정전 집속렌즈의 집속력을 변화시켜 줄 수 있는 다이나믹 전극구조를 갖도록 하여야 된다.
첨부도면 제9도는 종래의 기본적인 다이나믹전극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다이나믹전극은 제3도의 포커스전극(8)을 2개로 분할 형성하여 분할된 각 집속전극(14)(15)의 대향면에 사극자 렌즈가 형성되도록 하여야 되는데, 이를 위해 일측의 집속전극(14)에는 포커스저압(Vf)을 인가하고, 다른 일측의 집속전극(15)에는 다이나믹전압(Vf+dV)을 인가하여야 된다.
상기한 원리를 제9도의 (a)(b)(c)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할 형성된 집속전극(14)(15)중 캐소우드측의 집속전극(14)에 장방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16)을 형성하여 상기 전자빔 통과공의 내측으로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17)이 형성된 인너전극(18)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인너전극의 전자빔 통과공(17)양측과 사이에는 수직 평판전극(19)을 각각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압이 걸리는 집속전극(15)에는 상,하방향에 수평 평판전극(20)을 갖으며 3개의 독립된 전자빔 통과공(21)이 형성된 ㄷ형상의 전극을 용접고정한 다음 상기 2개의 집속전극(14)(15)을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집속전극중 일측의 집속전극(14)에 포커스전압(Vf)을 인가하고, 다른 일측의 집속전극(15)에는 다이나믹전압(Vf+dV)을 인가하면 편향위치에 동기된 다이나믹전압에 의해 사극자작용과 주렌즈 집속력 변화작용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화면의 중심부에서는 dV+0V를 인가하여 사극자작용 및 주렌즈 집속작용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수평, 수직으로 최적의 집속작용이 되도록 하며, 스크린의 주변부에서는 dV0V를 인가하여 마주보는 수직 및 수평 평판전극(19)(20)의 작용으로 수평방향에서는 집속하고, 수직방향에서는 발산시키는 정(+)의 비점수차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때 정(+)의 비점수차효과는 제9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우드측 집속전극(14)에 설치된 수직 평판전극(19)의 전압보다 수평 평판전극(20)이 설치된 양극측 집속전극(15)에 인가되는 전압이 dV만큼 높기 때문에 점선의 전기력선이 형성되므로 통과하는 전자빔이 실선 화살표와 같은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양극측의 집속전극(15)과 양극 [제3도의 (9)]사이에 형성되는 주렌즈 집속력을 집속전극(15)에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압(Vf+dV)의 상승에 의해 약화시키게 된다.
즉, 사극자작용에 의한 정(+)의 비점수차효과로서,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이 편향요크에 의해 편향될 때 발생되는 부(-)의 비점수차를 보정하고, 주렌즈 집속력 약화효과로는 전자빔이 집속되는 지점을 화면상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수평, 수직방향 모두 최적의 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다이나믹 전압이 상승하면 주렌스 집속력이 약화되면서 R,G,B 3개의 전자빔을 모아주는 컨버젼스의 작용도 동시에 약화되므로 그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9도의 (c)는 양극측 집속전극(15)에 설치된 수평 평판전극(20)이 저전위축 단일 전자빔통과공(16)내부로 삽입되어져 점선과 같은 등전위선을 형성하게 되므로 실선 화살표와 같은 힘을 받게 된다.
이에따라 양 사이드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이 안쪽으로 모이게 되므로 약화된 컨버젼스의 작용을 보상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10도의 (a),(b)에 도시된 구조는 제9도의 구조와 차이는 있지만, 전술한 동일한 원리에 의해 스크린의 전체에서 전자빔 스폿이 최적의 상태로 집소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이나믹 전극의 형상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첫째, 편향에 의한 부(-)의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보정감도(인가되는 다이나믹전압으로 보정되는 비점수차의 양을 나눈값)가 양호한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즉, 낮은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어도 부의 비점수차가 보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한다.
둘째, 주정전렌즈 집속력 약화에 따른 컨버젼스 특성변화를 보정할 수 있어야 된다.
셋째, 부품제작 및 용접 조립작업이 용이하여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다이나믹 전극구조는 상기한 3가지 조건들을 동시에 전부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즉, 제9도는 컨버젼스의 특성변화는 쉽게 보정하는 구조를 갖지만, 수평, 수직평판전극이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되므로 인해 비점수차의 보정감도가 작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아 부품제작 및 용접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제10도의 (a)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제작은 용이한, 컨버젼스의 보정을 삼극부의 편심을 이용하여 하므로 복잡하고 삼극부편심 및 전자빔 통과공이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어 조립지그(Jig)의 제작 및 정밀한 조립작업이 어려우며, (b)는 비점수차의 보정감도는 크지만 컨버젼스의 보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각각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제조성이 우수하고 스크린의 전체에서 전자빔 스폿이 최적의 상태로 집속되도록 하는 다이나믹 전극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집속전극을 2개로 분할 형성하여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에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함과 함께 각각의 전자빔 통과공 좌,우측에는 양극측 집속전극쪽으로 돌출된 전극편을 구비하고, 양극측 집속전극에는 횡장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을 갖는 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전극편이 단일 전자빔 통과공내에 위치되도록 하여서 된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1도 내지 제15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제13도는 본 발명에서 정(+)의 비점수차를 설명하기 위한 집속전극의 정면도이고, 제14도는 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양극측 집속전극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며 제15도는 제14도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집속전극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분할 형성된 한쌍의 집속전극(22)(23)중, 양극측 집속전극(23)의 전자빔 통과공(27) 전면으로 장방형의 전자빔 통과공(26)을 갖는 림부(Rim部)를 구비한다.
상기한 집속전극(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제11도 및 제12도와 같이 집속전극(23)의 전면부(28)을 장방형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이 형태로 후퇴, 성형하여 림부를 구성한 후, 후퇴면(29)에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27)을 형성하여도 되지만,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16도 및 제17도와 같이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35)을 구비한 통형 전극체(32)이 전면에 장방형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을 구비한 판상전극(33)을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캐소우드측 집속전극(22)에는 독립된 3개의 원형전자빔 통과공(24)및 각각의 원형통과공(24)의 주위의 좌,우에 양극측 집속전극(23)쪽으로 돌출된 전극편(25)을 일체화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전극편(25)의 형상은 원형 전자빔 통과공(24)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제조 및 조립에 용이하다.
한편, 상기 집속전극(22)은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16도 및 제17도와 같이 독립된 3개의 원형 통과공(34)를 구비한 통형전극체(30)의 전면에 독립된 3개의 원형 통과공(24) 및 각각의 원형 통과공(24) 주위의 좌,우에 양극측 집속전극(32)쪽으로 돌출된 전극편(25)을 일체화하여 형성한 전극체(31)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분할형성된 집속전극(22)(23)의 대향면중 양극측 집속전극(23)에 장방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을 갖는 림부를 구비하고, 캐소우드측 집속전극(22)에는 독립된 3개의 원형 통과공(24) 및 원형 통공주위의 좌,우에 양극측 집속전극쪽으로 돌출된 전극편(25)을 갖도록 성형하여 상기 전극편(25)이 장방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을 갖는 림부속으로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도록 위치시킨 후 캐소우드측 집속전극(22)에는 정 포커스전압(Vf)을, 그리고 양극측 집속전극(23)에는 다이나믹전압(Vf+dV)를 인가하는데, 상기 다이나믹전압으로는 편향자계의 편향주기에 동기된 파라볼릭상 전압을 인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극자 작용 및 컨버젼스 보정작용을 첨부된 도면 제13도 내지 제15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3도는 양극측 집속전극과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이 소정의 위치로 결합된 상태에서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의 전극편(25)과, 양극측 집속전극의 장방형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이 중첩된 부분의 정면도이다.
상기 전극편(25)에 정 포커스전압(Vf)이 인가되고, 장방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에는 다이나믹전압(Vf+dV)이 인가되어 점선과 같은 전기력선을 형성하게 되므로 통과하는 전류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실선 화살표와 같이 집속하고, 수직방향으로 t 발산시키는 정(+)의 비점수차를 갖는 사극자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따라 화면상의 편향위치에 따라 동기된 다이나믹전압에 의해 사극자작용이 조절되므로 편향자계에 의한 부(-)의 비점수차를 정확히 보정하게 된다.
또한, 양극측 집속전극(23)과 양극(제3도의 9)사이에 형성되는 주렌즈의 집속력은 양극측 집속전극(23)에 인가된 다이나믹전압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다이나믹전압은 화면상의 편향위치에 따라 동기되므로 전류빔이 화면 전체에서 정확히 집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다이나믹전극 구조 및 다이나믹전압에 의해 화면전체에서 수평,수직집속거리를 동일하게 맞추고 화면상에 정확히 집속시킬 수 있게 되므로 양호한 화질을 얻게 된다.
첨부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에서 컨버젼스의 보정을 위한 양극측 집속전극(23)의 실시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장방형 단일 전자빔 통과공(26) 안쪽의 후퇴면(29)에 형성된 3개의 독립된 전자빔 통과공(27)에서 중앙공(27a)은 원형으로 하고, 바깥공(27b)은 전자빔 이심거리(s)를 중심으로 중앙공쪽으로는 중앙공과 동일한 반경(r)을 갖는 반원을, 바깥쪽으로는 공편심(e)의 2배 위치 떨어진 곳을 중심으로 중앙공과 동일한 반경(r)을 갖는 반원으로 형성하여 상기 반원을 그에 접하는 상,하 직선으로 이어 장방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5도는 상기한 양극측 집속전극의 후퇴면(29)의 바깥공(27b)과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의 전극편(25)과의 편심(e)에 의해 중앙빔과 전자빔 이심거리(s)만큼
떨어져 이동하는 바깥빔이 안쪽으로 휘게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대적인 고전위로 다이나믹 전압(Vf+dV)이 인가되는 양극측 집속전극(23)의 후퇴면(29)상의 바깥공(27b)의 안쪽 공거리(r)가 바깥쪽 공거리(r+2e)보다 가깝기 때문에 포텐셜 경사가 생겨 사깥빔이 안쪽방향으로 휘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버젼스 강화작용은 화면위치에 따른 다이나믹 전압크기에 따라 조절되며, 주렌즈에 있어서의 컨버젼스 약화작용도 다이나믹 전압크기에 따라 변화하므로 적절한 편심(e)의 선택에 의해 양자를 일치시켜 컨버젼스 변화를 보정하게 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Computer Simulation) 및 실험한 바에 따르면 상기 편심량은 0.05∼0.15mm사이로 설정할 때 컨버젼스 변화를 보정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나믹 전극을 구성하므로 인해 화면의 전역에 걸쳐 최적의 집속과 컨버젼스작용으로 양질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부품제작 및 용접,조립의 용이성도 함께 구현된다.
첨부도면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캐소우드측 집속전극(22)과 양극측 집속전극(23)은 각각 1개의 부품으로 프레스성형 가능하므로 필요 부품수가 적어 부품제작이 용이하고, 별도 부품에 대한 용접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조립과정에서도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이 독립된 3개의 원형 통과공(24)으로 되어 있고 양극측 집속전극(23)의 후퇴면(29)상에 형성된 통과공도 동일 반경을 갖으며 편심(e)이 있는 바깥공(27b)도 내측으로는 캐소우드측 집속전극과 동일한 전자빔 이심거리(s)를 갖고 있으므로 제18도와 같이 원형의 맨드릴(36)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첨부도면 제18도는 각각의 거리가 s만큼씩 떨어져 평행하게 설치된 원형의 맨드릴(36)에 양극측 집속전극(23)으로 부터 제1그리드전극(6)까지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도시(스페이서는 생략함)한 것으로 본 발명에의한 다이나믹 전극구조가 조립이 용이함을 나타내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나믹 전극구조는 캐소우드측 집속전극(22)의 전극편(25)이 양극측 집속전극(23)의 횡장형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의 속으로 소정의 위치만큼 삽입되어 수평,수직방향으로의 전극체가 겹쳐진 구조로 되어 있어 단순히 마주보고 있던 종래의 구조 [제9도의 (a) 및 제10도의 (a)]보다 수평,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강하게 받게 된다.
이러한 힘은 전극편(25)의 길이 및 횡장형 단일 전자빔 통과공(26)을 갖는 림부의 두께 및 상호 중첩된 거리에 따라 달라지므로 강한 사극자작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필요한 다이나믹 전압을 낮출 수 있게 되어 관련 회로비용을 저감시키게 되는 특성을 갖으며, 이러한 특성은 대화면, 평평한 화면, 횡장형 화면일수록 더욱 유리한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6)

  1. 집속전극을 2개로 분할 형성하여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에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함과 함께 각각의 전자빔 통과공 좌,우측에는 양극측 집속전극쪽으로 돌출된 전극편을 구비하고, 양극측 집속전극에는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함과 함께 양단이 반원을 이루면서 장방형으로 된 횡장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을 갖는 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전극편이 림부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 내에 위치되도록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분할 형성되는 집속전극을 각각 단일 전극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3. 제항에 있어서,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으로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통형전극체를 구성하여 상기 통형전극체에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의 좌,우측에 돌출된 전극편을 구비한 전극체를 고정하여 구성하고, 양극측 집속전극으로는 독립된 3개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통형전극체를 구성하여 상기 통형전극체에 횡장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판상전극을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4. 제1항에 있어서, 캐소우드측 집속전극으로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통형전극체를 구성하여 상기 통형전극체에 독립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의 좌,우측에 돌출된 전극편을 구비한 전극체를 고정하여 구성하고, 양극측 집속전극은 단일 전극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캐소우드 집속전극을 단일전극체로 형성하고 양극측 집속전극으로는 독립된 3개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통형전극체를 구성하여 상기 통형전극체에 횡장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판상전극을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6. 제1항에 있어서, 전극편의 형상을 전자빔 통과공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KR1019950001058A 1995-01-23 1995-01-2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KR016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058A KR0161907B1 (ko) 1995-01-23 1995-01-2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058A KR0161907B1 (ko) 1995-01-23 1995-01-2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300A KR960030300A (ko) 1996-08-17
KR0161907B1 true KR0161907B1 (ko) 1998-12-01

Family

ID=1940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058A KR0161907B1 (ko) 1995-01-23 1995-01-2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9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300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5202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0173722B1 (ko) 컬러음극선관
US4851741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KR94000060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22576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0161907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다이나믹전극
JPH08138570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口体
US6456018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94000324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19393Y1 (ko) 전자총
KR100228161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94000446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0805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4977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US6586869B1 (en) Electrodes of electron gun
KR920001982Y1 (ko)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
KR200154147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10021581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0967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In-Line)전자총
KR10023610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5295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54657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_
KR100235998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KR0129381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